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839A -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839A
KR20180097839A KR1020170024507A KR20170024507A KR20180097839A KR 20180097839 A KR20180097839 A KR 20180097839A KR 1020170024507 A KR1020170024507 A KR 1020170024507A KR 20170024507 A KR20170024507 A KR 20170024507A KR 20180097839 A KR20180097839 A KR 20180097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skin damage
bengal
improvi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양
이지영
주환빈
이춘몽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02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839A/ko
Publication of KR20180097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8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뱅갈고무나무(Ficus banghal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하고, 미세먼지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저해를 억제하는 효과 및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FICUS BENGHALENSIS FOR IMPROVING SKIN DAMAGE FROM HEAVY METAL CHELATION OR PARTICULATE MATTER}
본 발명은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직경 10㎛ 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또는 제조업ㆍ자동차 매연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기관지를 거쳐 폐에 흡착되어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대기오염물질이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 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 지름이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 지름이 2.5㎛ 이하(PM 2.5)인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미세먼지는 질산염(NO3 -), 암모늄(NH4 +), 황산염(SO4 2-) 등의 이온 성분과 탄소화합물(carbon compounds), 금속(elements) 화합물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는 미세먼지 중 디젤에서 배출되는 BC(black carbon)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감기, 천식,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물론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질환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지,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한다(PM 2.5).
황사는 중국의 고비사막과 몽골에서 주로 3월 봄철에 날아오는 모래를 말한다. 반면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급 발암물질로 정한 미세먼지는 중국 상하이와 칭다오 지역의 매연과 자동차 배기가스 등이 포함된 고농도의 대기오염물질이다.
미세먼지는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염증성 피부질환뿐 아니라 피부노화, 탈모, 피부암에도 영향을 미친다. 미세먼지는 모공의 크기보다 최대 20배 정도 작기 때문에 피부 내로 쉽게 침투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미세먼지의 공격은 피부장벽의 보호 기능을 상실시킴으로써 심각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체내 활성산소의 증가가 피부 세포에서 염증 반응, 주름 생성, 색소 침착을 증가시키며 심각하게는 피부암 발병에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미세먼지는 단기적으로 조기 노화, 수분 부족, 색소 침착, 잔주름과 주름을 증가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되돌릴 수 없는 피부 손상으로 인해 피부가 환경적 요소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상실하면서 피부암과 같은 심각한 병을 초래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29706호는 진귤(Citrus sunki) 과피 추출물, 고사리삼(Sceptridium ternatum 또는 Botrychium ternatum) 추출물 및 백기생(Korthalsella japonic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사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유발되는 피부 염증 완화용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8015호는 구아바, 조릿대, 울금, 백수오 및 섬오가피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3-7009061호는 피커스 세럼 분획을 포함하는 피부의 과색소 침착 완화 효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천연 식물 성분들에 대한 다양한 피부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 천연 식물 추출물 중에서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이 미세먼지에 의한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 및 중금속과 미세먼지 흡착효과를 보임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부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저해를 억제하는 효과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뱅갈고무나무(Ficus banghal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뱅갈고무나무(Ficus banghal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저해를 억제하는 효과 및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은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는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상록다년초로써, 인도와 스리랑카 방글라데시가 주원산지이며, 열대지방과 온대지방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잎의 형태는 유광의 타원형으로 연황색과 녹색의 불규칙적인 무늬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뱅갈고무나무(Ficus beanghalensis)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또는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뱅갈고무나무의 발효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의 전초를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 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 ~ 1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의 제조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 (d)발효공정을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며, 하기에 언급한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뱅갈고무나무 ( Ficus benghalensis )추출물 제조
뱅갈고무나무의 전초를 깨끗한 물로 씻어 건조시킨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건조한 추출물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하기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ELISA 키트를 이용한 미세먼지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저해 억제효과 콜라겐(collagen) 생합성 측정 결과
인간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를 37℃, 5% CO2 배양기에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 내에서 10% FBS, Penicillin(50U/ml), Streptomycin(50/ml)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으로 배양하여, 1× 105개/ml로 24 well plate에 500㎕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타입 I(collagen type I)의 정량은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kit(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효소면역분석법(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실시하였는데, 분석을 위해 48시간 동안 배양한 상기의 세포 배양 상등액을 조심스럽게 수집하였다. 먼저 'Procollagen Type I c-peptide와 결합하는 항체(antibody)가 코팅된 스트립(strip)에 48시간 배양된 배양 상등액을 각각 100 ul씩 첨가하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워싱버퍼(washing buffer)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한 다음, 여기에 블라킹 버퍼(Blocking buffer) 100 ul씩 넣고, 다시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워싱버퍼(washing buffer)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고, 'Procollagen Type I c-peptide'와 결합하는 또 다른 항체에 POD가 콘쥬게이트된(conjugated) 용액(Antiobody-POD conjugate solution)을 100 ul씩 넣고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워싱 버퍼(washing buffer)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미반응 물질을 제거하고, 동량의 기질(substrate) 용액 넣고,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정지용액(stop solution, 1N H2SO4)을 넣고 실험을 종료하였다. 실험이 종료된 스트립(strip)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라겐 표준품과 비교하여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PICP 양으로 측정하였으며 PICP 양은 ng/2x104세포로 환산하여 콜라겐의 합성효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처리 농도(중량%) 콜라겐 생합성율(%)
황사 (0.01%) PM2.5 (0.01%) PM10 (0.01%)
미세먼지 무처리 100 100 100
미세먼지 처리 19.15 20.91 21.74
제조예 1 60.7 59.8 62.7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은 미세먼지에 의해 저해되는 콜라겐 생합성율을 일정 수준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2 - 미세먼지에 의한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
상기 제조예 1의 추출물이 미세먼지에 의해 히아루론산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예 2를 실시하였다. 사람의 섬유아세포를 10% FBS가 포함된 DMEM에 배양하여 24웰 플레이트에 2x104 cells/웰의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70-80%로 자란 세포의 배지를 Serum-free DMEM로 교체하고 5시간 배양하였다. 5시간 배양 후 제조예 1의 추출물을 각각 500ppm을 처리하였다. 배양 3일 후 배지 내 총 히아루론산의 양을 Hyaluronan Quantikine ELISA Kit(R&D biosystem)을 이용하여 합성된 히아루론산의 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ng HA/mg protein)
미세먼지 무처리 49.12
미세먼지 처리 11.43
제조예 1 39.14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은 미세먼지에 의해 분해되는 히알루론산을 일정 수준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 중금속 및 미세먼지 흡착 효과
본 실험예 3은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납, 알루미늄 및 미세먼지를 0.1%의 농도로 한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원자흡수분광법을 통하여 제조예 1의 흡착효과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납 흡착율(%) 알루미늄 흡착율(%) 미세먼지 흡착율(%)
대조군 - - -
제조예 1 24.1 19.7 37.9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은 중금속 및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처방예 1 - 화장수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4와 같다.
처방예 1 함량 (단위:중량%)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제조예 1)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피이지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EDTA-2Na
벤조페논-9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에탄올
옥틱도데세스-16
폴리솔베이트 20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5.0
3.0
1.0
0.1
0.3
0.02
0.04
5.0
10.0
0.2
0.2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2 - 크림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처방예 2 함량 (단위:중량%)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제조예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세테아릴알콜
스테아린산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경화식물유
스쿠알란
광물유
트리옥타노인
디메치콘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글리세린
베타인
트리에타올아민
소듐히아루로네이트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2.0
2.2
1.5
1.0
1.5
0.6
1.0
3.0
5.0
5.0
1.0
0.1
5.0
3.0
1.0
4.0
미량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 에센스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처방예 3 함량 (단위:중량%)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제조예 1)
글리세린
베타인
피이지 1500
알란토인
DL-판테놀
이.디.티.에이-2Na
벤조페논 - 9
히드록시에칠 셀룰로오스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트리에탄올아민
옥틸도데칸올
옥틸도데세스 -16
에탄올
방부제, 향, 색소
증류수
3.0
10.0
5.0
2.0
0.1
0.3
0.02
0.04
0.1
8.0
0.2
0.18
0.3
0.4
6.0
미량
잔량
합계 100

Claims (5)

  1. 뱅갈고무나무(Ficus benghalensis)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콜라겐 생합성 저해를 억제하는 효과 또는 미세먼지에 의한 히알루론산 분해 억제 효과를 갖는,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30.0 중량% 함유되는,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로 추출되는,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24507A 2017-02-24 2017-02-24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07A KR20180097839A (ko) 2017-02-24 2017-02-24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507A KR20180097839A (ko) 2017-02-24 2017-02-24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39A true KR20180097839A (ko) 2018-09-03

Family

ID=63600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507A KR20180097839A (ko) 2017-02-24 2017-02-24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8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61B1 (ko) 중금속 및 미세 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14399B (zh) 包含八仙花发酵物的皮肤刺激缓解及皮肤炎症缓解用化妆品组合物
KR100711007B1 (ko)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4149A (ko) 청호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101238291B1 (ko) 해조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904919A (zh) 一种除螨调理剂、沐浴露及其制备方法
KR101611931B1 (ko) 해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아쿠아포린 3의 생합성을 촉진하는 방법
KR101415996B1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2357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21537B1 (ko) 다시마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1545B1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3310B1 (ko) 짝자래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5557B1 (ko) 수련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1812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7839A (ko) 뱅갈고무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617B1 (ko) 나비콩꽃, 브델리아 및 수레국화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