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282A -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 Google Patents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282A
KR20180093282A KR1020170019137A KR20170019137A KR20180093282A KR 20180093282 A KR20180093282 A KR 20180093282A KR 1020170019137 A KR1020170019137 A KR 1020170019137A KR 20170019137 A KR20170019137 A KR 20170019137A KR 20180093282 A KR20180093282 A KR 20180093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cutter
coupl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610B1 (ko
Inventor
이일화
신정열
진충한
곽희곤
이순구
민경찬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경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씨에스글로벌 주식회사, 주식회사 천경기업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1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610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12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 E01B31/17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by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P)을 평탄화하는 평삭장치(1)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평판형 지지대(111)의 상측에서 상기 패널(P)을 한 단위씩 수평 거치하는 거치부(110)와, 거치부(110)의 양측에 배치하여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가 이동하는 레일(120)을 구비하는 베이스(100)와; 복수의 플레이트(211~215)를 결합하여 하측이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외측 4개소에 주행롤러(216)를 배치하여 베이스(100)의 레일(120) 상을 전, 후방으로 주행하는 서포트(210)와, 서포트(210) 내에 장착되어 서포트(210)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패널(P)의 표면을 평삭하는 커터(220)와, 서포트(210)의 상측에서 커터(220)의 직 상방에 설치하여 커터(220)를 구동하는 모터(230)를 구비하는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 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PLANING APPARATUS FOR DRIVE PANEL ON RUBBER WHEEL}
본 발명은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철 차륜에 비해 가속 성능이 우수한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 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을 평탄화하도록 패널을 거치하는 베이스와 패널을 평삭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평삭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차량 주행 시 성능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패널 평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철도는 철 궤도와 차량의 철 차륜 상간의 마찰을 주행 방식으로 하는 궤도 시스템으로 운행된다. 철 차륜은 주행 저항이 낮고 마모 수명이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가속 성능이 낮으므로 최근 전철 혹은 경전철 일부 노선에서는 고무차륜을 장착한 차량의 운행이 시행되고 있다.
고무차륜은 철 차륜에 비해 저소음, 고점착에 따른 가속 성능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 철 궤도 시스템에서는 운행할 수 없으므로 도상 자체가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전용 궤도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한다.
현재 운행중인 경전철의 경우 주행노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상측으로 전철차량의 고무차륜이 접촉하면서 주행하며 곡선구간의 분기를 위해 고무차륜의 양측에 안내륜을 구비하여 분기를 유도하는 형태의 궤도 시스템으로 운행된다.
경량전철의 궤도 시스템에 관한 기술의 일례로서 공지된 등록특허 제 10 - 0426661 호의 구성을 개략저긍로 살펴보면, 경량전철의 고무차륜이 주행토록 평탄부가 형성되는 주행 노면부와, 주행 노면부의 양측으로 궤조 지지대가 입설되고 궤조 지지대의 내측 벽면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횡설되어 경량전철의 하측 안내륜이 접촉하는 안내궤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무차륜은 철 차륜에 비해 진동에 취약하고 주행저항이 크므로 주행용 패널의 노면 상태에 매우 민감한 특성이 있다.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되므로 경화 과정에서 레이턴스(Laitance)가 생성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노면에 미세 요철이 형성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등록특허 제 10 - 1253770 호에는 고무차륜 안내궤도식 철도의 주행로 표면처리장치를 개발하여 공지한 바,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압입되기 위한 샤프트홀이 중앙에 형성되고 주행로 표면을 연마하기 위한 연마팁이 외주면에 설치되며 샤프트홀과 연마팁의 사이에 통풍홀이 형성되고 연마팁의 아래쪽에 열발산공이 형성되고 연마팁의 사이에 통풍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의 사이마다 설치되는 다수개의 와셔와, 상기 블레이드와 와셔를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내부가 속이 빈 형태로 이루어지고 통풍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통풍홀은 샤프트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배치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통풍홀의 사이에는 와셔고정홈이 샤프트홀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배치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통풍홈은 블레이드의 회전시에 발생하게 되는 원심력의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경사각도를 가지면서 배치 형성되며, 상기 와셔는 블레이드의 사이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등록특허 제 10 - 0426661 호 (2004.04.14) 등록특허 제 10 - 1253770 호 (2013.04.12) 등록실용신안 제 20 - 0274188 호 (2002.05.06)
상기한 바와 같이 고무차륜은 주행용 패널의 노면 상태에 매우 민감한 특성이 있으므로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의 경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레이턴스(Laitance) 등의 요인으로 인한 미세 요철을 최소화하는 것이 차량 주행 성능의 확보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행용 패널을 궤도에 설치한 후에는 별도의 측정장비를 이용해 노면의 평탄성 및 마찰계수 등을 측정하여 고무차륜 주행을 위한 적정 기준 여부를 검사하게 되며, 오차 발생 시 표면처리장치를 이용해 표면을 연마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예로든 종래 기술은 이와 같은 고무차륜 안내궤도식 철도의 주행로 표면처리장치를 개시한바, 다이아몬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연마팁이 외주면에 설치되는 회전형 표면처리장치를 구성하여 주행로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표면처리장치는 일반적인 공작 기계에 탑재되는 단순 절삭공구의 형태에 불과하므로,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의 평탄화 작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전용 평삭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P)을 평탄화하는 평삭장치(1)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평판형 지지대(111)의 상측에서 상기 패널(P)을 한 단위씩 수평 거치하는 거치부(110)와, 거치부(110)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가 이동하는 레일(120)을 구비하는 베이스(100)와;
복수의 플레이트(211~215)를 결합하여 하측이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외측 4개소에 주행롤러(216)를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레일(120) 상을 전, 후방으로 주행하는 서포트(210)와, 서포트(210) 내에 장착되어 서포트(210)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패널(P)의 표면을 평삭하는 커터(220)와,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에서 커터(220)의 직 상방에 설치하여 커터(220)를 구동하는 모터(230)를 구비하는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 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화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조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의 표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화하도록 하는 전용 평삭장치를 제공하여 고무차륜 차량의 운행에 적합한 평탄성 및 마찰력 기준을 충족하는 패널 평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단위 패널을 거치하는 베이스와 패널을 평삭하는 본체를 상호 연계 구성함으로써 패널의 거치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구비된 커터가 패널의 외형에 따라서 표면의 단순 요철뿐만 아니라 레이턴스로 인해 부상하는 미세 물질까지도 정밀하게 제거 가능하므로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작업을 보다 효율화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베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본체(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본체(200)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베이스(1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a) 및 측면도(b),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본체(2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본체(200)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1)는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 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P)의 표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탄화하는 평삭장치(1)를 제공함으로써 패널(P)의 외부 형상에 따라서 커터(220)가 정밀하게 평삭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고무차륜 차량의 주행 성능 기준을 충족하는 패널(P)을 제공할 수 있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전용 평삭장치(1)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P)을 거치하는 베이스(100)와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를 연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는 일정 길이의 평판형 지지대(111)의 상측에서 상기 패널(P)을 한 단위씩 수평 거치하는 거치부(110)와, 거치부(110)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가 이동하는 레일(120)을 구비한다.
상기 패널(P)은 주행 궤도의 설계에 따라 일정 규격 단위로 콘크리트를 양생 및 경화하여 제조된 후 현장으로 이동하여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약 10미터 내외의 길이 단위로 제조되므로 해당 규격을 고려하여 베이스(100)의 길이를 구성한다.
상기 거치부(110)는 패널(P)의 하중을 지탱하면서 동시에 접촉면적은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로 지지대(111)로부터 돌출 형성한다.
상기 레일(120)은 후술하게 될 본체(200)의 주행로를 형성하며 양측 주행롤러(216)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거치부(110)의 양측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레일(120)의 하측에는 레일(1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레일승강수단(130)을 결합하여 베이스(100) 상에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승강수단(130)의 승강을 일괄 작동하는 레일승강조절부(140)를 설치하여 양측 레일(120)을 동일 높이로 승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레일승강수단(1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스크류잭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그 종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래크잭이나 유압잭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잭의 작동 기제에 관해서는 주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레일승강조절부(140)는 회동레버(미부호)와 상기 레일승강수단(130)의 스크류(미부호)를 연동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가 레일승강조절부(140)의 회동레버를 수동으로 회동하면 레일승강수단(130)에 구비된 스크류가 일괄 회전하면서 양측 레일(120)을 동시에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한다. 레일승강조절부(140) 역시 레일승강수단(130)에 따라서 수동 또는 자동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200)는 베이스(100)의 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패널(P)을 평삭하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서포트(210)와, 평삭날이 원통형으로 배치되는 커터(220)와, 커터(220)를 구동하는 모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210)는 복수의 플레이트(211~215)를 결합하여 하측이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외측 4개소에 주행롤러(216)를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레일(120) 상을 전, 후방으로 주행한다.
상기 서포트(210)는 도 4 또는 도 7에서 핸들(243)의 위치를 전방으로 할 때, 본체(200)의 좌,우 측면을 구성하는 제1,2플레이트(211,212)와, 본체(200)의 전,후 측면을 구성하는 제3,4플레이트(213,214)와, 본체(200)의 상측 면을 구성하는 제5플레이트(215)가 결합되어 본체(200)의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2플레이트(211,212)는 내부에 장착된 커터(220)의 양측 축단을 노출하는 원형 개구를 형성하여 후술하게 될 커터(220)와 모터(230)의 작동 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3,4플레이트(213,214)는 제1,2플레이트(211,212)의 전, 후측에 결합하고, 본체(200)의 이동 시 서포트(210) 내로 패널(P)을 반입 및 반출하는 장방형 개구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3,4플레이트(213,214)는 제1,2플레이트(211,212)에 비해 하측 단을 짧게 형성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2플레이트(211,212)의 내측 면에는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ㄴ'자 단면 형상의 가이드앵글(218)을 상호 대향하도록 결합하며, 상기 가이드앵글(218)에는 수직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래킷에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롤러(219)를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210) 내로 반입 및 반출되는 패널(P)의 양 측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가이드롤러(219)에 의해 본체(200)의 주행이 안정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5플레이트(215)는 제1플레이트 내지 제4플레이트(211~214)의 상측에 수평으로 결합하되, 전, 후측에는 연장부를 형성하여 후술하게 될 서포트승강수단(240) 및 주행롤러(216)가 장착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4플레이트(213,214)와 평행하고 제5플레이트(215)에 연직하는 한 쌍의 보강플레이트(217)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210)를 구성하는 복수의 플레이트(211~215) 간의 결합구조를 보강함과 동시에 서포트(210) 내부에 장착된 커터(22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커터(220)는 서포트(210) 내에 장착되어 서포트(210)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패널(P)의 표면을 평삭한다. 커터(220)는 절삭공구 등에 주지 관용되는 원반형 다이아몬드 날을 원통형으로 배열한 형태로 구성하며 스핀들 샤프트(미부호)를 축으로 고속 회전하는 날과 패널(P)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평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모터(230)는 서포트(210)의 상측에서 커터(220)의 직 상방에 설치하여 커터(220)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서는 모터(230)의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이 서포트(210) 내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제5플레이트(215)의 상측에 별도의 모터베이스(미부호)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한다.
즉,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터(220) 및 모터(230)의 일측 축단에는 각각의 풀리(221, 231)를 결합하고 V벨트(250)를 연결하여 커터(220)를 구동하도록 구성하므로, 커터(220)와 모터(230)의 축단이 상, 하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V벨트(250)의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동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풀리(221,231) 및 V벨트(250)의 외부에는 벨트커버(251)를 구비하여 서포트(210)에 장착함으로써 작동부를 보호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210)에는 주행롤러(216)를 기점으로 서포트(210)의 높이를 승강하는 서포트승강수단(240)을 구비하여 패널(P)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서포트승강수단(240)은 서포트(210)에 고정되는 승강가이드(241)와, 주행롤러(216)에 고정되는 승강바(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가이드(241)는 서포트(210)의 상측 면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215)의 전, 후측 연장부 4개소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에 결합하는 원형 관체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승강바(242)는 승강가이드(241)의 내경을 관통하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주행롤러(216)의 브래킷에 하단이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가이드(241)가 승강바(242)의 외주면을 타고 승강함에 따라 서포트(210)의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며, 목적하는 높이에서 소정의 체결수단(미부호)을 이용해 상기 승강가이드(241)를 승강바(242)에 고정하여 높이를 설정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5플레이트(215)의 연장부 상에는 수평바 형상의 핸들(243)을 구비하여 서포트승강수단(240)의 승강 작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에는 서포트(210) 내부에서 커터(220)에 의해 평삭된 패널(P)의 불순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수단(260)을 장착하고,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 면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215)에는 커터(220)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261)를 형성하여 상기 반출수단(260)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반출수단(260)은 외부에 마련된 집진기 등과 연결하여 서포트(210) 내부 및 커터(220) 주변으로부터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흡입, 배출하도록 원통형 파이프의 형태일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팬을 구비하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1)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평삭장치(1)의 상기 베이스(100) 상에 일 단위의 패널(P)을 거치한다. 상기 패널(P)은 소정의 크레인 등을 이용해 하측 면이 베이스(100)의 거치부(110) 상측에 접하도록 거치하며 양 측면이 레일(120)의 사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중심에 거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패널(P)이 베이스(100)에 거치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평삭장치(1)의 상기 본체(200)를 베이스(100)의 레일(120) 상에 위치시키며, 이때 상기 본체(200)의 서포트(210)의 높이는 최대가 된 상태에서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체(200)가 위치되면 본체(200)의 주행이 패널(P)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도록 서포트(210)의 제1,2플레이트(211,2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롤러(219)의 위치를 패널(P)의 양 측면에 접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서포트(210)의 내측에 장착된 커터(220)의 절삭날이 패널(P)의 상측 면에 접하도록 상기 서포트승강수단(240)을 하향 조절한 후 고정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삭 준비를 완료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핸들(243)이 위치하는 전방으로 본체(200)를 이동시키면서 모터(230)를 구동하여 커터(220)를 회전시킴에 따라 평삭작업을 진행하며, 절삭된 불순물은 서포트(210)의 상측 반출수단(260)을 통해 외부 집진기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일 단위의 패널(P) 평삭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베이스(100)에 구비된 레일승강조절부(140)를 작동하여 레일승강수단(130) 상에 결합된 양측 레일(120)을 하향 작동함에 따라 패널(P)을 본체(200) 하부와 이격하여 패널(P)을 용이하게 반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1)는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고무차륜과 직접 접촉하는 주행용 패널(P) 표면의 레이턴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평탄화하도록 하는 전용 평삭장치(1)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P)을 거치하는 베이스(100)와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를 상호 연계 구성하고 패널(P)의 거치작업 및 평삭작업이 패널(P)의 외형에 따라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인 평삭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의 이점이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 평삭장치 100: 베이스
110: 거치부 111: 지지대
120: 레일 130: 레일승강수단
140: 레일승강조절부 200: 본체
210: 서포트 211~215: 제1 내지 제5플레이트
216: 주행롤러 217: 보강플레이트
218: 가이드앵글 219: 가이드롤러
220: 커터 230: 모터
240: 서포트승강수단 241: 승강가이드
242: 승강바 243: 핸들
250: V벨트 251: 벨트커버
260: 반출수단 261: 개구
P: 패널

Claims (7)

  1. 고무차륜을 장착한 전철차량의 주행궤도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패널(P)을 평탄화하는 평삭장치(1)에 있어서,
    일정 길이의 평판형 지지대(111)의 상측에서 상기 패널(P)을 한 단위씩 수평 거치하는 거치부(110)와, 거치부(110)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패널(P)을 평삭하는 본체(200)가 이동하는 레일(120)을 구비하는 베이스(100)와;
    복수의 플레이트(211~215)를 결합하여 하측이 개방된 내부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외측 4개소에 주행롤러(216)를 배치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레일(120) 상을 전, 후방으로 주행하는 서포트(210)와, 서포트(210) 내에 장착되어 서포트(210)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패널(P)의 표면을 평삭하는 커터(220)와,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에서 커터(220)의 직 상방에 설치하여 커터(220)를 구동하는 모터(230)를 구비하는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20)의 하측에는 레일(1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레일승강수단(130)을 결합하여 베이스(100) 상에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승강수단(130)의 승강을 일괄 작동하는 레일승강조절부(140)를 설치하여 양측 레일(120)을 동일 높이로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210)는,
    내부에 장착된 커터(220)의 양측 축단을 노출하는 원형 개구를 형성하는 제1,2플레이트(211,212)와,
    상기 제1,2플레이트(211,212)의 전, 후측에 결합하고, 본체(200)의 이동 시 서포트(210) 내로 패널(P)을 반입 및 반출하는 장방형 개구를 형성하는 제3,4플레이트(213,214)와,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제4플레이트(211~214)의 상측에 수평으로 결합하되, 전, 후측에 연장부를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2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트(210)의 내부에는, 상기 제3,4플레이트(213,214)와 평행하고 제5플레이트(215)에 연직하는 한 쌍의 보강플레이트(217)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220) 및 모터(230)의 일측 축단에는 각각의 풀리(221, 231)를 결합하고 V벨트(250)를 연결하여 커터(220)를 구동하고, 상기 풀리(221,231) 및 V벨트(250)의 외부에는 벨트커버(251)를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210)에는, 주행롤러(216)를 기점으로 서포트(210)의 높이를 승강하는 서포트승강수단(240)을 구비하고;
    상기 서포트승강수단(240)은,
    서포트(210)의 상측 면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215)의 전, 후측 연장부 4개소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에 결합하는 원형 관체 형상의 승강가이드(241)와, 상기 승강가이드(241)의 내경을 관통하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주행롤러(216)의 브래킷에 하단이 결합하는 승강바(2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5플레이트(215)의 연장부 상에는 수평바 형상의 핸들(243)을 구비하여 서포트승강수단(240)을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에는, 서포트(210) 내부에서 커터(220)에 의해 평삭된 패널(P)의 불순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수단(260)을 장착하고,
    상기 서포트(210)의 상측 면을 형성하는 제5플레이트(215)에는 커터(220)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261)를 형성하여 상기 반출수단(260)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플레이트(211,212)의 내측 면에는, 'ㄴ'자 단면 형상의 가이드앵글(218)을 상호 대향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앵글(218)에는, 수직 회전축을 구비하는 브래킷에 결합된 복수의 가이드롤러(219)를 결합하여, 서포트(210) 내로 반입 및 반출되는 패널(P)의 양 측면을 따라서 회동하는 가이드롤러(219)에 의해 본체(200)의 주행이 유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KR1020170019137A 2017-02-13 2017-02-13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KR101945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37A KR101945610B1 (ko) 2017-02-13 2017-02-13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37A KR101945610B1 (ko) 2017-02-13 2017-02-13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82A true KR20180093282A (ko) 2018-08-22
KR101945610B1 KR101945610B1 (ko) 2019-02-08

Family

ID=6345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37A KR101945610B1 (ko) 2017-02-13 2017-02-13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6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023A (zh) * 2019-10-15 2020-01-17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轨道工程的钢弹簧浮置板整体道床施工方法
CN111687723A (zh) * 2020-05-22 2020-09-22 黄文华 一种木质鸽巢箱组装板四边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558Y1 (ko) * 2002-11-27 2003-02-05 주식회사 태웅코로죤 연마기
KR101114445B1 (ko) * 2011-03-25 2012-02-24 강남훈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콘크리트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의 궤도 부설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0023A (zh) * 2019-10-15 2020-01-17 中铁四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轨道工程的钢弹簧浮置板整体道床施工方法
CN111687723A (zh) * 2020-05-22 2020-09-22 黄文华 一种木质鸽巢箱组装板四边打磨装置
CN111687723B (zh) * 2020-05-22 2022-07-22 黄文华 一种木质鸽巢箱组装板四边打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610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5788B (zh) 混凝土边角抹平装置
CA2730230A1 (en) Lathe for train wheels
KR101945610B1 (ko) 고무차륜 주행용 패널 평삭장치
CN108788976A (zh) 一种汽车零件旋转式打磨装置
US20220176460A1 (en) Portable profiler for locomotive or railcar wheels
KR20180122858A (ko) 철도 레일의 용접부위 연마장치
US10226824B2 (en) Portable profiler for locomotive or railcar wheels
CN214922993U (zh) 一种彩钢板毛刺清除装置
JP6103897B2 (ja) レール削正車両
CN202556208U (zh) 抛光小车
CN2841300Y (zh) 石材侧面精整切割机
CN107116408A (zh) 一种升降式自动磨墙机
KR101150677B1 (ko) 지면 평삭기
CN214082987U (zh) 橡胶轮胎修边装置
CN112809527B (zh) 一种u肋打磨机
CN211394629U (zh) 一种用于修复盾构机主驱动跑道激光熔覆的设备
CN107598733A (zh) 一种卧式环缝砂带打磨机
CN209335297U (zh) 一种棒材倒棱设备
CN220313769U (zh) 一种履带式无轨金刚石绳锯机
CN220806744U (zh) 一种门架式模板自动打磨装置
CN216731138U (zh) 一种全方位旋转臂架式手扶角磨设备
CN212527107U (zh) 一种地坪研磨修边机
CN219075146U (zh) 一种坡口自动打磨机
CN214186564U (zh) 一种u肋打磨机
CN114102306B (zh) 一种施工中混凝土墙面平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