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508A -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508A
KR20180098508A KR1020180100152A KR20180100152A KR20180098508A KR 20180098508 A KR20180098508 A KR 20180098508A KR 1020180100152 A KR1020180100152 A KR 1020180100152A KR 20180100152 A KR20180100152 A KR 20180100152A KR 20180098508 A KR20180098508 A KR 20180098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na
sativus
artificial sequence
radish
hort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214B1 (ko
Inventor
유희주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2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1/0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 C12Q2531/10Reactions of nucleic aci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being amplify/increase the copy number of target nucleic acid
    • C12Q2531/113PC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3Plant tra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을 검출할 수 있는 분자마커, 분자마커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및 무 작물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2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증폭 유무 및 증폭 산물의 크기(size)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규명한 분자마커 및 이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다양한 무 유전자원을 계통별, 종별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유전체 구조를 분석할 수 있어 고품질의 무 개량품종 개발, 농수산물의 수출입 원산지 판별, 무 유전제 보유 및 유지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Molecular Markers for Selecting radish genetic resource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무의 다양한 유전체를 계통 분류할 수 있고, 다른 품종과 계통을 구분할 수 있는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분자 유전학의 발전과 대량 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식물체를 대상으로 한 특정 분자표지의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로서 식물종의 다양성을 유전체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자표지는 여러 가지 유전자원을 구분하고 또는 이를 보존하기 위한 중요한 평가 수단으로도 이용되어 지고 있다.
한편, 배추과에 속하는 무는 아시아에서 널리 재배되는 뿌리 채소 작물로서, 형태적으로 다양한 뿌리 모양을 가지며, 생리적으로는 개화시기, 영양성분 등의 차이가 다양하여 보다 품질이 우수한 무를 재배 및 생산하기 위한 유전자원의 확보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특히 무는 벼, 배추와 같은 주요 작물과 상응되는 식량 필수 작물이며, 따라서 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므로, 여러 가지의 분자표지 발굴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생물의 종 및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은 형태적 또는 이화학적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나, 상기 배추과에 속하는 무를 포함하는 작물은 염색체 구성이 복잡하여 분속지표가 확립되기 어렵기 때문에 거의 주관적으로 품종 및 종 판별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개발된 방법의 경우, AFLP, RAPD 또는 EST 염기서열에 기반을 둔 SNP 또는 SSR 등의 분자표지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개발된 분자표지는 노동력과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무 유전자원을 분류하고 유전체를 분석하기에는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무 유전체의 일부 EST 서열을 기반으로 하기에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무 표준유전체를 기반으로 한 PCR-기반의 분자표지를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무 유전자원의 유전체 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유전체를 보유 및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223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검출용 분자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검출용분자마커를 검출 및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6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검출용 분자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분자마커를 검출 및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GC 함량이 40~60%이고, 56~60℃의 온도에서 PCR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무 작물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증폭 유무 및 증폭 산물의 크기(size)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식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을 검출할 수 있는 분자마커, 분자마커 증폭용 프라이머 세트 및 무 작물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증폭 유무 및 증폭 산물의 크기(size)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규명한 분자마커 및 이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는 다양한 무 유전자원을 계통별, 종별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유전체 구조를 분석할 수 있어 고품질의 무 개량품종 개발, 농수산물의 수출입 원산지 판별, 무 유전제 보유 및 유지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규명한 분자마커를 무 14개의 계통에 적용하여 PCR 분석을 통해 증폭 여부를 전기영동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규명한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14개 계통의 무의 종류를 계통 분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무의 종 또는 계통을 PCR 기반으로 식별할 수 있는 분자표지를 개발한 점에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 품종을 식별하는 방법은 크게 재배시험을 통한 형태적 특성 검정 방법, 종 또는 품종 간 동위효소의 차이를 통한 검정 방법 및 DNA에 기초한 분자 마커를 이용한 검정 방법으로 나뉜다. 이 중 분자 마커를 이용한 검정 방법은 작물의 유전·육종연구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계통 유연 관계 분석 그리고 식물 유전자원의 보존과 관리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Smith et al., 1997. Theor. Appl. Genet. 95: 163-173), 표현형에 근거한 전통적인 식별 방법에 비해 재배 환경 및 작물의 생장 단계에 영향을 받지 않아 객관적이며 재현성 또한 높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식량의 주요 작물이라고 할 수 있는 무는 아직까지 계통분류학이 완성되지 않고 있고 원산지, 품종 등 유전자원의 내역을 신속히 구별할 수 있는 분자마커가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자들은 DNA에 기초한 PCR과 같은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무의 다양한 품종, 계통, 원산지 등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마커를 발굴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무의 고정계통인 WK10039와 WK10024를 대상으로 다형성 지역을 탐색하였는데, 이들 고정계통의 표준유전체 염기서열 매핑 시, 서열간의 삭제 또는 삽입(InDel)이 나타나는 지역을 탐색하였고 서열변이를 증명하는 NGS 서열 read가 7개 이상이며, WK10039와 WK10024 간의 InDel 길이차이가 10bp이상인 지역만을 선별하였다.
이는 InDel 길이차이가 너무 짧은 지역을 선별하게 되면 종 또는 계통간 구분이 PCR 방법으로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탐색 방법을 통해, 하기 표에 기재된 최종 68개의 분자마커를 발굴하였다. 또한, 이들 마커를 대상으로 임의로 265 InDel 좌위에 대해 Primer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mplicon 크기 100~300 bp, 최적 길이 20 bp, Tm 56~60℃, GC 함량 40-60%의 조건으로 분자마커 증폭 또는 검출용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다. 구체적인 프라이머 세트는 하기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연번에 따른 분자마커를 각각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고안하였다. 이들 68개 분자마커를 증폭할 수 있는 136개로 구성되는 68쌍 프라이머 세트는 한번의 PCR 수행이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무를 종류별 계통별 구분이 가능하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검출용 분자마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분자마커는 서열번호 1 내지 68개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분자마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검출용 분자마커를 검출 및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상기 표 1 내지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라이머 세트"란 상보적인 주형과 염기쌍(base pair)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를 위한 시작 지점으로 기능을 하는 짧은 핵산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자마커는 서열번호 1 내지 68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 또는 상기 염기서열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자마커에 해당되는 염기서열과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염기서열(폴리뉴클레오티드)에 대한 “서열 상동의 %”는 두 개의 최적으로 배열된 서열과 비교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확인되며, 비교 영역에서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일부는 두 서열의 최적 배열에 대한 참고 서열(추가 또는 삭제를 포함하지 않음)에 비해 추가 또는 삭제(즉, 갭)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발명에 따른 분자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무의 종(species) 또는 계통 식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무 작물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상기 본 발명의 68쌍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증폭 유무 및 증폭 산물의 크기(size)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분자마커는 각각에 대응하는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증폭될 수 있는데, 즉, 프라이머 세트 1을 사용할 경우 서열번호 1의 분자마커를 증폭할 수 있고, 프라이머 세트 1는 서열번호 2의 분자마커를, 프라이머 세트 3은 서열번호 3의 분자마커를 증폭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는 그 순서에 따라 각 서열번호에 해당하는 분자마커를 증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PCR은 무 유래의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68쌍의 본원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 반응을 수행하여 표적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리가아제 연쇄반응(ligase chain reaction), 핵산 서열 기재 증폭(nucleic acid sequence-based amplificatoin), 전사 기재 증폭 시스템(transcription-based amplification system), 가닥 치환 증폭(strand displacement amplification) 또는 Qβ 복제효소(replicase)를 통한 증폭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핵산 분자를 증폭하기 위한 임의의 기타 적당한 방법이 있다. 이 중에서, PCR이란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표적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세트로부터 표적 핵산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PCR 방법은 통상적인 조건을 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이러한 PCR 방법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키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증폭된 표적 서열은 검출 가능한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로서, 상기 표지 물질은 형광, 인광 또는 방사선을 발하는 물질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 물질은 에티디움브로마이드(Ethidium Bromide: EtBr), Cy-5 또는 Cy-3이다. 표적 서열의 증폭 시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 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물질을 이용한 표지는 PCR 수행 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PCT 반응액에 첨가하면 증폭 산물이 합성되면서 방산선이 증폭 산물에 혼입되어 증폭 산물이 방사선으로 표지될 수 있다.
PCR 방법으로 증폭된 산물이 검출은 DNA 칩, 겔 전기영동, 방산선 측정, 형광 측정 또는 인광 측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증폭 산물을 검출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겔 전기영동을 수행할 수 있다. 겔 전기영동은 증폭 산물의 크기에 따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또는 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광 측정 방법은 프라이머의 5′-말단에 Cy-5 또는 Cy-3를 표지하여 PCR을 수행하면 표적 서열이 검출 가능한 형광 표지 물질로 표지되며, 이렇게 표지된 형광은 형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측정 방법은 PCR 수행시 32P 또는 35S 등과 같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여 증폭 산물을 표지한 후, 방사선 측정기구, 예를 들면, 가이어 계수기(Geiger counter) 또는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증폭된 산물 검출은 겔 전기영동을 통해 증폭된 산물의 크기(size) 및 증폭 유무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 고정 계통인 WK10039와 WK10024 간의 다형성을 검색하여 계통 구분이 가능한 분자표지 지역 탐색
무 고정계통인 WK10039와 WK10024 간의 유전자 다형성을 갖는 분자표지자들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부계 계통의 염기서열 확보를 위하여 Qiagen DNeasy kit을 이용하여 WK10024의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된 gDNA는 Agilent 2100 Bioanalyzer를 이용하여 NGS 서열 결정에 사용될 수 있을 정도로 손상이 없는 gDNA 인지 분석하였다. 이후 양질의 gDNA는 NGS 서열 결정을 위해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라이브러리의 gDNA는 다시 Illumina HiSeq1000을 이용하여 500 bp paired end shotgun sequencing을 수행하여 80X 이상 서열을 생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WK10024 계통의 서열은 무 표준유전체인 WK10039의 서열에 BW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핑 및 정렬하였는데, 다형성 탐색을 위해 상기 매핑된 서열간의 결손(deletion) 또는 삽입(insertion)이 나타나는 지역만을 탐색하였고, 특히 Read depth는 7이상으로, WK10039와 WK10024간의 InDel 길이 차이가 10 bp 이상인 지역만을 선별하였다.
<실시예 2>
무의 종 구분이 가능한 분자표지 발굴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된 WK10039와 WK10024간의 InDel 길이 차이가 10 bp 이상이고 depth가 7이상인 1,039개를 대상으로 무의 종 구분이 가능한 분자표지를 PCR 기반의 방법으로 탐색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디자인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별된1,039개의 후보 분자표지 중에서 임의로 265 InDel 좌위에 대해 Primer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mplicon 크기 100~300 bp, 최적 길이 20 bp, Tm 58℃, GC 함량 40-60%의 조건으로 PCR이 가능하도록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였다.
분석 결과, 1,039개의 후보 분자표지 중에서 68개의 분자표지가 1개 이상의 다형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형성이 확인된 프라이머 세트와 분자표지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분자표지 검출용 프라이머를 이용한 무의 다형성 분석
상기 실시예들에서 확인된 무 종간의 다형성이 존재하는 68개의 분자표지와 이들을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실제적으로 서로 다른 계통의 무를 구분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먼저 하기 표 3에 기재된 무의 대표적인 14개 계통으로부터 gDNA를 CTAB 방법으로 분리하였고, 총 20 ng의 gDNA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의 프라이머 세트들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증폭되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밴드가 증폭되어진 경우는 1, 증폭되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콜링하였다. 이 결과는 NTSYS 2.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체를 분류하였다.
분류 명칭 학 명 기원
육성계통 WK10039 Raphanus sativus cv. WK10039
WK10024 R. sativus cv. WK10024
야생형 W1 R. raphanistrum ssp. raphanistrum 베트남
W2 R. raphanistrum ssp. Munra 인도
W3 R. raphanistrum ssp. Mungra 인도
W4 R. sativus var. raphanistroides Makino 일본
W5 R. sativus var. raphanistroides Makino 한국
W6 R. sativus var. raphanistroides Makino 한국
재배형 C1 R. sativus var. longipinnatus L. H. Bailey cv. Long Scarlet 미국
C2 R. sativus var. radicula Pers. 한국
C3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4 한국
C4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9 중국
C5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0 중국
C6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3 일본
분석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규명한 68개의 분자표지를 14계통에 적용시킨 결과, 각 계통을 구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나아가 전기영동 결과를 이용하여 유전체군을 분리한 결과 야생종과 재배종의 분리 및 구분이 가능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68개의 분자표지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무의 유전체군을 분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of Catholic University <120> Molecular Markers for Selecting radish genetic resources and use thereof <130> PN1808-000 <160> 68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2 <400> 1 tctacaataa cacacgcaca tacaacatat ataacatgtt tagaactcca ataaataaaa 60 actcctacta caagtggcca tttagccttt tcgccgcaag tcagttaccc accttagacg 120 gaaattaata gttgaacaga tatgtagcta aaaaatgttt ttagcttttg tttttttttt 180 caggtgaaga tgacggatag aagtagaatg gag 213 <210> 2 <211> 2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7 <400> 2 tcccaggtta gaatggttta agttgtcggc tgaatcccga aaacaggaca gtagctcaac 60 tagaaacact tgtgagatgt tattcattaa tagaactttg gttctgatcg aaaactcaaa 120 actgtctttt tttttttgaa aaagggcttt aaatcttttt tattgtttac caatgaattt 180 tactaatgga tcctatttta tattctattc tgcataatac aaaatgaacc gt 232 <210> 3 <211> 2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3 <400> 3 atagcgttat acatacacat gcgattcaaa tcatacaatc ttggttccat cataacgata 60 ctcattcgtt gtttattctt tccttggttc tttttcaacc acgacatttg aatgttcata 120 ctaaatttct tctacaagtt gctaatgaaa aatgtttgcg actgtaatat tctaacatat 180 cagctgtatt caaagtttca aacggattat ggattgtaag gtgcttacca taacaccgta 240 gatgaaacga a 251 <210> 4 <211> 20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5 <400> 4 tcttctttcc ttttgtaggc ttgttgttgt tatcgttctt cgctaacgat cccgctgacc 60 cgcaacaatt acccatggct cctttaaaca atgacggatc aaatcaaact ggtcgcagat 120 aggagagatc gaggaatgtt cacgaggtga ttccaagaca atgggggaag atcaagggat 180 ggtggtactt agggatgaaa t 201 <210> 5 <211> 26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4 <400> 5 gtactgtgag acttttcctt gtcataacta aacaacacaa gacacagttg caggcagcaa 60 gacaacatga tatgtataga caacataatc atagagactt gatgagactc aggaactcta 120 tgtagaaaac gtctttaacc aaagttaatt taaaaacatc tttcacaaca taatccatag 180 ctataaaacg aaatcataaa agcatcctta catataatgg tgctaaaaca caaacacatg 240 caaagactac ataaaccgag 260 <210> 6 <211> 19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6 <400> 6 aaaaccagct gaacatccaa ttattgctcc tccaggaaag actggatatg gaatagactg 60 aaattttact agcaccaagt tcaaatatgt cataacatgc caaaacaaaa tctatatcaa 120 cgtacaggtt aatatcttta aggaaaaaag attttaaact cacctgaaaa ccaccttcat 180 ttaaagtacg agct 194 <210> 7 <211> 2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8 <400> 7 acaaagatca ctttagactt cgcctgttcg ccatatgggc tttgttccgg tatctataat 60 aaaagaagaa aaaaatacaa cgaaccattt ttttttgaca tctacaacga accatttata 120 tgtatattat gtgtgttaat taattttact acccatttct ataatatttt aattttgtaa 180 taattcacaa ctatatattc caaagagaaa aagctgtgaa tcgtacttac ctcttgttat 240 tcggc 245 <210> 8 <211> 14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1 <400> 8 attgctgtgt aaatgctagc tagattgtgg atgctattca gaactgtctt ctccctgagt 60 ttgatatttg gttgcagtta gaaatgcagt agattttcac atgattagca gtattatacc 120 tctctgtaac aatggaagaa c 141 <210> 9 <211> 18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2 <400> 9 aggtttgtaa ctgaacttca cacatagtct tcttctgcat cctttttttt atattgttct 60 attgaacctt ggatgggaga agaaaagctt cttcatactt tctcttacaa tcaaaggtga 120 tagattgcag gagaactacg agaaagaggg atctctgctg attattacca cgcagaaatg 180 ga 182 <210> 10 <211> 18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2 <400> 10 agctggtgta tatagtttgg tcaagaaaga aacagacaca aacctggtaa tgcaaaccaa 60 agccgctgtt ttcattgccg gagctcttgt cgcaagaaac aaggcggcca gagacatata 120 cgaaatcatt tggcttcaaa tgcgcaacgc acttccgtgc catcacgtcc caaatactaa 180 gag 183 <210> 11 <211> 2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0 <400> 11 attcaatctg tgctgaaacc tacttacata tgtatatggg gatatgttat tattcgatct 60 gtgccgagac ctagttacat atgaggatgg ccacgtgggc atgcatatat ttagacataa 120 taaataaatg aatattggag gagacaagat agaccgctat aatactgatt gagatgtgga 180 ttgatcctac agacaccatt atcatcattc gccatcatgt c 221 <210> 12 <211> 15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5 <400> 12 agacaaaagg aacagtttcg atttctttga cttttaaaac taaccgtttg ccacaacacg 60 agtgaactaa ctgtaatagc ttaagaagta actctcttat aaacgcaaaa gattttaact 120 ttattatttt cgtgtgtttg gttacattac a 151 <210> 13 <211> 26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0 <400> 13 ttacgttgct ctcgtgagat atacttacgt tgtaaattta tggaaaatcg taggttaaga 60 tcacattcac acatattgac cgatgcaacg acaagtggct tcaacagtac cagtgagatg 120 gcatactact acaatacgta gatatctctc cgtctcataa tcttcaaaat ccaccaccag 180 cttaacatat tacaagatga agtgatgctt cttttttctt tttttcttgg ttaaagaaga 240 cgaaagtgat gtgtggaaag ctat 264 <210> 14 <211> 2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6 <400> 14 gtctcctaat ttgtctgtgt gtttatatca tcttctgctg gaaattaagt acttgtttta 60 gatctggtaa ctttttgcta atcaacttga tgaattgatt gcattaatgt aactccttaa 120 accggatgaa tctcttaaac cgggtttgat tatctcccaa acgaactaca atttgatgaa 180 tttaacacta tacatgtaac tccacacgac a 211 <210> 15 <211> 2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7 <400> 15 tggaaatgaa attctgtctc acctaagttt ttaaagagtt aagaagcaat gtcttgttta 60 agcaaacgag ttgaagcgtg cgtctttcca gcattatcat ttgttggaac gaatctctac 120 ttgtctttcc tcctcctgat tctatatcaa gtttcaatat gttagcttat tgtaatccta 180 ctaataatag acaaatggag ttctttcgga aaaaaaaaat caatttacct ctgtttcctt 240 gatgc 245 <210> 16 <211> 21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8 <400> 16 ttgtcacgat aagtaacgaa cagagttccg gtttggtttt gcatcaataa tcttaaacat 60 aaattaatct tgaataggat tagcaatgat gataaagccg gattaaacaa ggggcctaat 120 aatatttata aaaatgtgtt aatagagtta tcttttaatt gccttctttt tggaacctat 180 ctaatttccc tccatgtggt agatttttcc tc 212 <210> 17 <211> 1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39 <400> 17 tgagcaagtt ttgtacgata acaaaataaa gtaatcttat ataaatcttc tcattggcaa 60 gataagggtg tgatcaagtg ctgtattgct gcaattgtat aaagcaggat tgtactcgag 120 tcaaacttga gcattttctg cattttattc aaacatataa atgcaatcag atgaaaggga 180 a 181 <210> 18 <211> 1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3 <400> 18 ctctctctga agccattaac aaggtatgat agaatcactt tcttttgctc tctggaacat 60 gattagctaa ttctctctct ctctcttgga attcagatcg aggagaagca gagaaacctc 120 tgtctcttgg tcatacagtt catacca 147 <210> 19 <211> 16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7 <400> 19 gtgaaaggaa gggattgaat tcattgagcc gaagcatccg agttgtgttg tatcttagta 60 aggactcctt actaaggagt cagagacggt gatcaattca tgagcaataa taacattctc 120 attttcttta acattactct tcaaaaagag gaggaagcaa a 161 <210> 20 <211> 28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2 <400> 20 actgtaagtc tgcaacatta accaaagagg tgatacttaa agaatgttag gatgagactg 60 gaccataagc gaaatggtca caatatataa tgttgtttat tttttgagat ttgtagggga 120 aaaaaaacaa aaaaggtata cagataattt tggtaaatag ttttggaaga cagcaaaaac 180 acacaatgca ctagcatcgg ttagaaagca aacacaccat tacttttatg cacacaaagt 240 gcagacctaa gagtagcgtg taaaccacta aaagaagagc tttcc 285 <210> 21 <211> 19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4 <400> 21 cgctcttatt gcacttggtt ataaccggtt cagacttctt ccccatgttg ttctcaaaca 60 cctagccatc accacaacat atatatatgc gtcaaaatca gatcatacat agcaaaggcc 120 ttaagatgca atacacatac caaagacaca taaacctaaa atcaatcgag tgtttgtatc 180 gtacctgctt gtacttctt 199 <210> 22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5 <400> 22 cgtaccctaa aaatgatgtc acaatagttt tatcttttca gtgaatctta tttggtgaaa 60 tctgacttac tcagaacaaa gtcaactacc ttttatgtac atcaatgtat acgtcggttt 120 c 121 <210> 23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8 <400> 23 cacacaaggt catgtcagat atcgaattag ccaagtacat tgttaataga caatacaatg 60 aggaacaaat gcatagacgc atgagttctt gactgttatg atccaagcag aaagcaaaat 120 a 121 <210> 24 <211> 15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2 <400> 24 tagtttcaca acctcctctt tctgcttctc ctttgtaaat ctaataaagc aaaatgaggg 60 gactaaaaca ataaactctt ttgtcattgt aatttgtaaa gcaaattttc tcactgacct 120 tgtagtgcaa ggtaaatatt taggctgttt cgtgttacc 159 <210> 25 <211> 17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0 <400> 25 attgaaaagg tgaacaacga gataaaaacg ctgcaactaa attatatatg tgcaacttgg 60 tttacgtatg catattttgt agagtgtatg actatgtatt atgtatagag tcctcaatag 120 tccgtacctg atttgatttt gtactctaga cagcagtgta gctaaacccc tttcattt 178 <210> 26 <211> 18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9 <400> 26 tgatgatagg ctgatagcta aggaacacaa acgtgtttaa aaacacaacg aaatagcact 60 gaactctctc cgagagagtc tctcgtcggt ctataatgat attaacataa taacatcata 120 atatatatat atatatatat atataacgat cagcttgcaa attcccattc tctttccaaa 180 ctact 185 <210> 27 <211> 27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48 <400> 27 caacaacaga atcaaaggag agtcccaaaa gtcttgatct ttaaggatgg atcaagaaga 60 taaaactaag attgaaacct cacagttctc tagcctctca gcctaactat cgatcattta 120 gtcaacagaa gtcaaggcaa caaaagttaa cttaaaaccc aagaagatac acctagactt 180 agtcaaaaga agtcaatgca acaaaaatta actcaaaccc caattctcta gactccctct 240 gtccaacaac acttagtcaa cagaagtcaa gg 272 <210> 28 <211> 18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1 <400> 28 ctgaggtcga aaacaatgag aatagttaat gcaaaagaat aatactttca tgtaatatct 60 gtaaatgggc aaatacaatg gtggtgatca tgaaacaaag catcggagaa tattctcatt 120 gcagctgtcc gttaaagtcc aatgctatat gtagtttctt cacgcttatt atacccttac 180 acg 183 <210> 29 <211> 2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3 <400> 29 gagggatagg aaccttatcg aatagggatt gggctcgctc ccatggagag gaagcactac 60 tacttttatc catctcaaaa ttatccagga cctgagataa ttaataaata aaaggcaagt 120 caaaaccttg aatagagaaa tcaaagaccc tttacagaga aacattcgat ttttacaagt 180 caataaacaa gagataattg acaaataaaa cacaattccg atttgcg 227 <210> 30 <211> 21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4 <400> 30 ccccctcgtt cttcttttta aaattttgaa gttttaaatc actgaaatac ttaattagaa 60 acttctatag attattttgt aagtcatata tagatactat actctttaaa ttctatctag 120 tattggtgtt atgaacatta aacaatataa acaacgtata tatatatttc ttgttggtga 180 tacattcgca tcgctgattg ttcctatgat t 211 <210> 31 <211> 2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5 <400> 31 aatcgcagac atatagtttc tgccactacc tcgatggggt catcgcagac atatagcttc 60 cctttcaatg aactttgcca tatgtgatct ctttcgtgtt gccactcata tctgtcaccg 120 ggtttgcatc tgctgcacat cctattgttc ttcatagctg tccttcacat cctctatagt 180 tgatgcttgg cagactcaag gtacaacaat cctgaatacc t 221 <210> 32 <211> 2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6 <400> 32 atttcccttt tgtgtgatac tggttgatat ggtttacata tggatataaa accatgttgc 60 agaatcttga tgtttacctc agttacttgt ctagattctt gcataagata ctatggaaac 120 tctcagggaa gataattgat tgagcttcaa caaagtccaa aaaagtatgt ttatatagga 180 actgaagaga gcttaaaatg aagacatttg cttagaaaca acggatttgg tct 233 <210> 33 <211> 19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58 <400> 33 taacatttgc gatcgagaaa agaaaaatat gcataaccta gaaatggaga aacgaagata 60 atcaaaggga atacgagaaa ctgattgcct accatgtata cgaaaatttc agcgaagaat 120 tgggatacag agagacttgg cctttgttct cttgaatcga gaatggggga tatagaggag 180 gaagaaggtg 190 <210> 34 <211> 1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0 <400> 34 aatccaaaac catctgagaa tcgctcaaag aagttactaa gagaaagctg attaaaacgg 60 gtagacacag aatagacttg gcattttaaa atctagtttt aagaatgttg aatggaaaag 120 agagtttgat tacttgacag agatcatctt ctccaa 156 <210> 35 <211> 2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8 <400> 35 ctgcatcaac atccgataca aaacaaaaaa cccttctaga ttataccata tataaaacta 60 tacgtagata aggctgatgc caaacctatt gaaccaacat ctgatacaaa ccacaaaacc 120 ttctagatta taccatttta tctatatgta gataaggcta aagccacact tgtaatgcaa 180 agagtaaccc caagtaagta ccatcatgtc aagtgga 217 <210> 36 <211> 1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5 <400> 36 ccggattcag actactctca atacaaaatt ttattctgaa gtagaatttt caaacgttga 60 tttcacatct gtgaaaaata taaacttaag accctaaatt atatgtctat caaaagaaaa 120 gcacaaccag tcctatta 138 <210> 37 <211> 17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6 <400> 37 atttgagtga aaccaaagta gggaatcaga tcagataaac ttcttattgt cgttacagta 60 tcatgaaaga tacaaaaatg acttttgata ttggcttaaa tcagaaataa atatgaatct 120 ttaatcaata gtatgaacga gatttagatt tagaaaatga gatctggaag agacacat 178 <210> 38 <211> 1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7 <400> 38 agaccaaaat ctcagtgacc ttattttaga tatgaaactc actattgaag ggttaaattt 60 cttggaacaa caatatgaaa gaccttatcc ttgaggaatg agagtgttcg tgcaaactat 120 caatatgatc catgttaact ggaacaac 148 <210> 39 <211> 18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3 <400> 39 acatgctttt ctcttgtttc tcaaaagaga gaaatgtctc ttattaaaca gtatgtaacc 60 aactcacagc tgcttaaaaa tgcagagtgt ttattgatct attgatttcg caatgaattg 120 tttattgatc tatatggcta ctcagtaaat ggttcagaga ttacccagtg cttcttattc 180 tct 183 <210> 40 <211> 1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0 <400> 40 tccctaatga tctcagctta tcctccatgc taaacgtttc ttcataatct gaaatttcaa 60 attataaagg tcagagcaat tcttgccctg gaacatctga caattgactt cagaactgtg 120 a 121 <210> 41 <211> 16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1 <400> 41 agctaaagtg ctttttgttt gttttttggt gtcaaataac aatatttaca tctcaaacaa 60 tgaattattt tggaaagaag agcttagaac attgcattag tacttaaaga agagcaatat 120 tcactacatt cctctttttt gtgcacaaaa tgatcgcatt aat 163 <210> 42 <211> 19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2 <400> 42 ctctagtgga agattatccc ctcgtcttcc tgttcctgat cacataccaa ggccttcata 60 tcttgagtct agcgagccac caaagatatc aagtgcgtat cagttttctg attccaaatg 120 cattgtgaat tagactgtgc aggaaattcg gctgtagtaa gtacagatta gtatttcttc 180 tttttctcgt ggttctc 197 <210> 43 <211> 17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81 <400> 43 gaaccaacag tgaagaatct caaggaggcc aaacgtgtac tcagatacgt tcaaggaacg 60 ttggagattg gattgagatg cactcgagtc agtgaaccaa tgctcattgg atactctgat 120 atactgttat attttctaaa ctaaataatt cttacgttac agacttgcac 170 <210> 44 <211> 2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7 <400> 44 caatcttctt ctccatccac aaacatgggg tactgtttgt tcttttagtg tttctattga 60 tttttttttt gttattgtaa tttctagttt atcattgaat tatatagaag attctgcatc 120 agtgcgtgtt tgtttatgga gatgtatgtt gattgcttgt tttcttggtt tgagaaattt 180 taatctaaag atataagagt taataaggag atttagtgtg ttaagtttga tgattggatt 240 gtgtgt 246 <210> 45 <211> 16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5 <400> 45 agtattgacg aactcaaagc aaaatccttg gctaattcca gctattacat aatattagat 60 tgaaaacata aatatagata atacacacat catttgtaca taatttgtta tatgtataaa 120 aaatctctat ccggctctaa gcgaggatta acctttcgca atacctca 168 <210> 46 <211> 1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79 <400> 46 tatccccttg ttcagaactg taagctgtaa atacacaaag aatcgtttaa aacacccaat 60 gattcaccaa acacacacaa aagattagtt tctaatgaat gattccaaga aaaggaggag 120 gcataattac ttggccatga acgtcattag ctaaaccaga ggctaa 166 <210> 47 <211> 17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83 <400> 47 ggtacacaca atcctctgat tttttagtta gtgcaaatag tagtataaat tattttctaa 60 cacaactaaa ttattgagta ccaacaatag attttcctat gatcagaaat tttccacatt 120 attttcactc aaaaatccaa tatgctaaaa tatagaaact ccccagtcac aaa 173 <210> 48 <211> 20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84 <400> 48 catgcaaatg aaccatcaga ttgcttaagc atcacctgcc acggccctgc attattattt 60 ttatatcaga catggataga cagttaaggt gactggtatt gacaatggtt ccgcatattt 120 gatagacaca gagacatgta ccggagccat atacatttat tcccgggaga gaatactata 180 gtatttacca ggatattgcc gaaaaag 207 <210> 49 <211> 18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87 <400> 49 gtcatcgcga tatgattctc tttatatatc actattatta ttactttctt gatggtgtgt 60 aattaaaaat gttgtagcta aaaaaaatgt tatagctatt atacgcaacc cacttctttt 120 attgtttttc attagaagtt tttgacatac aaccgatgct aaaaatgtaa tcccgtgtcc 180 aaat 184 <210> 50 <211> 2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88 <400> 50 acgtgatttt gatttctgaa cctaaagact tatctgatta ataccctccc acattatttt 60 cttgcaccaa aagccatcgt tttagttttc aatcaatctt gtaaaccttt ataacgtttt 120 tatcatgttg gatttggtaa aatcgtgata aagtatcaaa tataaagcag acgtacaaac 180 ctctgataac ttatcacaaa atcttagtat agatcaagat tcacatgttt ttcttgttca 240 gacaacgtat cacaaa 256 <210> 51 <211> 1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0 <400> 51 atacggtttt taggttggtt ctggtaaact gaatggtcat tcctaatgga caatattgca 60 agtgaacggt tcaaaactgt aaagtggtcc aaagagcatc aaaactggga taacgaagtc 120 tcatgagaca gctttattcc tg 142 <210> 52 <211> 18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1 <400> 52 caaagcaaga tagactccag aagctcagta accaatttag acatcaaggt cctcccacct 60 gaaagaaaca agagaacctt ttaatatttc agtagagcag tattcatgta ttttttttta 120 tcagcaaacg aatgaaacag taaaatcaaa atctcacaag cactaagtgc ctaaagtagc 180 atttgg 186 <210> 53 <211> 17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2 <400> 53 ttacgatttc tggttttcat cgtcggttat ggtttcttca gttactttct acaaagaact 60 aaaatggcta tttaatattt actaacacga ggaaaatatt taagatcttc tattttattt 120 atttttttgt tagcccacag tttttccctt catggctttc tcgttctttg tctctaa 177 <210> 54 <211> 1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4 <400> 54 ctgttatcaa cgtattggaa ccatttgatg gccttcttac cgacgctagg catgatcgga 60 caattcaaat agttgaattg tgtttcaagt gcgttgacca gttgaattgt gtgtacaatg 120 cgttgatcag ttttaaagc 139 <210> 55 <211> 18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5 <400> 55 aaagttgaaa gcttgatctc aggaacccaa caaagtatcc gatgaaagct tatgcaatct 60 caattttgca aggatcaagc ttgaagaagc aaatctcaac aactttaaca ttcatcgaca 120 ctgtcatcaa tgatttgatt cattctgcta aaaaaaaaaa aagaaacgaa ctttttgtta 180 cagtttgc 188 <210> 56 <211> 18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96 <400> 56 aacagaaact atccatcgca aaacgggata ccatctatta ataatcacat gggttccaca 60 aacttaccag ccgttcaaca ggctgctgct gcggctgcgg ctgatgaagc aaatgagtct 120 agctcggtgc agaagatact taatgagatc ctgatgaaca accaagctca taatacctca 180 g 181 <210> 57 <211> 1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06 <400> 57 gtagtcggaa agagattcat cagcttcggc ttctcctgct gcccaaacaa aacgttggtg 60 tttctagccg gagatccttt gagaaacctc ccttgttcat ctgcatgatc aatacggtaa 120 120 <210> 58 <211> 1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09 <400> 58 catcactgaa acttgcattt gttacacaac agtgaaagaa aaaaacaata agaaccaaaa 60 gagggaaaca agttttgtga gaatcatacc gggttccaag tgtgaagatg ccagaatttc 120 tgatgattcc tcc 133 <210> 59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10 <400> 59 cagtagcaag caatgaagta tcaattcgct aatacgttac agtttgtatg cacaatacat 60 aatagcccgt gttcacctaa taactaatgg gcctttaaaa tcaaatcctg taaagttaac 120 tcagcccatt atcacattag ggtttt 146 <210> 60 <211> 21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25 <400> 60 ctacaagcga aaatgaacat gtgtcaaggt atttgttaaa aacaagacga gtcaagattc 60 attatccgcc agaaacatgc aatgatcaaa gctctaacat atgaaacaag aaggaaaagg 120 ccactcacct gacaggatag ataagtccat tttgaagtgc aagaacactg aaacgagtga 180 tcacaaagag tactgaggat accactagtg 210 <210> 61 <211> 17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26 <400> 61 tggaaatgtg ttagctttct tgtgtgttat aatgcgtctt gttattgatt cggtttactt 60 gttttctttt ggtgggtaag ataatgtggg cggaggccat gagcaaactt gaaggcatgg 120 attcatcaga aagagagcgc ctatggcctc agcttgtgca aggttttaaa gatc 174 <210> 62 <211> 14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17 <400> 62 tctcttcttc atatctggtc tcgttgtcaa tctccttcag gtgtggcttt cctcttaaag 60 tcgaaacctt ttttaagatt cctttgcaga tctcctcttc tctttgtaca cttgttctct 120 gtattgattc actgttgtta gggttc 146 <210> 63 <211> 16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33 <400> 63 gcttaatccc tcaaatacga acacaacgcg taatattcat gatactaggg cattaagaca 60 cgtacatgag gacttttcat gttccggagt gtgtggatgg aagatgctta gtgaacgaac 120 gaattcacca aactcgatca caccgtttcg cttcctatca aacata 166 <210> 64 <211> 1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50 <400> 64 tgattttgtt tcgtgattag ggttaatcac tagctcaggg tcagaatagt aatctccgga 60 taataactgc agtaacaaaa acatttagaa acttttgttg ttttaattca aaaactgttt 120 ctgttatata cagttgtttt gagcctcg 148 <210> 65 <211> 13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46 <400> 65 acataatgtc cccactcata actttttttt gtctccataa ctttgtctat gccaccaact 60 atgacaaatt tgaagatata tagtcagtcg catctaaatc tctctttcta atggccatat 120 gtattgatta gcagca 136 <210> 66 <211> 13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247 <400> 66 atctgatggt tggaaagaaa gtgaatctgc tggtgaagat tttaagcttc tgtgggagaa 60 agttcttcag gttgttgagc atcagatgca aacgacgaga taccaattga acttcaatgt 120 gttggtacaa gag 133 <210> 67 <211> 17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4 <400> 67 ttatattccc cttgttttcc gtgttttttt agaaactgaa cttgtaattg gttaaacaac 60 gaaatcgcta aatacactat attttttaaa aagatggaat gaaatgtgag aaataaatct 120 cagtgaattt cttaatgaga gtatgtggcc gcaatgactt atgtagtttt g 171 <210> 68 <211> 2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InD63 <400> 68 aaagttgctg ccttgttatg tatattagat ttgattctaa gcattaagca cccgttttgg 60 ctcttaagac aagttaagag actctgtctc ttttagacag gtaactcttg tggcaagcag 120 aacaacacgg gaagatggaa gccaagttct ttaggttctt gaagattgtt ggagttggat 180 acaaagccag agctgaggag gctggccgtt tcttatacct taag 224

Claims (3)

  1.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재배형 무의 판별용 분자마커로서,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4,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9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3 중 하나의 종인 것이고,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 보다 큰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longipinnatus L. H. Bailey cv. Long Scarlet, R. sativus var. radicula Pers. 및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0 중 하나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형 무의 판별용 분자마커.
  2.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분자마커를 검출 또는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 세트 18을 포함하는 재배형 무의 판별용 조성물로서,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4,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9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3 중 하나의 종인 것이고,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 보다 큰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longipinnatus L. H. Bailey cv. Long Scarlet, R. sativus var. radicula Pers. 및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0 중 하나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형 무의 판별용 조성물.
  3. 무 작물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제2항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산물을 전기영동하여 증폭 유무 및 증폭 산물의 크기(size)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배형 무의 판별 방법으로서,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의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4,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09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3 중 하나의 종인 것이고,
    사이즈마커의 100 내지 200 bp 사이에서 나타나는 2개의 밴드 중, 150 bp 보다 큰 밴드가 나타난 경우에는 R. sativus var. longipinnatus L. H. Bailey cv. Long Scarlet, R. sativus var. radicula Pers. 및 R. sativus var. hortensis Becker cv. DB110 중 하나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형 무의 판별 방법.
KR1020180100152A 2018-08-27 2018-08-27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2106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52A KR102106214B1 (ko) 2018-08-27 2018-08-27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52A KR102106214B1 (ko) 2018-08-27 2018-08-27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387A Division KR20160082292A (ko) 2014-12-30 2014-12-30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508A true KR20180098508A (ko) 2018-09-04
KR102106214B1 KR102106214B1 (ko) 2020-05-07

Family

ID=6359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152A KR102106214B1 (ko) 2018-08-27 2018-08-27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2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610A (ko) 2019-11-13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 자원을 판별하기 위한 kasp 분석용 snp 마커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3186332A (zh) * 2021-05-09 2021-07-30 湖北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用于构建萝卜分子身份证的sv分子标记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926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동부한농 무 세포질 판별용 엽록체 dna 마커
KR20130022328A (ko) 2011-08-26 2013-03-06 (주)아모레퍼시픽 고주파 미용기기
KR20130122328A (ko) * 2012-04-30 2013-11-07 대한민국(국립종자원장)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무 품종 식별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9926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동부한농 무 세포질 판별용 엽록체 dna 마커
KR20130022328A (ko) 2011-08-26 2013-03-06 (주)아모레퍼시픽 고주파 미용기기
KR20130122328A (ko) * 2012-04-30 2013-11-07 대한민국(국립종자원장)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무 품종 식별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ong-Hwan Mun, et al., Theor. Appl. Genet. (2015) 128:pp.259-272 *
Sunggil Kim, et al., Theor. Appl. Genet. (2009) 119:pp.189-19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610A (ko) 2019-11-13 2021-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무 자원을 판별하기 위한 kasp 분석용 snp 마커 세트 및 이의 용도
CN113186332A (zh) * 2021-05-09 2021-07-30 湖北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用于构建萝卜分子身份证的sv分子标记及其应用
CN113186332B (zh) * 2021-05-09 2022-02-15 湖北省农业科学院经济作物研究所 一种用于构建萝卜分子身份证的sv分子标记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214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692B1 (ko) 국내 수박 품종의 유연관계 분석과 품종구별을 위한 dna마커
KR101912192B1 (ko) 도라지 품종 판별을 위한 분자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101095220B1 (ko) 배추 뿌리혹병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1816573B1 (ko) 수박의 덩굴마름병 저항성 또는 감수성 판별용 마커
KR20160082292A (ko)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1976974B1 (ko) 포도 품종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06214B1 (ko) 무 유전자원 분석을 위한 분자표지 및 이의 용도
KR102052428B1 (ko) 머루 자원 구별을 위한 ssr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961653B1 (ko) 고구마 품종 판별용 snp 분자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605530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딸기 품종식별 방법
KR102192666B1 (ko) 황색 과육의 복숭아 품종 선발용 snp 마커
KR20090088492A (ko) 배추 염기서열 정보로부터 개발된 미세부수체 분자 표지와이를 이용해 작성된 유전자 지도
KR101144988B1 (ko) 사과의 품종 판별용 scar 표지 및 이의 용도
CN110541039A (zh) 基于草地贪夜蛾全基因组序列开发的ssr引物组及其应用
KR102332689B1 (ko) 인삼 &#39;금진&#39; 및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미토콘드리아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332688B1 (ko) 인삼 &#39;선향&#39;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핵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219546B1 (ko) 녹두에서 바구미 저항성 연관 분자표지 개발 및 이의 용도
KR102458440B1 (ko)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고추 역병 저항성 판별 방법
KR101766274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블루베리 품종식별 방법
KR102335806B1 (ko) 대추 산조 품종을 구별하기 위한 엽록체 게놈 서열 기반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74274B1 (ko) 대추 품종 &#39;보은&#39;과 &#39;추석&#39;을 판별하기 위한 분자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267332B1 (ko) 고구마 품종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품종 판별 방법
KR102315978B1 (ko) 상추 재배특성 형질 판별을 위한 snp 마커와 프라이머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150117326A (ko) 사과에서 유래된 ssr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KR102429948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산겨릅나무의 개체 식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