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76A -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76A
KR20180094276A KR1020170020392A KR20170020392A KR20180094276A KR 20180094276 A KR20180094276 A KR 20180094276A KR 1020170020392 A KR1020170020392 A KR 1020170020392A KR 20170020392 A KR20170020392 A KR 20170020392A KR 20180094276 A KR20180094276 A KR 20180094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lock
slave cylinder
cylinder
moto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491B1 (ko
Inventor
류동요
이찬희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2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의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며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 상기 유압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슬레이브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 및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에는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로 제동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이 상기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은 상기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된 포트면과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면이 단차지도록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for integrated brake system}
본 발명은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의 용이성 확보 및 전장 길이를 축소하여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제동을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장착되는데, 최근에 보다 강력하고 안정된 제동력을 얻기 위한 여러 종류의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예로 지능형 통합 브레이크(IDB : Integrated Dynamic Brake)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IDB 시스템은 마스터실린더와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액압 발생장치, 차량 자세제어장치(ESC : Electronic stability Control)를 통합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강력한 제동력을 발생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20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은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모터가 작동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에 의하여 제동유압을 발생시키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와, 상기 액압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액압을 공급받아 제동동작을 제어하도록 복수의 밸브가 설치된 유압블록 및 모터와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따라 액압 발생장치가 작동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제동압력을 발생시켜 각 차륜에 설치된 휠 실린더로 액압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액압 발생장치는 모터와, 모터의 작동에 따른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왕복 이동하며 액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한다. 즉, 슬레이브 실린더는 그 내부에 배치된 슬레이브 피스톤을 통해 액압챔버를 가압함으로써 제동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시스템 오류시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의해 마스터실린더로부터 제동압력이 휠 실린더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은 별도의 액압 발생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강력하고 안정적인 제동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은 제동압력을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로 전달하기 위하여,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휠 실린더와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포트가 설치된다. 또한, 연결포트가 설치된 유압블록의 일측면에는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이 체결볼트에 의해 설치된다. 즉, 평평한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연결포트가 설치되고, 연결포트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하우징이 설치된다. 이에, 체결볼트가 조립되는 플랜지부 및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돌출됨에 따라 연결포트를 유압블록에 체결시키기 위한 공구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결포트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에 따라 요구되는 액량이 증가하는 경우 슬레이브 실린더의 길이가 길어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장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즉,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과 간섭이 발생하여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2045 (주식회사 만도) 2013. 08. 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는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연결포트를 설치 시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함으로써 연결포트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는 슬레이브 실린더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차량 엔진룸 내의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며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 상기 유압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슬레이브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 및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에는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로 제동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이 상기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은 상기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된 포트면과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면이 단차지도록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면은 상기 포트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추고, 상기 설치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유압블록에 밀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면은 상기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상기 연결포트가 결합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며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 상기 유압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슬레이브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 및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일부가 운전석에 배치되도록 대시(Dash)보드를 관통하여 운전석 측으로 이동되어 설치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블록의 타측면에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대시보드에 장착하도록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 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 및 대시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에는 상기 작동부와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가 함께 관통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타원 또는 비대칭 타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전석으로 인입되는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의 입인 거리는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되는 클래비스가 세팅된 거리에서 상기 클래비스 치수,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전진되는 거리 및 미리 정해진 간격을 제외한 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는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과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유압블록의 일측면을 단차지도록하여 연결포트를 설치 시 하우징을 고정하는 설치부와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용이하게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큰 용량이 필요한 차량에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조립 시 슬레이브 실린더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슬레이브 실린더의 일부가 운전석 측에 배치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 내의 부품과 간섭을 회피하여 용이하게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슬레이브 실린더가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는 최대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이 설치되는 대시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은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100)과, 유압블록(110)과 결합되고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미도시)로부터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아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액압 발생장치(200)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유압블록(100)은 육면체의 형태를 갖추어 제동유압을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미도시)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유압블록(100)은 휠 실린더로 전달되는 제동유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복수의 밸브가 적소에 설치된다. 또한, 유압블록(100)의 내부에는 마스터실린더(미도시)가 마련된다. 이 마스터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과, 적어도 하나의 챔버로 구성되어 액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즉, 마스터실린더는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되는 클래비스(122) 및 클래비스(122)와 결합된 입력축(124)으로 구성된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이 가압되며 액압을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마스터실린더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는 유압블록(100)의 상부에는 오일을 저장하는 리저버가 결합되어 마스터실린더로 액압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26'은 마스터실린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입력축(124)과 마스터실린더 사이를 감싸는 부트이다.
이러한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에는 휠 실린더로 제동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포트(110)가 설치되는 휠 실린더 연결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하우징(222)이 설치된다. 이때, 연결포트(110)가 설치되는 휠 실린더 연결부(111)가 형성된 면(이하 '포트면'이라 함)과 하우징(222)이 설치되는 면(이하 '설치면'이라 함)은 서로 단차지도록 마련된다. 즉,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은 단차지도록 마련되며, 유압블록(100)의 외측을 기준으로 설치면(102)은 포트면(101)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이 단차지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포트(110)가 용이하게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액압 발생장치(200)는 유압블록(100)의 측면에 결합되는 모터(210)와, 모터(210)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미도시)과,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가압되는 슬레이브 실린더(220)를 구비한다.
모터(210)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작동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요구하는 제동력을 수행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정역회전하게 된다.
동력변환유닛은 모터(210)의 회전축(미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복수의 기어를 갖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동력변환유닛은 웜과 웜휠 및 렉과 피니언 기어의 조립구조를 갖추어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동력변환유닛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이미 널리 알려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유압블록(100) 내에 설치되어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피스톤과, 슬레이브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는 액압챔버 및 슬레이브 피스톤을 탄성 지지하는 리턴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때, 슬레이브 피스톤은 동력변환유닛을 통해 직선운동하도록 슬레이브 피스톤의 일부에 렉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내부의 일단을 폐쇄하며 액압챔버와 유압블록(100)에 형성된 유로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222)을 구비한다. 하우징(222)은 유압블록(100)의 일측면 즉, 설치면(102)에 설치된다.
하우징(222)은 유압블록(100)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설치부를 갖는다. 설치부는 하우징(222)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유압블록(100)에 밀착되는 플랜지부(222a)와, 플랜지부(222a)를 관통하여 유압블록(100)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22b)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우징(222)이 설치면(102)에 설치된 상태에서 포트면(101)은 체결볼트(222b)의 머리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체결볼트(222b)의 머리부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즉, 포트면(101)과 설치면(102)의 단차진 높이(h)는 플랜지부(222a)의 두께 및 체결볼트(222b)의 머리부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거나 그 보다 큰 높이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는 포트면(101)에 형성된 휠 실린더 연결부(111)에 연결포트(110)를 설치 시 플랜지부(222a) 및 체결볼트(222b)의 머리부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플랜지부(222a) 및 체결볼트(222b)의 머리부가 포트면(101)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지 않아 연결포트(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유압블록(100)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차량의 정면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스터실린더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갖도록 설치된다.
전자제어유닛(300)은 유압블록(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210) 및 밸브들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전자제어유닛(300)은 모터(210)가 배치되는 반대편의 유압블록(100) 측면에 설치된다. 이때, 전자제어유닛(300)은 일부가 유압블록(10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유압블록(100)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모터(210)와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가 마련되어 모터(210)와 연결된다. 즉, 모터(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유닛(300)의 커넥터가 버스 바(bus bar) 구조로 직접 모터(210)와 결합되어 케이블의 노출없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참조부호 '130'은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대시(Dash)보드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이다.
상기와 같이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은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이 단차지도록 이루어져 연결포트(110)를 설치하는 공구와 주변부품과의 간섭이 방지됨으로써 용이하게 연결포트(11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에 요구되는 액량이 증가하는 경우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가 증가하여야 한다. 즉,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의 전장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차량에 설치 시 설치공간이 한정되어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가 증가할 경우 설치가 어렵게 된다. 이에, 이하에서는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의 조립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에 마련된 슬레이브 실린더가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는 최대 이동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이 설치되는 대시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앞선 실시예의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하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은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100)과, 유압블록(100)과 결합되고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미도시)로부터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아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액압 발생장치(200)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은 차량의 엔진룸(S2)과 운전석(S1)을 구획하는 대시보드(10)에 설치 시 액압 발생장치(200)의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일부가 운전석(S1) 배치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일부가 운전석(S1)에 배치되도록 대시보드(10)를 관통하여 운전석(S1) 측으로 이동되어 설치된다. 즉,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마스터실린더(미도시)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갖도록 유압블록(100)에 설치된 상태로 마련되어,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이 대시보드(10)에 장착될 때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된다. 이때,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되는 허용거리(N)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작동 시 간섭받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자세한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인입 허용거리(N)의 범위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대시보드(10)에 장착하도록 유압블록(100)의 타측면에는 고정부(130)가 설치된다. 고정부(130)는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부(120)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131)와,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 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마운트 플레이트(131) 및 대시보드(1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133)를 구비한다. 이 고정부(130)를 통하여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설치 시 대시보드(10)에는 작동부(120)와 함께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로(12)와, 통로(12)의 주변으로 고정볼트(133)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공(13)이 형성된다. 이 통로(12)는 고정볼트(133)가 결합되는 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타원 또는 비대칭 타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대시보드(10)에 형성된 통로(P)는 종래의 대시보드에 형성된 통로를 나타낸 것이며, 그 중심에 점선으로 그려진 부분의 도면부호 '132'는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부(12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즉, 마운트 플레이트(131)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32)이다. 또한, 관통공(132)의 주변에 점선으로 그려진 부분은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통과되는 위치에 대하여 임의적으로 설정한 부분으로서, 실질적으로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설치된 위치가 정해지면 작동부(120)와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통과하도록 통로(12)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10)의 통로(12)가 비대칭 타원 형상을 갖도록하여 작동부(120) 및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대시보드(10)에 형성되는 통로(12)의 형상은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동부(120)와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함께 통과하며 고정볼트(133)가 결합되는 결합공(13)의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형상을 갖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대시보드(10)에 장착 시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운전석(S1) 측으로 인입이 허용되는 거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실린더(220)는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작동 시 간섭받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되는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입인 허용거리(N)는 대시보드(10)로부터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되는 클래비스(122)가 세팅된 거리(A)에서 상기 클래비스(122) 치수(B), 브레이크 페달이 전진되는 거리(C) 및 미리 정해진 간격(D)을 제외한 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유압블록(10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하우징(222)이 기존에 비하여 노출되는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는 큰 액량이 요구됨에 따라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슬레이브 실린더(220)가 운전석(S1) 측으로 인입되는 거리만큼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슬레이브 실린더(220)의 길이가 증가하더라도 용이하게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1')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1' :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
10 : 대시보드
100 : 유압블록
200 : 액압 발생장치
300 : 전자제어유닛

Claims (10)

  1.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며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
    상기 유압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슬레이브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 및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에는 각 차륜에 마련된 휠 실린더로 제동유압을 공급하도록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의 하우징이 상기 연결포트가 설치되는 유압블록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압블록의 일측면은 상기 휠 실린더 연결부가 형성된 포트면과 하우징이 설치되는 설치면이 단차지도록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면은 상기 포트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갖추고,
    상기 설치부는 하우징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유압블록에 밀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압블록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면은 상기 체결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거나 그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상기 연결포트가 결합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6.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가 마련되며 내부에 제동유압의 조절을 위한 다수의 유로 및 밸브가 마련되는 유압블록;
    상기 유압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여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유닛과, 상기 동력변환유닛에 의해 슬레이브 피스톤이 왕복 이동하며 제동유압을 발생하는 슬레이브 실린더를 구비하는 액압 발생장치; 및
    압력 정보 및 페달 변위 정보를 기반으로 모터 및 밸브들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일부가 운전석에 배치되도록 대시(Dash)보드를 관통하여 운전석 측으로 이동되어 설치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연결되는 마스터실린더의 설치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블록의 타측면에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을 대시보드에 장착하도록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마스터실린더와 브레이크 페달을 연결하여 상기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마운트 플레이트와, 상기 관통공의 반경방향 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마운트 플레이트 및 대시보드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에는 상기 작동부와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가 함께 관통하도록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통로는 상기 고정볼트가 결합되는 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타원 또는 비대칭 타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으로 인입되는 상기 슬레이브 실린더의 입인 거리는 상기 대시보드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페달과 결합되는 클래비스가 세팅된 거리에서 상기 클래비스 치수,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전진되는 거리 및 미리 정해진 간격을 제외한 거리로 이루어지는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KR1020170020392A 2017-02-15 2017-02-15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KR102657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92A KR102657491B1 (ko) 2017-02-15 2017-02-15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92A KR102657491B1 (ko) 2017-02-15 2017-02-15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76A true KR20180094276A (ko) 2018-08-23
KR102657491B1 KR102657491B1 (ko) 2024-04-15

Family

ID=6345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92A KR102657491B1 (ko) 2017-02-15 2017-02-15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244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장치의 조립구조
WO2023214667A1 (ko) * 2022-05-04 2023-11-0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16011095A (ja) * 2014-06-30 2016-01-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20160083269A (ko) * 2014-12-30 2016-07-12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KR20170013378A (ko) * 2014-07-15 2017-02-06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장치 및 마스터 실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045A (ko) 2012-02-10 2013-08-2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16011095A (ja) * 2014-06-30 2016-01-2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KR20170013378A (ko) * 2014-07-15 2017-02-06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장치 및 마스터 실린더
KR20160083269A (ko) * 2014-12-30 2016-07-12 주식회사 만도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244A (ko) 2018-09-28 2020-04-07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장치의 조립구조
WO2023214667A1 (ko) * 2022-05-04 2023-11-0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491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5634B2 (en) Electric booster
EP2881292B1 (en) Brake system input apparatus and vehicle brake system
CA2583863C (en) Hydraulic modulator for brake device
KR102021518B1 (ko)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JP2019509215A (ja) 液圧式の操作システム用の操作装置
KR102585197B1 (ko) 일체형 전동식 브레이크 장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
CN113597388B (zh) 用于制动系统的封装
JP6535952B2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2015020448A (ja) 液圧発生装置
US9551363B2 (en) Vehicle-body attachment structure for electric brake actuator
KR20180094276A (ko) 통합형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구조
KR19990006577A (ko) 유압 브레이크 제어장치
US10104811B2 (en) Vehicle control unit and vehicle brake system
US9115727B2 (en) Master cylinder apparatus
US20210354670A1 (en) Hydraulic block for a hydraulic modulator of a vehicle hydraulic-power brake system
WO2018198816A1 (ja) ブレーキ装置
GB2188995A (en) Hydraulic brake system
JP6242332B2 (ja) ハウジングおよびマスタシリンダ装置
US5685150A (en) Pressure regulator for hydraulic brake with slip control
JP7397168B2 (ja) 液圧式の補助動力式車両ブレーキ装置の液圧ユニットのための液圧ブロック
WO2017217488A1 (ja)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CN114274934A (zh) 一种用于液压的外力车辆制动设备的液压总成的液压块
KR102510709B1 (ko) 모터의 전원 연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통합 브레이크 장치
JP2018020783A (ja) 液圧発生装置
KR101242645B1 (ko) 차량용 부스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