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571A - 승강기 구조체 - Google Patents

승강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571A
KR20180091571A KR1020170016950A KR20170016950A KR20180091571A KR 20180091571 A KR20180091571 A KR 20180091571A KR 1020170016950 A KR1020170016950 A KR 1020170016950A KR 20170016950 A KR20170016950 A KR 20170016950A KR 20180091571 A KR20180091571 A KR 2018009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ntrance
cage
elevator cage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섭
이준화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571A/ko
Publication of KR2018009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 B66B9/022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mechanically otherwise than by rope or cable by rack and pinion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승강기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는 종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도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도어가 나머지 출입도어와 서로 다른 출입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승강기홀 및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출입구와 각각의 출입도어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며 승강하도록 승강기홀 내에 설치되는 승강기케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 구조체{ELEVATOR STRUCTURE}
본 발명은 승강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선박의 거주구 등에는 하층으로부터 상층까지 연결되는 승강기(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기는 각 층마다 인원 및 수화물 등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종방향으로의 이송을 담당한다.
그러나, 기존의 승강기 구조체의 경우, 각 층마다 설치되는 출입도어의 출입 방향이 모두 한 방향으로 동일하거나, 그 반대면에 출입도어가 하나 더 추가된 양 방향 출입 형태가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각 층별로 서로 다른 승강기 출입 방향이 요구되는 경우에 기존의 승강기 구조체를 통하여서는 이를 충족하기 어렵고, 주로 승강기의 형태에 따라 승강 구역을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승강기 구조체의 설계적 제약이 발생하여 다양한 설계가 사실상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층간 출입이 가능한 새로운 승강기 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6042호(2015. 12. 31, 선박용 승강기의 보강구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각 층마다 출입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는 승강기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도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도어가 나머지 출입도어와 서로 다른 출입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승강기홀 및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출입구와 각각의 출입도어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며 승강하도록 승강기홀 내에 설치되는 승강기케이지를 포함하는 승강기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승강기 구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이 나머지 지점의 연속축을 벗어나도록 승강기홀의 내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승강기케이지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 구조체는 승강기케이지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기로프 및 승강기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케이지를 승강시키도록 승강기로프를 감거나 푸는 승강윈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 구조체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래크(rack), 래크에 맞물리도록 승강기케이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피니언(pinion) 및 승강기케이지를 승강시키도록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기케이지의 출입구와 각각의 출입도어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승강기케이지가 회전하며 승강하므로, 각 층마다 출입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의 승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의 승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1000)는 승강기홀(100) 및 승강기케이지(200)를 포함하고, 가이드레일(300), 승강기로프(400) 및 승강윈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홀(100)은 종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도어(1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도어(110)가 나머지 출입도어(111)와 서로 다른 출입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부분으로, 승강기케이지(200)의 승강 통로를 제공한다.
즉, 승강기홀(100)은 내부에 종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중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중공 내에서 승강기케이지(200)가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홀(100)은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출입도어(110, 111)가 설치되어, 승강기케이지(200)에 탑승한 승강자 또는 수화물의 각 층에 대한 출입이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1000)는 각 층마다 출입도어(110, 111)의 출입 방향이 서로 다르도록 설치되어 각 층별로 서로 다른 승강기 출입 방향이 요구되는 경우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승강기 구조체(1000)의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기케이지(200)는 일측면에 출입구(210)가 형성되어 출입구(210)와 각각의 출입도어(110, 111)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며 승강하도록 승강기홀(100) 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각 층으로 승강자나 수화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체이다.
이러한 승강기케이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시 출입구(210)가 각 층의 출입도어(110, 111) 출입 방향과 대면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승강 과정에서 종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각 층의 출입도어(110, 111)와 출입구(210)가 서로 대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1000)는 승강기케이지(200)의 출입구(210)와 각각의 출입도어(110, 111)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승강기케이지(200)가 회전하며 승강하므로, 각 층마다 출입 방향을 서로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이 나머지 지점의 연속축을 벗어나도록 승강기홀(100)의 내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승강기케이지(200)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는 부분으로, 승강기케이지(20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비틀린 경로를 따라 승강기케이지(200)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300)의 일부분이 승강기홀(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가이드레일(300) 중 특정 부분은 승강기홀(100)의 다른 측면에 설치되도록 가이드레일(3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1000)는 별도로 승강기케이지(200)에 회전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승강기케이지(200)가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시 자연적으로 승강기케이지(200)가 회전할 수 있다.
승강기로프(400)는 승강기케이지(200)의 상면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승강윈치(미도시)에 대하여 승강기케이지(200)를 메달아 지지할 수 있다.
승강윈치(미도시)는 승강기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케이지(200)를 승강시키도록 승강기로프(400)를 감거나 푸는 부분으로, 승강기로프(4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승강기로프(400)에 메달린 승강기케이지(2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윈치(미도시)는 별도의 동력모터 등에 결합되어 승강기로프(400)를 감거나 풀기 위한 회전력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2000)는 승강기홀(100) 및 승강기케이지(200)를 포함하고, 래크(rack)(500), 피니언(pinion)(600) 및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래크(500)는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부분이고, 피니언(600)은 래크(500)에 맞물리도록 승강기케이지(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래크(500)와 피니언(600)은 서로 맞물려 피니언(600)의 회전력을 래크(5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동부(미도시)는 승강기케이지(200)를 승강시키도록 피니언(600)을 회전시키는 부분으로, 구동부(미도시)에서 피니언(600)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맞물린 래크(5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직선운동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승강기케이지(200)는 래크(500)가 설치된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종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2000)는 상술한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구조체(1000)의 주요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승강기홀 110, 111: 출입도어
200: 승강기케이지 210: 출입구
300: 가이드레일 400: 승강기로프
500: 래크 600: 피니언
1000, 2000: 승강기 구조체

Claims (4)

  1. 종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출입도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출입도어가 나머지 상기 출입도어와 서로 다른 출입 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는 승강기홀; 및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와 각각의 상기 출입도어의 출입 방향이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며 승강하도록 상기 승강기홀 내에 설치되는 승강기케이지;를 포함하는 승강기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점이 나머지 지점의 연속축을 벗어나도록 상기 승강기홀의 내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케이지의 측면을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승강기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케이지의 상면에 결합되는 승강기로프; 및
    상기 승강기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기케이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승강기로프를 감거나 푸는 승강윈치;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래크(rack);
    상기 래크에 맞물리도록 상기 승강기케이지의 측면에 설치되는 피니언(pinion); 및
    상기 승강기케이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승강기 구조체.
KR1020170016950A 2017-02-07 2017-02-07 승강기 구조체 KR20180091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50A KR20180091571A (ko) 2017-02-07 2017-02-07 승강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50A KR20180091571A (ko) 2017-02-07 2017-02-07 승강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71A true KR20180091571A (ko) 2018-08-16

Family

ID=6344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50A KR20180091571A (ko) 2017-02-07 2017-02-07 승강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6333A (zh) * 2019-01-22 2019-03-26 蒋道莲 一种新型安全电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42A (ko) 2014-06-20 2015-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승강기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042A (ko) 2014-06-20 2015-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승강기의 보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6333A (zh) * 2019-01-22 2019-03-26 蒋道莲 一种新型安全电梯
CN109516333B (zh) * 2019-01-22 2024-08-06 蒋道莲 一种安全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6456B (zh) 电梯装置和电梯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EP3484807B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ITMI20012558A1 (it) Ascensore con cabina guidata in un vano corsa, senza locale del macchinario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50013411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140134887A (ko) 수직개폐형 스크린도어의 승하강장치
KR20090130622A (ko) 저 피트(pit)형 승강기식 주차장치
JP6342238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KR20180091571A (ko) 승강기 구조체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20150060154A (ko) 직접 유압식 전망엘리베이터
JP5206827B2 (ja) 機械式自転車駐輪設備及び方法
EP3604197B1 (en) Elevator car
KR200487933Y1 (ko) 작업장용 물품 운반 엘리베이터
KR102377324B1 (ko) 창호용 수직 승강장치
JP4418773B2 (ja) 駐車装置用入出庫ステーションと出入口ゲート
CN205061256U (zh) 可循环电梯
KR102262254B1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JP669459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及びその駆動方法
EP1967478A1 (en)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raising persons and/or loads
JP7014650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6124569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200207427Y1 (ko) 엘리베이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