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364A -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364A
KR20180096364A KR1020170022982A KR20170022982A KR20180096364A KR 20180096364 A KR20180096364 A KR 20180096364A KR 1020170022982 A KR1020170022982 A KR 1020170022982A KR 20170022982 A KR20170022982 A KR 20170022982A KR 20180096364 A KR20180096364 A KR 2018009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belt
air
belt body
bear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욱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364A/ko
Publication of KR2018009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8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the load-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a concave or tubular belt, e.g. a belt forming a trou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2Guides for slid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주입되는 오목한 트로프(trough)의 내면에 배치되어 주입된 상기 공기에 따라 부상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요성의 벨트 본체와; 상기 벨트 본체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단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Air floating type conveyor belt and conveyor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 주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측단의 진동을 방지하여 이송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에 과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는 풀리 사이에 벨트를 감아 배치하고 벨트를 순환시키면서 벨트 위에 이송물을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수송하는 장치이다. 풀리 사이에는 아이들러(idler)가 배치되어 벨트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벨트 상면의 이송물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게 된다.
그런데, 벨트의 반복적인 순환에 따라 아이들러와 벨트 하면의 슬라이드에 의한 마모에 의해 벨트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가 제시되고 있다.
공기 부상식 벨트 컨베이어는, 오목한 트로프(trough)의 면을 따라 컨베이어 벨트를 만곡되도록 배치하고, 트로프의 하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면 컨베이어 벨트가 트로프의 면에서 부상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순환시키게 된다. 공기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가 부상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순환하기 때문에 마모없이 마찰력이 감소되어 부드러운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한편, 트로프의 바닥면에 주입된 공기는 오목한 트로프의 면과 만곡된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컨베이어 벨트의 측단으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에 진동이 발생하여 이송물의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3422 호 (2013년01월09일 공개)
본 발명은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 주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측단의 진공을 방지하여 이송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가 주입되는 오목한 트로프(trough)의 내면에 배치되어 주입된 상기 공기에 따라 부상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요성의 벨트 본체와; 상기 벨트 본체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단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제공된다.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벨트 본체의 상면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앙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 본체의 중앙부에 비해 양단부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상기 측단돌기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중앙돌기의 돌출된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측단돌기는, 이송물의 슬립(slip)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돌부와; 상기 벨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단돌기 및 상기 중앙돌기를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상기 측단돌기 및 상기 중앙돌기는 V자형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풀리(pully)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기는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내면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공기를 주입하는 오목한 트로프를 포함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 주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측단의 진공을 방지하여 이송물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10), 풀리(pulley)(11), 컨베이어 벨트(12), 캐리어 라인(carrier line)(13), 캐리어 트로프(carrier trough)(14), 리턴 라인(return line)(15), 리턴 트로프(return trough)(16), 덕트(20), 이송물(22), 공기주입구(24), 벨트 본체(26), 이탈방지돌부(28), 슬립방지돌부(30), 측단돌기(32), 중앙돌기(3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는, 공기가 주입되는 오목한 트로프(trough)의 내면에 배치되어 주입된 상기 공기에 따라 부상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요성의 벨트 본체(26)와; 상기 벨트 본체(26)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단돌기(32)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가 구비된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10)를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10)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풀리(11)와, 한 쌍의 풀리(11)에 감기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와;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가 내면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면에 공기를 주입하는 오목한 트로프(14, 16)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풀리(11)의 회전에 따라 루프(loop) 형상의 컨베이어 벨트(12)가 순환하게 되고, 컨베이어 벨트(12)의 상면에 놓여진 이송물(22)을 이송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2)가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하고 있고 컨베이어 벨트(12)의 우측에서 이송물(22)이 투입되면 컨베이어 벨트(12) 상면에 놓여진 이송물(22)이 컨베이어 벨트(12)의 순환에 따라 좌측으로 이송되고, 좌측의 풀리(11)에 도달하면 컨베이어 벨트(12)에서 낙하되면서 전체적으로 이송물(22)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도 1을 보면, 컨베이어 벨트(12)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풀리(11)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에 있어서, 이송물(22)이 투입되어 이송물(22)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캐리어 라인(carrier line)(13)'이라고 하고, 이송물(22)의 낙하 이후 이송물(22)의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고 되돌아 오는 부분을 '리턴 라인(return line)(15)'이라고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풀리(11)의 중심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2)의 상부 부분이 '캐리어 라인(13)'이며, 한 쌍의 풀리(11)의 중심을 잇는 선을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부 부분이 '리턴 라인(15)'이 된다.
한 쌍의 풀리(11)는, 가요성의 컨베이어 벨트(12)가 팽팽하도록 루프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12)의 내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풀리(11)에는 모터 등이 결합되어 풀리(11)를 회전시킬 수 있고, 풀리(11)의 회전에 따라 풀리(11)에 감긴 컨베이어 벨트(12)가 순환하게 된다.
풀리(11)는 원통 형상으로서, 컨베이어 벨트(12)의 내면의 폭 방향으로 원통형 풀리(11)가 배치되어, 원통형 풀리(11)의 일부 외주면이 컨베이어 벨트(12)의 내면에 면접된다. 풀리(11)의 회전에 따라 풀리(11)의 외주면과 컨베이어 벨트(12)의 내면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컨베이어 벨트(12)의 순환이 이루어진다.
트로프(14, 16)는 한 쌍의 풀리(11) 사이의 컨베이어 벨트(1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벨트(12)의 캐리어 라인(13)과 리턴 라인(15)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캐리어 라인(1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트로프를 '캐리어 트로프(carrier trough)(14)'라 하고, 리턴 라인(15)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트로프를 '리턴 트로프(return trough)(16)'라 한다.
트로프(14, 16)의 내면에는 원호 또는 타원 형상의 오목면이 형성되고 오목면에 가요성의 컨베이어 벨트(12)가 놓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프(14, 16)의 오목면에 상응하여 컨베이어 벨트(12)의 폭 방향으로 만곡(彎曲)되면서 배치된다.
트로프(14, 16)의 하단에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구(24)가 관통되고 트로프(14, 16)에는 공기주입구(24)를 커버하는 덕트(20)가 결합된다. 덕트(20) 내부로 압축 공기가 주입되면, 덕트(20) 내부의 압축 공기가 공기주입구(24)를 통해 트로프(14, 16)의 내부로 주입되면서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컨베이어 벨트(12)를 들어올리게 된다. 공기주입구(24)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오목한 트로프(14, 16)의 면과 만곡된 컨베이어 벨트(12)의 하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컨베이어 벨트(12)의 측단으로 배출된다.
리턴 트로프(16)의 경우에는 컨베이어 벨트(12)의 리턴 라인(15)의 상부에 배치되어 리턴 트로프(16)로 주입된 공기가 컨베이어 벨트(12)의 리턴 라인(15)을 하부로 밀게 된다.
컨베이어 벨트(12)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 주입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2)가 부상되어 컨베이어 벨트(12)의 내면의 마모가 없어지고, 트로프(14, 16)의 오목면과의 마찰력이 없어 컨베이어 벨트(12)를 원활히 순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요성의 벨트 본체(26)는, 고무, 플라스틱 등 가요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루프 형태로서 일정한 폭(W)를 갖는다. 벨트 본체(26)의 내부에는 벨트 본체(26)가 팽팽한 상태를 이루도록 두 개의 풀리(11)가 배치된다. 풀리(11)의 회전에 따라 벨트 본체(26)는 두 개의 풀리(11)의 외주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본체(26)의 캐리어 라인(13) 및 리턴 라인(15)은 공기 주입되는 오목한 트로프(14, 16)에 의해 지지되어 공기의 주입에 따라 벨트 본체(26)의 마모없이 순환하게 되어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측단돌기(32)는, 벨트 본체(26)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물(22)이 로딩되는 벨트 본체(26)의 상면의 폭(W) 방향에 대해, 벨트 본체(26)의 상면의 양단부에 측단돌기(3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측단돌기(32)가 벨트 본체(26)의 전체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벨트 본체(26)는 트로프(14, 16)에서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부상하게 되는데, 트로프(14, 16)에서 주입된 공기가 오목한 트로프(14, 16)의 면과 만곡된 벨트 본체(26)의 하면 사이를 통과하여 측단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자유단이 되는 벨트 본체(26)의 측단의 강성 부족으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벨트 본체(26)의 양단부에 측단돌기(32)를 돌출시켜 컨베이어 벨트(16) 측단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공기 유동에 따른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단돌기(32)는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투입되는 이송물(22)의 슬립(slip)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송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12)가 경사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이송물(22)을 투입하는 경우, 경사각도에 따라 이송물(22)의 미끄러져 내려와 이송이 어려울 수 있는데,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돌출된 측단돌기(32)로 인해 이송물(22)의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이송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측단돌기(32)는 벨트 본체(26)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거나,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별도의 측단돌기(32)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12)는, 벨트 본체(26)의 상면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앙돌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가 경사상 배치되는 경우 이송물(22)의 슬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측단돌기(32) 사이에 중앙돌기(34)를 형성하여 이송물(22)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다.
중앙돌기(34)는 측단돌기(32) 사이의 벨트 본체(26)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이송물(22)이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투입되는 경우 측단돌기(32)와 함께 이송물(22)의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 본체(26)의 중앙에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선형을 이루도록 직선의 중앙돌기(34)를 형성하였다.
중앙돌기(34)는 측단돌기(32)와 같이 벨트 본체(26)와 일체적으로 형성하거나 벨트 본체(26)의 제조 후에 별도로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측단돌기(32)와 중앙돌기(34)를 함께 형성하는 경우, 벨트 본체(26)의 중앙부에 비해 양단부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측단돌기(32)의 돌출된 높이(도 4의 h)는 중앙돌기(34)의 돌출된 높이(도 4의 h')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2)가 오목한 트로프(14, 16)에 놓여지게 되면 트로프(14, 16)의 형상에 따라 만곡하게 되는데, 중앙부의 강성이 큰 경우 만곡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2)의 폭 방향으로 측단부의 강성 증가가 필요하므로 중앙돌기(34)의 돌출된 높이(h') 보다 측단돌기(32)의 돌출된 높이(h)를 높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측단돌기(32)는 이송물(22)의 슬립(slip)을 방지하도록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돌부(30)와;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이송물(2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28, 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측단돌기(32)가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형성되는 슬립방지돌부(30)와,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28, 28')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슬립방지돌부(30)는 중앙돌기(34)와 마찬가지로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투입된 이송물(22)의 슬립을 방지하게 되고,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는 이탈방지돌부(28)는 벨트 본체(26)의 상면에 이송물(22)이 투입되었을 때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이송물(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슬립방지돌부(30)를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이탈방지돌부(28)를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도록 슬립방지돌부(30)와 이탈방지돌부(28)를 원호 형태로 측단돌기(32)를 형성한 형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측단돌기(32')의 형태를 달리할 것으로, 측단돌기(32')가 벨트 본체(26)의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하는 직선의 슬립방지돌부(30')와,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직선의 이탈방지돌부(28')로 된 형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측단돌기(32'') 및 중앙돌기(34')를 복수 개로 구성한 형태로서, 복수의 측단돌기(32'') 및 중앙돌기(34')가 V자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이를 하나의 세트(set)로 하여 벨트 본체(26)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V자형의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측단돌기(32'')와 중앙돌기(34')를 복수 개로 구성함으로써 오목한 트로프에 컨베이어 벨트(12)를 설치하는 경우 각 돌기 간의 틈으로 인해 용이하게 만곡이 일어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이송물의 슬립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11: 풀리(pulley)
12: 컨베이어 벨트 13: 캐리어 라인(carrier line)
14: 캐리어 트로프(carrier trough) 15: 리턴 라인(return line)
16: 리턴 트로프(return trough) 20: 덕트
22: 이송물 24: 공기주입구
26: 벨트 본체 28, 28': 이탈방지돌부
30, 30': 슬립방지돌부 32, 32', 32'': 측단돌기
34, 34': 중앙돌기

Claims (6)

  1. 공기가 주입되는 오목한 트로프(trough)의 내면에 배치되어 주입된 상기 공기에 따라 부상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가요성의 벨트 본체와;
    상기 벨트 본체의 상면 양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측단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상면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중앙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본체의 중앙부에 비해 양단부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상기 측단돌기의 돌출된 높이는 상기 중앙돌기의 돌출된 높이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돌기는,
    이송물의 슬립(slip)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립방지돌부와;
    상기 벨트 본체의 폭 방향으로 이송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벨트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돌기 및 상기 중앙돌기를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측단돌기 및 상기 중앙돌기는 V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6.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풀리(pully)와;
    상기 한 쌍의 풀리에 감기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가 내면에 안착되며, 상기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의 하면에 공기를 주입하는 오목한 트로프를 포함하는,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KR1020170022982A 2017-02-21 2017-02-21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KR20180096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82A KR20180096364A (ko) 2017-02-21 2017-02-21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82A KR20180096364A (ko) 2017-02-21 2017-02-21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364A true KR20180096364A (ko) 2018-08-29

Family

ID=6343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82A KR20180096364A (ko) 2017-02-21 2017-02-21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63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422A (ko) 2011-06-30 2013-01-09 현대로템 주식회사 공기부상 컨베이어의 벨트부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422A (ko) 2011-06-30 2013-01-09 현대로템 주식회사 공기부상 컨베이어의 벨트부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0375A (en) Drive for roller conveyors
KR20090006052A (ko) 수직 롤러를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
US3610404A (en) Curved powered roller conveyor
KR10128177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장치
KR20180096364A (ko)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벨트 및 공기 부상식 컨베이어 장치
KR102258981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웨이퍼 보관 용기의 반송을 위한 벨트 컨베이어 장치
US5984082A (en) Roller-bed conveyor drive assembly
RU2369551C2 (ru)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160047941A (ko) 컨베이어 장치
JP5006550B2 (ja) ローラコンベア
US2695701A (en) Troughing roller assembly for belt conveyers
WO2022066552A1 (en) Roller conveyor gap blocker
JP2004026387A (ja) ベルトコンベヤ
JP5352105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JP6720758B2 (ja) 板状物の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JP2023048847A (ja) コンベヤベルト
JP5670101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KR102286140B1 (ko) 2개의 이송 카트를 갖는 이송 장치 및 2개의 이송 카트 사이의 공간을 덮는 커버
US1028823A (en) Fruit-elevator.
KR100561240B1 (ko) 로프콘베이어
JP2507835Y2 (ja) ベルトコンベヤ
RU2307779C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JP2006168844A (ja) 搬送ベルト
JP6811148B2 (ja) 搬送装置
KR20090000760U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의 벨트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