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906A - 에어 공구 - Google Patents

에어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906A
KR20180095906A KR1020187020726A KR20187020726A KR20180095906A KR 20180095906 A KR20180095906 A KR 20180095906A KR 1020187020726 A KR1020187020726 A KR 1020187020726A KR 20187020726 A KR20187020726 A KR 20187020726A KR 20180095906 A KR20180095906 A KR 20180095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ousing
motor
output shaft
expans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1479B1 (ko
Inventor
게이이치 무라카미
다이신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2Construction of casings, bodie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6Flui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1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 B24B47/14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for rotating or reciprocating working-spindles carrying grinding wheels or workpieces by liquid or gas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5Hydraulic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해결 과제) 하우징의 외형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서 형성한 팽창실을 구비하는 에어 공구의 제공.
(해결 수단) 이 에어 공구는, 하우징이, 모터 수납부 (30a), 모터 수납부 (30a) 의 단부에 연접되어 환상 베어링부 (22) 및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모터 출력 샤프트를 수납하는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를 갖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 (30A) 와,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 (30B) 와, 모터 하우징부 (30A) 와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 (30B) 를 연결하는 굴곡된 코너 하우징부 (30C) 를 갖는다.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는, 환상 베어링부 (22) 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연장되는 배기 연통공 (34) 과 연통되며, 둘레 방향이면서 또한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팽창실 (36) 을 갖는다. 팽창실 (36) 은 배기 연결공 (34) 을 통과하여 상기 팽창실 (36) 에 들어온 배기가 팽창 가능한 용적을 갖는 팽창실을 갖는다.

Description

에어 공구
본 발명은 에어 모터를 구비한 에어 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모터로부터의 배기 유로에 있어서의 에어 모터에 가까운 위치에 용적이 큰 팽창실을 형성함으로써, 에어 모터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에어 공구에 관한 것이다.
에어 공구인 에어 그라인더는, 일반적으로, 에어 모터의 회전 구동 출력 샤프트에 대해, 베벨 기어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 구동 출력 샤프트에 구동 연결된 공구 구동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의 선단에 회전 연마 디스크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와 같은 에어 그라인더에 있어서는, 에어 모터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당해 에어 모터로부터의 배기측의 압력을 가능한 한 낮게 하여, 에어 모터에 대한 에어 공급측의 압력과 에어 배출측의 압력의 차압을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는, 배기로에 팽창실을 형성하여 에어 모터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기측 압력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에어 그라인더에 있어서는, 에어 모터로부터의 배기를, 베벨 기어 장치를 수납하는 부분의 둘레벽에 분사함으로써, 회전하는 베벨 기어로부터 비산된 윤활유가 둘레벽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 둘레벽에 부착된 윤활유를 박리시켜 베벨 기어에 재차 부착시키거나 함으로써 효율적인 윤활을 가능하게 하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985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880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8463호
상기 서술한 에어 모터의 작동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팽창실을 형성하는 시도는, 당해 팽창실을 형성함으로써 에어 모터의 하우징의 외형 사이즈를 크게 하게 되기 쉽다. 상기 서술한 에어 그라인더 등의 손으로 잡는 공구에서는, 당해 공구의 외형 사이즈가 커지면 작업자에 의한 에어 공구의 파지가 어려워지거나, 당해 에어 공구의 선단이 되는 작업 부위를 시인 (視認) 하기 어려워지거나, 또, 예를 들어 구석 부분 등의 좁은 곳의 작업이 곤란해지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베벨 기어 장치실에 배기를 공급하여 윤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에어 모터로부터의 배기를 베벨 기어에 직접 분사하여 상기 배기가 연행하는 윤활유의 입자를 상기 베벨 기어에 부착시키는 방법도 고려되지만, 특허문헌 3 에서의 베벨 기어실 실내로의 배기는 고압 고속이기 때문에, 그것을 베벨 기어에 분사해도 윤활유의 부착은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에어 공구의 외형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고서 에어 모터의 배기로에 팽창실을 형성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 감압시킨 배기를 베벨 기어실 내에 도입함으로써 베벨 기어 장치의 윤활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에어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제 1 세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통상 (筒狀) 의 로터 케이싱, 및 상기 로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세로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모터 출력 샤프트를 구비하는 에어 모터와,
상기 제 1 세로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 2 세로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공구 구동 샤프트와,
상기 로터의 상기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싱의 단부 (端部) 를 폐지 (閉止) 함과 함께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를 축받이하는 환상 (環狀) 베어링부와,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벨 기어에 맞물려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와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구동 연결하는 제 2 베벨 기어를 갖는 베벨 기어 장치와,
상기 에어 모터, 상기 환상 베어링부, 상기 베벨 기어 장치, 및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갖는 에어 공구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로서, 상기 에어 모터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 및 상기 모터 수납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상기 환상 베어링부 및 상기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를 수납하는 출력 샤프트 수납부를 갖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와,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수납하는 통상의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와,
상기 모터 하우징부의 단부와 상기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를 연결하도록 굴곡된 코너 하우징부를 갖고,
상기 모터 수납부는, 상기 로터 케이싱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또한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터 케이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받아들이는 배기 수용부를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 수납부는, 상기 배기 수용부와 연통하고, 상기 환상 베어링부의 반경 방향 외측을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연통공과, 상기 배기 연통공과 연통하며, 둘레 방향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팽창실로서, 상기 배기 연통공보다 큰 만곡한 횡단면적을 갖고 상기 배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팽창실에 들어온 배기가 팽창 가능한 용적을 갖는 팽창실을 갖고,
상기 코너 하우징부 및 상기 출력 샤프트 수납부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팽창실로부터 연장되어 당해 하우징의 외측에 연통한 배기 출구를 갖는 에어 공구를 제공한다.
이 에어 공구에 있어서는, 팽창실을 출력 샤프트 수납부에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출력 샤프트 수납부의 팽창실을 형성하는 부분은,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출력 샤프트를 수납하는 부분으로, 상기 출력 샤프트의 주위를 둘러싸는 당해 하우징은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팽창실은, 이 두꺼운 부분에 둘레 방향 및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배기를 받아들이는 큰 용적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당해 하우징의 외형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는 실질적으로 없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팽창실에 들어온 배기는, 여기서 크게 감압된다. 이 때문에, 에어 모터의 배기측의 압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에어 모터의 급기측과의 압력차를 크게 하여 당해 에어 모터의 작동 효율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팽창실은, 상기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떨어져서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통공은, 상기 환상 베어링부와 상기 팽창실의 사이를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2 개의 연통공 부분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팽창실은 모터 출력 샤프트를 중심으로 150°내지 180°의 각도 범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팽창실로부터 연장되어 베벨 기어 장치를 수납하고 있는 챔버의 벽면에 개구되고, 기어 장치에 배기를 분사하는 배기 분사공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 분사공이 회전하는 상기 제 1 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에 면하는 치면 (齒面) 에 배기를 분사하도록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공구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에어 그라인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로터의 세로 축선 (A) 을 따라서 하방을 보았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있어서의 III-III 을 따라서 본 도면으로, 팽창실과 배기 연통공의 형상 및 그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공구 구동 샤프트 등은 생략하여 도시되었으며, 제 1 베벨 기어는 개략적으로 외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도 1 의 에어 그라인더를 배면측에서부터 보았을 때의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5 는 배기를 베벨 기어에 분사하는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공구로서의 에어 그라인더 (10) 는, 그 기본적 구성으로서 제 1 세로 축선 (A) 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로터 (12), 상기 로터 (12) 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통상의 로터 케이싱 (14), 및 상기 로터 (12) 의 일단 (도면에서 볼 때 좌단) 으로부터 제 1 세로 축선 (A) 을 따라서 연장되어 나오는 모터 출력 샤프트 (16) 를 구비하는 에어 모터 (18) 와, 제 1 세로 축선 (A) 에 대해 대략 직각을 이루는 제 2 세로 축선 (B) 을 따라서 연장되고, 하단에 연마 디스크 (D) 가 장착되는 공구 구동 샤프트 (20) 와, 로터 케이싱 (14) 의 좌측 단부를 폐지함과 함께 모터 출력 샤프트 (16) 를 축받이하는 환상 베어링부 (22) 와, 모터 출력 샤프트 (16) 의 좌단부에 형성된 제 1 베벨 기어 (24) 및 공구 구동 샤프트 (20) 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제 1 베벨 기어 (24) 에 맞물려 모터 출력 샤프트 (16) 와 공구 구동 샤프트 (20) 를 구동 연결하는 제 2 베벨 기어 (26) 를 갖는 베벨 기어 장치 (28) 와, 에어 모터 (18), 환상 베어링부 (22), 베벨 기어 장치 (28), 및 공구 구동 샤프트 (20) 를 수납하는 하우징 (30) 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에어 모터 (18) 는 베인식 모터로 되어 있어, 18a 는 로터 (12) 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수납되고 당해 로터 (12) 의 회전에 수반하여 반경 방향에서 변위되어, 로터 케이싱 (14) 의 내주면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베인을 나타내고 있다. 14a 로 나타내는 것은, 로터 케이싱 (14) 의 대략 반주에 걸쳐서 점재하도록 형성된 배기구이고, 로터 (12) 를 구동시킨 압착 공기는 이들 배기구 (14a) 를 통과하여 로터 케이싱 (14) 의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 (30) 은, 제 1 세로 축선 (A)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에어 모터 (18) 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 (30a) 및 상기 모터 수납부 (30a) 의 좌단부에 연접되어 환상 베어링부 (22) 및 환상 베어링부 (22) 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모터 출력 샤프트 (16) 를 수납하는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를 갖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 (30A) 와, 공구 구동 샤프트 (20) 를 수납하는 통상의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 (30B) 와, 모터 하우징부 (30A) 의 좌단부와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 (30B) 의 상단부를 연결하도록 굴곡된 코너 하우징부 (30C) 를 갖는다.
모터 수납부 (30a) 는, 로터 케이싱 (14) 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360°에 걸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며 또한 (로터 (12) 의 대략 전체 길이를 따라서) 제 1 세로 축선 (A) 방향으로 연장되고, 배기공 (14a) 으로부터의 배기를 받아들이는 배기 수용부 (32) 를 갖는다.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는, 배기 수용부 (32) 와 연통하여 환상 베어링부 (22) 의 반경 방향 외측을 제 1 세로 축선 (A)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연통공 (34) 과, 환상 베어링부 (22) 로부터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통공 (34) 에 연통되어 있는 팽창실 (36) 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배기 연통공 (34) 은 하우징 (30) 의 로터 케이싱 (14) 의 외주면에 걸어 맞춰지도록 된 지지 돌기 (30e) 를 제 1 세로 축선 (A)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제 1 연통공 부분 (34a) (예를 들어 원주 방향에서 서로 떨어진 3 개의 제 1 연통공 부분 (34a)) 과, 상기 연통공 부분 (34a) 에 연통하며 환상 베어링부 (22) 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환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연통공 부분 (34b) 과, 상기 제 2 연통공 부분 (34b) 으로부터 연장되어 팽창실 (36) 에 연통하는 제 3 연통공 부분 (34c) 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실 (36) 이 원주 방향에서 거의 180°에 걸쳐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원호상으로 된 2 개의 제 3 연통공 부분 (34c) 이 팽창실 (36) 의 둘레 방향의 양단 부분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팽창실 (36) 은 제 1 내지 제 3 연통공 부분 (34a ~ 34c) 중 어느 부분의 횡단면적보다도 큰 횡단면적을 가져, 당해 배기 연통공 (34) 을 통과하여 팽창실 (36) 에 들어온 배기가 팽창 가능한 용적을 갖도록 되어 있다. 팽창실 (36) 은, 2 개의 배기 연통공 (34) 의 둘레 방향에서의 간격 각도에 따라서 대략 150°내지 대략 1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서 보아, 팽창실 (36) 의 둘레 방향 양측 부분이 배기 연통공 (34) 과 겹쳐지도록 대략 180°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및 코너 하우징부 (30C) 의 적어도 일방 (도시된 예에서는 그들의 양방) 에는, 팽창실 (36) 과 연통되며 당해 하우징 (30) 의 외측으로 연통하는 배기 출구 (38, 40)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팽창실 (36) 을,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에 있어서 환상 베어링부 (22) 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모터 출력 샤프트 (16) 의 주위의, 동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의 환상 베어링부 (22) 의 주위보다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당해 하우징 (30) 의 주위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피하면서 에어 모터 (18) 로부터의 배기의 팽창을 가능하게 하여, 팽창된 배기를 배기 출구 (38, 40) 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배기 출구 (38, 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 하우징부 (30C) 의 측면에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소음재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1 개의 큰 개구 (42) 를 통해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는 팽창실 (36) 로부터 연장되고 베벨 기어 장치를 수납하고 있는 챔버 (28a) 의 벽면에 개구되어, 팽창실 (36) 에서 팽창된 배기를 제 1 베벨 기어 (24) 에 분사하도록 한 배기 분사공 (44) 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기 분사공 (44) 은, 에어 모터로부터 윤활유의 입자를 연행하는 배기를 제 1 베벨 기어 (24) 에 분사함으로써, 윤활유가 제 1 베벨 기어 (24) 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을 향해 있는 치면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베벨 기어와 걸어 맞춰지는 면에 윤활유를 부착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윤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는, 팽창실 (36) 에서 감압하여 감속된 배기를 분사하도록 하고 있어, 제 1 베벨 기어 (24) 의 치면에 대해서 양호한 효율의 유분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 1 베벨 기어 (24) 에 배기를 분사하도록 한 것은, 제 1 베벨 기어 (24) 로부터 제 2 베벨 기어 (26) 로의 감속 회전 전달을 위해서 제 1 베벨 기어 (24) 가 제 2 베벨 기어 (26) 보다 소직경 (소수의 이 (齒)) 이 되기 때문에, 제 2 베벨 기어 (26) 보다 가열하기 쉽기 때문이다. 도 5 에 있어서 오른쪽 아래에 개구되어 있는 것은 연삭 디스크를 교환할 때에 기어를 고정시켜 연삭 디스크가 장착된 공구 구동 샤프트 (20) 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핀들 로크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 (19) 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된 에어 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 공구는 에어 그라인더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 샌더나 에어 드라이버 등의 다른 에어 공구에 적용할 수 있다.
에어 그라인더 10 ;
로터 12 ;
로터 케이싱 14 ;
배기구 14a ;
모터 출력 샤프트 16 ;
에어 모터 18 ;
구멍 19 ;
공구 구동 샤프트 20 ;
환상 베어링부 22 ;
제 1 베벨 기어 24 ;
제 2 베벨 기어 26 ;
베벨 기어 장치 28 ;
챔버 28a ;
하우징 30 ;
모터 하우징부 30A ;
모터 수납부 30a ;
출력 샤프트 수납부 30b ;
지지 돌기 30e ;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 30B ;
코너 하우징부 30C ;
배기 수용부 32 ;
배기 연통공 34 ;
제 1 연통공 부분 34a ;
제 2 연통공 부분 34b ;
제 3 연통공 부분 34c ;
팽창실 36 ;
배기 출구 38, 40 ;
개구 42 ;
배기 분사공 44

Claims (5)

  1. 제 1 세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로터, 상기 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는 통상의 로터 케이싱, 및 상기 로터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세로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모터 출력 샤프트를 구비하는 에어 모터와, 상기 제 1 세로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제 2 세로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공구 구동 샤프트와,
    상기 로터의 상기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로터 케이싱의 단부를 폐지함과 함께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를 축받이하는 환상 베어링부와,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베벨 기어 및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베벨 기어에 맞물려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와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구동 연결하는 제 2 베벨 기어를 갖는 베벨 기어 장치와,
    상기 에어 모터, 상기 환상 베어링부, 상기 베벨 기어 장치, 및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갖는 에어 공구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로서, 상기 에어 모터를 수납하는 모터 수납부 및 상기 모터 수납부의 단부에 연접되어 상기 환상 베어링부 및 상기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를 수납하는 출력 샤프트 수납부를 갖는 통상의 모터 하우징부와,
    상기 공구 구동 샤프트를 수납하는 통상의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와,
    상기 모터 하우징부의 단부와 상기 공구 샤프트 하우징부를 연결하도록 굴곡된 코너 하우징부를 갖고,
    상기 모터 수납부는, 상기 로터 케이싱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또한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로터 케이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를 받아들이는 배기 수용부를 갖고,
    상기 출력 샤프트 수납부는, 상기 배기 수용부와 연통하고, 상기 환상 베어링부의 반경 방향 외측을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기 연통공과, 상기 배기 연통공과 연통하며, 둘레 방향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팽창실로서, 상기 배기 연통공보다 큰 만곡한 횡단면적을 갖고 상기 배기 연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팽창실에 들어온 배기가 팽창 가능한 용적을 갖는 팽창실을 갖고,
    상기 코너 하우징부 및 상기 출력 샤프트 수납부의 적어도 일방은, 상기 팽창실로부터 연장되어 당해 하우징의 외측에 연통한 배기 출구를 갖는 에어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은, 상기 환상 베어링부로부터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떨어져서 형성되고, 상기 배기 연통공은, 상기 환상 베어링부와 상기 팽창실의 사이를 상기 제 1 세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둘레 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2 개의 연통공 부분을 가지고 있는 에어 공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은 상기 모터 출력 샤프트를 중심으로 150°내지 180°의 각도 범위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에어 공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벨 기어 장치를 수납하고 있는 챔버의 벽면에 개구되고, 상기 기어 장치에 배기를 분사하는 배기 분사공을 구비하는 에어 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분사공이 회전하는 상기 제 1 베벨 기어의 회전 방향에 접하는 치면에 배기를 분사하도록 지향되어 있는 에어 공구.
KR1020187020726A 2016-01-25 2017-01-25 에어 공구 KR102061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1387 2016-01-25
JP2016011387 2016-01-25
PCT/JP2017/002427 WO2017130994A1 (ja) 2016-01-25 2017-01-25 エア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06A true KR20180095906A (ko) 2018-08-28
KR102061479B1 KR102061479B1 (ko) 2020-01-02

Family

ID=5939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26A KR102061479B1 (ko) 2016-01-25 2017-01-25 에어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6494805B2 (ko)
KR (1) KR102061479B1 (ko)
CN (1) CN108495735B (ko)
AU (1) AU2017213341B2 (ko)
DE (1) DE112017000484T5 (ko)
GB (1) GB2566582B (ko)
TW (1) TWI617391B (ko)
WO (1) WO201713099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056A (ja) 1999-09-21 2001-04-03 Fuji Kuki Kk エアツールの消音装置
JP2007098539A (ja) 2005-10-07 2007-04-19 Nippon Pneumatic Mfg Co Ltd エアツール
JP2010188463A (ja) 2009-02-18 2010-09-02 Nitto Kohki Co Ltd 回転駆動エア工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9126B2 (ja) * 1999-06-09 2001-12-17 不二空機株式会社 エアツールの消音装置
TW200829366A (en) * 2007-01-08 2008-07-16 Storm Pneumtic Tool Co Ltd Pneumatic tool with dual air outlets
CN101214644B (zh) * 2008-01-18 2011-05-04 尚寿辰 变频电动工具
KR200459271Y1 (ko) 2011-06-07 2012-03-22 전창수 경량형 그라인더
DE102012111987A1 (de) * 2012-12-07 2014-06-12 Flex-Elektrowerkzeuge Gmbh Handgehaltene Schleif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8056A (ja) 1999-09-21 2001-04-03 Fuji Kuki Kk エアツールの消音装置
JP2007098539A (ja) 2005-10-07 2007-04-19 Nippon Pneumatic Mfg Co Ltd エアツール
JP2010188463A (ja) 2009-02-18 2010-09-02 Nitto Kohki Co Ltd 回転駆動エア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4805B2 (ja) 2019-04-03
GB201810989D0 (en) 2018-08-15
KR102061479B1 (ko) 2020-01-02
AU2017213341B2 (en) 2019-05-09
JPWO2017130994A1 (ja) 2018-08-02
CN108495735A (zh) 2018-09-04
DE112017000484T5 (de) 2018-10-31
GB2566582B (en) 2021-10-20
TWI617391B (zh) 2018-03-11
WO2017130994A1 (ja) 2017-08-03
GB2566582A (en) 2019-03-20
AU2017213341A1 (en) 2018-07-26
TW201738032A (zh) 2017-11-01
CN108495735B (zh)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0307B2 (en) Electric motor having air purging function
US8297374B2 (en) Rotationally driven air tool
JP6582130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JP2010188463A5 (ko)
US6739406B2 (en) Machine tool with a chamber for lubricating agent and a pressure equalization device for said chamber
US7938873B2 (en) Dust suction module for hand-held power tool
KR20180095906A (ko) 에어 공구
US6880223B2 (en) Grease slinger
KR200382866Y1 (ko) 로타리버용 다이 그라인더
KR100929317B1 (ko) 저진동 경량 고출력의 에어공구용 회전장치
KR101093742B1 (ko) 원격 플라즈마 소스 블록의 가공방법 및 가공방법에 사용되는 가공부재
KR101795853B1 (ko) 실링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작기계
JP2017532490A (ja) 自動車用機械式真空ポンプ
JP2007190661A (ja) スクリュー圧縮機のロータ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775361B1 (ko) 2단 반경류형 고비출력 저진동형 에어툴 회전장치
TWI345611B (en) Rotary tool
KR102060842B1 (ko) 공작 기계의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
EP4137267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EP2378061B1 (en) Vane-type air motor
CN215634499U (zh) 一种隔断密封件、气动马达及风动工具
KR100566807B1 (ko) 로타리버용 다이 그라인더
KR20020090509A (ko) 회전형 베인을 이용한 에어공구의 회전장치
KR100628830B1 (ko) 저진동 에어툴을 위한 축류형 터빈 로터장치
TW201726320A (zh) 氣動工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