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341A - 중간 매체식 기화기 - Google Patents

중간 매체식 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341A
KR20180098341A KR1020187021236A KR20187021236A KR20180098341A KR 20180098341 A KR20180098341 A KR 20180098341A KR 1020187021236 A KR1020187021236 A KR 1020187021236A KR 20187021236 A KR20187021236 A KR 20187021236A KR 20180098341 A KR20180098341 A KR 20180098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medium
medium
liquid
evaporato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에가시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6/0884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15723A1/ja
Publication of KR20180098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3/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 F28D3/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flows in a continuous film, or trickles freely, over the conduits with tubula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17C2227/0316Wate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0/00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 F28F2260/02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having micro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중간 매체식 기화기(10)는, 해수와 액상의 중간 매체 M 사이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중간 매체 M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 M을 응축시킴으로써, LNG를 기화시켜 NG를 유출시키는 LNG 증발기 E2를 구비한다. LNG 증발기 E2는, 중간 매체 M의 유로인 제1 유로와 LNG의 유로인 제2 유로가 형성된 적층체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적층형 열교환기는, 제1 유로 내를 중간 매체 M이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유로가 상하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중간 매체식 기화기
본 발명은,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LNG 등의 저온 액체를 기화하는 장치로서, 열원 유체에 추가로 중간 매체를 사용하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매체 증발기(81)와, LNG 증발기(82)와, 가온기(8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는, 열원 유체로서의 해수가 통과하는 경로로서, 입구실(85), 다수 개의 전열관(86), 중간실(87), 다수 개의 전열관(88) 및 출구실(89)이, 이 순서로 설치되어 있다. 전열관(86)은 가온기(83) 내에, 또한 전열관(88)은 중간 매체 증발기(81) 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기(81) 내에는, 해수의 온도보다도 낮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예를 들어 프로판)가 수용되어 있다.
LNG 증발기(82)는, 입구실(91) 및 출구실(92)과, 입출구실(91, 92)을 연통하는 다수 개의 전열관(93)을 구비하고 있다. 각 전열관(93)은 대략 U자 모양을 하고, 중간 매체 증발기(81) 내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출구실(92)은, NG 도관(94)을 통해 가온기(83) 내에 연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화기에 있어서, 열원 유체인 해수는, 입구실(85), 전열관(86), 중간실(87) 및 전열관(88)을 통과해 출구실(89)에 이른다. 이때, 전열관(88)을 통과하는 해수는, 중간 매체 증발기(81) 내의 액상 중간 매체 M과 열교환하여 당해 중간 매체 M을 증발시킨다.
한편, 기화 대상인 LNG는, 입구실(91)로부터 전열관(93)으로 도입된다. 이 전열관(93) 내의 LNG와 중간 매체 증발기(81) 내의 증발 중간 매체의 열교환에 의해, 당해 중간 매체 M이 응축됨과 함께, 그 응축열을 받아 LNG가 전열관(93) 내에서 증발되어, NG로 된다. 이 NG는, 출구실(92)로부터 NG 도관(94)을 통과해 가온기(83) 내에 도입되고, 이 가온기(83) 내의 전열관(86)을 흐르는 해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더 가열된 후, 이용측에 공급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서는, LNG 증발기(82)가 다수의 전열관(93)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LNG 증발기(82)가 상당한 중량으로 되어버린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0-227200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는, 열원 매체와 액상의 중간 매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를 응축시킴으로써, 저온 액화 가스를 기화시켜 가스를 유출시키는 액화 가스 기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중간 매체의 유로인 제1 유로를 갖는 제1 유로층과 저온 액화 가스의 유로인 제2 유로를 갖는 제2 유로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적층형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유로 내를 상기 중간 매체가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제1 유로가 상하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 설치된 LNG 증발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 설치된 가온기를 구성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종래의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중간 매체식 기화기(이하, 단순히 '기화기'라고 칭함)(10)는, 중간 매체 M을 통해 열원 매체인 해수의 열을 저온 액화 가스인 LNG(액화천연가스)에 전달하고, LNG를 기화시킴으로써 NG(천연가스)를 얻는 장치이다. 중간 매체 M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화기(10)는, 액화석유가스(LPG), 액체질소(LN2) 등, LNG 이외의 저온 액화 가스를 기화 혹은 가온시키는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화기(10)는, 중간 매체 증발부인 중간 매체 증발기 E1과, 액화 가스 기화부인 LNG 증발기 E2와, 가온기 E3을 구비하고 있다. LNG 증발기 E2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온기 E3은, 셸(1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셸(11)과 가온기 E3의 사이에는, 중간실(14)이 형성되어 있다.
셸(11)은, 수평 방향으로 긴 형상이다. 셸(11) 내의 하부에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다수의 전열관(20)이 배치되어 있다. 셸(11) 내의 상부에는, LNG 증발기 E2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11)을 구성하는 한 쌍의 측벽 중 한쪽에는, 중간실(14)이 인접하고, 다른 쪽에는 출구실(18)이 인접하고 있다. 전열관(20)은, 셸(11) 내의 공간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전열관(20)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11)을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중, 중간실(14)과 셸(11) 내의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제1 측벽(11a)과, 출구실(18)과 셸(11) 내의 구획벽으로서 기능하는 제2 측벽(11b)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이 전열관(20)은, 일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지만, 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열관(20) 내는, 중간실(14) 및 출구실(18)과 연통하고 있다.
출구실(18)에는, 해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4)이 접속되어 있다. 출구실(18) 내의 해수는, 배출관(24)을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셸(11) 내에는, 해수의 온도보다도 낮은 비점을 갖는 중간 매체(예를 들어 프로판) M이 수용되어 있다. 중간 매체 M은, 모든 전열관(열원 유체, 예를 들어 해수가 흐르는 전열관)(20)보다도 상측에 액면이 위치할 정도로 수용되어 있다.
출구실(18)의 상방에는, LNG의 입구실(26)과, NG를 도출하는 출구실(28)이 설치되어 있다. 입구실(26)에는, LNG를 도입하기 위한 공급관(30)이 접속되어 있다. 출구실(28)에는, NG를 도출하기 위한 도출관(3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출구실(28)이 입구실(26)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처럼 편의상 그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출구실(28)과 입구실(26)은, 후술하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의 구성에 의해, 측방에 배열되어 있다. 단,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NG 증발기 E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로(41a)와 제2 유로(42a)가 형성된 적층체(38)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일례인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서는, 단부판(43, 43) 사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로층(41, 42)의 적층체(38)가 끼워 넣어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적층체(38)는, 중간 매체 M이 흐르는 다수의 유로(제1 유로)(41a)가 오목 형성된 제1 유로층(41)과, LNG가 흐르는 다수의 유로(제2 유로)(42a)가 오목 형성된 제2 유로층(42)이 교대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유로(41a)를 흐르는 중간 매체 M과 각 제2 유로(42a)를 흐르는 LNG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고, LNG가 가열됨으로써 기화한다.
제1 유로층(41) 및 제2 유로층(42)은, 모두 수직 자세이면서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전열관(20)이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되어 있다. 단, 유로층(41, 42)은, 수직 자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진 자세여도 된다. 또한, 유로층(41, 42)은, 전열관(20)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지 않고, 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여도 된다.
각 제1 유로(41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제1 유로층(4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적층체(38)의 상측에 헤더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유로(41a)의 상단은, 셸(11) 내에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셸(11) 내의 가스 상태 중간 매체 M은, 헤더를 통하지 않고 제1 유로(41a)에 직접 유입된다.
또한 제1 유로(41a)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유로(41a)는,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중에 구부러지거나 사행하거나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요는, 제1 유로(41a)는, 중간 매체 M이 유입 단부로부터 유출 단부까지 제1 유로(41a) 내를 중력으로 흘러내려, 유출 단부로부터 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적층체(38)의 하측에는 액체 저장소(45)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45)는, 제1 유로(41a) 내에서 응축된 중간 매체 M을 저류하는 것이며, 적층체(38)의 하단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45)는, 그 내부 공간이 모든 제1 유로(41a)에 연통되도록, 적층체(38)의 하면의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유로(41a)의 하류측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저류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에 의해, 제1 유로(41a)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이 막혀 있다. 또한, 제1 유로(41a) 내의 하단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과, 액체 저장소(45) 내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사이에는, 기체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며, 혹은 기체층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운전 상황에 따라 바뀌게 된다.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제1 유로(41a)의 하측에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저류되어 있게 되기 때문에,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이, 제1 유로(41a)의 하측으로부터 흡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액체 저장소(45)의 저면에는 액밀봉관(46)이 접속되어 있다. 액밀봉관(46)은, 액체 저장소(45)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액밀봉관(46)의 하단부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저류된 중간 매체 M에 잠겨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밀봉관(46)의 하단부는, 중간 매체 M에 잠기고 또한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각 전열관(20)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액밀봉관(46)은, LNG 증발기 E2의 하부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상부를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소(45)의 저면은,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저류된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도 상측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LNG 증발기 E2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액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액체 저장소(45) 내 및 액밀봉관(46) 내는, 액상의 중간 매체 M으로 채워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액밀봉관(46)은, 액체 저장소(45) 내의 액상 중간 매체 M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을 연결하고 있다. 액밀봉관(46)은, 액체 저장소(45)의 저면의 면적보다도 충분히 작은 단면적을 갖고 있다.
각 제2 유로(42a)는, 제1 유로(41a)와 직교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제2 유로층(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하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2 유로(42a)는, 곧바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중에 구부러져 있어도 되며 사행하고 있어도 된다.
유로(41a, 42a)는, 예를 들어 금속판(41, 42)을 에칭함으로써 형성되고, 예를 들어 반 원형 단면의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유로(41a, 42a)는, 예를 들어 0.2㎜ 내지 3㎜의 유로 폭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판(43, 43) 사이에 끼워 넣어진 유로층(41, 42)의 적층체(38)가 2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조에서는, 도 2의 앞부터 안쪽을 향해 LNG가 흐르고, 다른 쪽 조에서는, 한쪽 조를 흐른 후의 LNG가 도 2의 안쪽부터 앞을 향해서 흐른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2 패스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45)는, 양쪽 패스의 제1 유로(41a)에 연통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체 저장소(45)는, 이 구성 대신에, 제1 패스를 구성하는 적층체(38) 내의 제1 유로(41a)에 연결되는 제1 액체 저장소와, 제2 패스를 구성하는 적층체(38) 내의 제1 유로(41a)에 연결되는 제2 액체 저장소를 별개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액밀봉관(46)은, 제1 액체 저장소에 연결되는 제1 액밀봉관과, 제2 액체 저장소에 연결되는 제2 액체 밀봉관을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도 2의 안쪽 및 앞쪽에는, 모두 헤더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도 2에서는, 편의상 앞쪽 헤더(분배 헤더(48) 및 집합 헤더(50))가 생략되었다. 헤더로서는, 입구실(26)을 통해 도입되는 LNG를 각 제2 유로(42a)로 분배하는 분배 헤더(48)(도 1 참조)와, 제1조의 적층체(38) 내의 각 제2 유로(42a)를 흐른 LNG를 집합시킴과 함께, 제2조의 적층체(38) 내의 각 제2 유로(42a)로 분배하는 접속 헤더(49)와, 제2조의 적층체(38) 내의 각 제2 유로(42a)를 흐른 NG를 집합시켜 출구실(28)로 유도하는 집합 헤더(50)(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편의상 분배 헤더(48)와 집합 헤더(50)가 상하로 나란히 그려져 있지만, 실제는 측방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LNG 증발기 E2)가 2 패스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1 패스, 혹은 3 패스 이상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적층형 열교환기(LNG 증발기 E2)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파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금속판이 적층됨과 함께, 인접하는 금속판 간의 공간이 제1 유로 및 제2 유로로서 형성되는 플레이트 핀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도출관(32)에는, 가온기 E3이 접속되어 있다. 가온기 E3의 하우징(52)은, 셸(11)과의 사이에 중간실(14)을 형성하고 있다. 셸(11)과 반대측의 하우징(52)의 측벽에는, 열원 매체인 예를 들어 해수의 입구실(53)이 설치되어 있다. 입구실(53)에는, 열원 매체인 예를 들어 해수가 도입된다.
하우징(52) 내에는, 열원 매체인 예를 들어 해수가 유통하는 다수의 전열관(54)(전열관식 열교환기 E3b)과, 도출관(32)으로부터 NG가 도입되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온기 E3의 하우징(52) 내에는, 중간 매체 M2가 봉입되어 있다. 중간 매체 M2는, 예를 들어 프로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열관(54)은, 중간실(14)에 인접하는 측벽과, 입구실(53)에 인접하는 측벽의 사이에 걸쳐져 있다. 전열관(54)은, 하우징(52) 내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2의 액면보다도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적층형 열교환기 E3a는, 액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온기 E3의 적층형 열교환기 E3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LNG 증발기 E2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온기 E3 내의 적층형 열교환기 E3a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매체 M2가 흐르는 제1 유로(56a)가 형성된 제1 유로층(56)과, LN이 흐르는 제2 유로(도시생략)가 형성된 제2 유로층(57)의 적층체가 단부판(58, 58) 사이에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유로(56a)의 상단은 적층체의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제2 유로는, 제1 유로(56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는, 서로 반대측을 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 헤더(61, 62)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앞쪽 헤더는, 도출관(32)에 접속되는 유입측 헤더(61)이다. 유입측 헤더(61)와 반대측에는, 제2 유로를 흐른 NG를 집합하여 유출시키는 유출측 헤더(6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 패스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헤더(61, 62)는 전후 양 측면으로 나뉘어 있다. 단, 1 패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 패스 이상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는, LNG 증발기 E2와 마찬가지로, 액체 저장소(59) 및 액밀봉관(63)이 설치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59)는, 적층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액밀봉관(63)은 액체 저장소(59)의 저면에 접속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59)는, 그 내부 공간이 모든 제1 유로(56a)에 연통되도록, 적층체의 하면의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액체 저장소(59)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2는, 제1 유로(56a)의 하단부의 하방을 막고 있다. 액밀봉관(63)은, 액체 저장소(59)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액밀봉관(63)의 하단부는, 하우징(52) 내에 저류된 중간 매체 M2에 잠겨 있다. 또한, 제1 유로(56a) 내의 하단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2와, 액체 저장소(59) 내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2의 사이에는, 기체층이 존재하고 있어도 되며, 혹은 기체층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NG는, 도출관(32)을 통해 유입측 헤더(61)에 유입되고, 유입측 헤더(61)를 통과해 각 제2 유로로 분류된다. 각 제2 유로 내의 NG는, 제1 유로(56a)의 중간 매체 M2에 의해 가열된다. 이 NG는, 유출측 헤더(62)에 유입되고, 그 후, 배출관(65)을 통과해 이용측에 공급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화기(10)의 운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셸(11) 내의 하부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은, 중간실(14)을 통과해 각 전열관(20) 내에 유입된 해수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또한, 해수는, 전열관(20)으로부터 유출되고, 출구실(18) 및 배출관(24)을 통과해 외부로 배출된다.
증발된 중간 매체 M은, 셸(11)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LNG 증발기 E2에 있어서, LNG와 열교환한다. 구체적으로는, LNG 증발기 E2에 있어서는, 제1 유로(41a) 내의 중간 매체 M과 제2 유로(42a) 내의 LNG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고,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은 응축되고, LNG는 증발된다. 이때 중간 매체 M의 응축에 의해, 제1 유로(41a) 내의 압력이,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의 주위 압력보다도 저하된다. 제1 유로(41a)의 하단부보다도 하측은, 액체 저장소(45) 및 액밀봉관(46)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액체 저장소(45) 및 액밀봉관(46)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의 높이의 차에 따른 헤드(차압)가, 제1 유로(41a) 내에 대한 중간 매체의 유입 흡인력으로서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은, 제1 유로(41a)의 상단부의 개구를 통해 제1 유로(41a) 내에 흡입되고, 제1 유로(41a)의 하단에서는 흡인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1 유로(41a) 내에는, 중간 매체 M이 흘러 내리는 방향의 유동이 발생한다. 제1 유로(41a)를 흘러내린 중간 매체 M은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다. 이와 같이, 셸(11) 내에서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과 LNG 증발기 E2의 사이에서 중간 매체 M의 순환이 반복된다.
LNG 증발기 E2에서 기화한 NG는, 출구실(28)을 경유하여 도출관(32)을 흘러 가온기 E3에 도입된다. 가온기 E3에서는, 도출관(32)으로부터 유입측 헤더(61)를 통과해 적층형 열교환기 E3a의 제2 유로에 유입된다. 제2 유로 내의 NG는, 제1 유로(56a) 내를 흐르는 중간 매체 M2에 의해 가열되고, 유출측 헤더(62) 및 배출관(65)을 경유하여 이용측에 공급된다.
가온기 E3에 있어서도, 중간 매체 M2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의 제1 유로(56a) 내를 위로부터 아래로 흘러내린다. 즉, 가온기 E3의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 있어서도, LNG 증발기 E2와 마찬가지로, 액체 저장소(59)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2의 액면과, 하우징(52) 내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2의 액면과의 높이의 차에 따른 헤드(차압)가, 제1 유로(56a) 내에의 중간 매체 M2의 유입 흡인력으로서 작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가 적층형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LNG 증발기 E2가 다관식 열교환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LNG 증발기 E2를 소형화할 수 있음과 함께 경량화할 수 있다. 게다가, 적층형 열교환기가, 제1 유로(41a) 내를 중간 매체 M이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형 열교환기에서는, 제1 유로(41a) 내에서 중간 매체 M이 응축하는 데 수반하여, 제1 유로(41a) 내의 압력이 내려감으로써,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이 제1 유로(41a) 내에 유입되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LNG 증발기 E2가, 제1 유로(41a)와 제2 유로(42a)가 형성된 적층체(38)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유로(41a) 내에 중간 매체 M을 압입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에 액체 저장소(4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유로(41a)의 하단보다도 하방이 액상의 중간 매체 M으로 막힌다. 이로 인해, 이 하류측 단부로부터 제1 유로(41a) 내로 중간 매체 M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41a)에는, 중간 매체 M이 일 방향으로부터 유입되게 되기 때문에, 제1 유로(41a)에서의 중간 매체 M의 흐름을 얻기 쉬워진다. 따라서, 중간 매체 M이 중간 매체 증발기 E1과 LNG 증발기 E2의 사이에서 순환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저장소(45)와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을 연결하는 액밀봉관(46)이 설치되고, 액밀봉관(46) 내에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채워져 있다. 이로 인해,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액밀봉관(46)을 통과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유로(41a) 내에서 중간 매체 M이 응축하는 데 수반하여, 제1 유로(41a) 내의 압력이 내려갔을 때에는,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과의 높이의 차에 따른 헤드(차압)가, 제1 유로(41a) 내로의 중간 매체 M의 유입 흡인력으로서 작용한다. 이때, 액밀봉관(46)의 길이에 따라서, 액체 저장소(45)에 있어서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있어서의 액면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거리에 따라서, 제1 유로(41a) 내로의 흡인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액밀봉관(46)에서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서의 액면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저장소(45)가 직접, 당해 액면에 연결되는 경우에 비하여, 중간 매체 M의 증발면이 적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는,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11)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중간 매체 M이 셸(11) 내에서 중간 매체 증발기 E1과 LNG 증발기 E2의 사이를 순환한다. 이로 인해,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 M이 제1 유로(41a)에 흡입될 때까지의 유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자연 순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의 적층형 열교환기가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이다. 이로 인해, LNG 증발기 E2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저장소(45) 및 액밀봉관(46)이 설치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저장소(45) 및 액밀봉관(46)이 생략되고, LNG 증발기 E2가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밀봉관(46)만이 생략되고, LNG 증발기 E2 및 액체 저장소(45)가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밀봉관(46)이 생략되고, 액체 저장소(45)가 직접,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저류된 중간 매체 M에 접촉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액체 저장소(45)에 형성된 개구를 통과하여, 액체 저장소(45) 내의 중간 매체 M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중간 매체 M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도,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 M의 액면의 높이의 차는 커지지 않지만, 이 차에 따라서 헤드(차압)에 따른 중간 매체 M의 흡인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온기 E3 내의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 설치된 액밀봉관(6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생략할 수 있어, 가온기 E3 내의 액체 저장소(59)도 직접, 가온기 E3 내의 중간 매체 M2의 액면에 담글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소(59)가 생략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온기 E3이 중간 매체식 열교환기로서 구성되고,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생략되고, 도출관(32)을 통해 가온기 E3의 하우징(52) 내에 도입된 NG와 전열관 내를 흐르는 열원 매체인 예를 들어 해수가 직접 열교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가온기 E3은, 하우징(52) 내가 NG로 충만되고, 그 안에 전열관이 배치된 다관식 열교환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가온기 E3이 설치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가온기 E3이 생략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는, 중간실(14)도 불필요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여기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11) 내에 배치되는 구성인 데 반하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67)의 외측에 설치되고, LNG 증발기 E2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을 서로 접속하는 순환용 배관(66)이 설치되어 있다. 순환용 배관(66)은,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67)의 상면과 LNG 증발기 E2의 헤더(68)(후술)의 상면을 접속하는 제1 배관(66a)과, 액체 저장소(45)의 하면으로부터 셸(67) 내로 연장되는 제2 배관(66b)을 갖고 있다.
중간 매체 증발기 E1은, 셸(67) 내에 설치된 다수의 전열관(20)을 구비하고 있다. 셸(67) 내에는,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모든 전열관(20)이 잠기는 위치까지 충전되어 있다.
LNG 증발기 E2는, 하면에 액체 저장소(45)가 설치되고, 상면에 헤더(68)가 설치된 구성이다. 헤더(68)의 하면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더(68)의 상면에는, 제1 배관(66a)을 흐르는 중간 매체 M을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를 통해 헤더(68) 내에 유입된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은, 적층체(38) 내의 각 제1 유로(41a)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가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플레이트 핀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배관(66b)은 액밀봉관으로서 기능한다. 제2 배관(66b)은 셸(67)의 내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제2 배관(66b)의 하단은, 중간 매체 증발기 E1 내의 액상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액상의 중간 매체 M은, 중간 매체 증발기 E1 내의 액면으로부터 제2 배관(66b) 및 액체 저장소(45)에 걸쳐 채워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온기 E3에 있어서도,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의 하우징(7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가온기 E3은, 중간 매체식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열원 매체(예를 들어 해수)와 중간 매체 M2를 열교환시키는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와, 중간 매체 M2와 NG를 열교환시키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와,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와 적층형 열교환기 E3a를 서로 접속하는 접속 배관(69)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 배관(69)은,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의 하우징(70)의 상면과 적층형 열교환기 E3a의 헤더(72)(후술)의 상면을 접속하는 제1 접속 배관(69a)과, 액체 저장소(59)의 하면으로부터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의 하우징(70) 내의 액면까지 연장되는 제2 접속 배관(69b)을 갖고 있다.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는 하우징(70) 내에 배치된 다수의 전열관(54)을 갖고 있고, 전열관(54) 내에는 열원 매체인 예를 들어 해수가 흐른다. 하우징(70) 내에는, 액상의 중간 매체 M2가, 모든 전열관(54)이 모두 잠기는 위치까지 충전되어 있다.
적층형 열교환기 E3a는, 하면에 액체 저장소(59)가 설치되고, 상면에 헤더(72)가 설치된 구성이다. 헤더(72)의 하면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더(72)의 상면에는, 제1 접속 배관(69a)을 흐르는 중간 매체 M을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구를 통과해 헤더(72) 내에 유입된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은, 적층체 내의 각 제1 유로(56a)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플레이트 핀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LNG 증발기 E2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LNG와 열교환하면, 응축된다. 이에 의해, LNG 증발기 E2의 제1 유로(41a) 내의 압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중간 매체 증발기 E1에서 증발된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은, 제1 배관(66a)을 통과해 LNG 증발기 E2에 흡인된다. LNG 증발기 E2 내에서 응축된 액상의 중간 매체 M은, 액체 저장소(45)에 저류된다. 제2 배관(66b)에도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저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유로(41a)의 하측은 액상의 중간 매체 M으로 막혀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소(45) 및 제 2 배관(66b) 내의 액상의 중간 매체 M이 내려가려는 힘이 제1 유로(41a) 내로의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 M의 흡인력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1 배관(66a)으로부터 LNG 증발기 E2 내로의 중간 매체 M의 유동이 발생한다.
LNG 증발기 E2에 있어서 가스화한 NG는, 도출관(32)을 통과해 가온기 E3의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 도입된다. NG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에 있어서 중간 매체 M2에 의해 가열되어, 이용측에 공급된다. 적층형 열교환기 E3a와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의 사이에 있어서도, 중간 매체 증발기 E1 및 LNG 증발기 E2 사이의 중간 매체 M의 순환과 마찬가지로, 중간 매체 M2의 자연 순환이 발생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간 매체 증발기 E1의 셸(67)을 소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형 열교환기(LNG 증발기 E2)의 이상 시에, 중간 매체 증발기 E1이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점검 등을 하기 쉬워지게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배관(66b)이 셸(67)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제2 배관(66b)의 하단이 중간 매체 증발기 E1 내의 액상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2 배관(66b)의 하단은 중간 매체 M의 액면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배관(66b)은 액밀봉관으로서는 기능하지 않는다. 가온기 E3의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2 접속 배관(69b)은 하우징(70)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제2 접속 배관(69b)의 하단은 전열관식 열교환기 E3b의 하우징(70) 내의 액상 중간 매체 M2의 액면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제2 접속 배관(69b)의 하단은 액상의 중간 매체 M2의 액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온기 E3은, 도 7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다관식 열교환기 E3b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온기 E3을 구성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E3a가 생략되고, 열원 매체인 해수와 NG가 전열관에 있어서 직접 열교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그 설명을 생략하지만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 형태의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중간 매체식 기화기는, 열원 매체와 액상의 중간 매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를 응축시킴으로써, 저온 액화 가스를 기화시켜 가스를 유출시키는 액화 가스 기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중간 매체의 유로인 제1 유로를 갖는 제1 유로층과 저온 액화 가스의 유로인 제2 유로를 갖는 제2 유로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적층형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유로 내를 상기 중간 매체가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제1 유로가 상하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본 중간 매체식 기화기에서는, 액화 가스 기화부가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화 가스 기화부가 다관식 열교환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액화 가스 기화부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적층형 열교환기가, 제1 유로 내를 중간 매체가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형 열교환기에서는, 제1 유로 내에서 중간 매체가 응축되는 데 수반하여, 제1 유로 내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가스 상태의 중간 매체가 제1 유로 내에 유입되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액화 가스 기화부가,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형성된 적층체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유로 내에 중간 매체를 압입하는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중간 매체식 기화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에는, 상기 제1 유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가 저류되는 액체 저장소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제1 유로의 하류 측단부로부터 제1 유로 내로 기체의 중간 매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로에는, 중간 매체가 일방향으로부터 유입되게 되기 때문에, 제1 유로에서의 중간 매체의 하방을 향하는 흐름의 형성이 촉진된다. 따라서, 중간 매체가 중간 매체 증발부와 액화 가스 기화부의 사이에서 순환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중간 매체식 기화기는, 상기 액체 저장소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을 연결하는 액밀봉관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액밀봉관 내에 액상의 중간 매체가 채워져 있으며, 액체 저장소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와, 중간 매체 증발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가 액밀봉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유로 내에서 중간 매체가 응축되는 데 수반하여, 제1 유로 내의 압력이 떨어졌을 때에는, 액체 저장소에 저류된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의 높이의 차에 따른 헤드(차압)가, 제1 유로 내로의 중간 매체의 유입 흡인력으로서 작용한다. 이때, 액밀봉관의 길이에 따라서, 액체 저장소에 있어서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부에 있어서의 액면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거리에 따라서, 제1 유로 내로의 흡인력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액밀봉관에서 액체 저장소에 있어서의 액면과 중간 매체 증발부의 액면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저장소가 직접 중간 매체 증발부의 액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하여, 중간 매체 증발부에 있어서 중간 매체의 증발면이 적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중간 매체가 상기 셸 내에서 중간 매체 증발부와 액화 가스 기화부 사이를 순환한다. 이로 인해, 중간 매체 증발부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가 제1 유로에 흡입될 때까지의 유동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자연 순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 외에 마련되고, 상기 중간 매체식 기화기는,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끼리를 접속하는 순환용 배관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적층형 열교환기의 이상 시에, 중간 매체 증발부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적층형 열교환기의 점검 등이 용이해진다.
상기 적층형 열교환기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여도 된다. 이 양태에서는, 액화 가스 기화부를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란, 전열 특성이 우수한 다수의 금속판의 적층에 의해 형성된 적층체를 구비한 열교환기이다. 이 적층체는, 중간 매체가 흐르는 유로가 오목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로층과, 저온 액화 가스가 흐르는 유로가 오목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로층이 교대로 적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금속판에 형성된 유로는, 예를 들어 0.2㎜ 내지 3㎜의 유로 폭을 갖고 있다.

Claims (6)

  1. 열원 매체와 액상의 중간 매체 사이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중간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키는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서 증발된 중간 매체를 응축시킴으로써, 저온 액화 가스를 기화시켜 가스를 유출시키는 액화 가스 기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중간 매체의 유로인 제1 유로를 갖는 제1 유로층과 저온 액화 가스의 유로인 제2 유로를 갖는 제2 유로층이 적층된 적층체를 갖는 적층형 열교환기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적층형 열교환기는, 상기 제1 유로 내를 상기 중간 매체가 중력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제1 유로가 상하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설치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에는, 상기 제1 유로의 하류측에 있어서 액상의 중간 매체가 저류되는 액체 저장소가 설치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소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에 고인 액상의 중간 매체의 액면을 연결하는 액밀봉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셸을 갖고,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 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와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를 접속하는 순환용 배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는, 상기 중간 매체를 수용하는 셸을 갖고,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는,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 외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용 배관은, 상기 중간 매체 증발부의 셸과 상기 액화 가스 기화부를 접속하고 있는, 중간 매체식 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열교환기는,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인, 중간 매체식 기화기.
KR1020187021236A 2015-12-28 2016-12-22 중간 매체식 기화기 KR20180098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56407 2015-12-28
JPJP-P-2015-256407 2015-12-28
JP2016246384A JP6839975B2 (ja) 2015-12-28 2016-12-20 中間媒体式気化器
JPJP-P-2016-246384 2016-12-20
PCT/JP2016/088414 WO2017115723A1 (ja) 2015-12-28 2016-12-22 中間媒体式気化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341A true KR20180098341A (ko) 2018-09-03

Family

ID=59272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236A KR20180098341A (ko) 2015-12-28 2016-12-22 중간 매체식 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39975B2 (ko)
KR (1) KR20180098341A (ko)
CN (1) CN108369074A (ko)
NO (1) NO20180948A1 (ko)
SG (1) SG11201805050W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783A (ko) * 2018-11-22 2021-07-22 스미토모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확산 접합형 열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8587B2 (ja) 2018-03-30 2021-05-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中間媒体式気化器
CN110080846A (zh) * 2018-04-23 2019-08-02 江苏科技大学 一种带lng冷能利用功能的整体式中间介质汽化器及发电系统
JP6767546B1 (ja) * 2019-07-02 2020-10-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液化天然ガス気化器及び冷水供給方法
WO2021235337A1 (ja) * 2020-05-22 2021-11-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中間媒体式熱交換器
JP7411601B2 (ja) 2020-06-19 2024-01-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中間媒体式熱交換器
JP2023000414A (ja) * 2021-06-17 2023-01-04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液化炭酸ガス昇温設備および液化炭酸ガス昇温方法
CN115479209B (zh) * 2022-11-15 2023-03-10 无锡特莱姆气体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的中间介质气化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200A (ja) 1999-02-04 2000-08-15 Kobe Steel Ltd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34213U (ko) * 1971-05-08 1972-12-16
JPS535207A (en) * 1976-07-05 1978-01-18 Osaka Gas Co Ltd Vaporizer of liquefied natural gas
JPS5955272U (ja) * 1982-09-25 1984-04-11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用熱交換器
JPS59117999A (ja) * 1982-12-23 1984-07-07 Kyodo Sanso Kk 低温液化ガスの冷熱回収装置
JPH0633970B2 (ja) * 1989-09-12 1994-05-02 東京瓦斯株式会社 液化天然ガスの冷熱回収用熱交換器
JPH08291899A (ja) * 1995-04-20 1996-11-05 Chubu Electric Power Co Inc 液化天然ガスの気化装置及びその冷却待機保持方法
JP2003214777A (ja) * 2002-01-21 2003-07-30 Yazaki Corp 液化ガス蒸発装置
US6622519B1 (en) * 2002-08-15 2003-09-23 Velocys, Inc. Process for cooling a product in a heat exchanger employing microchannels for the flow of refrigerant and product
JP2005282951A (ja) * 2004-03-30 2005-10-13 Institute Of Tsukuba Liaison Co Ltd 一体型積層構造熱交換器
JP5221070B2 (ja) * 2007-07-26 2013-06-26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積層型流路要素の製造方法及び積層型流路要素
CN202328324U (zh) * 2011-09-23 2012-07-11 航天科工哈尔滨风华有限公司 管壳式中间介质气化器
JP5943619B2 (ja) * 2012-01-31 2016-07-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積層型熱交換器及び熱交換システム
KR101376531B1 (ko) * 2012-11-22 2014-03-19 주식회사 코헥스 천연가스 추진선박용 액화천연가스 기화 시스템
CN103822092B (zh) * 2014-01-27 2016-02-17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一研究所 板壳式中间流体型气化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200A (ja) 1999-02-04 2000-08-15 Kobe Steel Ltd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783A (ko) * 2018-11-22 2021-07-22 스미토모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확산 접합형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9975B2 (ja) 2021-03-10
JP2017120125A (ja) 2017-07-06
CN108369074A (zh) 2018-08-03
SG11201805050WA (en) 2018-07-30
NO20180948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8341A (ko) 중간 매체식 기화기
JP3946398B2 (ja) 中間媒体式気化器及び当該気化器を用いた天然ガスの供給方法
US6748763B2 (en) Multistoreyed bath condenser
JP4202928B2 (ja) 一体式熱交換器を有する浸水式蒸発器
JP4701147B2 (ja) 2段吸収冷凍機
JP6341099B2 (ja) 冷媒蒸発器
CN111902672B (zh) 中间介质式气化器
KR102086641B1 (ko) 중간 매체식 기화기
JP2013211297A (ja) 沸騰冷却装置
WO2017115723A1 (ja) 中間媒体式気化器
CN105444467B (zh) 吸收式热泵
JP6136944B2 (ja) 蒸発器
WO2021235337A1 (ja) 中間媒体式熱交換器
WO2022124292A1 (ja) 気化器及び気化方法
CN107782191B (zh) 热交换器管
JP7212919B2 (ja) 凝縮器
JP2018146110A (ja) 洋上浮体式施設
JP2021183868A (ja) 中間媒体式熱交換器
FI123371B (fi) Järjestely ja menetelmä pisaroiden erottamiseksi höyrystyneestä kylmäaineesta
JP7411601B2 (ja) 中間媒体式熱交換器
JP6116113B2 (ja) 凝縮器、及びこれを備えた凝縮システム
WO2017104293A1 (ja) 中間媒体式気化器
JP2006200851A (ja) 吸収式冷凍機
JP2021081116A (ja) 沸騰冷却装置
JP2010223463A (ja) 沸騰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12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20

Effective date: 2021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