KR20180098566A - Tension holders with adapters for coup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Google Patents

Tension holders with adapters for coup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566A
KR20180098566A KR1020187018571A KR20187018571A KR20180098566A KR 20180098566 A KR20180098566 A KR 20180098566A KR 1020187018571 A KR1020187018571 A KR 1020187018571A KR 20187018571 A KR20187018571 A KR 20187018571A KR 20180098566 A KR20180098566 A KR 2018009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tension
opening
fixture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7837B1 (en
Inventor
클라우스 야스케
얀 디트마
Original Assignee
비.티.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티.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티. 이노베이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9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23Separate connecting devices for prefabricated floor-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측벽,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면에서 원뿔로 수렴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가지고, 적어도 접근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용 공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 내로 개방되고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한 통로 개구로서 제공되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추가적인 통로 섹션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쉘 형상(shell-shaped)으로 형성되고, 통로 섹션은 평탄한 측벽에 형성되고 접근 개구에 마주하는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를 가지며, 어댑터는 장력 고정 장치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한(convex), 바람직하게는 배럴 형상(barrel-shaped)으로 형성되는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있으므로, 장력 고정 장치와 어댑터 사이에 확실한 맞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어댑터는 접근 개구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베어링 면을 가지며, 어댑터는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해 장력 고정 장치의 삽입 개구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개구를 가지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 결합을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 적어도 하나의 앵커, 바람직하게는 피그테일 앵커 및 적어도 세 개의 체결 장치를 가지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건설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평탄한 측벽의 통로 섹션 내의 체결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어댑터의 개구에서 체결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은 그것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연장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omprising at least two sidewalls which are substantially planar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 parallel and at least two sidewalls which converge at least partially in a cross section in a conical shape, Having a further passage section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which is open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provided as a passage opening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hell-shaped manner, the passage section being formed in a flat side wall Wherein the adapter has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formed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facing the access opening and wherein the adapte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ension fixture and is at least partially convex, shaped face of the tension fixation device, So that a secure fit between the tension fixture and the adapter occurs at least partially and the adapter has an bearing surface at least partially flat on its side facing the access opening and the adapter has a bearing surface for the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To an tensioning device having an adapter for coupl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having an opening disposed opposite the insertion opening.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construction kit for incorporat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having a tension fixation device, at least one anchor, preferably a pigtail anchor and at least three fastening devic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at the opening of the adapter extends so as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Description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 결합을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Tension holders with adapters for coup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elements)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뿐만 아니라 어댑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력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건설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kit for assemb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omprising an adapter for coup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s well as at least on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an adapter.

건설 현장에서 서로 결합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사용은 새로운 건물의 건설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 기술로 건물이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건설될 수 있다. 콘크리트 요소의 연결부에 대한 요구가 높다. 연결부는 첫째, 신속하고 저렴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둘째, 연결부는 높은 장기간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WO 2013/131530 A1에 기술된 것와 같은 장력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요소들을 결합하는 것이 수행된다. 이러한 장력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요소가 건설 현장에서 빠르고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use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joined together at the construction site has proved advantageou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With this technology, buildings can be built quickly and at low cost. There is a high demand for connections of concrete elements. First, the connection must be made quickly and cheaply. Second, the connections must be able to withstand high long-term loads. For example, coupling of concrete elements using a tension fixture such as that described in WO 2013/131530 A1 is performed. Using such a tension fixture, concrete elements can be quickly and reliably combined at the construction site.

장력 고정 장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장력 고정 장치가 사용될 수 없는 설치 상황이 있다.The tension fixture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ut there are installation situations where the tension fixture can not be used.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더욱 짧은 시간에 심지어 비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빌딩이 건설될 수 있는 장력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장력 고정 장치를 구비한 건설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nsion fixture which can be used more universally, so that the building can be constructed even more cost effectively in a shorter time.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kit having such a tension fix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측벽,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면에서 원뿔로 수렴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가지고, 적어도 접근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용 공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 내로 개방되고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한 통로 개구로서 제공되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추가적인 통로 섹션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쉘 형상(shell-shaped)으로 형성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에 의해 만족되며, 통로 섹션은 평탄한 측벽에 형성되고 접근 개구에 마주하는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를 가지고, 어댑터는 장력 고정 장치의 수용 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한(convex), 바람직하게는 배럴 형상(barrel-shaped)으로 형성되는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있으므로, 장력 고정 장치와 어댑터 사이에 확실한 맞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어댑터는 접근 개구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베어링 면을 가지며, 어댑터는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해 장력 고정 장치의 삽입 개구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개구를 가진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method of making a container comprising at least two sidewalls which are substantially flat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d which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which have at least two sidewalls at least partially converging in a conical manner, , And for join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having an additional passage section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which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provided as a passage opening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and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hell- Wherein the passage section has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formed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formed in the flat side wall and facing the access opening, the adapter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is at least partially convex x), preferably in the form of a barrel-shaped one, facing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so that a secure fit between the tension fixture and the adapter at least partially occurs, The bearing having an at least partially flat bearing surface on its facing side, the adapter having an opening disposed opposite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tension fixture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WO 2013/131530 A1에 나타난 장력 고정 장치는 평탄한 측벽에 형성되고 체결 장치가 삽입 될 수 있는 2개의 통로 섹션을 가진다.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에 있는 삽입 개구는 추가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삽입 개구는 수용 공간(2)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이에 의해 장력 고정 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또한, 이 삽입 개구를 통해 장력 고정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를 가지고,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있는 삽입 개구 또한 체결 장치를 삽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체결 장치는 통로 섹션을 통해 평탄한 측벽에 삽입되는 체결 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러스 연결이 만들어지고 장력 고정 장치가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에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복잡한 구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간과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The tension fixation device shown in WO 2013131530 A1 has two passage sections which are formed in the flat side wall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device can be inserted. The insertion opening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1 is not used for insertion of the additional fastening device. This insertion opening is used to facilitate access to the receiving space 2,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Further, the weight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can be reduced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With the adap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ertion opening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can also be used to insert the fastening device. The fastening device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astening device inserted into the flat side wall through the passage section. In this way, a truss connection can be made and a tension fixture more universally usab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reliably combin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dispos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is saves time and money because the complex structure that has been used to date in these connections is no longer needed.

장력 고정 장치는 바람직하게는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 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부는 매우 높은 힘을 흡수하고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지진 지역의 구조물 및 이와 관련된 진동 요구의 사용에 유리하다.Tension retainer is preferably of 400 N / mm 2 to 800 N / mm 2,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to 750 N / mm 2 Because of its tensile strength, the connection can absorb and transmit very high forces. This is advantageous, for example, in the use of structures in seismic zones and the vibration requirements associated therewith.

만약 어댑터가 바람직하게는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 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진다면, 연결부는 심지어 더 높은 힘을 흡수하고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조물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특히 지진 지역의 건물 안정성에 대한 요구가 높다. 높은 강도와 인성(toughness)을 가지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부는 높은 힘을 흡수하고 전달할 수 있다.If the adapter is preferably a tension of 400 N / mm 2 to 800 N / mm 2,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to 750 N / mm 2 If it has strength, the connection can even absorb and transmit higher forces. In this way, the safety of the structure can be ensured. In particular,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building stability in seismic areas. By using materials with high strength and toughness, the joints can absorb and transmit high force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뿔형 수렴 측벽은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90°로 오프셋(offset)되고 슬롯 및/또는 길쭉한 구멍(elongated hole)으로 디자인될 수 있고, 통로 섹션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 슬롯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통로 섹션 중 다른 하나는 가늘고 긴 구멍 및/또는 적어도 일 측면상에서 개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근 개구에 대해 개방될 수 있는 슬롯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조립은 통로 섹션의 배치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특별한 형상에 의해 여전히 더 단순화될 수 있다. 특히,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조립 중에 통로 섹션의 디자인 및 배치로 다양한 조건이 고려될 수 있으며, 어댑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는 이러한 방식으로 더욱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용 및 시간을 추가로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ical converging sidewalls may be connected to one another such that the cross section is V-shaped or U-shaped. The passageway section is preferably offset by 90 degrees and may be designed as a slot and / or elongated hole, one of the passageway sections preferably being designed as a slot, and the other of the passageway sections being thin A long hole and / or a slot that can be opened on at least one side and preferably open to the access opening. The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an still be further simplified by the particular configuration of th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well as the arrangement of the passage sections. In particular, various conditions can be considered in the design and arrangement of the passage sectio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nd th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dapters can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universally used in this way, further saving cost and time.

장력 고정 장치 및/또는 어댑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닐링된(annealing) 주철 또는 구정상의(spherulitic) 흑연 주철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닐링된 주철로 구현될 때, 장력 고정 장치의 강도(strength) 및 경도(hardness)가 설치 상황에 최적으로 맞춰질 수 있다. 어닐링된 주철은 특히 얇은 벽이 있는 요소에 대해, 인성 및 경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구정상의 흑연 주철로 구현될 때, 어떠한 추가적인 어닐링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강도의 장력 고정 장치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구정상의 흑연 주철을 사용함으로써 저렴한 비용의 실행이 가능하다.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tension fixture and / or adapter is made of cast iron or spherulitic graphite cast iron at least partially annealed. When embodied in annealed cast iron, the strength and hardness of the tension fixture can be optimally adapted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The annealed cast iron can suitably adjust the toughness and hardness, especially for thin-walled elements. When embodied in Chinese traditional graphite cast iron, a high strength tension lock can be obtained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annealing process. In addition, by using graphite cast iron in the Chinese market, low-cost execution is possible.

장력 고정 장치 및 어댑터가 동일한 인장 강도를 나타내고 및/또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부의 높은 안정성이 가능하다.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tension fixture and adapter exhibit the same tensile strength and / o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tensile strength, high stabi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possibl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댑터의 개구는 길쭉한 구멍 또는 슬롯일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장치는 장력 고정 장치에 보다 쉽게 부착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ing of the adapter may be an elongated hole or slot. Thus, the fastening device can be more easily attached to the tension fixing device.

또한, 어댑터의 개구의 개구 면적이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있는 삽입 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있는 개구의 더 큰 개구 면적 때문에, 체결 장치는 개구를 통해 더욱 쉽게 통과될 수 있다. 체결 장치는 특히 상이한 각도로 삽입될 수 있다.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와 마주하는 어댑터의 면의 볼록한(convex), 바람직하게는 배럴 형상(barrel-shaped)의 구성으로 인해, 어댑터는 장력 고정 장치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체결 장치가 어댑터의 개구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허용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어댑터의 개구의 개구 면적이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있는 접근 개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는 사실 때문에, 체결 장치는 장력 고정 장치에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고 장력 고정 장치에서 체결 장치의 확실한 잠금이 동시에 이루어진다.It may also be advantageous that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of the adapter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insertion opening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Because of the larger opening area of the opening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the fastening device can be passed more easily through the opening. The fastening device can be inserted at particularly different angles. Due to the convex, preferably barrel-shaped, configuration of the face of the adapter facing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the adapter can be moved within the tension fixture, The tolerance can be compensated for so that it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body. Due to the fact that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of the adapter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access opening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the fastening device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nd a secure locking of the fastening device is achieved simultaneously in the tension fixture .

또한, 어댑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축을 어댑터의 만곡부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 고정 장치 내의 어댑터의 이동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체결 장치가 특정 각도로 장력 고정 장치에 삽입되면, 어댑터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어댑터의 개구가 이 각도로 조정됨으로써 체결 장치가 어댑터의 개구 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는 부착 중에 스스로 자동으로 중심에 위치한다.It has also been found advantageous to exte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aperture of the adapter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adapter. In this way, the mobility of the adapter in the tension fixture can be further increased. When the fasten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t a certain angle, due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adapter, the opening of the adapter is adjusted at this angle, so that the fastening device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adapter. The adapter is also automatically centered on its own during attachment.

어댑터가 접근 개구를 향하는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holding device)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어댑터는 홀딩 장치를 이용하여 장력 고정 장치에 보다 쉽게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다.It may be advantageous that the adapter comprises at least one holding device on the face facing the access opening. The adapter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tension fixation device using the holding device.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장력 고정 장치의 폭과 높이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폭은 바람직하게는 높이보다 적어도 15%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 고정 장치는 콤팩트한 형상을 가지며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리세스(recess)에 보다 쉽게 장착될 수 있다.In another advantageous embodimen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tension fixture may have the same length, or the width may preferably be at least 15% less than the height. In this way, the tension fixture has a compact shape and can be more easily mounted to the recess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또한,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을 연결하는 굽은 영역으로부터 접근 개구까지의 장력 체결 장치의 치수의 1/3 이상이 어댑터의 높이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 고정 장치에서 어댑터의 더 나은 기반이 보장된다.It may also be advantageous that at least 1/3 of the dimension of the tensioning device from the curved region connecting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to the access opening is the height of the adapter. In this way, a better foundation of the adapter is secured in the tension fixture.

상기 목적은 또한 어댑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장력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건설 키트에 의해 만족되고, 부분적으로 적어도 세 개의 체결 장치가 연장되며, 각각의 체결 장치는 통로 섹션 및 삽입 개구와 연관되고, 평탄한 측벽의 통로 섹션 내의 체결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어댑터의 삽입 개구의 체결 장치의 길이 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그에 수직하게 연장된다.The object is also met by a construction kit for incorporat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adapter and at least three fastening devices are partly extende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in the passage section of the flat side wall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of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adapter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이 솔루션은 트러스 연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가 장력 고정 장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는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고 동일한 장력 고정 장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허용 오차는 어댑터의 특수한 디자인으로 인해 보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장치가 개구에 정확히 수직으로 장력 체결 장치에 삽입되지 않고, 어떤 각도로 삽입될 때 필요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댑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는 종래의 장력 고정 장치와 비교하여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시간 및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This solution has the advantage of truss connection. For example, two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joined by a tension fixture. At the same time,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an be arranged at the same angle and joined by the same tension fixture. Tolerance can be compensated by the special design of the adapter. This is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device is inserted at an angle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tension fastening device exactly perpendicularly to the opening. In this way, th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dapter can be more universally used compared to conventional tension fixtures, thereby saving time and money.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더욱 짧은 시간에 심지어 비용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빌딩이 건설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building can be constructed more efficiently even in a shorter time even though it can be used more universally.

본 발명은 이하 실시예 및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어댑터가 없는 삽입 개구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어댑터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3은 도2의 선 E-E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2의 선 D-D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2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리세스 몸체 및 피그테일 앵커를 가지는 거푸집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도7은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의 삽입 개구가 없고 어댑터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8은 용접된 디자인에서 어댑터가 없는 장력 고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9는 치수를 보여주기 위한 어댑터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위한 어댑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어댑터가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평면도 및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13은 설치된 어댑터와 체결 장치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단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associated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insertion opening without an adapter,
2 is a plan view of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 adapter,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2,
Figure 6 shows a mold element having a recess body and a pigtail anchor,
7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 insertion opening in a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 and without an adapter,
Figure 8 shows a tension fixture without adapter in a welded design,
9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an adapter for showing dimensions,
Figure 10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n adapter for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dapter is installed,
12 shows a top view and a non-installed adapter of a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installed adapter and a fastening device.

도1은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도13 참조). 도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력 고정 장치(1)(tension lock)는 실질적으로 쉘 형상이고(shell-shaped) 접근 개구(9)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용 공간(2)을 가진다. 장력 고정 장치(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체결 장치, 예를 들어 나사(13)(도13 참조)의 삽입을 위한 수용 공간(2)내로 개방되는 2개의 통로 개구(3, 4)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로 개구(3)는 일 측면상에서 개방되어 접근 개구(9) 내로 열리는 슬롯(slot)으로서 디자인된다. 다른 통로 개구(4)는 본 실시예에서는 길쭉한 구멍(elongated hole)으로 디자인된다. 슬롯 및 길쭉한 구멍은 대향 배치된 평탄한 측벽(7, 8)에 형성된다.1 is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a tension fixtur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engag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see Fig. 13). 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tension lock 1 is substantially shell-shaped and has a receiving space 2 accessible from the outside through an access opening 9. The tension fixture 1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has two passage openings 3 and 4 which open into a receiving space 2 for insertion of fastening devices such as screws 13 . In this embodiment, the passage opening 3 is designed as a slot which opens on one side and opens into the access opening 9. The other passage opening 4 is designed as an elongated hole in this embodiment. Slots and elongated holes are formed in the opposed flat side walls 7,8.

실시예에 나타난 통로 개구(3, 4)의 개수, 디자인 및 배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제조 관련 허용 오차와 함께 제공된 연결 지점의 보다 효과적인 장착 및 더 양호한 보상을 위해, 장력 고정 장치(1)의 평탄한 측벽(7, 8)은 예를 들어, 슬롯 및 슬롯 및/또는 길쭉한 구멍, 또는 90°로 오프셋(offset)되는 두 개의 길쭉한 구멍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The number, design and arrangement of the passage openings 3, 4 shown in the embodiment are merely exemplary. The flat sidewalls 7, 8 of the tension fixture 1 may, for example, have slots and / or slots and / or elongated holes, or 90, for more effective mounting and better compensation of the connection points provided with manufacturing- And two elongated holes offset from each other may be provided.

측벽(5, 6)은 직선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단면에서 원뿔형으로 수렴한다. 측벽(5, 6)이 가장 가까이 수렴하는 단부에서, 이들은 굽은 영역(28)(도 11)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 side walls 5, 6 are each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converge in a conical shape in cross section. At the end where the side walls 5, 6 converge to the nearest, they are joined together by the curved region 28 (Fig. 11).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8)은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형성되고 U-자형 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디자인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대안적으로,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은 서로 결합되지 않은 개별적인 측벽으로도 디자인될 수 있다. V-자형 단면 또한 고려될 수 있다.The conical converging sidewalls 5, 8 are integrally formed in this embodiment and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However, the integrally formed design of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 6 is merely exemplary. Alternatively,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 6 may also be designed as individual sidewalls that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A V-shaped cross section can also be considered.

리세스(recess)로서 형성되는 삽입 개구(20)는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 및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도2 참조)에 제공된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삽입 개구(20)의 배치 및 개수는 각각의 상황에 따른다.The insertion opening 20 formed as a recess is intended to reduce the weight provided on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 and 6 and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ture 1 (see FIG. 2). The arrangement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openings 20 depend on the respective circumstances.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으로 인해 나사 연결을 생성하기 위한 인장 도구(도시되지 않음)의 회전 운동에 대해 요구되는 간극이 주어진다.Due to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6, there is a clearance required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a tensioning tool (not shown) to create a threaded connection.

장력 고정 장치(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주강(cast steel) 및/또는 강철(steel)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강철은 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 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비 침식 강(non-corroding steel)으로 만들어진다. 높은 하중을 지닌 주강은 인장력 및 횡력의 흡수를 보장하며, 또한 장력 고정 장치(1)의 경제적이고 저비용의 생산을 보장한다. 리세스로 간주될 수 있는, 나사 연결을 위한 통로 개구(3, 4)의 기하학적 형상 및 배치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는 각각의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도13 참조)(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를 가지고 설립되는 연결부를 위해 발생하는 인장력 및 횡력을 흡수한다. 나사 연결 대신, 다른 적절한 연결도 가능하다.The tension fixture 1 is at least partially made of metal and / or preferably of cast steel and / or steel. Preferably, the steel has a tensile of 400 N / mm 2 to 800 N / mm 2,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to 750 N / mm 2 Strength, preferably made of non-corroding steel. Cast steel with high loads ensures the absorption of tensile and lateral forces and also guarantees economical and low cost production of the tension fixture 1. [ Due to the geometrical shape and arrangement of the passage openings 3, 4 for screw connection, which can be regarded as recesses, the tension fasten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10 (see figure 13) absorbing tensile forces and lateral forces that occur for connections that are established with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Instead of a screw connection, other suitable connections are possible.

도2는 장력 고정 장치(1)의 평면도이다. 도3은 삽입 개구(20)를 특히 잘 나타낸다. 도3은 삽입 개구(20)를 특히 명확히 보여준다. 도4는 길쭉한 구멍(4)을 가지는 평탄한 측벽(8)을 도시하고, 도5는 슬롯(3)을 가지는 평탄한 측벽(7)을 나타낸다. 또한, 측벽(7)의 개방 각도는 도5에서 38.8°로 주어진다. 이 각도는 예시로서만 고려되어야 하며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Fig. 3 shows the insertion opening 20 particularly well. 3 shows the insertion opening 20 particularly clearly. Fig. 4 shows a flat side wall 8 with elongated holes 4, and Fig. 5 shows a flat side wall 7 with slots 3. Fig. Further, the opening angle of the side wall 7 is given as 38.8 DEG in Fig. This angle should be considered only as an example and may be tailored to the situation.

도6은 리세스 몸체(15) 및 피그테일 앵커(16)를 가지는 거푸집 요소(17)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a mold element 17 having a recess body 15 and a pigtail anchor 16.

도10은 장력 고정 장치(1)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23)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n adapter 23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out the tension fixture 1. Fig.

부분적으로 장력 고정 장치(10)의 접근 개구(9)에 마주하는 그것의 면의 어댑터(23)는 평탄한 베어링 면(24)을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23)는 체결 장치(13)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25)를 포함한다. 이 개구(25)는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에 대향하여 배치된 설치 상태이다.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의 삽입 개구(20)에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서, 어댑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하고(convex), 바람직하게는 배럴-형상이므로(barrel-shaped), 장력 고정 장치(1)와 어댑터(23)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실한 맞춤이 발생한다.The adapter 23 on its face, which partly faces the access opening 9 of the tension fixture 10, comprises a flat bearing surface 24. The adapter 23 also includes an opening 25 for inserting the fastening device 13. The opening 25 is in an installed state so as to be opposed to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On its side facing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ture 1 the adapter is at least partly convex and preferably barrel-shaped, An at least partially secure fit between the fastening device 1 and the adapter 23 occurs.

만곡부는 도 10에서 도면 부호 26으로 표시된다.The curved portion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6 in Fig.

도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어댑터(23)의 개구(25)는 길쭉한 구멍(25)이다. 대안으로, 개구(25)는 슬롯으로도 디자인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개구(25)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상황에 따라, 개구(25)의 치수 및 그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is an elongated hole 25. Alternatively, the opening 25 may also be designed as a slot. The dimensions of the opening 25 shown in FIG. 10 should be considered only exemplary.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the dimensions of the aperture 25 and its shape may vary.

어댑터(23)의 개구(25)의 길이 방향 축은 어댑터(23)의 만곡부(26)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장력 고정 장치(1)의 어댑터(23)의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허용 오차가 보상될 수 있고 체결 장치(13)의 더욱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ngitudinal axis of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urved portion 26 of the adapter 23. Therefore, the adapter 23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can be rotated. In this way, the tolerance can be compensated and an easie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13 can be achieved.

평탄한 베어링 면(24)의 코너에는, 상향으로, 즉 어댑터(23)의 설치된 상태에서 장력 고정 장치(1)의 접근 개구(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홀딩 장치(27)(holding device)가 장착된다. 홀딩 장치(27)의 배치 및 개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홀딩 장치(27)는 생략될 수도 있다. 장력 고정 장치(1) 내로의 어댑터(23)의 더욱 용이한 삽입 및 장력 고정 장치(1)로부터의 어댑터(23)의 더욱 용이한 제거는 홀딩 장치(27)에 의해 가능하다.A holding device 27 (a holding devi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access opening 9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in the upward direction, i.e., with the adapter 23 installed, is mounted on the corner of the flat bearing surface 24 do.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holding devices 27 should be considered only exemplary. The holding device 27 may be omitted. Easier insertion of the adapter 23 into the tension fixation device 1 and easier removal of the adapter 23 from the tension fixation device 1 are possible by the holding device 27. [

장력 고정 장치(1)의 폭(B)과 높이(A)가 동일한 길이를 가지거나, 또는 폭(B)이 높이(A)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작은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장력 고정 장치(1)의 치수가 도9에 나타나있다. 어댑터(23)의 높이(H)는 굽은 영역(28)으로부터 접근 개구(9)까지의 장력 고정 장치(1)의 치수(C)의 약 1/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높은 안정성이 이러한 치수를 가지고 얻어지지만, 치수는 각각의 요구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It has proven advantageous that the width B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and the height A have the same length or the width B is smaller than the height A by preferably at least 15%. The dimensions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are shown in Fig. The height H of the adapter 23 is preferably about 1/3 or more of the dimension C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from the curved region 28 to the access opening 9. Particularly high stability is obtained with these dimensions, but the dimensions can be adjusted to suit individual needs.

도11은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23)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를 나타낸다. 장력 고정 장치(1)는 실질적으로 쉘 형상(shell-shaped)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측벽(7, 8)을 포함한다. 또한, 장력 고정 장치(1)는 단면에서(in a cross-sectional view)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두 개의 측벽(5, 6)을 포함한다. 측벽(5, 6)이 수렴하는 단부에서, 그들은 굽은 영역(2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수용 공간(2)은 접근 개구(9)를 통해 접근될 수 있다. 통로 섹션(3, 4)은 90°로 오프셋 된 평탄한 측벽(7, 8)에 배치된다.Figure 11 shows a tension fixtur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adapter 23 for coupling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he tension fixture (1) comprises two side walls (7, 8) which are substantially shell-shaped and which are substantially flat and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in parallel. The tension fixture 1 also includes two side walls 5, 6 converging in a conical shape in cross-sectional view. At the end where the side walls 5, 6 converge, they are joined together by the curved region 28. The receiving space 2 can be accessed through the access opening 9. [ The passage sections 3, 4 are arranged in flat side walls 7, 8 offset by 90 degrees.

측벽(5, 8)은 직선형으로 형성되고 균일한 벽 두께를 가져 단면이 U-자형이 된다. The side walls 5, 8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have a uniform wall thickness, resulting in a U-shaped cross section.

장력 고정 장치(1)는 도11에서 보이지 않고 접근 개구(9)에 마주하는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에 형성된 삽입 개구(20)를 가진다. 그것의 만곡부(26)를 가지는 어댑터(23)는 적어도 수용 공간(2) 내에 위치하는 장력 고정 장치(10)의 굽은 영역(28)의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잘 들어맞는 연결은 장력 고정 장치(1)와 어댑터(23)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어진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16(도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체결 장치(13)의 삽입을 위한 장력 고정 장치(10)의 베이스(21)에 있는 삽입 개구(20)에 마주하도록 어댑터(23)의 개구(25)가 배치된다. 어댑터(23)의 배럴 형상 디자인으로 인해, 어댑터는 장력 고정 장치에서 이동될 수 있고 체결 장치(13)의 삽입 방향에 적합하여, 체결 장치(13)의 보다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다. 평탄한 베어링 면(24)으로 인해, 체결 장치(13)는 잠그기가 더욱 쉽고, 예를 들어, 와셔(12)(washer)의 사용 또한 가능하다.The tension fixture 1 has an insertion opening 20 formed in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ture 1 which is not seen in Fig. 11 and faces the access opening 9. The adapter 23 having its curved portion 26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at least on the side of the curved region 28 of the tension fixture 10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2. [ A well-fitting connection is made at least in part between the tension fixture 1 and the adapter 23 in a given mann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Fig. 13), the opening of the adapter 23 to face the insertion opening 20 in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0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13 (25). Due to the barrel-shaped design of the adapter 23, the adapter can be moved in the tension fixture and fit in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fastening device 13, allowing for easie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13. Due to the flat bearing surface 24, the fastening device 13 is easier to lock, for example, the use of washers 12 (washers) is also possible.

어댑터(23)의 개구(25)의 개구 면적은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의 삽입 개구(20)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 장치(13)를 장착할 때 소정의 간극이 있고 장력 고정 장치(1)에서 체결 장치(13)의 확실한 부착이 동시에 가능하다.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 In this way, there is a predetermined gap when the fastening device 13 is mounted, and the fastening device 13 can be securely attached at the same time by the tension fixing device 1. [

장력 고정 장치와 마찬가지로, 어댑터(23)는 바람직하게는 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 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Similar to tension the holders, the adapter 23 is preferably 400 N / mm 2 to 800 N / mm 2,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Lt; 2 > to 750 N / mm < 2 >.

장력 고정 장치(1)와 어댑터(23)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요구 사항에 따라, 어댑터(23)와 장력 고정 장치(1)는 서로 다른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장력 고정 장치(1) 및/또는 어댑터(2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닐링된 주철(annealed cast iron) 또는 구정상의 흑연 주철(spherulitic graphite cast iron)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력 고정 장치(1)와 어댑터(23)는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어댑터(23) 및 장력 고정 장치(1)가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어닐링된 주철 또는 구정상의 흑연 철의 다른 고체 재료도 역시 가능하다.The tension fixing device 1 and the adapter 23 may have the same tensile strength. However, this is not absolutely necessary.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the adapter 23 and the tension fixture 1 may have different tensile strengths. The tension fixture 1 and / or the adapter 23 may be made of at least partially annealed cast iron or spherulitic graphite cast iron. Therefore, the tension fixing device 1 and the adapter 23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dapter 23 and the tension fixture 1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ther solid materials of annealed cast iron or old graphite iron are also possible.

도14(도12)는 어댑터(23)가 설치되지 않은 장력 고정 장치(1)의 평면도이다. 어댑터(23)는 장력 고정 장치(1) 옆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어댑터(23)의 개구(25)의 개구 면적은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의 삽입 개구(20)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는 것을 명백히 볼 수 있다.Fig. 14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in which the adapter 23 is not provided. The adapter 23 is shown next to the tension fixture 1. It can be clearly seen that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

도13은 어댑터(23)가 삽입되고 체결 장치(13)가 삽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3개의 체결 장치(13) 중 2개의 길이 방향 축은 이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세 번째 체결 장치(13)의 길이 방향 축은 그것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배치된다.1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adapter 23 is inserted and a fastening device 13 is inserted. Two longitudinal axes of the three fastening devices 13 ar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in this figure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hird fastening device 13 is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단면도는 더 나은 보기를 위해 도13에 라인 그리드(line grid)로 나타나 있다. The section is shown in Figure 13 as a line grid for better viewing.

인장 시스템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키트는, 어댑터(23) 및 적어도 하나의 앵커(anchor), 바람직하게는 피그테일 앵커(16)(pigtail anchor) 및 적어도 세 개의 체결 장치(13)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평탄한 측벽(7, 8)의 통로 섹션(3, 4) 내의 체결 장치(13)의 길이 방향 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어댑터(23)의 개구(25)에서 체결 장치(13)의 길이 방향 축은 그것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건설 키트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몸체(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그테일 앵커(16)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들 사이의 특히 단단한 연결이 요구된다면, 건설 키트는 밀봉제(14) (sealant), 예를 들어 상기 실링 테이프(sealing tape)를 추가로 제공받을 수 있다.A construction ki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tension system, comprises an adapter 23 and at least one anchor, preferably a pigtail anchor 16, And a tension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at least three clamping devices 13 in which the longitudinal axes of the fastening devices 13 in the passage sections 3 and 4 of the flat side walls 7 and 8 are substantially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13 at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extends so as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Also, the construction kit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ssed body 15, as described above. The pigtail anchor (16) is inserted into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If a particularly rigid connection between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10 is desired, the construction k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alant 14, for example a sealing tape.

이 실링 테이프(14)는 결합을 위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의 측면(18, 19)의 사이에 삽입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를 결합하기 전에 사용된다.This sealing tape 14 is used before joining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inserted between the sides 18, 19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 for engagement.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를 결합하는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11)를 각각 가지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는 결합될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에 마주하도록 리세스(11)가 배치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앵커, 예를 들어, 상기 피그테일 앵커(16)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에 이상적으로 삽입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each having at least one recess 11 is arranged such that the recess 11 is arranged to face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o be engaged . The anchors, for example the pigtail anchors 16, are ideally inserted into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

그 후, 어댑터(2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의 리세스(11)에 삽입된다. 그러면, 나사(13)는 접근 개구(9)를 통해 수용 공간(2) 내로 삽입되고, 앵커에 삽입된, 어댑터(23)의 개구(25) 및 삽입 개구(20) 뿐만 아니라 장력 고정 장치(1)의 슬롯(3) 또는 길쭉한 구멍(4)과 같은 각각의 통로 섹션(3, 4)을 통과한다. 각각의 슬롯(3) 또는 길쭉한 구멍(4), 그리고 개구(25) 뿐만 아니라 장력 고정 장치(1)의 베이스(21)의 삽입 개구(20)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제조 관련 허용 오차를 가지고 제공된 연결 지점의 효과적인 조립과 보다 나은 보상 가능성이 가능하다.The tension fixtur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the adapter 23 is then inserted into the recess 11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he screw 13 is t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2 through the access opening 9 and the opening 25 and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adapter 23 inserted into the anchor as well as the tension fixture 1 Such as a slot 3 or an elongated hole 4 of the respective channel sections 3 and 4, respectively. Due to the design of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ation device 1 as well as the respective slot 3 or elongated hole 4 and the opening 25, Effective assembly of points and better compensation possibilities are possible.

장력 고정 장치(1)는 나사(13)와 와셔(12)로 고정된다. 그에 따라, 나사(13)는 예를 들어 링 래칫 (ring ratchet) 또는 토오크 렌치 (torque wrench)를 이용하여 회전된다.The tension fixing device 1 is fixed with a screw 13 and a washer 12. Accordingly, the screw 13 is rotated using, for example, a ring ratchet or a torque wrench.

이러한 순서는 단지 예시적이며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앵커는 공장의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에 미리 설치되어 있지는 않지만, 건설 현장에서 삽입될 수 있다.This order is exemplary only and can be changed. For example, the anchor is not pre-installed on the factory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but can be inserted at the construction site.

물 및/또는 가스에 대해 불투과성 연결이 요구된다면, 결합될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의 측면(18, 19) 사이에 밀봉재(14)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실링 테이프(14), 예를 들어 RubberElast®가 특히 장점이 있다.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sealant 14 between the sides 18, 19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o be joined, if an impermeable connection to water and / or gas is required. The sealing tape 14, for example RubberElast (R), has particular advantages.

본 발명은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제조된 유사한 구조의 요소의 영구적인 연결의 조립을 위한, 인장 장치로도 지칭될 수 있는, 장력 고정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이 장력 고정 장치(1)는, 그것의 특수한 형상 및 예를 들어 나사 장치, 특히 나사와 같이 배치된 체결 장치로 인해, 클램핑(clamping) 뿐만 아니라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 예를 들어 조립식 철근 콘크리트 요소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립 및 영구적인 구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에 각각 삽입된 나사 연결부 및 피그테일 앵커(16) 또는 앵커 슬리브(anchor sleeves)를 가지고, 장력 고정 장치(1)의 특정한 기하학적 모양은 콘크리트 요소(10) 또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 각각의 조립 및 영구적인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의 조립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건설 현장에서 생산의 높은 정밀도 및 상당한 시간 절약을 보장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tension fixture (10), which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tensioning device, for assembling permanent connections of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10) or similar structural elements made of other suitable materials. This tension fixation device 1 can be used not only for clamping but also for the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10, for example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1, by its special shape and, for example, Enabling fast and efficient assembly of the elements and permanent structural connection. And a pigtail anchor 16 or anchor sleeves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so that the specific geometric shape of the tension fixture 1 can be achieved by means of a concrete element 10 or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respectively. Thus, the tension fixa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kes it very easy to assemble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and ensures high precision of production and considerable time-saving on the construction site.

가능한 응용 분야로는 바닥과 천장 패널, 샌드위치 엘리먼트, 이중벽 및 앵글 지지대의 강력하고 영구적인 결합이 있다.Possible applications include a strong and permanent combination of floor and ceiling panels, sandwich elements, double walls and angle supports.

구조적 결합 요소로서의 사용 이외에, 장력 고정 장치(1)는 주로 정적 하중 하에서 인장력 및 횡력(tensile and transverse forces)의 규칙적이고 영구적인 전달을 위해 제공된다.In addition to its use as a structural coupling element, the tension fixture 1 is provided for regular and permanent transmission of tensile and transverse forces mainly under static loads.

인장 시스템(tensioning system)은 어댑터(23)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1)로 구성된다. 체결 장치(13),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앵커(16), 예를 들어 피그테일 앵커(16)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에 삽입되도록 제공된다. 최대 50 kN 또는 100 kN의 인장력으로 로드(load)될 수 있는 두 가지 버전(version)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상황에 따라, 더욱 낮거나 더욱 높은 인장력을 가지는 버전 또한 가능하다.The tensioning system comprises a tension fixtur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n adapter 23. A fastening device 13 and at least one anchor 16, for example a pigtail anchor 16, are provided for insertion into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wo versions are possible, which can be loaded with a tensile force of up to 50 kN or 100 k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n examp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versions with lower or higher tensile forces are also possible.

특히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경우 공장에서 맞춤형 방식(customized manner)으로 사전 제작이 수행될 수 있다. 피그테일 앵커 또는 앵커 슬리브 각각의 정확한 위치 설정은 물론, 리세스의 형성이 자기 리세스 몸체(magnetic recess bodies)를 통해 단 한 단계로 달성된다.Particularly for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prefabrication can be performed in a customized manner at the factory. Precise positioning of the pigtail anchor or anchor sleeve, as well as the formation of recesses, is accomplished in a single step through magnetic recess bodies.

실링 테이프(14), 예를 들어 RubberElast®는 조립되는 동안 조인트 부분에서 콘크리트에 단순히 가압된다. 이 실링 테이프(14)는 이상적으로 자기 접착성이 있다. 실링 테이프의 보호 스트립이 제거되고 이웃하는 콘크리트 요소(10)가 실링 테이프(14)에 대해 가압된다.The sealing tape 14, for example RubberElast®, is simply pressed into the concrete at the joint portion during assembly. The sealing tape 14 is ideally self-adhesive. The protective strip of the sealing tape is removed and the adjacent concrete element 10 is pressed against the sealing tape 14. [

장력 고정 장치는 나사와 와셔를 이용하여 삽입되고 고정된다.The tension fixture is inserted and secured using screws and washers.

그런 다음, 나사가 래칫 또는 토크 렌치에 의해 단단히 조여진다.The screw is then tightened tightly by a ratchet or torque wrench.

인장 시스템은 도로 건설 및 지하 엔지니어링, 원예 및 조경뿐만 아니라 연안 보호 구역에서의 앵글 지지대 설치는 물론, 바닥 슬라브(floor slabs), 샤프트 섹션(shaft sections), 천장 및 벽의 연결부 그리고 많은 다른 구조적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와 같은 광범위한 적용 범위를 제공한다.Tension systems can be used for road construction and underground engineering, horticulture and landscaping, as well as installation of angle supports in coastal protected areas, as well as floor slabs, shaft sections, ceiling and wall connections and many other structural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nd so on.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장점은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의 효율적이고 신속한 결합, 추가 재료 및 특수 보조재 없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의 인장에 있다. 더하여, 장력 고정 장치는 모든 승인된 앵커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고 낮은 자체 중량을 가진다. 복잡한 맞춤형 솔루션이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자기 기술(magnetic technique)(거푸집 요소(17)에 자기적으로 부착 가능한 리세스 몸체(15))로 인해 제조 공정에서의 정밀한 배치가 가능하다. 또한, 장력 고정 장치의 사용은 적은 노력으로 유지 보수 목적을 위해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 연결부를 검사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결합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의 가동 연결(operational connection)이 장기간에 걸쳐 보장될 수 있다.The advantage of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lies in the efficient and rapid coupling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he tensioning of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without additional materials and special auxiliaries. In addition, the tension fixture can be combined with any approved anchor system and has a low self weight. A complex, customized solution can be provided using a tension fixtur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magnetic technique (the recess body 15 magnetically attachable to the mold 17), precise place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ossible. In addition, the use of tension fixtures offers the option of inspect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connections for maintenance purposes with little effort. As a result, the operational connection of the assembled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an be ensur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실링 테이프(14)의 사용, 예를 들어 RubberElast®는, 물과 가스에 대해 매우 높은 불투과성, 접착력으로 인한 매우 우수한 결합, 공구가 요구되지 않는 신속한 공정을 보장한다. 연결부는 설치 후 즉시 방수 처리된다. 또한, 실링 테이프는 저온에서도 유연하며 산(acids), 염기(base), 염(salt) 및 풍화작용(weathering)에 내성이 있다.The use of a sealing tape 14, for example RubberElast®, guarantees a very high impermeability to water and gas, a very good bond due to adhesion, a rapid process without the need for tools. The connection is waterproof immediately after installation. In addition, sealing tapes are flexible at low temperatures and are resistant to acids, bases, salts and weathering.

도8은 용접된 형태의 실시예에서의 장력 고정 장치(1)를 나타낸다. 장력 고정 장치에 작용하는 적용된 요소의 힘 및 그에 따른 하중으로 인해, 디자인은 개별 요소의 벽 두께를 변경하여 적용된다. 두 개의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은 구유(trough) 모양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장력 고정 장치는 측벽(7, 8)을 삽입하고 용접하여 생산 공정 중에 쉽게 제작될 수 있다. 측벽(7, 8)은 원뿔형 측벽(5, 6)보다 더 두꺼운 벽 두께를 가진다.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1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측벽(7, 8)은 굽힘을 받게되어 전단 응력이 측벽(7, 8) 내에서 발생한다. 이 부분은 두껍게 하여 구체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두껍게 하는 것은 용접 후 요소 응력의 발생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Fig. 8 shows a tension fixture 1 in an embodiment of the welded type. Due to the forces of the applied elements acting on the tension fixture and the resulting loads, the design is applied by varying the wall thickness of the individual elements. The two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 6 are joined to form a trough shape. The tension fixture can be easily manufactur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by inserting and welding the side walls 7, 8. The side walls 7, 8 have a thicker wall thickness than the conical side walls 5, By joining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10, the side walls 7, 8 are subjected to bending, so that shear stress occurs in the side walls 7, 8. This part can be reinforced specifically by thickening it. Also, thickening helps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the generation of post-weld stresses.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서로 결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장력 고정 장치 및 어댑터는 상이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용접 디자인, 열 성형에 의한 구현, 또는 가능하게는 접착제 기술을 이용한 복합 재료로서의 구현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문제가 되는 재료는 주강 재료일 수도 있지만, 어닐링된 주철, 구정상의 흑연 주철 또는 강철, 특히 스테인리스 강, 바람직하게는 비 침식 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향상된 내식성 뿐만 아니라 장력 고정 장치의 더 높은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의 사용은 지진이 일어나기 쉬운 지역(earthquake-prone regions)에서도 가능하다.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상이하고 다양한 수정이 가능한 리세스 몸체의 사용이 가능하다.In summary,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together in a cost and time saving manner. The tension fixture and adapter may be manufactured in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may be advantageously used as a composite material using welding design, thermoforming, or possibly using adhesive technology. The material in question may be cast steel, but annealed cast iron, graphite cast iron or steel, especially stainless steel, preferably non-erosive steel, may be used. With this construction, not only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higher mechanical strength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can be obtained. With this arrangement, the use of the tension fix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lso possible in earthquake-prone regions. Using the method of produc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it is possible to use different and variously adjustable recess bodies.

어댑터의 사용에 의해, 인접하게 배치된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가 서로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가 예를 들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어댑터의 배럴 형상 디자인은 조립 중에, 특히 체결 장치를 어댑터의 개구 내로 삽입할 때 어댑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체결 장치를 어댑터의 개구 내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기존의 부정확성이나 허용 오차는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는 부착 중에 자기 적응(self-adapts)한다. 그러므로 어댑터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력 고정 장치는 어댑터가 없는 종래의 장력 고정 장치보다 더욱 보편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By the use of the adapter, not only the ad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an be joined together, but also the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re arranged, for example,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The barrel shaped design of the adapter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adapter during assembly, especially when inserting the fastening device into the opening of the adapter. Thus, it is easy to insert the fastening device into the opening of the adapter. Existing inaccuracies or tolerances can be compensated. The adapter also self-adapts during attachment. Therefore, the tension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dapter can be more universally used than a conventional tension fixture without an adapter.

1: 장력 고정 장치 2: 수용 공간
3, 4: 통로 개구 5, 6: 측벽
7, 8: 평탄한 측벽 9: 접속 개구
20: 삽입 개구 23: 어댑터
1: tension fixing device 2: accommodation space
3, 4: passage opening 5, 6: side wall
7, 8: flat side wall 9: connection opening
20: insertion opening 23: adapter

Claims (14)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서로 마주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측벽,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면에서 원뿔로 수렴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을 가지고, 적어도 접근 개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한 수용 공간,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 내로 개방되고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한 통로 개구로서 제공되는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추가적인 통로 섹션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쉘 형상(shell-shaped)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로 섹션은 평탄한 상기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접근 개구에 마주하는 상기 장력 고정 장치의 베이스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를 가지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력 고정 장치의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굽은(curved), 바람직하게는 배럴 형상(barrel-shape)으로 형성되는 상기 장력 고정 장치의 상기 베이스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있으므로, 상기 장력 고정 장치와 상기 어댑터 사이에 확실한 맞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발생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접근 개구와 마주하는 그것의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탄한 베어링 면을 가지며, 상기 어댑터는 체결 장치의 삽입을 위해 상기 장력 고정 장치의 상기 삽입 개구에 마주하여 배치되는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 결합을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A tension fixture having an adapter for coupl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At least two sidewall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at least two sidewalls converging at least partially in the cross section in a conical shape, having at least an accommodating space accessible externally through the access opening, Wherein the passage section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hell-shaped shape, the passage section having an additional passage section disposed opposite each other which is open into the space and provided as a passage opening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Wherein the adapter has at least one insertion opening formed in the base of the tension fixture facing the access opening and the adapter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tension fixture and is at least partially curved, Shaped barrel-shape of the tension fixation device Since there is at least partly a secure fit between the tension fixture and the adapter and the adapter has a bearing surface at least partially flat on its side facing the access opening, Wherein the adapter has an opening disposed opposite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tension fixture for insertion of the faste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eferably having a tensile strength of 400 N / mm 2 to 800 N / mm 2 ,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to 750 N / mm 2 (23). ≪ / RTI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는 400 N/mm2 내지 800 N/mm2, 바람직하게는 450 N/mm2 내지 780 N/mm2,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N/mm2 내지 750 N/mm2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dapter 23 has tension of 400 N / mm 2 to 800 N / mm 2, preferably 450 N / mm 2 to 780 N / mm 2, particularly preferably 500 N / mm 2 to 750 N / mm 2 (23). ≪ / RTI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으로 테이퍼링된 측벽(5, 6)은 상기 단면이 V-자형 또는 U-자형이 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onically tapered sidewalls (5, 6) are joined to one another such that the cross-section is V-shaped or U-shape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섹션(3, 4)들은 바람직하게는 90°만큼 오프셋되고(offset) 슬롯(3) 및/또는 길쭉한 구멍(4)으로 디자인되며, 상기 통로 섹션들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슬롯(3)으로 디자인되고, 상기 통로 섹션들 중 다른 하나는 길쭉한 구멍(4)으로서 디자인되며 및/또는 상기 슬롯은 적어도 한쪽 면에서 개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근 개구(9)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passage sections 3 and 4 are preferably designed with a slot 3 and / or an elongated hole 4 offset by 90 degrees and one of the passage sections is preferably a slot 3, Characterized in that one of said passage sections is designed as an elongated hole (4) and / or said slot is open at least on one side and preferably open to said access opening (9) (2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고정 장치(1) 및/또는 상기 어댑터(2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닐링된 주철 또는 구정상의 흑연 주철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fixture (1) and / or the adapter (23) is made of at least partially annealed cast iron or graphite cast ir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고정 장치(1)와 상기 어댑터(23)는 동일한 인장 강도를 나타내고 및/또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fixture (1) and the adapter (23) exhibit the same tensile strength and / o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의 상기 개구(25)는 길쭉한 구멍(25) 또는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Characterized in that said opening (25) of said adapter (23) is an elongated hole (25) or slot.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의 상기 개구(25)의 개구 면적은 상기 장력 고정 장치(1)의 상기 베이스(21)의 상기 삽입 개구(20)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area of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rea of the insertion opening (20) of the base (21)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의 상기 개구(25)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어댑터(23)의 만곡부(26)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opening (25) of the adapter (23)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urved portion (26) of the adapter (2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는 상기 접근 개구(9)에 마주하는 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홀딩 장치(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adapter (23) comprises at least one holding device (27) on the face facing the access opening (9).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고정 장치(1)의 폭(B)과 높이(A)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또는 폭(B)은 바람직하게는 높이(A)보다 15% 이상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B) and the height (A) of the tension fixing device (1) have the same length or the width (B) is preferably 15%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3)의 높이(H)는 상기 원뿔형으로 수렴하는 측벽(5, 6)을 연결하는 굽은 영역으로부터 상기 접근 개구(9)까지의 상기 장력 고정 장치(1)의 치수(C)의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height H of the adapter 23 is greater than the height 1 of the dimension C of the tension fixture 1 from the curved region connecting the conically converging sidewalls 5,6 to the access opening 9, / 3 or more.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어댑터를(23)를 가지는 장력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식 콘크리트 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건설 키트로서, 부분적으로 길쭉한 세 개 이상의 체결 장치(13)가 각각 상기 통로 섹션과 상기 통로 개구와 연관되고, 상기 평탄한 측벽(7, 8)의 상기 통로 섹션(3, 4) 내의 상기 체결 장치(13)의 길이 방향 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어댑터(23)의 상기 삽입 개구(25) 내의 상기 체결 장치(13)의 길이 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그것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키트.A construction kit for assembling a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 comprising a tension fixture having the adapter (23)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at least three fastening devices (13) partially elongated Each of which is associated with said passage section and said passage opening and wherein the longitudinal axis of said fastening device (13) in said passage section (3, 4) of said flat side wall (7, 8)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one ano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astening device (13) in the insertion opening (25) of the fastening device (23)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KR1020187018571A 2015-12-02 2016-12-02 Tension fixture with adapter for 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KR1022278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4118.1A DE102015224118A1 (en) 2015-12-02 2015-12-02 Turnbuckle with adapter for connecting precast concrete elements
DE102015224118.1 2015-12-02
PCT/EP2016/079563 WO2017093471A1 (en) 2015-12-02 2016-12-02 Tension lock with an adapter for 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566A true KR20180098566A (en) 2018-09-04
KR102227837B1 KR102227837B1 (en) 2021-03-15

Family

ID=5753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571A KR102227837B1 (en) 2015-12-02 2016-12-02 Tension fixture with adapter for 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227837B1 (en)
CN (1) CN108603370B (en)
DE (1) DE102015224118A1 (en)
JO (1) JOP20160248B1 (en)
WO (1) WO2017093471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991A (en) * 1993-12-04 1995-07-22 박기석 Semi-circle bars for joining each member in prefabricated structure
JPH08105124A (en) * 1994-06-03 1996-04-23 Hirai Sekkei Kobo:Kk Connection structure of wooden material
JPH11107291A (en) * 1997-10-01 1999-04-20 Akira Ikeda Coupl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
JP2015510062A (en) * 2012-03-08 2015-04-02 ベーテー イノヴェイショ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Turnbuckle to connect structural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46565B (en) * 1964-07-22 1975-07-15 Aannemersbedrijf J Van Egteren BUILDING CONSTRUCTION FORMED BY A COMPOSITION OF ADJACENT PLATE-SHAPED CONCRETE ELEMENTS.
JPH1161986A (en) * 1997-08-26 1999-03-05 Hitachi Kizai Kk Joint structure
DE19943565C1 (en) * 1999-09-13 2000-09-07 Dorma Gmbh & Co Kg Corner clamp fitting for three butting glass wall panes in a large showcase has a center coupling with three axes to support connecting joints and glass adapters at their ends to take up tolerances of different wall angles
RU2615538C2 (en) * 2011-03-16 2017-04-05 Арефа Гмбх Wall module for building a structure and associated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991A (en) * 1993-12-04 1995-07-22 박기석 Semi-circle bars for joining each member in prefabricated structure
JPH08105124A (en) * 1994-06-03 1996-04-23 Hirai Sekkei Kobo:Kk Connection structure of wooden material
JPH11107291A (en) * 1997-10-01 1999-04-20 Akira Ikeda Coupl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foundation block
JP2015510062A (en) * 2012-03-08 2015-04-02 ベーテー イノヴェイショ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Turnbuckle to connect structural el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837B1 (en) 2021-03-15
CN108603370A (en) 2018-09-28
JOP20160248B1 (en) 2021-08-17
WO2017093471A1 (en) 2017-06-08
DE102015224118A1 (en) 2017-06-08
CN108603370B (en) 202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9182C (en) Turnbuckle for joining structural elements
US5906466A (en) Plug washer
KR102045614B1 (en) Slide fixing clip for earthquake-proof and construction method of exterior using the same
KR102227837B1 (en) Tension fixture with adapter for joining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JP5038686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existing buildings
KR200407613Y1 (en) Precast concrete box with bolt connecting structure
JP2011117212A (en) Connecting structure of structural member
WO2008143501A1 (en) Clamp for suspending a pipe
KR20090125228A (en) A panel fabrication device for circular pipe
JP4424236B2 (en) Steel pipe sheet pile joint structure and steel pipe sheet pile construction method
JP5282721B2 (en) Rigid floor structure and method
JP3223746U (en) Building structure
JP2004003236A (en) Structure of joint between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15510062A (en) Turnbuckle to connect structural elements
KR102007936B1 (en) Fix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teel frame assembly and permanent form panel
JP2000240196A (en) Method for mounting tie-bar of steel-sheet concrete structure, and tie-bar
KR200415020Y1 (en) connection assembly structure of mold panel
KR20190135784A (en) A connector for connecting architecture frames
JPH0416662A (en) Fitting construction for wall member
KR200234842Y1 (en) Sleeve for reinforcing bar fixing at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04360399A (en) Concrete member
JP4901456B2 (en) Anchor hardware and lightweight cellular concrete panel with the anchor hardware embedded
JP2008248611A (en) Support fixing structure of shield tunnel
KR20020046414A (en) Sleeve for reinforcing bar fixing at steel-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5438797B2 (en) Joining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