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556A - 지붕 방수재 - Google Patents

지붕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556A
KR20180091556A KR1020170016902A KR20170016902A KR20180091556A KR 20180091556 A KR20180091556 A KR 20180091556A KR 1020170016902 A KR1020170016902 A KR 1020170016902A KR 20170016902 A KR20170016902 A KR 20170016902A KR 20180091556 A KR20180091556 A KR 20180091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eight
layer
coal ta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도진
Original Assignee
젬하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젬하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젬하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6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1556A/ko
Publication of KR20180091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의 하측에 시공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의 하측에 시공되어 외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지붕 방수재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하측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직물;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과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도포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바인더;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하부면에 도포 형성된 콜타르층; 및 상기 콜타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시공시 제거 가능한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지붕 방수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붕 방수재{SHEET FOR USING WATERPROOF OF ROOF}
본 발명은 지붕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의 하측에 시공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붕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건축물의 지붕은 기둥 또는 벽체 위에 기본 골격인 들보가 설치되고, 들보에 직각 방향으로 중도리가 설치되며, 중도리의 외부에 데크플레이트가 적층되고, 데크플레이트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며, 지붕 외부에 기와, 알루미늄 판넬, 기타 마감재가 설치되고, 마감재의 하측에 방수 성능 강화를 위한 방수재가 설치된다. 방수재로는 폴리우레탄, 콜타르 복합, 에폭시 또는 금속판 등이 시공되고 있다.
또한, 한국 전통식 기와 지붕은 소정의 경사도를 갖고, 오지기와, 시멘트기와, 동기와 또는 부식 방지용 도금 철판에 천연 화산석 가루가 도포된 경량의 금속기와 등이 사용되고 있고, 기본적으로 먼저 방수시트를 시공하고 그 위에 기와를 시공하게 된다.
최근에는 건축물의 실평수가 증가되면서 건축법상 요구되는 건물과 건물 사이의 거리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아스팔트 싱글이라는 평판기와를 사용하여 건물의 지붕 외부면을 급경사지게 형성하는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방수시트층의 접합면 또는 접합시트에 합지되는 합지시트인 제1시트와, 제1시트와 제3시트의 사이에 구비된 접착시트인 제2시트와, 제2시트의 상부에 구비된 방오성 시트인 제3시트로 이루어진 오염방지시트층으로 구성된 건축용 지붕재인 건물의 옥외 지붕 외부에 설치 사용되는 지붕재 시트가 공개되어 있다.
아울러, 도 1a에는 종래의 아스팔트 싱글을 사용한 종래기술의 기와 지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따른 아스팔트 싱글을 사용한 기와 지붕은 수십도의 경사를 갖는 목재합판 또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지붕 구조물(10)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방수재(20)를 접착한 후, 다수의 아스팔트 싱글(30)을 접착제(40) 또는 타정에 의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 부분씩 중첩시키면서 부분적으로 고정시켜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방수재(20)는 기와 지붕 쪽을 향해 시공되는 PET 필름(21)과, PET 필름(21) 상에 콜타르를 코팅하여 콜타르층(22)을 형성하고, 콜타르층(22) 상에 이형지(23)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여 롤 형태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바탕의 습기, 하절기와 동절기의 온도차로 인한 수축과 팽창으로 방수재가 찢어지거나 바탕에 크랙이 생겨서 수분과 습기가 침투하여 방수층에 에어버블이 생기고 비가 새는 등 방수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붕 구조물은 경사도가 있고, 시공된 PET 필름은 표면의 접착력이 낮기 때문에 아스팔트 싱글의 고정력이 떨어지고, 타정에 의한 고정의 경우 PET 필름의 강도가 낮아 PET 필름이 찢어지거나 밀려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PET 필름에 흡수된 수분이 지붕 구조물로 침투할 수 있다. 또한, 급경사면에 부착된 방수재에 아스팔트 싱글 등의 지붕 마감재를 시공할 때 방수재의 표면이 미끄럽기 때문에 작업자가 약간만 부주의해도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자파를 차단하지 못하여 전봇대, 고압선, 송전탑, 변전소 등 외부의 전자파가 지붕을 통해 건물 내부로 침투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3870호(2012.10.2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분 침투와 방수 하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신축성을 갖고 있어 온도차로 인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방수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접착력이 우수하여 콜타르층의 고정력이 증가하고, 경사면에 시공되어도 논슬립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인쇄가 용이하여 광고가 가능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지붕 방수재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의 하측에 시공되어 외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지붕 방수재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하측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직물;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과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도포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바인더;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하부면에 도포 형성된 콜타르층; 및 상기 콜타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시공시 제거 가능한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지붕 방수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표면에 다수의 오목 및 볼록한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에 니들펀치에 의해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테트라에틸오르소 규산염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 및 수산화암모늄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을 서로 혼합 및 교반시켜 미세한 이산화규소 입자를 갖는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서 이산화규소 입자를 분리 및 건조시켜 이산화규소 입자를 수득한 다음 분산액에 분산시킨 후 이산화규소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이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한 다음, 발수제를 코팅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 1.0 내지 3.0 중량부와, 난연제 0.1 내지 1.0 중량부와, 자외선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및 수지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방사한 후 연신 및 직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수제로, 플루오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난연제로 축합인산 에스테르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폴리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산화 방지제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수지 안정제로 2,4--비스(1,1-디메틸에틸)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콜타르층은, 중량%로 콜타르 70 내지 80%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20%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10% 및 리튬규산염 1 내지 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콜타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알미늄으로 이루어진 포일층; 상기 포일층에 구리가 증착 형성된 박막층; 상기 박막층에 산화지르코늄을 증착시켜 형성한 산화지르코늄층; 및 상기 산화지르코늄층에 이산화규소를 증착시켜 형성한 이산화규소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분 침투와 방수 하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신축성을 갖고 있어 온도차로 인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방수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접착력이 우수하여 콜타르층의 고정력이 증가하고, 경사면에 시공되어도 논슬립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인쇄가 용이하여 광고가 가능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의 아스팔트 싱글을 사용한 종래기술의 기와 지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의 방수재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방수재가 지붕에 적용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붕 방수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 방수재의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방수재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방수재(1)는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2) 하측의 단열재(3) 위에 시공되어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 폴리프로필렌 직물(200), 폴리프로필렌 바인더(300), 콜타르층(400) 및 이형필름(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는 상측에 형성되어 기와, 알루미늄 판넬, 아스팔트 싱글 등의 지붕 마감재(2) 측에 시공되고, 주원료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저가이고, 강성, 성형성, 내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며, 대량으로 제조가 용이하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내열 안정제, 슬립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를 제조하는데, 단섬유 건식법, 단섬유 습식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본드법, 플래시법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방사하고 니들펀치, 워터제트, 초음파 실링 등을 통해 섬유들을 교락 또는 열융착시켜 부직포를 성형할 수 있다.
다만, 도 4를 참고하면 스펀본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에 니들펀치에 의해 다수의 통공(110)들을 형성함으로써 부직포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통공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어느 형상이어도 좋으며, 다수의 통공은 모두 동일한 형상일 필요는 없고,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통공의 직경은 2 내지 3mm이고, 각형인 경우 가장 긴 대각선이 직경이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는 높은 강도와 응력 유지율을 갖고, 흡음성을 가지며, 신축성이 있어 온도차로 인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크랙 등 방수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는 표면이 거칠어서 그 자체로서도 충분한 접착력 증가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나, 표면에 그릴 패턴을 갖도록 다수의 오목 및 볼록한 모양을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고, 이로써 더 우수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트라에틸오르소 규산염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 및 수산화암모늄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을 서로 혼합 및 교반시켜 미세한 이산화규소 입자를 갖는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서 이산화규소 입자를 분리 및 건조시켜 이산화규소 입자를 수득한 다음 분산액에 분산시킨 후 이산화규소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을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 위에 도포시켜 침투되도록 하여 표면에 다수의 돌부가 형성되도록 한 다음, 여기에 발수제를 희석시켜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한 이산화규소 입자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의 표면에 침투 및 경화시켜 돌부가 형성되어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하면서 방수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200)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100)의 하측에 형성된 것으로, 상측은 동일한 재질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바인더(300)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와 견고하게 접착되고, 하측은 콜타르가 도포된 콜타르층(400)이 형성되어 거친면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직물(200)에 의한 마찰력으로 콜타르층(400)이 고착되어 박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200)은 폴리프로필렌 원료에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원사를 방사하고, 원사의 실의 굵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닥의 원사를 함께 묶는 연신 과정을 거친 후, 권취롤에 권취하여 권취된 실을 편직기나 제직기로 직물을 만드는 편직 또는 제직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 1.0 내지 3.0 중량부와, 난연제 0.1 내지 1.0 중량부와, 자외선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및 수지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방사한 후 연신 및 직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상술한 첨가제들이 함께 혼합되어 방수성, 난연성, 내광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발수제로, 플루오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난연제로 축합인산 에스테르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폴리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산화 방지제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수지 안정제로 2,4--비스(1,1-디메틸에틸)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콜타르층(400)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하부면에 도포 형성되어 거친면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직물(200)에 의한 마찰력으로 견고히 고착되기 때문에 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콜타르층(400)은, 중량%로 콜타르 70 내지 80%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20%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10% 및 리튬규산염 1 내지 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콜타르는 석탄을 고온건류할 때 부산물로 생기는 검은색의 점도가 높은 유상 액체로서, 페놀류의 독특한 냄새가 나고, 비중은 1.1 내지 1.3으로 물보다 무거우며, 대부분의 성분은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이 밖에 지방족 화합물, 지방족 고리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방부제, 방수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콜타르층(400)에 상기 콜타르가 70% 미만으로 첨가되면 방수 기능과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콜타르가 80%를 초과하면 건조 시간이 지연되고 기포가 증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중합체로서 가볍고 강도가 높아 잘 파손되지 않으며, 투명도가 우수하고, 피막을 형성하여 콜타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공을 폐쇄하며, 자외선 차단률이 높아서 상기 콜타르층(400)의 내광성 및 내후성이 증가된다.
상기 콜타르층(400)에서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10% 미만이면 상술한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20%를 초과하면 콜타르층(400)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박리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은 실란화합물로서 매우 안정적이고 내열성과 소수성 및 방수성이 뛰어나서 콜타르층(400)의 방수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콜타르층(400)에서 상기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이 5% 미만이면 상술한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이 10%를 초과하면 여분이 남게 되어 다른 조성물과의 혼합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리튬규산염은 상기 콜타르층(400)의 내부 공극에 깊숙히 침투하여 경화되어 공극의 용적이 감소되고, 층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내마모성과 내화학성을 향상시켜 층을 보존, 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콜타르층(400)에서 상기 리튬규산염이 1% 미만이면 상술한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리튬규산염이 5%를 초과하면 방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500)상기 콜타르층(400)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시공시 제거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이형필름(500)은 종이 또는 PET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점착성 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콜타르층(400)에 부착되며, 롤 상태로 말아서 보관이나 운반시 콜타르층(400)의 끈적한 면이 지붕 방수재의 다른 면과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지붕 방수재의 시공시 상기 이형필름(500)을 제거한 후 지붕 구조물에 시공하게 된다.
아울러,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콜타르층(4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알미늄으로 이루어진 포일층(6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일층(600)은 콜타르층(400)의 하부면의 표면을 보강하고, 후술할 박막층 등이 증착될 수 있는 매끄러운 증착면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정의 전자파 차단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포일층(600)에 구리가 증착 형성된 박막층(70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전자파 차단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박막층(700)에 산화지르코늄을 증착시켜 형성한 산화지르코늄층(800)과, 상기 산화지르코늄층(800)에 이산화규소를 증착시켜 형성한 이산화규소층(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지르코늄층(800)의 산화지르코늄은 내식성이 크고 녹는점이 2,677℃로 매우 높으며, 열팽창률이 적기 때문에 내화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증대되고, 더불어 산화지르코늄은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어 전자파 차단율도 증가된다.
상기 이산화규소층(900)은 열팽창률이 작기 때문에 고온에 잘 견디고 내화성이 우수하며, 방수성이 있어 내구성과 방수성이 증대되고, 더불어 이산화규소는 전자파 차단 효과가 있어 전자파 차단율도 증가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지붕 방수재(1)는 수분 침투와 방수 하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온도차로 인한 수축과 팽창에 따른 방수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면 접착력이 우수하여 콜타르층의 고정력이 증가하고, 경사면에 시공되어도 논슬립 기능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인쇄가 용이하여 광고가 가능하고, 외부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종래기술
10. 지붕 구조물
20. 방수재
21. PET 필름
22. 콜타르층
23. 이형지
30. 아스팔트 싱글
40. 접착제
*본 발명
1. 지붕 방수재
2. 지붕 마감재
3. 단열재
100.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110. 통공
200. 폴리프로필렌 직물
300. 폴리프로필렌 바인더
400. 콜타르층
500. 이형필름
600. 포일층
700. 박막층
800. 산화지르코늄층
900. 이산화규소층

Claims (8)

  1. 건축물의 지붕 마감재의 하측에 시공되어 외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지붕 방수재에 있어서,
    상측에 형성되고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하측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직물;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과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사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도포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바인더;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의 하부면에 도포 형성된 콜타르층; 및
    상기 콜타르층의 하부면에 부착되고 시공시 제거 가능한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지붕 방수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표면에 다수의 오목 및 볼록한 모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방수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스펀본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에 니들펀치에 의해 다수의 통공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방수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테트라에틸오르소 규산염과 에탄올을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 및 수산화암모늄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교반시킨 용액을 서로 혼합 및 교반시켜 미세한 이산화규소 입자를 갖는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용액에서 이산화규소 입자를 분리 및 건조시켜 이산화규소 입자를 수득한 다음 분산액에 분산시킨 후 이산화규소 입자가 분산된 분산액이 도포되어 침투되도록 한 다음, 발수제를 코팅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방수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 1.0 내지 3.0 중량부와, 난연제 0.1 내지 1.0 중량부와, 자외선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산화 방지제 0.05 내지 0.5 중량부와, 및 수지 안정제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용융 방사한 후 연신 및 직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방수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로, 플루오르계 폴리우레탄 수지 1.0 내지 3.0 중량부, 상기 난연제로 축합인산 에스테르 0.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자외선 안정제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폴리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산화 방지제로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 상기 수지 안정제로 2,4--비스(1,1-디메틸에틸)포스피트 0.05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지붕 방수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타르층은, 중량%로 콜타르 70 내지 80%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20%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5 내지 10% 및 리튬규산염 1 내지 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방수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타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알미늄으로 이루어진 포일층;
    상기 포일층에 구리가 증착 형성된 박막층;
    상기 박막층에 산화지르코늄을 증착시켜 형성한 산화지르코늄층; 및
    상기 산화지르코늄층에 이산화규소를 증착시켜 형성한 이산화규소층을 더 포함하는 지붕 방수재.
KR1020170016902A 2017-02-07 2017-02-07 지붕 방수재 KR201800915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02A KR20180091556A (ko) 2017-02-07 2017-02-07 지붕 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02A KR20180091556A (ko) 2017-02-07 2017-02-07 지붕 방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56A true KR20180091556A (ko) 2018-08-16

Family

ID=6344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02A KR20180091556A (ko) 2017-02-07 2017-02-07 지붕 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15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9904A1 (en) * 2019-06-24 2020-12-24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Roofing underlayment with hydrophobic nonwoven co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870B1 (ko) 2011-08-05 2012-10-26 주식회사 원풍 방오 성능이 우수한 지붕재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3870B1 (ko) 2011-08-05 2012-10-26 주식회사 원풍 방오 성능이 우수한 지붕재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9904A1 (en) * 2019-06-24 2020-12-24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Roofing underlayment with hydrophobic nonwoven core
US11518137B2 (en) * 2019-06-24 2022-12-06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Roofing underlayment with hydrophobic nonwoven co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9439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влагостойкости конструкций крыши (варианты) и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и, полученная этими способами (варианты)
US10060058B2 (en) Hybrid nonwoven mats and methods
US10428450B2 (en) Glass fiber reinforced facer mat
KR101426881B1 (ko) 탈락방지 및 방수 지붕슁글의 구조 및 그 보수방법
KR20160055873A (ko) 기피제 재료를 포함한 프리프레그, 코어, 복합물 및 물품
US20150240492A1 (en) Fiber-reinforced coated mats and mat-faced panels and methods
EA008995B1 (ru) 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с воздухоотражающим и/или противодождевым покрытием и водоотталкивающим покрытием
CA2844575C (en) Insulation element for a flat roof or a flat inclined roof, roofing system for a flat roof or a flat inclined roof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nsulation element
SK17142001A3 (sk) Izolačná lepenka s obsahom minerálnych vlákien a pevnou povrchovou vrstvou, spôsob jej výroby a spôsob jej použitia na strechách a fasádach
EP3341193B1 (en) Mineral wool insulation
KR20180091556A (ko) 지붕 방수재
KR102409959B1 (ko) 수용성 방수재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1465453B1 (ko) 건물의 방수구조
KR102038686B1 (ko) 노출 옥상에 적용되는 복합방수구조
JP7026445B2 (ja) 野地養生シート
WO2019080978A1 (en) INSULATING COMPOSITE FOR INSULATING BUILDINGS
DE832944C (de) Isolierbelag, -stein, -huelle o. dgl.
KR20070121495A (ko) 건축용 시멘트계 복합재료
RU2817606C1 (ru) Дробеструйная битумная черепица с высокими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и способ ее производства
RU2261311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крытия ледовой арены
JP7125045B2 (ja) 屋根用透湿防水シート
JP5978691B2 (ja) 防水シート
KR102214681B1 (ko) 패널 건축물의 방수방법
CA2650293C (en) Flooring underlayment membrane
KR20090090532A (ko) 자착식 방수시트 제조방법과 자착식 방수시트 및 자착식방수시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