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991A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991A
KR20180096991A KR1020170023494A KR20170023494A KR20180096991A KR 20180096991 A KR20180096991 A KR 20180096991A KR 1020170023494 A KR1020170023494 A KR 1020170023494A KR 20170023494 A KR20170023494 A KR 20170023494A KR 20180096991 A KR20180096991 A KR 20180096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ody
fixed
flang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309B1 (ko
Inventor
이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70023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0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는, 차량의 대시 보드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 본체; 지지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지지부; 및 고정 지지부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가 장착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고, 고정 지지부는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함 됨과 아울러 지지 본체의 전방부에 삽입되는 전방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회동 지지부는 별도의 공구 없이 고정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INFOTAINMENT SUPPOR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일부 구성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인포테인먼트를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는 운전과 길 안내 등 필요한 정보를 뜻하는 인포메이션(information)과, 영화·게임·TV·SNS 등 다양한 오락거리와 인간친화적인 기능을 말하는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의 통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내 내비게이션, 오디오와 비디오, 그리고 인터넷의 결합을 넘어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의 대중화, 정보 기술(IT)의 발달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의 기술 수준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고가의 선택 사양이 포함되지 않은 표준 사양의 차량에서 네비게이션 장치를 필요로 하는 경우, 대쉬 보드 상단 또는 전면 유리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거치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장착방식은 순정 사양과 비교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운전 중 시야를 방해하고 차량 진동 등에 의해 이탈될 시 운전자의 주위를 분산시켜 사고를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돌 등의 기타 사고 발생 시에도 단말기 돌출부와 접촉에 의한 부상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차량 정보 표시기와 같은 일부 장치를 제거하고, 그 여유 공간을 활용하여 네비게이션 장치를 장착하는 매립(Built-In) 방식의 제품이 개발되었다. 이 방식은 탈거 된 원래의 장치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기능을 매립된 네비게이션 장치가 대신한다.
하지만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를 장착하는 데에는 비용이 많이 들고 센터페시아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작업이 어렵다.
또한 네비게이션 장치를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분해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공보 제10-0895585호(강영숙) 2009. 04. 2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일부 구성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인포테인먼트를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대시 보드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본체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 바디; 및 상기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대시 보드에 지지되는 지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지지 플랜지의 일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지지 플랜지의 타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상기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랜지에 결합 되는 고정 지지 바디; 및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 하는 고정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고정 지지편에 하측부가 힌지 결합 되는 회동 지지 바디;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삽입 결합 되는 결합편;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지지 되는 지지편; 및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마련된 고정홈에 결합 되는 고정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동 지지부가 고정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를 편리하게 탈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회동 지지부가 고정 지지부로부터 회동 되어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플랜지의 저면부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동 지지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회동 지지부와 인포테인먼트가 생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지지부의 후방벽 저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개시된 회동 지지부가 고정 지지부로부터 회동 되어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 플랜지의 저면부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마련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동 지지부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회동 지지부와 인포테인먼트가 생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고정 지지부의 후방벽 저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1)는, 차량의 대시 보드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 본체(100)와, 지지 본체(100)에 마련되는 고정 지지부(200)와, 고정 지지부(200)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10)가 장착되는 회동 지지부(300)를 구비한다.
지지 본체(100)는, 차량의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고정 지지부(200)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10)가 장착되는 회동 지지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지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110)와, 지지 바디(11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지지 플랜지(120)와, 지지 플랜지(120)의 일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1 결합부(130)와, 지지 플랜지(120)의 타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 결합부(140)와, 지지 플랜지(120)의 돌출턱(121)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 바디(210)를 지지함과 아울러 고정 지지 바디(210)의 탈착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제1 결합플랜지(150)를 포함한다.
지지 본체(100)의 지지 플랜지(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턱(121)이 마련되고, 이 돌출턱(121)은 고정 지지 바디(210)의 하측부와 고정 지지편(2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본체(100)의 제1 결합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랜지(120)의 일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대시 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플레이트(131)와, 제1 결합플레이트(131)의 중앙부에 중앙부의 상단부부터 하단부까지 마련되는 제1 결합측벽(132)과, 제1 결합측벽(132)에 마련되며 대시 보드의 돌기에 걸림 지지 되는 걸림 절개부(133)를 포함한다.
지지 본체(100)의 제2 결합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랜지(120)의 일측 저면부에 마련되어 대시 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플레이트(141)와, 제2 결합플레이트(141)의 양측면에 마련되는 제2 결합측벽(142)과, 제2 결합플레이트(141)에 마련되며 대시 보드의 돌기가 삽입되는 제2 결합홀(143)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결합부(140)는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1 결합부(130) 보다 더 큰 부피를 갖고 결합 접촉 면적의 증가와 제2 결합홀(143)로 삽입되는 대시 보드의 돌기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대시 보드로 이탈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 본체의 제1 결합플랜지(15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부(200)의 제2 결합플랜지(250)가 지지되고, 제2 결합플랜지(250)는 볼트나 나사를 통해 제1 결합플랜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200)는, 지지 플랜지(120)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 되어 회동 지지부(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 지지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랜지(120)에 결합 되는 고정 지지 바디(210)와, 고정 지지 바디(210)에 마련되어 회동 지지부(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편(220)과, 고정 지지 바디(210)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지지 바디(110)에 마련된 단턱에 삽입 되어 지지 되는 전방 테두리부(230)와, 고정 지지 바디(210)의 후방벽 저면부에 마련되는 단차 공간부(240)와, 단차 공간부(240)에 배치되도록 고정 지지 바디(210)의 후방벽 저면부에 마련되어 지지 본체(100)의 제1 결합플랜지(150)에 결합 되는 제2 결합플랜지(250)를 포함한다.
고정 지지부(200)의 고정 지지 바디(210)는, 그 하부에 마련되며 제1 결합플랜지(1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 결합플랜지(250)에 의해 지지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정 지지 바디(210)의 내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212)가 마련될 수 있고, 이 결합바(212)는 도 4에 도시된 회동 지지 바디(310)의 가이드홈(311)을 통해 삽입된 후 결합홈(312)에 결합 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200)의 고정 지지편(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랜지(120)의 돌출턱(121)과 접촉 되도록 마련되어 회동 지지 바디(310)의 회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 지지부(200)의 전방 테두리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디(110)의 전방부에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단턱에 삽입되며, 전방 테두리부(230)의 외벽은 단턱의 내벽에 전체적으로 접촉되도록 지지 될 수 있다.
고정 지지부(200)의 단차 공간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 바디(210)의 후방벽 저면부에 마련되어 전술한 후방벽 저면부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턱(121)에 일정 깊이로 삽입함과 아울러 제1 결합플랜지(15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는 단차 공간부(240)에 의해 고정 지지부(200)의 하측부에 일정 깊이로 삽입시킬 수 있고 전방 테두리부(230)를 지지 바디(110)의 단턱에 일정 깊이로 삽입시킴으로써 고정 지지부(200)의 최대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대시 보드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전 차종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회동 지지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 양측 가장자리가 고정 지지편(220)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 되며 내부에는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1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회동 지지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편(220)에 하측부가 힌지 결합 되는 회동 지지 바디(310)와, 회동 지지 바디(3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 바디(210)에 마련된 결합홈(312)에 삽입 결합 되는 결합편(320)과, 회동 지지 바디(3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고정 지지 바디(210)에 지지 되는 지지편(330)과, 회동 지지 바디(310)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인포테인먼트(10)에 마련된 고정홈(11)에 결합 되는 고정 로드부(340)를 포함한다.
회동 지지 바디(310)의 외벽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절개된 가이드홈(311)과 이 가이드홈(311)에서 연장되는 결합홈(312)이 마련되며, 고정 지지 바디(210)에 마련된 결합바(212)는 가이드홈(311)을 통해 삽입된 후 결합홈(31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로드부(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지지 바디(310)에 마련되는 포스트 로드(341)와, 포스트 로드(341)에 마련되어 인포테인먼트(10)의 고정홈(11)을 가압 지지하는 고정 로드(342)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회동 지지부가 고정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어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편리하게 탈착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100 : 지지 본체 110 : 지지 바디
120 : 지지 플랜지 121 : 돌출턱
130 : 제1 결합부 131 : 제1 결합플레이트
132 : 제1 결합측벽 133 : 걸림 절개부
140 : 제2 결합부 141 : 제2 결합플레이트
142 : 제2 결합측벽 143 : 제2 결합홀
150 : 제1 결합플랜지 200 : 고정 지지부
210 : 고정 지지 바디 211 : 결합홈
212 : 결합바 220 : 고정 지지편
230 : 전방 테두리부 240 : 단차 공간부
250 : 제2 결합플랜지 300 : 회동 지지부
310 : 회동 지지 바디 311 : 가이드홈
312 : 결합홈 320 : 결합편
330 : 지지편 340 : 고정 로드부
341 : 포스트 로드 342 : 고정 로드
10 : 인포테인먼트 11 : 고정홈

Claims (6)

  1. 차량의 대시 보드 상면부에 마련되는 지지 본체;
    상기 지지 본체에 마련되는 고정 지지부; 및
    상기 고정 지지부에 일측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되며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인포테인먼트가 장착되는 회동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함 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본체의 전방부에 삽입되는 전방 테두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 지지부는 별도의 공구 없이 상기 고정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차량의 대시 보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지지 바디;
    상기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대시 보드에 지지 되는 지지 플랜지; 및
    상기 지지 플랜지에 마련되며 상기 고정 지지부의 측벽과 후방벽이 지지되는 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대시 보드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돌출턱의 후방벽 내측에 마련되며 제1 결합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플랜지에는 상기 고정 지지부의 제2 결합플랜지가 지지 됨과 아울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지지 플랜지에 결합 되는 고정 지지 바디;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회동 지지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지지편;
    상기 고정 지지 바디의 전방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지 바디에 마련된 단턱에 삽입 되어 지지 되는 전방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 지지부는,
    상기 고정 지지 바디의 후방벽 저면부에 마련되는 단차 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차 공간부에 상기 지지 본체의 제1 결합플랜지에 결합 되는 제2 결합플랜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부는,
    상기 고정 지지편에 하측부가 힌지 결합 되며 가이드홈과 결합홈이 마련되는 회동 지지 바디;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삽입 결합 되는 결합편;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 지지 바디에 지지 되는 지지편; 및
    상기 회동 지지 바디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인포테인먼트에 마련된 고정홈에 결합 되는 고정 로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KR1020170023494A 2017-02-22 2017-02-22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KR10196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94A KR101964309B1 (ko) 2017-02-22 2017-02-22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494A KR101964309B1 (ko) 2017-02-22 2017-02-22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991A true KR20180096991A (ko) 2018-08-30
KR101964309B1 KR101964309B1 (ko) 2019-04-01

Family

ID=6345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494A KR101964309B1 (ko) 2017-02-22 2017-02-22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5B1 (ko) 2009-01-13 2009-04-29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 수납 장치
KR200448488Y1 (ko) * 2009-07-30 2010-04-15 박만금 탈부착이 용이한 내비게이션 매립장치
KR20130051194A (ko) * 2011-11-09 2013-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50000337U (ko) * 2013-06-20 2015-01-23 (주)칼전자 조립 개폐식 내비게이션 고정장치
KR200480938Y1 (ko) * 2015-12-15 2016-07-27 (주)칼전자 차량의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85B1 (ko) 2009-01-13 2009-04-29 강영숙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 수납 장치
KR200448488Y1 (ko) * 2009-07-30 2010-04-15 박만금 탈부착이 용이한 내비게이션 매립장치
KR20130051194A (ko) * 2011-11-09 2013-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50000337U (ko) * 2013-06-20 2015-01-23 (주)칼전자 조립 개폐식 내비게이션 고정장치
KR200480938Y1 (ko) * 2015-12-15 2016-07-27 (주)칼전자 차량의 매립형 네비게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309B1 (ko) 201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875C2 (ru) Вставка приборной панели
JPH11321473A (ja) 車両用設置装置
WO2015032391A1 (de) Halterungsanordnung eines tablet-computers in einem kraftfahrzeug
KR101964309B1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회동 지지장치
JP4779671B2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1964306B1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기기 매립장치
KR20190107864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지지 장치
US20130233684A1 (en) Mounting structure of switch knob for vehicle
JP2006218968A (ja) 車載機器用クレードル及びクレードル一体型車載機器
US20070204240A1 (en) Display control and antenna position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KR200486666Y1 (ko)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KR100784855B1 (ko) 핸들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N205905789U (zh) 一种新型汽车仪表
CN107650816B (zh) 一种具有手机夹持结构的汽车调音台
JP2019182060A (ja) 車載装置
KR20200013742A (ko)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지지 장치
JP3104462U (ja) 自動車のインダッシュ装置
CN205354137U (zh) 一种仪表盘式多功能智能导航行车记录仪
JP5193702B2 (ja) 携帯型電子機器
CN214450738U (zh) 一种车载终端设备及汽车
CN216351217U (zh) 一种可微调方向的车载电子雷达装置
KR200366763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0210279Y1 (ko) 차량용 모니터의 고정힌지 구조
JP6216396B2 (ja) 車両用の表示装置
JPH05640A (ja)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