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007B1 -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007B1
KR100711007B1 KR1020050069029A KR20050069029A KR100711007B1 KR 100711007 B1 KR100711007 B1 KR 100711007B1 KR 1020050069029 A KR1020050069029 A KR 1020050069029A KR 20050069029 A KR20050069029 A KR 20050069029A KR 100711007 B1 KR100711007 B1 KR 10071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buckwheat extract
functional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4412A (ko
Inventor
류종수
고인영
오달균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05006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007B1/ko
Publication of KR20070014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메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산화능, 중금속의 독성 경감 효과 및 주름 개선 효능을 갖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유해 산소에 대한 항산화능이 뛰어나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대기 중의 중금속의 제거 능력 및 피부 주름개선 능력이 우수하다.
메밀, 식물 추출물, 항산화, 중금속, 화장료

Description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Fagopyrum esculentum}
도 1은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며,
도 2는 쿼세틴과 비교한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며,
도 3은 메밀 추출물의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며,
도 4a는 카드뮴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을 나타내며, 도 4b는 피틴산 농도에 따른 카드뮴 독성 경감 효과를 나타내며, 그리고 도 4c는 메밀 추출물 농도에 따른 카드뮴 독성 경감 효과를 나타내며,
도 5는 CL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을 이용하여 카드뮴에 의한 세포내의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발생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6a는 메밀 추출물의 세포 증식능 측정 결과이며, 그리고 도 6b는 메밀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7a는 메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HaCat 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7b는 메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F10 세포 증식능을 측정한 결과이며, 도 7c는 메밀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aCaT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며 그리고 메밀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F10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며,
도 8a는 메밀 추출물의 열안정성 실험결과이며, 도 8b는 메밀 추출물의 pH 안정성 실험결과이며, 그리고
도 9는 메밀 추출물을 20, 40, 60, 8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항산화능, 대기 중의 중금속의 제거 능력 및 피부 주름개선 능력을 갖는 메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은 비록 생명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발생이 빈번하고 사람의 경제 및 사회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피부 관리 및 피부질환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이를 산업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한편,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노화와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관련비용의 지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용은 잠재적인 사회비용으로 취급되고 있어 전체적인 의료비용은 급격한 증가추세에 있다.
현재의 피부, 미용 관련 산업은 미국과 유럽 등의 선진국이 대부분 독점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향후 피부질환 치료 및 예방 기술의 수요, 기능성 화장품 시장과 피부 미용제품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 유럽 등의 관련기업들은 새로운 아시아시장의 확대를 위해 동양인의 피부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인종별로 차별화된 피부의 색과 노화의 형태가 다르고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미 개발된 기술과 제품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렵다. 이러한 선진국의 환경에 견주어 국내에서도 새로운 피부관련 유효 활성 및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과 이를 활용한 고기능성의 제품을 창출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현재의 화장품 등의 피부 관련 산업에서는 외부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의한 피부손상 정도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손상에 대해 방어할 수 있는 안전한 효능물질을 평가하는 기술을 확보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는 완전한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는 않고 있다. 더구나 사계절이 뚜렷한 국내의 기후에 적합한 자생식물로부터의 유래물질로 소재를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면 미국, 유럽 등지의 관련 선진 업체의 기술과 소재 모두를 차별화하여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술적인 위치를 점하게 되고 제품의 경쟁력과 차별성의 확보도 대단히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메밀은 여러 연구진들에 의해 항산화력이 높음이 밝혀져 있다. 특히, 춘천산 메밀은 전국 제일의 품질로 인정받고 있으며 식품원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메밀과 관련된 연구로는 메밀의 구성성분인 루틴이 혈 관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혈관계 질환을 예방, 치유할 수 있는 효력을 갖는 건강보조 식품(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6-0027158 호), 메밀내의 루틴함량을 증가시킨 차(茶)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995-0000296 호) 등 식품과 음료 등에 한정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피부 질환 혹은 피부 미용과 관련된 메밀의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식품용도로 많이 개발되어 있는 메밀추출물로부터 피부 질환을 억제, 완화하는 기작을 밝히고 항산화능, 대기 중의 중금속의 제거 능력 및 피부 주름개선 능력을 갖는 메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산화능, 중금속의 독성 경감 효과 및 주름 개선 효능을 갖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날로 심해지는 공해(중금속 및 유해산소 다량 함유)로부터 피 부를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화장료 첨가제의 개발을 목표로 메밀 부위별 추출물의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력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대기 중의 중금속의 제거 능력 및 피부 주름개선 능력을 함께 측정하여 춘천 특산물인 메밀의 새로운 활용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메밀추출물의 일반적인 성상 및 약리작용은 다음과 같다.
메밀의 학명은 파고피럼 에스컬렌텀(Fagopyrum esculentum) Moench로서 일반적으로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잎과 꽃이 붙은 윗가지를 베어 그대로 말려서 제약원료로 쓴다. 메밀의 주요성분은 루틴(rutin)으로서 재배 기간 및 식물부위, 약초를 말리는 방법에 따라 함량이 달라진다. 루틴함량은 씨를 심어 싹이 돋아날 때부터 25~30일이 지나서 가장 높고 꽃이 피기직전이 가장 높다. 부위별로 루틴의 함량은 꽃봉오리 4.5%, 핀꽃은 14%, 잎은 9~10%, 줄기는 0.3~0.4%이다. 루틴의 비타민 P의 작용에 의해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낮추고 취약성을 회복시키는 작용이 있다. 작용기전이 확실하지는 않으나 아드레날린과 아스코르브산의 산화를 억제하여 체내 축적량을 늘리므로서 혈관저항성을 높인다고 여겨진다. 동의칠에서 메밀쌀을 적체, 종창, 어린이 단독, 이지등의 항염증, 독풀이 열내림의 목적으로 사용하였으며, 민간에서는 고혈압, 간염을 앓을때에 메밀가루 반죽, 메밀죽을 만들어 먹으며, 루틴은 알약으로 제조하여 모세혈관출혈, 뇌출혈의 예방 및 동맥경화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서의 메밀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0.001-1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001-5중량%이다. 만일,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포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가장 중요한 성분인 메밀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열수 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및 메탄올 추출법 등 통상적인 식물추출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를 이용한 에탄올 추출법 혹은 순수 물을 이용한 열수 추출법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는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에탄올과 물의 혼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된 메밀의 양의 20 내지 40 배 정도의 양을 사용하며, 물,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20-60중량% 및 에탄올 40-80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일 이러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추출이 안되거나 변성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메밀 추출물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메밀의 종피 또는 줄기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추출된 메밀 추출물은 pH 2-7 범위에서 안정하며 또한 온도 변화(약 20-80℃)에 대해서도 화학,물리적으로 안정한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메밀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 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하기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가. 시료 준비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든 시료는 강원도 춘천시 동내면 신촌리에 위치한 춘천 향토 막국수 협의회 영농조합법인으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메밀을 종자와 종피, 줄기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든 후 각 부위별 중량의 20~40배의 40%, 50% 에탄올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12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MeOH 추출 시료 역시 각 부위별 중량의 20~40배의 메탄올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3~1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또한 열수추출법은 각 부위별 중량의 20~40배의 증류수를 혼합하여 80~100℃에서 3~12시간 동안 추출하였으며 각 각의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메밀 부위별 추출물들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분리 정제를 하고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들을 완전히 제거한 후에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얻은 분말 형태의 추출물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메밀추출물의 유해산소에 대한 항산화능 평가
항산화제는 유해산소나 유해질소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능력이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유해산소에 대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따로 측정한다. 수퍼옥시드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아제 시스템으로 수퍼옥시드를 발생시키고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SOD)에 의한 수퍼옥시드의 제거 속도를 시토크롬 c의 환원이나 DMPO 스핀 트랩을 이용한 전자상자성공명법(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으로 측정한다. 한편, 히드록실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펜톤 반응으로 히드록실 라디칼을 발생시킨 후 DMPO 스핀 트랩을 이용한 EPR방법으로 정량한다. 메밀 추출물들을 가하고 이들의 유해산소 제거 능력을 EPR 신호의 감소로 측정한다.
(1)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1-1 재료 및 시약 (단위는 최종농도)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 pH 7.4 (킬레이티드된)
DTP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50 uM]
DMPO (5.5-dimethyl-1-pyrroline N-oxide) [180 mM]
크산틴 [1 mM]
카탈라아제 [1 uM]
25 unit 크산틴 옥시다아제
1-2. 측정 방법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은 크산틴/크산틴 옥시다아제에 의해서 생성되는데, 반응 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불안정하다. 그래서 DMPO 라는 물질을 이용해서 생성된 라디칼을 안정하게 트랩핑하고 ESR을 이용해 이 신호를 탐지하게 된다. 이때 금속이온을 제거하기 위해서 DTPA를 첨가하였다. 또,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산화수소(H2O2)도 같이 생성되기 때문에 이를 제거시키기 위해 카탈라아제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pH 7.4) 185ul와 전이금속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DTPA 4ul를 혼합하고 DMPO 4ul와 크산틴 8ul, 카탈라아제 1ul를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크산틴 옥시다아제 2ul를 넣어 최종 부피가 200ul가 되도록 한다. 크산틴 옥시다아제를 첨가하자마자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이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를 EPR (전자상자성공명법,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을 이용하여 그 신호를 탐지한다. 신호의 세기는 반응이 시작된 후 2분에 최대가 되기 때문에 2분에 측정된 신호 크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메밀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2) 쿼세틴(Quercetin)과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비교
2-1 재료 및 시약 (단위는 최종농도)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 pH 7.4 (킬레이티드된)
DTPA (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50 uM]
DMPO (5.5-dimethyl-1-pyrroline N-oxide) [180 mM]
크산틴 [1 mM]
카탈라아제 [1 uM]
25 unit 크산틴 옥시다아제
2-2 측정방법
측정 방법은 메밀 추출물을 이용한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메밀 추출물 대신에 쿼세틴을 농도별로 희석하여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의 소거능을 관찰하였다.
(3) 메밀 추출물의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능 측정
3-1 재료 및 시약 (단위는 최종농도)
0.1 M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 pH 7.4 (킬레이티드된)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200 uM]
DMPO [90 mM]
FeSO4 [200 uM]
H2O2 [1 uM]
3-2 측정방법
히드록실 라디칼은 펜톤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데, 이 라디칼 역시 불안정하기 때문에 DMPO로 트래핑하여 ESR로 그 신호를 탐지하여 측정하였다.
Fe2 + + H2O2 ㅡㅡ> 중간체 ㅡㅡ> Fe3 + + OH + OH-
Fe2 +가 많으면 Fe2 + + OH ㅡㅡ> Fe3 + + OH- 에 의해 OH 감소
Fe2 + (aq)과 H2O2의 반응은 느림. EDTA-Fe2 + 는 매우 빠름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 (pH 7.4) 186ul 와 전이금속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EDTA 4ul를 혼합하고 DMPO 2ul 와 FeSO4를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H2O2 4ul를 넣어 최종 부피가 200ul가 되도록 한다. H2O2를 첨가하자마자 히드록실 라디칼이 생성되기 시작하는데 이를 EPR (전자상자성공명법,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을 이용하여 그 신호를 탐지한다. 신호의 세기는 반응이 시작된 후 2분에 최대가 되기 때문에 2분에 측정된 신호 크기를 대조군으로 하여 메밀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였다.
(4) 메밀 추출물의 루틴(Rutin) 함량 측정
4-1 재료 및 시약
MeOH
0.45㎛ 필터
Rutin 표준품
4-2 측정 방법
메밀 부위별로 나누어 분말로 만들어 준 후 메밀 시료 2g 에 MeOH 50ml씩 넣고 80℃에서 한 시간 동안 Reflux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주었다. 상온에서 식힌 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해 주었다. 여과된 용액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50ml을 정확히 맞춰준 후에 0.45㎛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분석시까지 유리병에 보관한 후에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표 1). Rutin 표준품은 MeOH을 이용하여 녹인 후 10~1000ppm 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표 1] 루틴 분석을 위한 HPLC 분석 조건
컬럼 Symmetry C18 5um (3.9 × 150mm)
이동상 2.5% 아세트산 : MeOH : 아세토니트릴 = 35 : 5 : 10 (v : v : v)
흐름속도 1.0ml/min
검출 UV 355nm
컬럼 온도 30℃
다. 메밀의 대기중 중금속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 효능 확인
(1) 메밀 부위별 피틴산(phytic acid) 정량
1-1 재료 및 시약
0.01N HCl
FeCl3·6H2O
설포살리시클릭산(Sulfosalicylic acid)
1-2 측정 방법
메밀 부위별 분말 1g을 0.01N HCl 10ml에 넣고 잘 혼합하여 1일 방치 후 0.45㎛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각 부위별 여과액을 0.01N HCl 용액으로 2~50배 희석하여 희석액 750ul에 0.06% FeCl3·6H2O 과 0.3% 설포살리시클릭산이 포함되어 있는 웨이드 리전트(Wade reagent) 용액 250ul를 넣고 반응시켰다. 상온에서 7분간 방치 후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카드뮴에 의한 세포독성 및 추출물 처리에 의한 독성 경감 효과
2-1 재료 및 시약
카드뮴
피틴산
MTT 시약
96 웰 플래이트
2-2 측정 방법
HaCaT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양하여 96-웰 플래이트에 웰당 1× 105/ml의 농도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주었다. 증류수에 녹여져 있는 카드뮴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이용하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준 후 최종 농도가 12.5~100uM의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여 주었다. 5% CO2, 37℃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준 후 MTT 어세이 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갖는 농도를 이용하여 IC5O (Inhibition concentration 50) 농도를 구하여 주었다. 대조군으로써 중금속 킬레이팅 물질인 피틴산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녹인 후 세포에 독성이 없는 피틴산 농도를 구하여 카드뮴과 함께 반응시켜주었다. 카드뮴 IC50 농도인 50uM과 피틴산을 농도별로(0 ~ 100uM) 처리하여 30분동안 미리 반응을 시켜준 후 반응액을 세포에 처리하여 주었다. 24시간 배양 후 MTT 어세이를 이용하여 피틴산에 의한 중금속 독성 경감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피틴산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메밀 줄기를 에탄올이나 메탄올과 달리 세포에 독성이 없는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같은 방법으로 카드뮴과 함께 처리하여 주었다.
(3) CLM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분석
3-1 재료 및 시약
현미경 커버 글래스(0.25mm)
H2DCFHDA
PBS
6 - 웰 플래이트
3-2 측정 방법
HaCaT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양하여 커버 글래스가 들어가 있는 6-웰 플래이트에 웰당 1.5× 105/ml의 농도로 희석하여 500ul씩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 후 카드뮴을 최종농도 50uM이 되도록 처리하여 준 후 30분, 1시간, 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DMSO에 녹여져 있는 H2DCFHDA를 PBS로 희석하여 5uM로 만들어 12분간 염색해주었다. PBS를 이용하여 4~5번정도 씻어준 후 라이브 셀 챔버에 옮긴 후 CL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틴산과 메밀 추출물도 같은 방법으로 세포에 처리하여 주고 관찰하였다.
(4) 카드뮴에 의한 HaCaT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도 측정
4-1 재료 및 시약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Ethanol)
TEP(1,1,3,3- tetramethoxypropane)
TBA
아세트산
SDS
4-2 측정 방법
HaCaT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배양하여 100mm 플래이트에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약 70~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 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대조군에는 배지만 넣어 주고, 다른 플래이트에는 카드뮴의 최종 농도가 10~50uM이 되도록 처리하여 주었다. 카드뮴 처리 후, 30분 간격으로 세포의 형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ㅋ카드뮴 처리하고 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를 이용하여 세포를 씻어주었으며 PBS를 넣고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를 마이크로튜브에 담은 후, 5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고, 펠렛을 얻은 후 다시 PBS를 넣어 헹궜다. 한번 더 원심분리 후 3개의 세포에 더 이상의 지질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in Ethanol)를 최종 농도 385uM이 되게 넣어 주었다. 세포에 200ul의 PBS를 넣어주어 4℃에서 5초 동안 초음파분해 해주고, 2초간의 간격을 주어 3분 동안 세포를 융해하였다. (Amp : 30%) 3개의 세포 융해체에 대한 단백질 정량을 수행하였다. 두 조건에서 얻은 세포 융해체를 8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TBARS를 수행하였다. 세포 융해체 100ul에 400ul의 TBARS 어세이 버퍼를 넣어주었다. 스탠다드로 TMP(1,1,3,3- tetramethoxypropane)을 1uM ~ 10uM로 준비하여 100ul씩 담고, TBARS 어세이 버퍼(0.4% TBA, 0.5% SDS, 9.4% 아세트산 pH 3.5)를 400ul 넣어주었다. 95℃에서 1hr동안 끓여주었다. 상온에서 식혀 준 후 14000g,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 200ul씩을 취한 후, 96 웰 플래이트에 옮겨 540nm에서 흡광을 측정하였다.
라. 메밀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 확인
(1) 콜라겐의 양 측정
1-1 재료 및 시약
서콜 다이(Sircol dye)
알칼리 용액(alkali solution)
0.5M 아세트산(acetic acid)
콜라겐 스탠다드
1-2 측정 방법
콜라겐 측정을 위하여 쥐 유래의 섬유아세포인 NIH3T3 세포를 이용하여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5% CO2, 37℃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중인 세포를 24 웰 플래이트에 웰당 1×105/ml의 농도로 세포를 접종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준 후 50% EtOH을 이용하여 추출한 메밀 추출물을 500ug/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여 준다. 추출물 처리후 48시간 동안 배양 후 세포의 배지를 200ul씩 얻어 0.5M 아세트산을 동량 넣어준 후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콜라겐과 결합을 하는 용액인 서콜 다이(sircol dye)를 200ul 씩 넣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16000g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침전물을 얻는다. 침전물만을 얻기 위해 상층액을 버리고 99% EtOH를 이용하여 콜라겐과 반응하지 않은 다이를 제거한다. 다시 한번 같은 방법으로 원심분리 하여 준 후 침전물에 알칼리 용액 200ul씩 넣은 후 540nm 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마.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 및 세포 독성 평가
1-1 재료 및 시약
MTT 시약
40% EtOH 추출물
50% EtOH 추출물
MeOH 추출물
1-2 측정 방법
HaCaT 세포와 B16F10 세포를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37℃ 하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약 70~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메밀 추출물은 40% EtOH, 50% EtOH 추출물과 MeOH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96 웰 플래이트에 웰당 HaCaT 세포의 경우 1×105/ml의 농도로 접종하여 주고 B16F10의 경우 웰당 4×104/ml의 농도로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준다. 추출물 역시 혈청이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 10ug/ml ~ 500ug/ml의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여 준다. 24시간 배양 후 MTT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바. 시제품 개발과 안정성 확인
(1) 시제품에 대한 지표 성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1-1 재료 및 시약
HCl
KOH
아세토니트릴
1-2 측정 방법
메밀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성분인 루틴과 피틴산을 온도와 pH에 안정한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량 실험을 위하여 추출하였던 추출물중에 가장 많은 지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메밀 줄기 추출물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온도 안정성 실험을 위해 루틴, 피틴산을 에펜도르프 튜브에 넣은 후 뚜껑을 닫고 100℃, 25℃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100℃에서 방치한 것과 25℃에서 방치한 추출물의 부피가 변화되면 변화된 만큼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동일한 부피로 맞추어 주고 각각을 정량하였다. pH 안정성 실험을 위하여 루틴, 피틴산을 HCl과 KOH를 이용하여 pH를 2, 7, 12로 맞추어 주고 상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30분 후 다시 원래의 pH로 보정을 한 후에 온도 안정성 실험에서 정량한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2) 시제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2-1 재료 및 시약
HCl
KOH
2-2 측정 방법
1) 온도에 대한 안정성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pH에 대한 안정성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분광 광도법을 이용하여 흡광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제조하였을 때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함량 0.3%가 되도록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0.003, 0.009, 0.012% 수용액으로 희석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또한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 40, 60, 8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2) pH에 대한 안정성
pH에 대한 안정성은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 0.3% 수용액의 각 농도별(0.003, 0.009, 0.012%) 수용액을 제조하여 20℃에서 pH 2.0에서 pH 10.0까지의 범위에서 수용액의 탁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및 고찰>
가. 메밀추출물의 유해산소에 대한 항산화능 평가
(1)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메밀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퍼옥시드 음이 온 라디칼 소거를 DMPO-OH˙의 ESR 신호세기의 감소를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신호세기의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ESR을 이용한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실험 결과(도 1), 메밀 부위별 추출물들은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메밀 종피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가진 것으로 측정되었고,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종피>줄기>종자 순으로 항산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쿼세틴과 메밀 추출물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 비교
쿼세틴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여 메밀 추출물과 비교해본 결과(도 2), 100ug/ml 쿼세틴은 약 95%이상의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메밀 추출물중 메밀 종피 추출물은 약 75%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밀 종피 추출물은 쿼세틴 대비 약 78%정도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쿼세틴이 단일 물질인데 반해 메밀 종피 시료는 추출물인 것을 감안하면 비교적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3) 메밀 추출물의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능 측정
메밀의 각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를 DMPO-OH˙의 ESR 신호세기의 감소를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값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신호세기의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ESR을 이용한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실험 결과(도 3), 표준 항산화 물질인 카테킨과 쿼세틴의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능은 15%, 30% 정도로 확인하였으며, 메밀 추출물의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능은 수퍼옥시드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에 비해 그 효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 메밀 부위별 추출물들은 매우 미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에서 메밀 종피 추출물이 히드록실 라디칼에 대해 항산화 활성능이 다소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4) 메밀 추출물의 루틴 함량 측정
메밀 추출물 속에 존재하는 루틴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루틴 표준품과 비교하여 HPLC로 정량하였다. 측정 결과 메밀 줄기 추출물 속에 상당히 많은 양의 루틴이 함유되어 있었다(도 4). 메밀 종자와 종피 추출물에는 줄기 추출물에 비하여 미미한 양의 루틴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루틴 표준품을 이용하여 정량한 결과(표 2), 메밀 줄기 부분에 존재하는 루틴의 함량이 종자에 존재하는 루틴의 함량에 비해 50배 이상으로 존재하였고 그 양은 1,826mg/100g 이었다.
[표 2] 메밀 추출물의 루틴 함량 (건조 기준)
전체(종자 + 종피) 31.3mg/100g
종피 12mg/100g
종자 34mg/100g
줄기 1,827mg/100g
나. 메밀의 대기중 중금속에 의한 피부 손상 방지 효능 확인
메밀의 카드뮴에 의한 피부손상방지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메밀의 각 부위별 추출물에 카드뮴을 처리하여 유효성을 확인하고 효능이 우수한 시료는 정량적으로 반복실험을 거쳐 유의성 있는 객관적인 결과를 확인하였다. 추출물에 존재하는 중금속 킬레이팅 물질인 피틴산의 양을 메밀 부위별로 정량하였다. 또한 카드뮴의 투여 후 세포에 대한 독성이 추출물 처리에 따라 경감 되는 효과를 MTT 어세이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CFDA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형광물질)을 이용하여 CLM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을 통해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세포막의 산화적 손상의 증거인 지질과산화물의 부산물 MDA(malondialdehyde)를 TBARS (Tri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메밀 부위별 피틴산 정량
메밀 추출물 속에 존재하는 피틴산의 양을 정량하기 위하여 0.01N HCl로 추출한 후 웨이드 리전트(Wade reagent) 법으로 확인하였다. 메밀 부위별로의 피틴산 정량 결과 메밀 줄기 부분에 많은 양의 피틴산이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표 3) 그 양은 0.7중량%(건조 기준) 정도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표 3. 메밀 부위별 피틴산 정량
피틴산(uM) 중량% 건조 기준
메밀 종자 270.07 ± 56.42 0.178
메밀 종피 30.36 ± 5.21 0.02
메밀 줄기 1,070 ± 170.9 0.706
(2) 카드뮴에 의한 세포독성 및 추출물 처리에 의한 독성 경감 효과
카드뮴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정상 피부세포주인 HaCaT 세포에 카드뮴을 처리하여 주었으며 카드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독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카드뮴 50uM의 농도에서 60% 정도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도 4a). 대조군으로 중금속 킬레이팅 물질로 알려진 피틴산을 카드뮴과 함께 처리해 줌으로써 세포에 대한 중금속의 독성 경감 효과를 확인하였으며(도 4b), 피틴산 50uM에서 중금속의 독성을 거의 100% 감소시켜 주었다. 추출 용매 자체의 독성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피틴산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메밀 줄기를 에탄올이나 메탄올과 달리 세포에 독성이 없는 열수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같은 방법으로 카드뮴과 함께 처리하여 주었다(도 4c). 그 결과 500ug/ml의 고농도에서 약 10중량% 정도의 중금속 독성을 방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메밀 줄기의 열수추출물에 존재하는 피틴산의 양을 정량한 결과 500ug/ml의 추출물 내에 약 50uM의 피틴산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더 높은 농도인 750ug/ml, 900ug/ml 에서는 추출물 자체의 독성이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독성 경감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3) CLM을 이용한 산화적 스트레스 분석
CLM(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을 이용하여 카드뮴에 의한 세포내의 활성 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 발생을 측정함으로써 이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확인하였다(도 5). 카드뮴 50uM의 농도로 HaCaT 세포에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CFDA를 염색한 후 세포내의 ROS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ROS가 증가함으로 인해 CFDA에 의한 형광물질이 강하게 발색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피틴산만을 처리하여 준 세포는 CFDA만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형광물질이 대조군에 비해 조금 강하게 발색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것은 피틴산 자체가 CFDA와의 산화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카드뮴과 피틴산을 함께 처리하여 준 결과 피틴산 자체에 의한 형광의 세기를 제외한다면, 세포내의 ROS의 양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카드뮴과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결과 역시 ROS의 양이 크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 메밀의 피부주름 개선 효능 확인
(1) 콜라겐의 양 측정
쥐유래의 섬유아세포주인 NIH 3T3를 이용하여 메밀 추출물에 의한 콜라겐(collagen) 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50% 에탄올(Ethanol) 추출물(500u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42%의 높은 세포 증식능을 보였으며(도 6a), 콜라겐 합성량은 약 25% 증가시킨 것(도 6b)을 확인하였다.
라.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증식 효과 및 독성 평가
HaCaT 세포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세포 증식능을 평가한 결과(도 7a), 에탄올 추출물 3가지 모두 낮은 농도에서는 세포에 증식능이나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높은 농도인 500ug/ml의 농도에서 독성과 증식능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B16F10 세포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세포 증식능을 평가한 결과(도 7b), 에탄올 추출물 3가지 모두 낮은 농도에서는 증식능이나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높은 농도인 200ug/ml, 500u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aCaT 세포의 독성을 평가한 결과(도 7c), 메탄올 추출물 3가지 모두 높은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보이며 에탄올 추출물과는 달리 500ug/ml에서는 큰 독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B16F10 세포 역시 메탄올 추출물 3가지 모두 낮은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을 보이는 것을 볼 수 있었다(도 7d).
마. 시제품의 개발 및 안정성 확인
효능이 확인된 추출물을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그 추출물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물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 시제품에 대한 지표 성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메밀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지표성분을 추출하여 각 시료를 확보하여 분석하고, 이들 추출물의 열, pH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메밀부위중 루틴과 피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열 및 pH 안정성 실험을 HPLC와 비색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도 8a), 실온(25℃)의 시료와 100℃상에서 2시간 방치시킨 시료의 루틴, 피틴산의 성분 및 양적 차이는 거의 없어 보이며 오히려 100℃ 시료에서 루틴의 양이 높게 나왔는데 이는 시료 중 수용액이 증발함으로써 약간의 오차가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pH 안정성실험 결과(도 8b), 산성 및 중성, 염기성 모두에서 루틴 및 피틴산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시제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연구
1) 온도에 대한 안정성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pH에 대한 안정성 및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분광 광도법을 이용하여 흡광 스펙트럼으로 확인하였다.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제조하였을 때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을 함량 0.3%가 되도록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0.003, 0.009, 0.012% 수용액으로 희석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결과에서 보듯이 340nm에서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에 대한 고유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 40, 60, 80℃의 온도 범위에서 30분 동안 배양한 후 흡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였다(도 9). 그 결과 온도에 따른 스펙트럼 상의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온도에 대해 매우 안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4] 메밀 줄기 추출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
온도 V/V 40℃ 60℃ 80℃
0.003% + + +
0.009% + + +
0.012% + + +
(+: 안정)
2) pH에 대한 안정성
pH에 대한 안정성은 메밀 줄기 열수 추출물 0.3% 수용액의 각 농도별(0.003, 0.009, 0.012%) 수용액을 제조하여 20℃에서 pH 2.0에서 pH 10.0까지의 범위에서 수용액의 탁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pH 변화에 따라 수용액의 탁도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알칼리성에서는 약간 성상이 탁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5] 메밀 줄기 추출물의 pH 안정성 실험
pH V/V 2 3 4 5 6 7 8 9 10
0.003% + + + + + + + ± ±
0.009% + + + + + + + ± ±
0.012% + + + + + + ± ± ±
(+: 안정, ± : 다소 성상이 탁해짐)
(3) 메밀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시작품 조성 및 추출물 생산 공정
메밀 종피 추출물은 항산화효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그 외 피부 생리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메밀 종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품 원료 조성물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메밀 종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원료는 유해 산소에 대한 항산화능이 뛰어나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기능성 화장품 원료라고 판단된다. 메밀 종피 추출물을 화장품원료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방법인 에탄올로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이 추출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 밀 추출물로 하고 이를 다른 화장품 원료와 배합하였으며, 메밀줄기 추출은 열수 추출하였다. 이때 화장품 원료에 첨가되는 추출물의 양은 화장품 전체 원료에 대하여 0.001-10.0 w/w%이고 최적의 비율은 0.01-5.0w/w%이다. 다음은 메밀 추출물을 화장품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처방의 예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2) 메밀 추출물을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기 위한 처방예
[표 6a] 메밀종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조성 - 로션
성분 혼합비(중량%)
메밀(Polygonum Fagopyrum)의 에탄올 추출물 1.0
스테아르산 0.4
1,3-부틸렌 글리콜 6.0
세테아릴 알코올 1.2
글리세린 4.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0
트리에탄올 아민 0.25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3.0
리퀴드 파라핀 5.0
스쿠알렌 3.0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2.0
폴리 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세스퀴놀리에이트 0.6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15
아로마 q.s.
정제수 나머지
100
[표 6b] 메밀종피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조성 - 스킨 크림
성분 혼합비(중량%)
메밀(Polygonum Fagopyrum)의 에탄올 추출물 3.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
세테아릴 알코올 2.5
스테아르산 1.0
폴리 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5.0
스쿠알렌 5.0
미네랄 오일 35.0
디메티콘 1.0
샷검 0.1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즈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 아민 0.5
아로마 q.s.
색소 q.s.
정제수 나머지
100
[표 6c] 메밀 줄기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 조성 - 미용비누
성분 혼합비(중량%)
메밀(Polygonum Fagopyrum)의 열수 추출물 1.0-2.0
키토산 0.8
알로에 0.5
세레신 0.8
알긴산 0.2
허브 오일 0.4
α-토코페롤 0.2
비누 베이스 95.1-96.1
100
본 발명의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유해 산소에 대한 항산화능이 뛰어나 피부 노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대기 중의 중금속의 제거 능력 및 피부 주름개선 능력이 우수하다.

Claims (7)

  1. 메밀의 종피 또는 줄기로부터 얻어진 메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산화능, 중금속의 독성 경감 효과 및 주름 개선 효능을 갖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 추출물은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이 함유된 용매는 물 20-60중량% 및 에탄올 40-8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 추출물은 pH 2-7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69029A 2005-07-28 2005-07-28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71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029A KR100711007B1 (ko) 2005-07-28 2005-07-28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9029A KR100711007B1 (ko) 2005-07-28 2005-07-28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412A KR20070014412A (ko) 2007-02-01
KR100711007B1 true KR100711007B1 (ko) 2007-04-25

Family

ID=3808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9029A KR100711007B1 (ko) 2005-07-28 2005-07-28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89A (ko) 2015-07-27 2017-02-0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5477A (ko) 2022-05-27 2023-12-05 유씨엘 주식회사 메밀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8791A (zh) 2017-06-23 2022-07-26 宝洁公司 用于改善皮肤外观的组合物和方法
CA3102288A1 (en) 2018-07-03 202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CN110710682A (zh) * 2018-07-12 2020-01-21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苦荞麦种皮萃取物提升粒线体活性、促进抗老化基因表现、及抑制蛋白质醣化的用途
CN112057502A (zh) * 2019-06-11 2020-12-11 百岳特生物技术(上海)有限公司 苦荞麦种皮萃取物用于减缓肌肤老化的用途及其制备方法
TWI779251B (zh) * 2019-11-21 2022-10-01 大江基因醫學股份有限公司 植物萃取物用於提升CCT基因、Atg基因、NADSYN基因、MRPS5基因、SOD3基因、及TERT基因表現量及/或提升GSH含量的用途
EP4157206A1 (en) 2020-06-01 2023-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R3128122A1 (fr) * 2021-10-15 2023-04-21 Société de Courtage et de Diffusion - CODIF INTERNATIONAL Principe actif comprenant un extrait de Fagopyrum escule n tum agissant sur l’élasticité de la peau, compositions cosmétiques le comprenant et utilisations correspondant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022A (ja) * 1995-11-16 1997-06-03 Nitsukoku Seifun 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
JP2000212061A (ja) 1998-11-17 2000-08-02 Sansho Seiyaku Co Ltd 美白化粧料
KR20020011718A (ko) * 2000-08-04 2002-02-09 이동건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JP2005075769A (ja) * 2003-08-29 2005-03-24 Eiyo Kogaku Kenkyusho:Kk 化粧用パック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3022A (ja) * 1995-11-16 1997-06-03 Nitsukoku Seifun 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
JP2000212061A (ja) 1998-11-17 2000-08-02 Sansho Seiyaku Co Ltd 美白化粧料
KR20020011718A (ko) * 2000-08-04 2002-02-09 이동건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건조증 회복력을 개선시키는 조성물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JP2005075769A (ja) * 2003-08-29 2005-03-24 Eiyo Kogaku Kenkyusho:Kk 化粧用パック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989A (ko) 2015-07-27 2017-02-0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65477A (ko) 2022-05-27 2023-12-05 유씨엘 주식회사 메밀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412A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007B1 (ko) 메밀 추출물 함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136226B1 (ko) 수비드 공법을 이용한 화장품 원료의 추출방법
CN106880561B (zh) 用于调节皮肤温度的含有紫竹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KR20120026308A (ko) 해조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80146A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JP7281156B2 (ja) 皮膚外用剤
KR20160000093A (ko) 발아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9657B1 (ko) 황칠나무 수액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6873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36417A (ko) 참다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77B1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TWI748553B (zh) 用於修護皮膚的萃取物、含此萃取物之組成物及其用途
KR101603569B1 (ko) 히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342B1 (ko) 새싹인삼과 차풀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87644A (ko)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95725B1 (ko) 울릉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89874B1 (ko) 커피박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381441B1 (en) External use skin composition for antiaging containing germinated glycine gracil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2426151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0031B1 (ko) 불수감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입욕제 조성물
KR102365027B1 (ko) 천연 추출물 및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8539A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사간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