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62A - 심압대 - Google Patents

심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62A
KR20180093562A KR1020170019829A KR20170019829A KR20180093562A KR 20180093562 A KR20180093562 A KR 20180093562A KR 1020170019829 A KR1020170019829 A KR 1020170019829A KR 20170019829 A KR20170019829 A KR 20170019829A KR 20180093562 A KR20180093562 A KR 2018009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housing
rod
groov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오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3562A/ko
Publication of KR2018009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재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퀼; 상기 퀼을 수용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핀들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 및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심압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심압대{TAIL STOCK}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심압대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는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 또는 비금속의 소재(이하 모재)를 적당한 공구를 사용하여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하던가 또는 더욱 정밀한 가공을 추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계를 말한다.
상기 공작기계는 크게 모재가 회전하고 고정된 공구가 이동하여 가공하는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공구가 회전하고 모재가 이동하여 가공하는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터닝센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압대의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닝센터는 모재(1)를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주축(10)과, 상기 주축(10)에 클램핑된 모재(1)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심압대(20)와, 회전하고 있는 모재(1)에 접근하여 선삭 가공하는 공구대(30) 및 이러한 공구대(30)를 이송시키는 이송계(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압대(20)는 비교적 긴 모재(1)의 자유단을 지지하여 모재(1)의 처짐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터닝센터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압대(20)는 모재(1)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퀼(21, quill)과, 상기 퀼(21)을 고정시키는 소켓(22)과, 상기 소켓(22)을 고정된 스핀들(23) 내부에서 회전하게 하는 베어링(24)과, 상기 스핀들(23)의 후단과 연결된 피스톤(25)과,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6)과, 상기 하우징(26)에 배치되는 실린더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퀼(21)은 회전하는 모재(1)를 직접적으로 지지하여 모재(1)와 함께 동회전하므로, 마모가 일어날 수 있고,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퀼(21)은 비교적 무거운 중량의 소재를 지지하면 상기 소켓(22)과의 테이퍼진 접촉부와 소착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상기 퀼(21)을 분리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심압대(20)에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퀼(21)의 자유단에 로크너트(28)를 배치하고 이러한 로크너트(28)를 회전시켜 퀼(21)을 소켓(22)에서 점진적으로 이격시켜 분리하거나, 또는 상기 피스톤(25), 스핀들(23) 내부에 배치된 로드(29)의 돌출단을 해머 등으로 충격을 줘서 상기 퀼(21)을 분리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즉,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상기 퀼(21)을 분리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들은 소착 현상에 의해 상기 퀼(21)의 분해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안전상의 위험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물리적인 힘을 요하지 않고 퀼을 분리시킬 수 있는 심압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아니하고 퀼을 유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는 심압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모재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퀼; 상기 퀼을 수용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핀들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 및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심압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하우징; 일측이 상기 관통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스핀들을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관통홀의 타측을 폐쇄하며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라인이 형성되는 실린더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실린더캡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압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로드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라인이 형성되는 로드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의 타측은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캡은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의 지름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상기 단차부에서 이동되는 로드실린더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의 타단은 상기 로드캡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가 상기 퀼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로드고정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캡의 타단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고정키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스핀들고정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고정키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하측에서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돌기; 상기 제2 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 몸체; 상기 제3 몸체의 상측에 사용자의 손 또는 공구로써 파지가 용이하도록 배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에는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스핀들홈과, 상기 제1 스핀들홈에서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돌기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스핀들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3 몸체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홈과, 상기 제1 하우징홈에서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하우징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고정키의 회전방향을 인식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을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을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지 않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압을 이용하여 로드의 이동으로 퀼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퀼 분해의 용이성 및 안전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압라인을 이용하여 퀼의 분해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서 별도의 유압라인을 공작기계 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터닝센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심압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퀼을 분해시키는 상태의 로드고정키와 스핀들고정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스핀들을 전진시킬 수 있는 상태의 로드고정키와 스핀들고정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리미트스위치가 더 포함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퀼을 분해시키는 상태의 로드고정키와 스핀들고정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스핀들을 전진시킬 수 있는 상태의 로드고정키와 스핀들고정키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에서 리미트스위치가 더 포함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00)는 크게 퀼(110), 스핀들(120), 하우징(130), 실린더부(140) 및 로드(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미트스위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퀼(110, quill)은 모재의 자유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하는 모재의 자유단을 가압 및 고정한다.
상기 스핀들(120)은 상기 퀼(110)을 수용할 수 있으며, 후술할 실린더부(140)에 의해 상기 퀼(110)과 함께 일측(모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스핀들(120)은 후술할 피스톤(142)의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피스톤(142)의 일측과 커넥터(143)로써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120)에는 후술할 제2 돌기(181)의 제1 방향의 폭에 대응되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스핀들홈(121)과, 상기 제1 스핀들홈(121)에서 상기 스핀들(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후술할 제2 돌기(182)의 제2 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스핀들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00)는 상기 스핀들(120)과 퀼(110)의 사이에 상기 퀼(110)이 모재와 함께 동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퀼(110)을 고정시키는 소켓(123)과, 상기 소켓(22)을 고정된 스핀들(120) 내부에서 회전하게 하는 베어링(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스핀들(120)을 수용하며, 심압대(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타측(모재와 퀼(110) 방향의 반대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30)에도 상기 스핀들(120)의 제1 스핀들홈(121)과 제2 스핀들홈(122)에 대응되는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30)에는 후술할 제3 몸체(183)를 수용 가능한 제1 하우징홈(131)과, 상기 제1 하우징홈(131)에서 상기 스핀들(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하우징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40)는 상기 하우징(130)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핀들(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린더부(140)는 관통홀(141a)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130) 내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하우징(141)과, 일측이 상기 관통홀(141a)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하우징(141)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140)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스핀들(120)을 연결시키는 커넥터(143)와, 상기 관통홀(141a)의 타측을 폐쇄하며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라인(L1)이 형성되는 실린더캡(14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으로부터 유압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면, 상기 피스톤(142)과 실린더캡(144)의 사이로 공급되는 유압으로써 상기 피스톤(142) 및 스핀들(120)이 모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로드(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퀼(11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120) 및 실린더부(14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드(150)는 유압에 의해 상기 퀼(110) 방향으로 전진하여 퀼(110)을 타격함으로써 심압대(100)에서 퀼(110)을 분리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150)의 유압에 의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실시예는 로드캡(15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로드캡(152)은 상기 피스톤(142)의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실린더캡(144)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과 연통되어 상기 로드실린더(151)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라인(L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142)의 타측은 단차부(142a)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150)는 상기 단차부(142a)의 내주면의 지름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상기 단차부(142a)에서 이동되는 로드실린더(151)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로드캡(152)은 상기 단차부(142a)를 폐쇄하되 상기 실린더캡(144)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 타측에 형성된 단차부(142a)와 상기 로드캡(152)에 의한 공간 상에서 상기 로드실린더(151)가 유압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로드(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압을 제공받기 위해, 상기 로드캡(152)에는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과 연통되어 상기 로드실린더(151)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라인(L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150)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유압라인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상기 제2 유압공급라인(L2)은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압공급라인(L1)과 제2 유압공급라인(L2) 상의 유압분배를 위해 체크밸브 등을 배치할 수 있으나, 안전성의 확보 및 원가절감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드고정키(170), 스핀들고정키(180) 및/또는 리미트스위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드고정키(170)는 상기 로드(150)의 전진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드(150)의 타단은 상기 로드캡(152)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드고정키(170)는 상기 로드(150)의 타단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150)가 상기 퀼(110)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선택적인 로드(150) 고정을 위해, 상기 로드캡(152)의 타단에는 제1 홈(152a)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고정키(170)는 상기 로드(15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171)와, 상기 제1 몸체(171)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홈(152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1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제1 돌기(172)를 상기 제1 홈(152a)에 대향하게 회전시켜 배치하면 상기 로드(150)는 상기 퀼(110)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제1 돌기(172)를 상기 제1 홈(152a)에 대향하지 않게 회전시켜 배치하면 상기 로드(150)는 상기 퀼(110) 방향으로 전진할 수 없다.
상기 스핀들고정키(180)는 상기 하우징(130)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120)이 이동하지 못하게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핀들고정키(180)는 상기 하우징(13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 몸체(181)와, 상기 제2 몸체(181)의 하측에서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돌기(182)와, 상기 제2 몸체(181)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3 몸체(183)와, 상기 제3 몸체(183)의 상측에 사용자의 손 또는 공구로써 파지가 용이하게 배치되는 파지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스핀들(120)에서, 상기 제2 돌기(182)는 상기 스핀들(120)의 제1 스핀들홈(121)과 제2 스핀들홈(122)에서 배치되거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184)는 상기 하우징(130)의 제1 하우징홈(131)과 제2 하우징홈(132)에 배치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84)의 긴변을 상기 제2 하우징홈(132)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지 않게 배치하면 상기 제2 돌기(182)가 상기 제2 스핀들홈(122)에 진입할 수 없게 되어 스핀들(120)의 이동은 제한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84)의 긴변을 상기 제2 하우징홈(132)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배치하면 상기 제2 돌기(182)가 상기 제2 스핀들홈(122)에 진입하게 되어 스핀들(120)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배치 또는 스핀들고정키(180)의 배치에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제2 하우징홈(132)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고정키(180)의 회전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리미트스위치(160)가 상기 스핀들고정키(180)의 회전방향을 인식하는 것은 일례로, 상기 제2 돌기(182)의 제2 방향과의 접촉/비접촉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스위치(160)는 상기 제2 돌기(182)의 제1 방향이 상기 스핀들(12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스핀들(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돌기(182)의 제1 방향이 상기 스핀들(12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지 않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스핀들(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00)에서 퀼(110)을 분해하기 위한 동작과정 및 유압 분배 과정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핀들(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제1 돌기(172)는 제1 홈(152a)에 대향되지 않게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고정키(180)의 제2 돌기(182)는 상기 제2 스핀들홈(122)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130) 내부에 배치되는 제2 돌기(182)의 방향은 파지부(184)의 방향과 동일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184)를 제2 하우징홈(132)에 대향되게 셋팅함으로써 상기 제2 돌기(182)의 위치 변경을 예상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142)의 전진에 의해 스핀들(120)이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으로부터 분지된 제2 유압공급라인(L2)에 유압이 유입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의 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압력차에 의해 대부분의 유압은 제1 유압공급라인(L1)을 통해 유동하게 되고, 상기 제2 유압공급라인(L2)에 유입되는 유량은 미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150)고정부가 상기 로드(15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로드(150)는 이동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퀼(110)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로드(150)에 유압을 유입시켜야하며, 이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로드(15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로드고정키(170)의 제1 돌기(172)는 제1 홈(152a)에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고정키(180)의 제2 돌기(182)는 상기 제2 스핀들홈(122)에 대향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을 통해 유압이 공급되어도 상기 스핀들(120)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피스톤(142)의 전진도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압공급라인(L1)으로 유입되는 유압은 제2 유압공급라인(L2)에 대부분이 유입되어, 상기 로드실린더(151)는 유압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상기 로드(150)는 상기 퀼(110)의 후단을 가격하게 되므로 상기 퀼(110)이 상기 스핀들(120)의 내부에서 이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00)는 기존의 유압라인을 이용하여 로드(15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퀼(110)의 분해가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심압대 110: 퀼
120: 스핀들 121: 제1 스핀들홈
122: 제2 스핀들홈 123: 소켓
124: 베어링 130: 하우징
131: 제1 하우징홈 132: 제2 하우징홈
140: 실린더부 141: 실린더하우징
142: 피스톤 143: 커넥터
144: 실린더캡 150: 로드
151: 로드실린더 152: 로드캡
160: 리미트스위치 170: 로드고정키
171: 제1 몸체 172: 제1 돌기
180: 스핀들고정키 181: 제2 몸체
182: 제2 돌기 183: 제3 몸체
184: 파지부

Claims (12)

  1. 모재의 자유단을 고정하는 퀼;
    상기 퀼을 수용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스핀들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상기 퀼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핀들 및 실린더부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심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하우징;
    일측이 상기 관통홀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
    상기 실린더의 일측과 상기 스핀들을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관통홀의 타측을 폐쇄하며 상기 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1 유압공급라인이 형성되는 실린더캡;을 포함하는 심압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타측을 폐쇄하되 상기 실린더캡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압라인과 연통되어 상기 로드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 유압공급라인이 형성되는 로드캡을 더 포함하는 심압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타측은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캡은 상기 단차부의 내주면의 지름과 대응하는 지름을 가지고 상기 단차부에서 이동되는 로드실린더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심압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타단은 상기 로드캡의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타단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로드가 상기 퀼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로드고정키를 더 포함하는 심압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캡의 타단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드고정키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1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심압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스핀들이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는 스핀들고정키를 더 포함하는 심압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고정키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형의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하측에서 제1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의 폭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2 돌기;
    상기 제2 몸체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3 몸체;
    상기 제3 몸체의 상측에 사용자의 손 또는 공구로써 파지가 용이하도록 배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심압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에는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원형의 제1 스핀들홈과, 상기 제1 스핀들홈에서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돌기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스핀들홈을 포함하는 심압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3 몸체를 수용하는 제1 하우징홈과, 상기 제1 하우징홈에서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하우징홈을 포함하는 심압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홈에 배치되어 상기 스핀들고정키의 회전방향을 인식하는 리미트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심압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을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2 돌기의 제1 방향을 상기 스핀들의 길이방향과 대응되지 않게 배치하면 공작기계의 작동을 제한하는 심압대.
KR1020170019829A 2017-02-14 2017-02-14 심압대 KR20180093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29A KR20180093562A (ko) 2017-02-14 2017-02-14 심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29A KR20180093562A (ko) 2017-02-14 2017-02-14 심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62A true KR20180093562A (ko) 2018-08-22

Family

ID=6345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29A KR20180093562A (ko) 2017-02-14 2017-02-14 심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35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40A (ko) 2019-01-10 2020-07-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KR20200095044A (ko) 2019-01-31 2020-08-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
KR20200108588A (ko) 2019-03-11 2020-09-21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심압대
KR20220109045A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심압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840A (ko) 2019-01-10 2020-07-2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KR20200095044A (ko) 2019-01-31 2020-08-10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
KR20200108588A (ko) 2019-03-11 2020-09-21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심압대
KR20220109045A (ko)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심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3562A (ko) 심압대
KR102360161B1 (ko) 스핀들 장치 및 그의 작동방법
CN105102145B (zh) 冲压设备
CN103949900A (zh) 一种车床用弹性夹头机构
US6640679B1 (en) Collet adapter chuck assembly with axially fixed collet head
MXPA01000920A (es) Montaje de herramienta.
KR102328427B1 (ko) 심압대
CN103894641A (zh) 一种外顶式内涨夹套
US8578588B2 (en) System pendulum apparatus and method
CN103027741A (zh) 克氏针可调式装夹机构
KR20160072390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공작기계용 척
KR101965935B1 (ko) 복합 기능을 갖춘 면취 절삭 공구
CN203817795U (zh) 一种车床用弹性夹头机构
KR20160106416A (ko) 공작기계용 공작물 길이조절구조
US2671667A (en) Floating toolholder
JP2007319935A (ja) 加圧装置
CN202411562U (zh) 一种机用内槽刀
CN113490565B (zh) 用于对非圆柱形内轮廓进行扩孔的钻头
US6206382B1 (en) Equalizing power chuck
JP2011255460A (ja) 工作機械
KR101345900B1 (ko) 심압대의 데드센터 탈착 구조
CN110712056A (zh) 一种阀套销孔加工夹具
CN202097440U (zh) 一种快换钻套
CN104259526A (zh) 钻套
WO2017118444A1 (zh) 液压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