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9045A - 심압대 - Google Patents

심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9045A
KR20220109045A KR1020210012268A KR20210012268A KR20220109045A KR 20220109045 A KR20220109045 A KR 20220109045A KR 1020210012268 A KR1020210012268 A KR 1020210012268A KR 20210012268 A KR20210012268 A KR 20210012268A KR 20220109045 A KR20220109045 A KR 20220109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ll
base
central axis
pin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1001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9045A/ko
Publication of KR20220109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3/00Tailstocks; Centres
    • B23B23/005Tailstocks; Centres the centre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부;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퀼이 내경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을 위해 상기 퀼을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심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심압대{Tail Stock}
본 발명은 심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 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심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가공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 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렛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Tool Changer)를 구비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 AutomaticPalette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팔레트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방법에 따라 크게 터닝센터(TURNING CENTER)와 머시닝센터(MACHINING CENTER)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선삭, 밀링, 드릴링, 탭핑, 보링 등 여러 가지 가공 공정을 하나의 공작기계에서 한번 공작물 스텝(step)으로 구현할 수 있는 공작기계를 복합가공기(multi-task center or integrated mill turn center)라 한다. 이러한 복합가공기를 이용하면 리드타임(lead time), 부품 수, 작업 부하, 작업 공간 등을 줄이는 것은 물론 생산성과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공작기계는 가공소재를 클림핑하는 척과 척에 클램핑된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고정시키는 심압대를 포함할 수 있다. 심압대는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여 가공소재의 처짐이나 좌굴 현상을 방지하여 가공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공작기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종래 심압대는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정할 수 없거나 조정하는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작업자의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여 비가공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을 정밀하게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가공공정을 진행하게 됨에 따라 종국적으로 오가공에 따른 가공된 공작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공작기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8-00935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함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높이고, 비가공시간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을 위해 정확한 위치에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위치하도록 정밀하게 조절하여 오가공을 방지하기 위한 심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바디부;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퀼이 내경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을 위해 상기 퀼을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는,상부공동부와 중앙공동부와 하부공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기준선의 양측 중에서 어느 한측에 높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공동부; 일부가 상기 중앙공동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고정 설치되는 핀부; 상부는 상기 상부공동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핀부를 중심으로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조절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하부는 상기 하부공동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핀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조절부를 상기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핀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조절부를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승강시키면 상기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공동부와 상기 하부공동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퀼의 중심축의 조정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공동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게이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에 인접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장공부;및 각각의 상기 장공부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장공부에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가공소재를 지지하는 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부를 통해 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교한 퀼의 중심축의 높이조절을 함에 따라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절을 위한 조절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최소화 하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조절부을 통해 퀼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함에 따라 가공소재의 중심축에 따라 퀼의 중심축을 정확한 위치에 조절한 뒤 가공소재를 지지함에 따라 가공과정에서 가공소재가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소재의 정밀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 가공된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플랜지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바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플랜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서 플랜지부가 제거된 상태의 베이스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바디부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서 A-A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심압대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서 플랜지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바디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플랜지부가 결합된 상태의 베이스부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서 플랜지부가 제거된 상태의 베이스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바디부 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3에서 A-A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1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의 제2 조절부를 통해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1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고, "높이방향"이란 수평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 즉 도 1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하며, "길이방향"이란 수평방향과 높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1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도 1에서 Z축의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높이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도 1에서 Z축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바디부(100), 베이스부(200), 결합부(300), 조절부(400) 및 플랜지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바디부(100)는 하우징(3)과 일체로 형성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 바디부는 하우징과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3)은 바디부(100)와 함께 심압대(1)의 외형을 형성하며, 공작기계의 베드 또는 베이스에 설치된다. 바디부(100)는 하우징(3)의 전방에 배치되며 바디부(100)의 내부에는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퀼(2)이 배치된다. 전방이란 도 1에서 길이방향의 앞쪽(즉, 도 1에 Y축으로 왼쪽)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베이스부(200)는 바디부(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퀼(2)이 베이스부(200)의 내경을 관통하여 상술한 바디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퀼(2)을 베이스부(200)가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00)는 베이스부(200)의 내경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퀼(2)을 바디부(100)에 삽입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결합부(300)는 베이스부(200)를 바디부(100)에 탈부착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는(300) 장공부(310) 및 체결부(32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장공부(310)는 베이스부(200)의 외경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장공부(310)는 베이스부(200)를 관통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공부(310)는 베이스부(200)의 외경의 중심축(도 4에서 D)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하도록 베이스부(3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장공부(310)는 베이스부(200)의 외경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320)가 임시로 장공부(3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즉, 체결부가 스크류(Screw)등인 경우 스크류가 반정도 풀려있는 상태)에 조절부(400)의 조절에 따라 베이스부(200)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체결부(320)는 각각의 장공부(310)에 삽입 체결되어 베이스부(200)를 바디부(100)에 고정 결합한다. 체결부(3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불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체결부(320)는 베이스부(200)의 전방에 플랜지부(500)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플랜지부(500)의 각각의 관통홀(510)과 베이스부(200)의 장공부(310)에 삽입 체결되어 플랜지부(500)와 베이스부(200)를 바디부(10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조절부(400)는 가공소재의 원통도 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가공소재의 원통도를 조정하기 위해 조절부(400)의 조절에 따라 베이스부(200)를 회전시켜 베이스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퀼(2)의 중심축(도 6의 C-C)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원통도(Cylindrical)란 중심을 기준 축으로 측정물을 회전하고, 측정치를 이동하였을 때 전체 반경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즉,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 편심된 퀼(2)의 중심축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가공소재의 원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및 도 6을 참조하면, 조절부(400)는 공동부(410), 핀부(420), 제1 조절부(430), 제2 조절부(440), 게이지부(450) 및 표시부(460)을 포함 할 수 있다.
공동부(410)는 베이스부(200)의 외경의 중심축(도 4에서 D)을 지나는 수평기준선(도 4에서 B-B)의 양측 중에서 어느 한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도 1에서 Z방향)으로 베이스부(200)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공동부(410)는 상부공동부(411)와 중앙공동부(412)와 하부공동부(413)로 구성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공동부(411) 공동부(410)의 위쪽부분(즉, 도 1에서 Z방향 위쪽)이고, 하부공동부(413)는 공동부(410)의 아래쪽 부분(즉, 도 1에서 Z방향 아래쪽)이며, 중앙공동부(412)는 상부공동부(411)와 하부공동부(413) 사이에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부공동부(411)와 하부공동부(413)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상부공동부(411)와 하부공동부(413)가 형성되는 베이스부(2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공동부(411)에는 제1 조절부(430)가 삽입 결합되고, 하부공동부(413)에는 제2 조절부(440)이 삽입 결합되며, 중앙공동부(412)에는 핀부(420)가 배치되어 종국적으로 중앙공동부(412)에 배치된 핀부(420))를 중심으로 위쪽에는 제1 조절부가 아래쪽에는 제2 조절부가 배치 된다.
핀부(420)는 바디부(100)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절부(430) 또는 제2 조절부(440)의 이동에 의해 제1 조절부(430) 또는 제2 조절부(440)에 의해 접촉 가압되더라고 핀부(420)는 설치된 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핀부(420)는 일부가 중앙공동부(412)에 위치하며, 퀼(2)의 중심축(도 6의 C-C)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핀부(420)는 중앙공동부(412)에 퀼(2)의 중심축(도 6의 C-C)과 평행하도록 연장 배치되어 상부공동부(411) 삽입 결합되는 제1 조절부(430) 또는 하부공동부(413)에 삽입 결합되는 제2 조절부(440)와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핀부(420)는 높이가 조정되기 전의 퀼(2)의 중심축(도 6의 C-C)과 핀부(420)의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바디부(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이 된 후의 퀼(2)의 중심축(도 8의 C1-C1 또는 도 10의 C2-C2)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핀부(420)는 바디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되어 있는 핀부(42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조절부(400)에 의해 조정되어 변화된 퀼(2)의 중심축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 조절부(430)는 상부(도 1에서 Z방향 위쪽)는 상부공동부(411)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핀부(4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절부(430)는 상부공동부(411)에 삽입체결되어 상부공동부(411)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1 조절부(430)가 아래쪽으로 직선이동하는 경우에는 핀부(420)와 접촉되고 제1 조절부(430)가 위쪽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는 핀부(420)와 이격되게 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조절부(430)의 외주면에는 상부공동부(411)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조절부(430)가 스크류(Screw)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1 조절부(430)를 조여서 아래쪽으로 직선이동시키게 되면 제1 조절부(430)가 핀부(420)에 접촉된다.
제1 조절부(430)가 핀부(420)에 접촉된 이후에도 제1 조절부(430)를 조이게 되면 핀부(420)는 바디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제1 조절부(430)는 직선이동하지 못하게 되지만. 제1 조절부(430)를 조이는 힘에 의해 상부공동부(411)에 형성된 나사산(즉, 상부공동부(411)가 형성되는 베이스부(2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타고 베이스부(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된다.
제2 조절부(440)는 중앙공동부(411)에 배치되는 핀부(420)를 중심으로 높이방향으로 제1 조절부(430)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2 조절부(440)의 하부(도 1에서 Z방향 아래쪽)는 하부공동부(413)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핀부(420)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절부(440)는 히부공동부(413)에 삽입체결되어 하부공동부(413)에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제2 조절부(440)가 위쪽으로 직선이동하는 경우에는 핀부(420)와 접촉되고 제2 조절부(440)가 아래쪽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에는 핀부(420)와 이격되게 된다.
또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조절부(440)의 외주면에는 하부공동부(413)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조절부(440)가 스크류(Screw)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2 조절부(440)를 조여서 위쪽으로 직선이동시키게 되면 제2 조절부(440)가 핀부(420)에 접촉된다.
제2 조절부(440)가 핀부(420)에 접촉된 이후에도 제2 조절부(440)를 조이게 되면 핀부(420)는 바디부(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제2 조절부(440)는 직선 이동하지 못하게 되지만. 제2 조절부(440)를 조이는 힘에 의해 하부공동부(413)에 형성된 나사산(즉, 하부공동부(413)가 형성되는 베이스부(20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타고 베이스부(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가공소재를 지지하는 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부를 통해 퀼을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교한 퀼의 중심축의 높이조절을 함에 따라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절을 위한 조절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작업시간을 최소화 하고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심압대는 조절부을 통해 퀼의 높이를 정교하게 조절함에 따라 가공소재의 중심축에 따라 퀼의 중심축을 정확한 위치에 조절한 뒤 가공소재를 지지함에 따라 가공과정에서 가공소재가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소재의 정밀가공을 수행할 수 있어 가공된 공작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이지부(450)는 퀼의 중심축의 조정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공동부(410)에 인접하도록 바디부(100))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핀부(420)가 높이가 조정되기 전의 퀼(2)의 중심축(도 6의 C-C)과 핀부(420)의 중심축이 동일하도록 바디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핀부(420)의 중심축에 게이지부(450)의 기준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이 된 후의 퀼(2)의 중심축(도 8의 C1-C1 또는 도 10의 C2-C2)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정되기 전의 퀼(2)의 중심축(도 6의 C-C)을 게이지부(450)의 기준점으로 하여 이를 0으로 표시한 경우에는 제1 조절부을 작동하여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1 눈금 당 0.012mm 조정을 할 수 있다면 7눈금을 상향조정한 경우 0.084mm가 조정된 높이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조절부를 작동한 경우에도 하향 조정된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표시부(460)는 게이지부(460)에 인접하는 베이스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표시부(460)는 게이지부(460)에 표시된 눈금을 정확하게 가리키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표시부(460)는 조정되기 전의 퀼(2)의 중심축(도 6의 C-C)에 위치되어 게이지부(460)의 기준점을 가리킨 상태에서 제1 조절부 또는 제2 조절부에 의해 회전하는 베이스부(200)에 의해 조정된 게이지부의 눈금의 위치를 가리키게 하여 퀼의 중심축의 조정된 높이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게이지부와 표시부를 통해 직관적으로 작업자가 조정된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판단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퀼이 가공소재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정밀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플랜지부(500)는 결합부(300)의 복수의 장공부(310)에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5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플랜지부(500)는 베이스부(200)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제1 조절부를 아래로 직선이동(제1 조절부가 스크류인 경우 스크류를 조임)하여 제1 조절부가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제1 조절부를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핀부는 바디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더이상 제1 조절부는 직선이동하지 못하게 되지만. 제1 조절부를 조이는 힘에 의해 상부공동부에 형성된 나사산(즉, 상부공동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타고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부에 의해 지지되는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된다.
이 경우에 제2 조절부는 핀부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제2 조절부가 스크류로 이루어진 경우 제2 조절부를 충분히 풀어놓아 제1 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제2 조절부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조절부가 핀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헛도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압대(1)는 제2 조절부를 위로 직선이동(제2 조절부가 스크류인 경우 스크류를 조임)하여 제1 조절부가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제2 조절부를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승강시키면 핀부는 바디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더이상 제2 조절부는 직선이동하지 못하게 되지만. 제2 조절부를 조이는 힘에 의해 하부공동부에 형성된 나사산(즉, 하부공동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타고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부에 의해 지지되는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된다.
이 경우에 제1 조절부는 핀부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제1 조절부가 스크류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조절부를 충분히 풀어놓아 제2 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제1 조절부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조절부가 핀부에 접촉되지 않도록 헛도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 : 심압대 , 2 : 퀼
3 : 하우징 100 : 바디부,
200 : 베이스부, 300 : 결합부,
310 : 장공부, 320 : 체결부.
400 : 조절부, 410 : 공동부,
420 : 핀부, 430 : 제1 조절부,
440 : 제2 조절부, 450 : 게이지부,
460 : 표시부, 500 : 플랜지부

Claims (9)

  1. 바디부;
    가공소재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한 퀼이 내경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바디부에 탈부착 결합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가공소재의 원통도 조정을 위해 상기 퀼을 지지하는 상기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부공동부와 중앙공동부와 하부공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의 중심축을 지나는 수평기준선의 양측 중에서 어느 한측에 높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공동부;
    일부가 상기 중앙공동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과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고정 설치되는 핀부;
    상부는 상기 상부공동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1 조절부; 및
    상기 핀부를 중심으로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1 조절부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하부는 상기 하부공동부에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핀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핀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조절부를 상기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하강시키면 상기 베이스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상향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가 상기 핀부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절부가 상기 핀부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조절부를 핀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승강시키면 상기 베이스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퀼의 중심축의 높이가 하향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동부와 상기 하부공동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퀼의 중심축의 조정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공동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게이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게이지부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에 인접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외경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이격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장공부; 및
    각각의 상기 장공부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바디부에 고정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장공부에 위치에 대응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압대.
    .



KR1020210012268A 2021-01-28 2021-01-28 심압대 KR20220109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68A KR20220109045A (ko) 2021-01-28 2021-01-28 심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268A KR20220109045A (ko) 2021-01-28 2021-01-28 심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045A true KR20220109045A (ko) 2022-08-04

Family

ID=8283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268A KR20220109045A (ko) 2021-01-28 2021-01-28 심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90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62A (ko) 2017-02-14 2018-08-2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562A (ko) 2017-02-14 2018-08-22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심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071B1 (ko) 자동공구교환장치와 이의 제어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EP3733341A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2449379B1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KR20220109045A (ko) 심압대
KR20200086840A (ko) 심압대
KR20210111551A (ko) 공작기계의 툴 매거진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652210B1 (ko) 유니버셜 헤드 어태치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공작기계
KR102562141B1 (ko) 공작기계
KR20220124002A (ko) 스핀들 클램프 장치
KR20210122614A (ko) 공작기계의 툴 보관장치
KR102461198B1 (ko) 공작기계의 크로스 레일
KR20210129478A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클램핑 장치
KR20210133815A (ko) 공작기계의 심압대
KR102461865B1 (ko) 터렛 공구대 장치
KR102630395B1 (ko) 공작기계
KR102435068B1 (ko) 공작기계
KR20230120322A (ko) 공작기계의 팔레트 포지셔닝 장치
KR20230134789A (ko) 어태치먼트 위치 조절장치
KR20190098424A (ko)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
KR20230154555A (ko) 공작기계의 스핀들 장치
KR102507372B1 (ko) 보링스핀들의 서포트 장치
CN211361431U (zh) 一种加工法兰端板钻孔攻丝的装置
KR102370771B1 (ko) 공작기계의 캐리지 장치
KR20220085923A (ko) 공작기계의 툴 헤드
KR20230157015A (ko) 공작기계의 터렛 클램프 확인 장치 및 이의 셋팅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