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561A -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561A
KR20180098561A KR1020187018162A KR20187018162A KR20180098561A KR 20180098561 A KR20180098561 A KR 20180098561A KR 1020187018162 A KR1020187018162 A KR 1020187018162A KR 20187018162 A KR20187018162 A KR 20187018162A KR 20180098561 A KR20180098561 A KR 20180098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cket
waist
back waist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995B1 (ko
Inventor
다쿠야 이노우에
?스케 다키노
히데아키 마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or forming three-dimensional barrier with raised lateral side-or end-w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0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 A61F13/5512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 A61F2013/5512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diapers after use the disposal system being a bag or a pocket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the di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저귀의 폐기 시에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한다.
일회용 착용 물품인 기저귀(10)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13)과, 뒤 허리 영역(14)과, 앞뒤 허리 영역(13, 14)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15)을 포함하고, 앞뒤 허리 영역(13, 14)의 측가장자리부(13c, 14c)끼리가 연결되어 획정된 허리 개구(21) 및 한쌍의 다리 개구(22)를 포함한다. 앞뒤 허리 영역(13, 14)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측가장자리부(13c, 14c)의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된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갖는다. 앞뒤 허리 영역(13, 14)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크로치 영역(15) 측으로 개구 가능한 포켓(30)을 갖는다.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포켓(60)의 허리 개구(21)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절곡부)(33)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일회용 착용 물품
본 개시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설물을 수용·유지하기 위해 포켓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을 포함하고,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가 연결되어 획정된 허리 개구 및 한쌍의 다리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저귀는, 크로치 영역에 배치된 흡액 구조체와,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또한 흡액 구조체의 전후 단부를 피복하도록 횡단하는 신축성 시트를 가지며, 신축성 시트와 흡액 구조체의 전후 단부와의 사이에는,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입체 가드)이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52303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포켓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앞뒤 허리 영역으로 이동한 배설물을 수용,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기저귀를 뭉치면, 포켓에 수용·유지하고 있는 대변 등의 배설물이, 허리 개구로부터 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의 기저귀의 개량으로서, 폐기 시에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착용 물품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의 연결에 의해 획정된 허리 개구 및 한쌍의 다리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착용 물품은,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측가장자리부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된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를 구비하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영역 측으로 개구 가능한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의 상단은,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상기 허리 개구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 영역과,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영역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상기 포켓을 갖고, 상기 포켓은, 상기 크로치 영역 측으로부터 상기 허리 개구 측으로 연장되는 포켓 외측 영역과, 상기 포켓 외측 영역과 상기 띠 형상 영역에 각각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상기 포켓 외측 영역과 연속됨과 함께, 상기 띠 형상 영역과 이어지는 포켓 내측 영역을 갖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 외측 영역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사용 후, 착용 물품을 폐기할 때, 세로 방향에 있어서, 포켓 외측 영역의 상단보다 하방의 부분에서,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가 연결되기 때문에, 포켓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 내부의 대변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 내측 영역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거나, 하단과 일치한다. 이 때문에,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를 연결했을 때,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포켓 내측 영역과 포켓 외측 영역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 내부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상기 포켓 내측 영역의 하단이 일치한다. 이 때문에, 포켓 내측 영역과 포켓 외측 영역이 보다 밀착하여, 포켓 내부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은,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는, 상기 테이프 파스너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2 가상선을 갖고, 상기 제1 가상선보다 상기 제2 가상선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 중 어느 한쪽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 물품의 폐기 시, 앞 허리 영역 및 뒤 허리 영역 중 어느 한쪽에 크로치 영역을 중첩하고, 그 후,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를 연결하면, 앞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허리 개구 측에서 테이프 파스너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개구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착용 물품을 콤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상기 포켓은, 상기 포켓 내측 영역 및 상기 포켓 외측 영역의 양측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포켓 양측 영역을 더 갖는다. 이 때문에, 포켓 양측 영역을 가짐으로써, 포켓에 수용 가능한 배설물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 끝에 위치하여 상기 뒤 허리 영역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쪽 끝에 위치하여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를 갖고, 상기 자유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 가능한 부착 영역을 갖는다. 이 때문에, 착용 물품의 폐기 시, 한쪽의 테이프 파스너의 부착 영역을, 다른쪽의 테이프 파스너의 베이스부에 부착하여,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끼리를 서로 연결했을 때, 앞뒤 허리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근접시키고, 포켓을 피부 비대향면을 향하여 돌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켓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포켓에 수용되어 있는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착용 물품에 의하면,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의 상단은, 세로 방향에 있어서, 포켓의 허리 개구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포켓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 내부의 대변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은, 본 개시에 관련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착용 물품(기저귀)의 배면도이다.
도 2는 각 탄성체를 기저귀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의 일부 파단 전개도이다.
도 3a는 베이스 시트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고, 도 3b는 베이스 시트의 절첩 행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베이스 시트가 제1 및 제2 절곡 라인을 따라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뒤 허리 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기저귀의 일부 파단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VI-VI 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은 앞뒤 허리 영역의 양측 영역을 파단하고,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기저귀를 폐기할 때에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를 연결시킨 상태를 허리 개구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베이스 시트의 일부 파단 전개 평면도이고, 도 10b는 베이스 시트의 절첩 행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c는 베이스 시트가 제1 및 제2 절곡 라인을 따라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d는 베이스 시트가 제3 절곡 라인에 의해 절곡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저귀의 비착용 상태 및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뒤 허리 영역을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 1에 있어서의 도 7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2에 있어서의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일회용 착용 물품(기저귀)에 있어서의 도 4와 동일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풀온(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0)는, 서로 교차하는 세로 방향(Y)과, 가로 방향(X)과, 두께 방향(3차원 방향)(Z)과,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또는 세로 방향(Y))을 갖고, 세로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그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종축(P)과, 가로 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횡축(Q)을 갖는다. 착용 상태에서는, 허리 개구(21)가 상방에 위치하고, 다리 개구(22)가 하방에 위치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서로 중복된다」란,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중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란, 양 다리를 삽입하는 부위에 있어서, 다리 호스의 유무 또는 그 호스의 장단을 불문하는 것을 말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저귀(10)는, 피부 대향면 및 그것에 대향하는 피부 비대향면과, 허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의 탄성 허리 패널(11)과, 탄성 허리 패널(11)에 접합되는 흡수 섀시(12)와, 앞 허리 영역(13)과, 뒤 허리 영역(14)과, 앞뒤 허리 영역(13, 14)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15)을 포함한다. 기저귀(10)는, 종축(P)에 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고, 탄성 허리 패널(11)은, 앞 허리 영역(13)에 위치하는 앞 허리 패널(17)과, 뒤 허리 영역(14)에 위치하는 뒤 허리 패널(18)로 구성된다.
앞뒤 허리 영역(13, 14)은, 각각,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단(內端) 가장자리(13a, 14a)와,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단(外端) 가장자리(앞뒤 허리 개구 가장자리)(13b, 14b)와,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3c, 14c)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앞 허리 영역(13)의 양측 가장자리(13c)의 각각과 뒤 허리 영역(14)의 양측 가장자리(14c) 각각은, 서로 중첩되어, 세로 방향(Y)으로 단속하는 사이드 시임(19)에 의해 연결되고, 따라서 양측 가장자리와, 허리 개구(21)와, 한쌍의 다리 개구(22)가 형성된다. 사이드 시임(19)은, 공지된 접합 수단, 예컨대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 울트라소닉 가공 등의 각종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포켓>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저귀(10)는, 뒤 허리 영역(14)의 허리 개구(21)에 인접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접촉하는 띠 형상 영역(피부 대향면에 위치하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영역)(23)과, 외단 부위(41b)와 내단부(41a)를 갖는 띠 형상 영역(23)에 있어서 뒤 허리 영역(14)의 가로 방향(X)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부(41)를 갖는다. 또한, 기저귀(10)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띠 형상 영역(23)과 인접하는 포켓(30)을 갖는다. 포켓(30)은, 종축(P)을 중심으로 하여 가로 방향(X)으로 소정 면적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하방을 향하여(크로치 영역 측을 향하여) 개구 가능하다. 띠 형상 영역(23) 및 포켓(30)의 개구 가장자리(절곡부(31))는, 뒤 허리 영역(14)의 허리 개구(21) 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뒤 허리 영역(14)의 허리 개구(21) 측」이란, 뒤 허리 영역(14)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L1)(도 4)보다 외단 가장자리(14b) 측의 영역을 의미한다.
포켓(30)은,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크로치 영역(15) 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포켓 외측 영역(43)과, 포켓 외측 영역(43)과 띠 형상 영역(23)에 각각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절곡부(33)를 통해 포켓 외측 영역(43)과 연속됨과 함께, 절곡부(3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의 내단부(41a)와 이어지는 포켓 내측 영역(42)에 의해 획정된다. 포켓 내측 영역(42)과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가 이어짐으로써,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31)가 형성된다. 포켓 내외측 영역(42, 43)의 양측부는 서로 중첩되어 고정되고, 그 고정된 포켓 내외측 영역(42, 43)의 양측 영역(45)이, 띠 형상 영역(23)의 양측부에 고정된다. 양측 영역(45)은, 사이드 시임(19)으로부터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때문에, 포켓(30)은 사이드 시임(19) 사이에 있어서 개구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뒤 허리 영역(14)의 중앙부에 있어서 개구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포켓(30)은, 하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31)와, 허리 개구(21)를(상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33)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곡부(33)가, 포켓(30)의 허리 개구(21)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가 되고, 절곡부(31)가, 포켓(30)의 개구 가장자리가 된다.
<탄성 허리 패널>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앞 허리 패널(17)은, 앞 허리 영역(13)의 외형을 획정하는 앞 허리 시트(50)를 포함한다. 앞 허리 시트(50)는, 흡수 섀시(12)의 전단부(12A)가 배치되는 주체부(52)와, 주체부(52)의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하는 연장부(53)를 갖는다. 연장부(53)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을 따라 세로 방향(Y)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주체부(52)와, 주체부(52)의 내면에 배치된 흡수 섀시(12)의 전단부(12A)에 고정된다. 앞 허리 시트(50)의 주체부(52)와 연장부(53) 사이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복수개의 앞 허리 탄성체(55)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앞 허리 시트(50)의 앞 허리 탄성체(55)보다 크로치 영역(15) 측의 부분에는,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앞 탄성 시트(51)가 배치된다. 앞 탄성 시트(51)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흡수 섀시(12)의 전단부(12A)의 일부를 피복하여, 그것과 양측에 위치하는 주체부(52)에 고정된다.
뒤 허리 패널(18)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내면 시트(61)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외면 시트(62)로 구성된 뒤 허리 시트(60)와, 내외면 시트(61, 62) 사이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고정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후하방 허리 탄성체(63)를 갖는다. 뒤 허리 영역(14)에는, 뒤 허리 패널(18)의 외단부에 있어서 단면이 대략 Ω 형으로 절첩된 양태를 갖는 베이스 시트(70)가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
도 3a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70)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단 가장자리(70a) 및 외단 가장자리(뒤 허리 개구 가장자리)(14b)와, 내외단 가장자리(14b, 70a)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70c)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제1 면(80A)(피부 대향면)과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80B)(피부 비대향면)과, 가로 방향(X)으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제1 절곡선(71)과 제2 절곡선(72)을 갖는다. 베이스 시트(70)는, 외단 가장자리(14b)와 제1 절곡선(71) 사이에 위치하는 외단부(73)와, 제1 절곡선(71)과 제2 절곡선(7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74)와, 제2 절곡선(72)과 내단 가장자리(70a) 사이에 위치하는 내단부(75)를 갖는다. 외단부(73)의 제2 면(80B) 측에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제1 고정 영역(81A)이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비고정 영역(81B)이 위치한다. 중간부(74)의 제1 면(80A) 측에는, 가로 방향(X)으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제2 고정 영역(82A)이 위치하고, 이들 사이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2 비고정 영역(82B)이 위치한다. 제1 고정 영역(81A)은, 띠 형상 영역(23)과 포켓 내측 영역(42)을 고정하는 것이고, 제2 고정 영역(82A)은, 포켓 내측 영역(42)과 포켓 외측 영역(43)을 고정하는 것이다. 제1 비고정 영역(81B)에 있어서, 띠 형상 영역(23)과 포켓 내측 영역(42)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2 비고정 영역(82B)에 있어서, 포켓 내측 영역(42)과 포켓 외측 영역(43)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시트(70)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내면 시트(76)와,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외면 시트(77)와, 외단부(73)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외면 시트(76, 77) 사이에 있어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개의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후상방 허리 탄성체(64)를 더 갖는다. 도 3b, 도 3c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70)는, 제1 절곡선(71)을 따라 외단부(73)의 제2 면(80B) 측과 중간부(74)의 제2 면(80B) 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절곡됨과 함께, 제2 절곡선(72)을 따라 중간부(74)의 제1 면(80A) 측과 내단부(75)의 제1 면(80A) 측이 서로 접촉되도록 절곡됨으로써, 종단면에 있어서 대략 Z 자형으로 절곡된 상태가 유지된다.
제1 고정 영역(81A)과 제2 고정 영역(82A)은, 가로 방향(X)으로 연속하여 연장되고, 이들의 가로 방향(X)의 치수가 거의 동등하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비고정 영역(81B, 82B)의 가로 방향(X)의 치수도 거의 동등하다.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은, 흡수체(85)의 양측 가장자리(85c)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L3)보다 내방에 위치하는 내방 부위(81b, 82b)와, 가상선(L3)보다 외방에 위치하는 외방 부위(81c, 82c)를 갖고 있다. 외방 부위(81c, 82c)는, 사이드 시임(19)에 중복된다. 또한, 제1 및 제2 비고정 영역(81B, 82B)은,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서로 중복되어 위치한다.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은,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착제의 도포나, 히트 시일 등의 공지된 용착 수단에 의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70)는, 횡축(Q)을 향하여 오목형의 고정 영역(제3 고정 영역)(83)을 통해, 흡수 섀시(12)와 뒤 허리 패널(18)에 고정된다. 제3 고정 영역(83)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과 동일 형태 동일 크기로서,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과 중복되는 베이스부(83a)와,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과 중복되지 않고, 한쌍의 베이스부(83a)를 연결하는 연결부(83b)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시트(70)가 복수의 절곡 라인에 의해 절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외단부(73)에 의해 뒤 허리 영역(14)의 띠 형상 영역(23)이 형성되고, 중간부(74)의 제2 비고정 영역(82B)에 의해 포켓 내측 영역(42)이 형성되고, 내단부(75)의 제2 비고정 영역(82B)과 대향하는 부분에 의해 포켓 외측 영역(43)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고정 영역(82A)을 통해 포켓 내측 영역(42)의 양측부와 포켓 외측 영역(43)의 양측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접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뒤 허리 시트(60)에 별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시트(70)를 고정함으로써 포켓(30) 등을 형성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한에서, 뒤 허리 시트(60)와 베이스 시트(70)를 일체의 시트로 형성해도 좋고, 띠 형상 영역(23)을 뒤 허리 시트(60)와 동일한 시트 부재로 형성하고, 띠 형상 영역(23)에 별체의 시트 부재를 고정하여 포켓(30)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베이스 시트(70)를 탄성 신축성의 1장의 섬유 부직포 시트로 형성해도 좋고, 후상방 허리 탄성체(64) 대신에 탄성 신축성의 섬유 부직포 시트를 내외면 시트(76, 77) 사이에 배치해도 좋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컨대 「포켓 내측 영역(42)이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의 내단부(41a)와 이어진다」란, 중앙부(41)와 포켓 내측 영역(42)이 동일한 시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절곡부(31)에 있어서 절곡되어 있는 경우와, 이들이 별체의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절곡부(31)에 있어서 양 시트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흡수 섀시(12)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를 후방으로 연장시켜, 뒤 허리 패널과 그것보다 더욱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절곡하여 포켓(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포켓(30)의 가로 방향(X) 외측에 위치하는, 뒤 허리 영역(14)의 양측부에는,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가 배치된다. 도 1에는, 테이프 파스너(66)가 Z 자형 및 역 Z 자형으로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에는, 절첩된 테이프 파스너(66)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테이프 파스너(66)는, 측가장자리(14c)에 고정된 고정부(67)와, 전개 상태에 있어서, 고정부(67)로부터 가로 방향(X) 외방으로 연장되는 자유부(68)를 포함하고, 전개 상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X)으로 긴 직사각형이다. 기저귀(10)의 사용 전 및 사용 중에 있어서, 테이프 파스너(66)는, 가고정부에 의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기저귀(10)를 폐기할 때에는, 가고정부의 접합을 해제하여 전개한다.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 및 자유부(68)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부(66A)와, 베이스부(66A)에 있어서의 자유부(68)에 배치된 부착 영역(68A)을 포함한다. 부착 영역(68A)은, 예컨대 메카니컬 파스너의 훅군, 감압성 접착제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베이스부(66A)에 부착 가능하다. 바꿔 말하면, 베이스부(66A)는, 부착 영역(68A)에 대하여 메카니컬 파스너의 루프군으로서 기능한다. 부착 영역(68A)과 베이스부(66A)가 결합된 후에는, 양자에 힘을 가함으로써, 부착 영역(68A)과 베이스부(66A)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영역(68A)은, 앞 허리 영역(13)의 피부 비대향면 및 크로치 영역(15)의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 및 박리 가능하다.
도 7은, 앞뒤 허리 영역(13, 14)의 양측 가장자리(13c, 14c)에서 파단하여, 기저귀(10)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포켓(30)의 허리 개구(21)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인 절곡부(33)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과, 포켓 내측 영역(42)의 하단인 절곡부(31)가 일치하고 있다.
<흡수 섀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흡수 섀시(12)는, 직사각형으로서, 전단부(12A)와, 후단부(12B)와, 전후 단부(12A, 12B)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12C)를 갖는다. 흡수 섀시(12)는,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투액성을 갖는 섬유 부직포제의 신체측 라이너(84)와, 흡액성의 흡수체(85)와, 흡수체(85)의 저면 전체를 피복하는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샘 방지 시트(86)와, 흡수 섀시(12)의 피부 비대향면 전체를 형성하는 불투액성 또는 난투액성의 피복 시트(87)를 포함한다. 흡수체(85)는, 플러프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로 형성된 심재와, 심재 전체를 포피(包被)하는 티슈 페이퍼 등으로 형성된 액확산성의 코어 랩 시트로 구성된다.
피복 시트(87)는, 샘 방지 시트(86)의 양측 가장자리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양측부를 갖는다. 양측부는, 샘 방지 시트(86)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을 따라 내방으로(흡수체(85) 측으로) 절곡되어 신체측 라이너(84)에 고정된다. 양측부는, 신체측 라이너(84)에 고정되어 세로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양단 고정부와, 신체측 라이너(84)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고정되는 근위(近位) 가장자리부와, 양단 고정부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며, 또한, 근위 가장자리부와 병행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원위(遠位) 가장자리부(자유 가장자리부)(88)를 갖는다. 원위 가장자리부(88)는, 피복 시트(87)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절곡하여 고정함으로써 형성된 슬리브형을 이루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커프 탄성체(89)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배치된다. 커프 탄성체(89)가 수축함으로써, 상기 가장자리부가 신체측 라이너(84)로부터 착용자의 신체 측으로 이격되어 배리어 커프를 형성하고, 착용자의 대퇴부에 피트하여 배설물의 샘을 방지한다. 또한, 피복 시트(87)의 양측부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다리 탄성체(90)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고정된다.
다리 탄성체(90)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소여 치수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일정 폭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탄성 띠를 형성하기 때문에,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면상(面狀)으로 피트하여 배설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 탄성체(90)의 후단부는, 뒤 허리 영역(14)에 있어서 후하방 허리 탄성체(63)와 평면에서 보아 중복되어 있다. 다리 탄성체(90)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다리 탄성 영역과 후하방 허리 탄성체(63)의 수축력이 작용하는 허리 탄성 영역이 평면에서 보아 중복됨으로써, 착용자의 대퇴부를 둘러싸는 가상의 탄성 띠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70)는, 고정 영역(83)을 통해 띠 형상 영역(23)과 흡수 섀시(12)의 후단부(12B)에 고정되어 있고, 피복 시트(87)의 원위 가장자리부(88)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 흡수 섀시(12)의 후단부(12B)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베이스 시트(70)가 이러한 접합 양태를 가짐으로써, 그 비고정 영역과 흡수 섀시(12)의 후단부(12B) 사이에는 뒤 허리 영역(14)으로 이동한 배설물을 수용, 유지하기 위한 후방 스페이스(R)가 획정된다.
통상, 비교적 저월령의 유아는, 수유 시나 모친에게 안겨진 자세 등의 여러가지 상황에서 유동성이 있는 연변을 배설하기 때문에, 허리 개구(21)에 있어서의 뒤 허리 영역(14)으로부터 연변이 새거나, 착용자의 배면에 연변이 눌러붙어 오염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저귀(10)의 착용 중에, 앞 허리 영역(13)에 있어서는, 허리 개구부가 흘러내렸을 때에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신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뒤 허리 영역(14)에 있어서는, 둔부가 돌출된 외형을 갖는 점에서 이러한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유지하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0)와 같이, 착용 상태에 있어서, 띠 형상 영역(23)과, 포켓 내측 영역(42)과, 포켓 외측 영역(43)에 의해, 포켓 공간(S)을 갖는 포켓(30)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띠 형상 영역(23)과 포켓(30)이 뒤 허리 영역(14)의 허리 개구 측에 위치하고, 띠 형상 영역(23)이 후상방 허리 탄성체(64)의 신장 응력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되기 때문에, 크로치 영역(15) 측으로부터 뒤 허리 개구 측으로 이동한 배설물의 샘이 방지됨과 함께, 이동이 저지된 배설물이 상방으로 볼록형으로 연장되는 포켓 공간(S)에 유입하여 일시적으로, 수용, 유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이 저지된 배설물을 뒤 허리 영역(14)의 배면 측에 위치하는 포켓(30)에 진입시킴으로써, 배설물이 신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불쾌감이나 피부 트러블을 억제할 수 있다. 포켓(30)은, 띠 형상 영역(23)의 신축과 연동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뒤 허리 영역(14)이 신장되더라도 포켓 개구가 폐쇄되거나 할 우려는 없다. 또한, 포켓(30)은, 흡수체(85)의 상단부(후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흡수체(85)에서 흡수되지 않고 뒤 허리 개구 측으로 이동한 체액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포켓(30)을 형성하는 베이스 시트(70)의 일부가 뒤 허리 영역(14)에 사이드 시임(19)으로부터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고정 영역(83)을 통해 접합되어 있고, 베이스 시트(70) 자체가, 다리 탄성체(90) 및 커프 탄성체(89)보다 세로 방향(Y)의 외측에 위치하고, 이들과 기저귀(10)의 평면에서 보아 서로 중복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다리 탄성체(90)나 커프 탄성체(89)의 수축력이 간접적으로 포켓 외측 영역(43)에 작용하여 그것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고자 하는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포켓 외측 영역(43)이 하방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절곡부(33)가 무너져 포켓 공간(S)이 소멸할 우려는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기저귀(10)에 있어서, 대변 등의 배설물이 포켓(30)에 배설되었을 때, 포켓(30)의 개구 가장자리인 절곡부(33)가 피부 비대향면 측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포켓(30)에는 다량의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다.
도 8은, 기저귀(10)를 폐기하기 위해, 기저귀(10)를 뭉친 상태를, 허리 개구(21)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기저귀(10)를 폐기하려면, 우선, 예컨대 앞 허리 영역(13)의 양측 가장자리(13c)를 파단하고, 기저귀(10)를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제거한다. 다음으로, 앞 허리 영역(13)과 뒤 허리 영역(14)을 서로 접촉하도록 대향시키고, 앞 허리 영역(13)과, 크로치 영역(15)이 대향하도록 절첩한다. 그 후, 절첩된 테이프 파스너(66)를 전개하여, 한쪽의 테이프 파스너(66)의 부착 영역(68A)을, 다른쪽의 테이프 파스너(66)의 베이스부(66A)에 부착하여,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서로 연결한다. 그렇게 하면, 앞뒤 허리 영역(13, 14)의 양측 가장자리(13c, 14c)가 서로 근접함과 함께, 포켓(30)을 뒤 허리 영역(14)의 피부 비대향면을 향하여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켓(3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포켓(30)에 수용되어 있는 대변 등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0)에 의하면,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포켓(30)의 허리 개구(21) 측에 위치하는 절곡부(폐쇄 가장자리)(33)보다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도 7 참조),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연결하더라도, 포켓(30)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30)의 내부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프 파스너(66)를 늘어뜨려,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서로 연결시키더라도, 테이프 파스너(66)를 서로 연결하는 힘이, 포켓(30)의 폐쇄 가장자리인 절곡부(33)에 작용하기 어렵고, 두께 방향(Z)으로 포켓(30)이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포켓(30)의 내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덧붙여,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과, 포켓 내측 영역(42)의 하단인 절곡부(31)가 일치하기 때문에(도 7 참조),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연결했을 때,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포켓 내측 영역(42)과 포켓 외측 영역(43)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30)의 내부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과, 포켓 내측 영역(42)의 하단인 절곡부(31)가 일치함으로써, 포켓(30)의 개구 가장자리(절곡부(31))를 폐쇄하도록,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연결하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앞뒤 허리 영역(13, 14) 중 어느 한쪽의 허리 영역의 양측 가장자리(13c, 14c)를 파단시킨 후, 포켓(30)의 개구 가장자리(절곡부(31))에서 간극이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의 착용 상태를 도 9에 나타낸다. 이 기저귀(10)의 포켓(30)은, 상기 포켓 내외측 영역(42, 43)과, 포켓 내외측 영역(42, 43)의 양측부로부터 형성되고,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포켓 양측 영역(32)에 의해 획정된다. 포켓 내외측 영역(42, 43)의 양측부는, 서로 중첩되어 포켓 양측 영역(32)을 형성하고 있고, 포켓 양측 영역(32) 이외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양측 영역(45)이 띠 형상 영역(23)의 양측부에 고정된다.
포켓 양측 영역(32)은,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종축(P)을 향하여) 접어 넣어져 있다. 기저귀(10)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절곡부(31, 33)와 포켓 양측 영역(32)이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중앙부(41)와 포켓(30) 사이에는, 상방으로 개구한 오목부(25)가 획정된다. 포켓 양측 영역(32)은, 신장 가능하게 접어 넣어지는 한에서, 의도치 않게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복수 절곡되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포켓(30)은, 하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31)와, 가로 방향(X)의 내측을 향하여 접어 넣어진 포켓 양측 영역(32)과, 허리 개구(21)를(상방향을) 향하여 절곡된 절곡부(33)를 갖고, 이들이 서로 상이한 방향(3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음으로써, 띠 형상 영역(23)이 허리 둘레 방향으로 신장되었을 때에, 포켓 양측 영역(32)이 기립하여, 포켓 내측 영역(42)이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로부터 떨어지도록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기저귀의 베이스 시트(70)를 도 10에 나타낸다. 또, 도 10a, 도 10b는, 도 3a, 도 3b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도 10c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베이스 시트(70)의 양측부에, 가로 방향(X)으로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지만, 도 10d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70)는, 외단부(73)가 후상방 허리 탄성체(64)에 의해 수축되어 있고, 제1 및 제2 절곡선(71, 72)을 따라 절곡되어 제1 및 제2 고정 영역(81A, 82A)을 통해 접합된 상태로부터, 적층된 중간부(74)와 내단부(75)를 제2 비고정 영역(82B)의 측가장자리를 따라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3 절곡선(79A)과 제4 절곡선(산(山)접음 절곡선)(79B)을 따라 더욱 절곡됨으로써, 외단부(73)를 제외한 부분(중간부(74) 및 내단부(75))이 단면 대략 Ω 형을 갖는다. 이러한 절첩된 상태의 베이스 시트(70)의 가로 방향(X)의 치수는, 자연 상태(각 탄성체가 비신장인 상태)에 있어서의 뒤 허리 영역(14)의 가로 방향(X)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착용 상태에 있어서는, 띠 형상 영역(23)이 후상방 허리 탄성체(64)의 수축력에 의해 가로 방향(X)으로 수축함으로써 포켓 양측 영역(32)이 기립하고, 포켓 내측 영역(42)이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의 기저귀(10)보다 큰 포켓 공간(S)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0)에서는, 포켓(30)은, 포켓 내외측 영역(42, 43)과, 포켓 양측 영역(32)을 갖기 때문에, 비착용 상태에 있어서도 입체 형상을 나타내고, 비착용 상태를 도 11의 실선으로 나타내고, 착용 상태를 도 11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설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포켓 공간(S)을 어느 상태에서도 의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앙와 상태로서, 포켓(30)에 착용자의 체압이 가해졌을 때에 있어서도, 포켓 양측 영역(32)이 접어 넣어진 양태를 갖고 띠 형상 영역(23)의 중앙부(41)와 포켓 내측 영역(42)이 서로 접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베이스 시트(70)가 체압에 의해 왜곡되게 변형되거나 하여, 뒤 허리 영역(14)에 있어서의 부분적인 두께의 변화에 의해 생기는 이물감을 착용자에게 부여할 우려는 없다. 포켓 양측 영역(32)은, 착용자의 신체에 접근 이격되는 방향, 즉, 두께 방향(Z)에 있어서 굴신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체압으로부터 개방되었을 때에, 포켓 양측 영역(32)이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기립하여, 다시 입체적인 포켓 공간(S)이 형성된다.
이 기저귀(10)는, 띠 형상 영역(23)에 있어서, 뒤 허리 영역(14)의 양측 가장자리(14c) 사이에 연장되는 상방 허리 탄성체(64)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앙와 상태로 되거나, 모친에게 등이 억제된 상태로 안겨지거나 하여, 포켓(30)에 그것을 신체 측으로 누르고자 하는 힘이 반복 작용한 경우라도, 포켓 양측 영역(32)의 굴신 운동에 의해 포켓(30)이 안정적으로 반복하여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빈번히 자세를 변화시키거나, 빈도가 높은 연변을 반복하는 저월령의 유유아가 착용하는 경우라도, 연변을 확실하게 포켓 공간(S)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켓 내측 영역(42)은, 소요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갖는 점에서, 포켓 양측 영역(32)이 기립함으로써 중앙부(41)에 대하여 경사져 후방으로 이동하고, 포켓(30)의 천면(天面)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천면 및 포켓의 양측 영역 측의 절곡 구조를 갖지 않는 양태에 비하여, 보다 많은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다.
착용 상태에 있어서, 후상방 허리 탄성체(64)의 수축력에 의한 개더가 없어질 정도로까지 띠 형상 영역(23)이 가로 방향(X)(허리 방향)으로 신장되었을 때에는, 포켓 양측 영역(32)에 있어서의 접어 넣음이 해제되고 포켓 내측 영역(42)이 중앙부(41)를 향하여 이동하여 포켓 공간(S)이 소멸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띠 형상 영역(23)이 가로 방향(X)으로 신장된 경우에도, 포켓(30)이 입체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중앙부(41)를 포함한 띠 형상 영역(23)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수축량(수축하고 있는 부분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이, 포켓 내측 영역(42) 및/또는 포켓 외측 영역(43)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수축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컨대 띠 형상 영역(23)이 자연 상태(수축 시)에 비하여 가로 방향(X)으로 소정 배율 신장되었을 때라도, 포켓 양측 영역(32)이 완전히 도복되지 않고, 포켓(30)은 입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띠 형상 영역(23)에는,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체를 배치하는 한편, 포켓 내측 영역(42) 및/또는 포켓 외측 영역(43)에는 탄성체를 배치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탄성적으로 비신축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포켓 내측 영역(42) 및/또는 포켓 외측 영역(43)에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중앙부(41)에 배치하는 탄성체, 즉, 후상방 허리 탄성체(64)보다 수축률이 낮은 탄성체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켓 내측 영역(42)에 가로 방향(X)으로 신장 가능한 탄성체를 배치한 경우에는, 중앙부(41)가 신장되어 포켓 양측 영역(32)에 그것을 도복시키고자 하는 힘이 작용할 때에, 상기 탄성체가 수축하지 않고 그 힘에 대항하여 포켓 양측 영역(32)의 기립 상태 및 중앙부(41)로부터 포켓 내측 영역(42)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포켓(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포켓 내외측 영역(42, 43)이 모두 탄성 신축성을 갖는 경우에는, 포켓(30)을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포켓 내측 영역(42)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수축률이 포켓 외측 영역(43)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수축률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1>
도 12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의 변형예 1을 나타내고 있다. 이 기저귀(10)에서는,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의 고정부(67)의 상단(67a)이, 세로 방향(Y)에 있어서, 포켓 내측 영역(42)의 하단인 절곡부(31)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연결했을 때,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포켓 내측 영역(42)과 포켓 외측 영역(43) 사이의 공간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시, 포켓(30)의 내부의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2>
도 13에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의 변형예 2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 기저귀(10)의 뒤 허리 영역(14)은,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L1)을 갖는다. 테이프 파스너(66)는, 테이프 파스너(66)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2 가상선(L2)을 갖고, 제1 가상선(L1)보다 제2 가상선(L2)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테이프 파스너(66)가 뒤 허리 영역(14)에 부착되어 있다. 이 기저귀(10)에 의하면, 기저귀(10)의 폐기 시, 앞 허리 영역(13) 및 뒤 허리 영역(14) 중 어느 한쪽에 크로치 영역(15)을 중첩하고, 그 후,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66)를 연결하면, 앞뒤 허리 영역(13, 14)에 있어서의 허리 개구(21) 측에서 테이프 파스너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허리 개구(21)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폐기 시의 기저귀(10)를 콤팩트하게 뭉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일회용 착용 물품(기저귀)의 제2 실시형태의 도 4와 동일한 도면인 도 14에 나타낸다. 이 기저귀(10)의 흡수 섀시(12)는, 가로 방향(X)으로 이격되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배리어 커프 시트(91)와, 배리어 커프 시트(91)의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피부 접촉 시트(95)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프 파스너(66)는, 그 상단(67a)이 피부 접촉 시트(95)의 하단(95a)보다 하방이 되도록 뒤 허리 영역(14)에 부착되어 있다. 또, 도 14 중,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허리 탄성체를 생략한다.
피부 접촉 시트(95)는, 뒤 허리 영역(14)의 양측 가장자리(14c) 사이에 위치하고,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고, 띠 형상 영역(23)을 획정하는 것이다.
한쌍의 배리어 커프 시트(91)는,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절첩되어 내면을 서로 고정한 것으로서, 신체측 라이너(84)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는 전고정부 및 후고정부(92a)와, 신체측 라이너(84)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있어서 이격 대향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고정 측가장자리부(92b)와, 고정 측가장자리부(92b)로부터 가로 방향(X)의 내측에 위치하는 자유 측가장자리부(92c)를 갖는다. 피부 접촉 시트(95)는, 배리어 커프 시트(91)의 자유 측가장자리부(92c)의 피부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편,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자유 측가장자리부(92c) 사이에서는, 배리어 커프 시트(91)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다. 배리어 커프 시트(91)의 자유 측가장자리부(92c)의 내부에는, 스트링형 또는 스트랜드형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커프 탄성체(93)가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커프 탄성체(93)가 세로 방향(Y)으로 수축함으로써, 자유 측가장자리부(92c)가 신체측 라이너(84)로부터 착용자의 신체 측으로 떨어져, 배설물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한쌍의 배리어 커프가 형성된다.
기저귀(10)의 착용 시에 있어서, 커프 탄성체(93)가 수축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유 측가장자리부(92c)가 신체측 라이너(84)로부터 떨어지고, 이것에 의해,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84)와 피부 접촉 시트(95) 사이에 배설물을 수용·유지하기 위한 포켓 공간(S)(포켓(30))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켓(30)은, 피부 대향면 측에 위치하고, 띠 형상 영역(23)을 형성하는 시트와, 상기 시트보다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시트와의 사이에, 배설물을 수용·유지하기 위한 포켓 공간(S)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 실시형태의 포켓(30)과, 제2 실시형태의 포켓(30)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다른 구조의 기저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재료에는, 특별히 기술되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러한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된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제3」 등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간단히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어 있다. 또한, 착용자가 횡와 상태일 때, 이 기저귀(10)에 있어서의 상방측이란 착용자의 머리부에 가까운 쪽이고, 하방측이란 다리부에 가까운 쪽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는, 기저귀(10)의 뒤 허리 영역(14)에 테이프 파스너(66)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파스너(66)를 앞 허리 영역(13)에 부착해도 좋다.
10: 일회용 착용 물품(일회용 기저귀)
13: 앞 허리 영역
13c: 양측 가장자리
14: 뒤 허리 영역
14c: 양측 가장자리
15: 크로치 영역
21: 허리 개구
22: 다리 개구
23: 띠 형상 영역(피부 접촉 영역)
30: 포켓
31: 절곡부(개구 가장자리)
32: 포켓 양측 영역
33: 절곡부(폐쇄 가장자리)
41: 중앙부
42: 포켓 내측 영역
43: 포켓 외측 영역
45: 포켓의 양측 영역
66: 테이프 파스너
66A: 베이스부
67: 고정부
67a: 상단
68: 자유부
68A: 부착 영역
L1: 제1 가상선
L2: 제2 가상선
X: 가로 방향
Y: 세로 방향
Z: 두께 방향

Claims (7)

  1.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의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과, 뒤 허리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크로치 영역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측가장자리부끼리의 연결에 의해 획정된 허리 개구 및 한쌍의 다리 개구를 포함하는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측가장자리부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된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를 구비하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의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은, 상기 피부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크로치 영역 측으로 개구 가능한 포켓을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고정부의 상단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상기 허리 개구 측에 위치하는 폐쇄 가장자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피부 대향면에 위치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 영역과,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띠 형상 영역과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상기 피부 비대향면 측에 위치하는 상기 포켓을 갖고,
    상기 포켓은, 상기 크로치 영역 측으로부터 상기 허리 개구 측으로 연장되는 포켓 외측 영역과, 상기 포켓 외측 영역과 상기 띠 형상 영역에 각각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상기 포켓 외측 영역과 연속됨과 함께, 상기 띠 형상 영역과 이어지는 포켓 내측 영역을 갖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 외측 영역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착용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이,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포켓 내측 영역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하단과 일치하는 착용 물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파스너의 상기 고정부의 상단과, 상기 포켓 내측 영역의 하단이 일치하는 착용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은,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1 가상선을 갖고,
    상기 테이프 파스너는, 상기 테이프 파스너에 있어서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제2 가상선을 갖고,
    상기 제1 가상선보다 상기 제2 가상선이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테이프 파스너가 상기 앞 허리 영역 및 상기 뒤 허리 영역 중 어느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착용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포켓 내측 영역 및 상기 포켓 외측 영역의 양측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가로 방향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포켓 양측 영역을 더 갖는 것인 착용 물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테이프 파스너는, 섬유 부직포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한쪽의 끝에 위치하여 상기 뒤 허리 영역의 상기 피부 비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다른쪽의 끝에 위치하여 상기 앞뒤 허리 영역의 상기 가로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자유부를 갖고,
    상기 자유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부착 가능한 부착 영역을 갖는 착용 물품.
KR1020187018162A 2015-12-28 2016-08-19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605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7242A JP5946581B1 (ja) 2015-12-28 2015-12-28 使い捨て着用物品
JPJP-P-2015-257242 2015-12-28
PCT/JP2016/074173 WO2017115492A1 (ja) 2015-12-28 2016-08-19 使い捨て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561A true KR20180098561A (ko) 2018-09-04
KR102605995B1 KR102605995B1 (ko) 2023-11-23

Family

ID=5632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162A KR102605995B1 (ko) 2015-12-28 2016-08-19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18536B2 (ko)
EP (1) EP3351227B1 (ko)
JP (1) JP5946581B1 (ko)
KR (1) KR102605995B1 (ko)
CN (1) CN108472185B (ko)
EA (1) EA036733B1 (ko)
PH (1) PH12018550069A1 (ko)
WO (1) WO2017115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9169A1 (en) 2016-08-22 2018-03-01 ACT Holding, LLC Diaper system and flap
JP3217273U (ja) * 2018-05-18 2018-07-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86495B2 (ja) * 2018-06-29 2021-12-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220054328A1 (en) * 2018-12-24 2022-02-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7455628B2 (ja) * 2020-03-25 2024-03-26 大王製紙株式会社 連結式使い捨て着用物品
WO2022226501A1 (en) * 2021-04-21 2022-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nt-type absorbent article with waist gu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19B2 (ja) * 1974-06-20 1983-07-14 ロクタイト コ−ポレ−シヨン ネンセイザイリヨウブンパイソウチ
JP2001252303A (ja) 2000-03-10 2001-09-1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4141641A (ja) * 2002-08-30 2004-05-20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5134021A (ja) * 2014-01-16 201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6008A1 (en) * 1995-12-18 1997-06-19 Daniel Richard Laux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elastic margins and containment system
US6336922B1 (en) * 1996-06-19 2002-0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panel
US6280426B1 (en) * 1999-02-19 2001-08-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ap and biasing spacer
US6926705B1 (en) * 1999-02-25 2005-08-09 Tailored Technologies, Inc. Protective undergarments having anchored pocketed-sling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30050616A1 (en) * 1999-09-20 2003-03-13 Gary M. Reynolds Absorbent article having a deployable gasket element
US20030045853A1 (en) * 1999-12-23 2003-03-06 Sauer Barbara O. Pocket design for absorbent article
JP2002038390A (ja) * 2000-07-24 2002-02-06 Yokogawa Electric Corp 抄紙機における抄替時のドライヤ蒸気圧操作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964666B2 (ja) * 2001-12-17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8034040B2 (en) 2002-08-30 2011-10-11 Uni-Charm Co., Ltd. Pull-on disposable diaper
US7470264B2 (en) * 2004-03-12 2008-12-30 Uni-Charm Corporatio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pocket for isolating feces from urine
JP5832619B1 (ja) 2014-09-30 2015-1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2619B2 (ja) * 1974-06-20 1983-07-14 ロクタイト コ−ポレ−シヨン ネンセイザイリヨウブンパイソウチ
JP2001252303A (ja) 2000-03-10 2001-09-18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4141641A (ja) * 2002-08-30 2004-05-20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2015134021A (ja) * 2014-01-16 2015-07-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1227A1 (en) 2018-07-25
US10918536B2 (en) 2021-02-16
KR102605995B1 (ko) 2023-11-23
WO2017115492A1 (ja) 2017-07-06
JP2017118996A (ja) 2017-07-06
CN108472185B (zh) 2021-06-18
EP3351227B1 (en) 2020-04-08
PH12018550069A1 (en) 2019-01-21
US20180360673A1 (en) 2018-12-20
EA201890761A1 (ru) 2018-12-28
EA036733B1 (ru) 2020-12-14
CN108472185A (zh) 2018-08-31
JP5946581B1 (ja) 2016-07-06
EP3351227A4 (en)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922B1 (ko) 일회용 기저귀
KR2018009856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859087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832619B1 (ja) 使い捨ておむつ
KR101275414B1 (ko) 일회용 팬티형 기저귀
JP3856904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CN107405220B (zh) 一次性穿着物品
JP5946557B1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JP642564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7275322A (ja) 使い捨ておむつ
CN108135751B (zh) 一次性穿着物品
JP2006081935A (ja) 使い捨て紙おむつ
CN111511322B (zh) 吸收性物品
JP4014470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21000222A (ja) 吸収性物品
JP2008289610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