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38A -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38A
KR20180090238A KR1020180090957A KR20180090957A KR20180090238A KR 20180090238 A KR20180090238 A KR 20180090238A KR 1020180090957 A KR1020180090957 A KR 1020180090957A KR 20180090957 A KR20180090957 A KR 20180090957A KR 20180090238 A KR20180090238 A KR 2018009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ipe
static pressure
fabric
conveying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준
Original Assignee
(주)헬퍼로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헬퍼로보텍 filed Critical (주)헬퍼로보텍
Priority to KR102018009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238A/ko
Publication of KR2018009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1Planting receptacles specially adapted for remaining in the soil afte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포트 제조를 위한 종이의 공급과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한 내부에 상토를 채우는 과정 및 상토가 채워진 종이 파이프를 이미 설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토 공급장치와 연통 연결로 내부에 상토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정압 파이프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그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회전 가능한 스크류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과의 연결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푸싱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 길이 방향 타측으로 원단을 공급하며,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가 상기 정압 파이프를 감싸며 상호 겹치도록 성형하는 원단 공급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측 측부에서 상호 겹쳐진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 부위에서 배출되는 상토가 파이프 형상을 이룬 원단 내에 채워져 이루어진 가공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하여 상기 가공재를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PAPER POT AVAILABLE FOR NURSERY PLANT}
본 발명은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육묘포트를 육묘된 작물과 함께 본포에 이식할 수 있도록 종이 재질로 제조함에 있어서, 육묘포트 제조를 위한 종이의 공급과 파이프 형상으로 제조한 내부에 상토를 채우는 과정 및 상토가 채워진 종이 파이프를 이미 설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묘포트는 해당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고 발아시켜 본포에 이식할 수 있는 크기로 자랄 때까지 키우도록 한 것으로서, 내부에 씨앗의 파종과 발아를 위한 상토가 채워진다.
종래의 육묘포트와 육묘포트에 흙을 채우는 과정은, 합성수지재 필름을 용기 형상으로 성형한 육묘포트를 트레이에 배열하고, 그 위에 상토를 덮어 다진 후 트레이 상부의 거둬내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은 작업의 번거로움과 많은 인력 및 시간을 필요로 할 뿐 아니라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비경제적이다.
또한, 합성수지재의 육묘포트는 육묘된 작물의 생육 후 본포에 함께 이식할 수 없으므로 이를 분리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98443호(2005.10.13. 공고)
본 발명은 육묘된 작물과 함께 본포에 이식할 수 있도록 친환경 소재인 종이 재질의 육묘포트 제조와 동시에 육묘포트 내에 상토를 채우는 일련의 과정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의 특징적 구성은, 상토 공급장치와 연통 연결로 내부에 상토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정압 파이프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그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회전 가능한 스크류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과의 연결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푸싱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 길이 방향 타측으로 원단을 공급하며,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가 상기 정압 파이프를 감싸며 상호 겹치도록 성형하는 원단 공급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측 측부에서 상호 겹쳐진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 부위에서 배출되는 상토가 파이프 형상을 이룬 원단 내에 채워져 이루어진 가공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하여 상기 가공재를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압 파이프는 내주면에 탈착이 이루어지는 라이너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크류는 외곽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브러시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는 토크감지센서를 더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단 공급부는, 원단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 및 원단롤에서 풀리는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각 위치에서 원단의 폭 방향 형상이 상기 정압 파이프 외측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단계적으로 구부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는, 원단이 폭 방향 양측 부위 중 상호 겹침으로써 밀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일측면에 열가소성 접착제를 증착 또는 도포가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측 부위에서 상호 겹쳐진 상기 원단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가열 또는 가압하며 원단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열롤러; 또는 원단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호 겹치는 부위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 도포하는 도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에서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가공재를 이송하는 제 1 이송부와; 가공재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부의 타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제 2 이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부는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의 커터날이 상기 제 1, 2 이송부 사이에 놓이는 가공재를 이미 설정한 주기로 통과시켜 절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이송부는 절단에 의해 완성된 육묘포트를 대기하는 트레이로 이송토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과 상기 절단부 사이에 가공재를 이룬 원단을 내부에 채워진 상토에 대하여 압박하며 상기 절단부 방향으로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상기 절단부의 절단 반복 수행하는 압박 이송부를 더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는 상토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상토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설치하여 수용한 상토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토 공급장치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와; 상기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는 육묘포트를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탑재시키는 탑재장치; 및 육묘포트들을 탑재한 트레이를 이송시키며 육묘포트에 천공작업과 파종작업 및 물 공급을 시행하는 자동 파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토의 공급과 종이 재질의 원단 공급 및 이들의 육묘포트로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화에 따른 연속 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량 증대와 경비절감 및 작업공간의 축소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중 스크류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한 브러시는, 면, 스크류와 정압 파이프의 내주면 사이에 상토에 섞인 돌 등이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압 파이프 또는 스크류의 손상 내지 파손 방지와 구동정지 등의 문제를 방지할 뿐 아니라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한 종이 재질의 원단 내에 그 진행 속도에 대응하여 상토를 이미 설정한 범위의 압력으로 채우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 중 압박 이송부는 종이 재질의 원단과 그 내부에 상토가 채워진 가공재의 측부를 압박하여 원단과 상토의 결합 상태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가공재의 절단 부위를 커터 위치와 커터동작 시기에 대응하여 이송함으로써 육묘포트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묘포트 제조장치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구성과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푸싱부의 기술 구성 및 이들 구성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원단 공급부의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원단의 성형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압박 이송부의 구성과 이들 구성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2 이송부와 절단부의 관계 구성과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귀속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측의 표현은 해당 대상물의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상토의 이송이 시작되는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고, 타측은 상술한 일측의 반대 방향 또는 그 방향에 있는 부위 즉, 해당 대상물의 중심 부위를 기준으로 상토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토 공급장치(100)와 연통 연결한 측부를 통해 상토(NS)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정압 파이프(204)와, 정압 파이프(204)의 일측에서 그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여 회전이 가능한 스크류(210)와, 정압 파이프(204)의 일측에서 스크류(210)의 일단과 연결하여 스크류(2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4)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부(214)의 구동에 따라 정압 파이프(204) 내에 유입이 이루어진 상토(NS)를 정압 파이프(204)의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한 푸싱부(20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상토 공급장치(100)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에 상토(NS)의 공급을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육묘 자동화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토(NS)를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컨베이어(102)와, 컨베이어(102)의 타측에 컨베이어(102)로부터 상토(NS)를 인계받아 수용하며, 하부에 상토(NS)의 배출이 있도록 상토 배출구(104)를 마련한 호퍼(106)와, 호퍼(106) 내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상토(NS)를 교반토록 교반날개(108)를 회전시키는 교반기(11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토 공급장치(100)는 호퍼(106)의 용적으로 상토(NS)를 수용하고, 교반기(110)를 통해 상토(NS) 내의 습도가 균일하도록 함과 동시에 굳지않도록 유지시키면서 상토 배출구(104)와 연결한 정압 파이프(204)로 상토(NS)의 계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한 상토 배출구(104) 연결이 이루어지는 푸싱부(202)의 정압 파이프(204)는 일측 측부에 상토 배출구(104)와 연통하여 정압 파이프(204) 내부로 상토(NS)가 유입되게 하면서, 상토 배출구(104)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토록 한 상토 유입구(206)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토 배출구(104)에 대하여 정압 파이프(204)를 탈착 가능하도록 한 것은, 육묘를 위한 식물의 종류에 따라 육묘포트의 사이즈 또한 다양하게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육묘포트의 직경은 정압 파이프(204)의 외경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압 파이프(204)는 육묘포트를 이루는 종이 재질의 원단 사이즈 및 육묘포트 제조를 위한 구성들의 기준이 된다.
따라서, 정압 파이프(204)의 내부에는, 상토(NS)의 이송에 따른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관 형상의 라이너(208)를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이너(208)는, 외주면이 정압 파이프(204)의 내주면에 밀착 가능한 수준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그 설치는 정압 파이프(204)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삽입토록 하면서 정압 파이프(204)의 상토 유입구(206)에 대응하는 관통홀(h)이 정렬 위치한 상태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정압 파이프(204)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라이너(208)의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크류(210) 축의 정렬 위치를 제한하는 정렬부재(212)를 더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라이너(208)는 정압 파이프(204)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압 파이프(204)의 내부 또는 라이너(208)의 내부에는, 정압 파이프(204)의 일측에서 타측 길이 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회전 가능한 스크류(21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류(210)는 상토 유입구(206) 또는 상토 유입구(206)와 연통하는 관통홀(h)을 통해 정압 파이프(204) 내부로 유입된 상토(NS)를 이미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스크류(210)의 일측 즉, 정압 파이프(204)의 일측에는 스크류(210)에 이미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4)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크류(210)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와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사이 또는 스크류(210)의 외측 가장자리 부위와 라이너(208)의 내벽 사이에는 이미 설계한 간격(d)의 틈새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이에 더하여 스크류(210)에는 외측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대응하는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 사이의 간격(d) 이상의 길이를 갖는 브러시(216)를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러시(216)의 설치는, 상토(NS)에 혼합된 돌(S)이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과 스크류(210)의 가장자리 사이에 끼일 경우에 정압 파이프(204)와 스크류(210) 또는 라이너(208)와 스크류(210)의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과 적어도 스크류(210)의 회전이 정지할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토(NS)에 혼합된 돌(S)의 크기가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과 스크류(210)의 가장자리 사이 간격(d)을 통해 충분히 통과 가능한 경우에는 압력작용으로부터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도 통과 가능한 것이고, 돌(S)의 크기가 상기 간격(d)과 같은 수준의 크기인 경우 즉, 이들 사이에 끼임에 의해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 및 스크류(210)를 손상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브러시(216)의 저지를 받아 다른 상토(NS) 입자들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진행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브러시(216)는 정압 파이프(204)의 내벽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과 스크류(210)의 가장자리 사이에 돌(S)이 끼이는 것으로부터 정압 파이프(204) 또는 라이너(208)의 내벽과 스크류(210)의 손상 내지 파손의 방지 및 스크류(210)의 회전 정지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브러시(216)는 스크류(210)의 외곽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상술한 간격(d) 미만의 촘촘한 간격으로 배치할 것과 또 돌(S)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성을 필요로 한다.
이로부터 구동부(214)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2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정압 파이프(204) 내에 유입된 상토(NS)를 정압 파이프(204)의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스크류(210)는 정압 파이프(204) 내의 상토(NS)에 대한 이송과 더불어 이송압을 제공하는 것이고, 스크류(210)의 타단부와 이를 지지하는 정렬부재(212)의 위치가 정압 파이프(204)의 중간 부위에 있도록 하여 스크류(210)의 타단 또는 정렬부재(212) 이후 위치에서 정압 파이프(204)의 타단까지의 내부에 상토(NS)가 스크류(210)에 의한 이송압을 유지하는 상태로 계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크류(2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14)에는 스크류(210)에 의한 이송압을 측정하기 위한 토크감지센서(21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토크감지센서(218)의 측정값을 통해 정압 파이프(204) 내부에서 상토(NS)의 이송압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스크류(210)의 회전속도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여 정압 파이프(204) 내의 상토(NS)가 이루는 이송압을 이미 설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는, 상술한 푸싱부(202)의 구성에 따른 정압 파이프(204)의 길이 방향 측부에서 타측으로 종이 재질의 원단(P)을 공급하며, 원단(P)의 폭 방향 양측 부위가 정압 파이프(204)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며 상호 겹치도록 성형하는 원단 공급부(220)를 구비한다.
상술한 원단 공급부(220)는, 원단롤(R)이 자유롭게 회전하여 풀릴 수 있도록 원단롤(R)의 장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222)와 원단롤(R)에서 풀리는 원단(P)의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각 위치에서 원단(P)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호 교차하여 겹치는 관계로 정압 파이프(204)의 외측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정압 파이프(204)의 외경 형상)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단계적으로 구부리며 형상화 하는 가이드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단 공급부(220)는, 비록 도 2와 도 3에서 원단롤(R)이 장착부(222)에서 일측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가이드부(224)에 의해 구부려지면서 다시 타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구조로 표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궁극적으로는 원단(P)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이후에 상토(NS)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원단 공급부(220)는, 원단(P)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이후의 정압 파이프(204)의 측부에 상토(NS)의 이송압에 따른 상토(NS)의 진행 속도에 대응하여 원단(P)을 이송시키는 롤이송부(226)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원단(P)은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의 상호 마주보게 겹치는 표면 중 적어도 일 표면에 열, 이미 설정한 이상의 압력, 자외선을 포함한 광, 약품, 고주파, 초음파 등의 조건 중 어느 하나 조건의 작용을 받아 접합 성질을 띠는 접착제(G)를 증착 또는 도포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G)는, 상토(NS)와 종이 재질의 원단(P)과 함께 육묘포트(NP)를 이룬 후 논이나 밭에 이식됨에 있어서, 원단(P)과 함께 생분해될 수 있는 소재의 것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는, 정압 파이프(204)의 타측 측부 즉, 원단(P)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정압 파이프(204)의 외곽을 감싸며 상호 겹쳐진 부위에 대하여 상술한 접착제(G)에 접착 성질을 갖도록 가열 또는 가압하여 접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원단(P)의 이송을 안내하는 가열롤러(228)를 갖는 접합부(2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접합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단(P)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에 접착제(G)를 증착 또는 도포한 것에 대응하여 그 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합부(230)의 다른 유형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P)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중 상호 겹치는 표면에 대하여 액상 접착제를 도포하는 도포부(232)를 더 구비하고, 이로부터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겹쳐진 후 진행하는 원단(P)의 가장자리 부위에 대하여 가압 또는 열을 제공하여 접착 상태를 고착시키도록 하는 건조부(234)를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파이프 형상을 이룬 원단(P)은, 내면이 정압 파이프(204)의 외면에 근접하여 정압 파이프(204)의 안내를 받아 정압 파이프(204)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정압 파이프(204)의 타단에서는 이미 설정한 수준의 이송압에 의해 토출이 이루어진 상토(NS)가 정압 파이프(204)를 벗어남에 따른 압력 해제로 퍼지며 정압 파이프(204)의 타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이프 형상의 원단(P) 내벽을 압박하는 형태의 가공재(WT)를 이룬다.
즉, 상술한 가공재(WT)는 파이프 형상을 이룬 원단(P) 내부에서 상토(NS)가 정압 파이프(204)에서의 이송압 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압력을 이루며 채워진 상태에 있으며, 정압 파이프(204)를 통해 계속적인 이송이 이루어지는 상토(NS)의 이송압에 의해 원단(P)과 함께 진행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롤이송부(236)의 구성은 반듯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는, 정압 파이프(204)의 타단으로부터 형성되는 가공재(WT) 또는 후술하는 절단부(240)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된 육묘포트(NP)를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38a, 238b)를 구비한다.
상술한 이송부(238a, 238b)는 무한괘도 형식의 컨베이어 또는 복수 회전롤러를 배치한 형식의 것 등 다양한 형식이 있을 수 있겠으나, 가공재(WT)를 이루는 파이프 형상의 원단(P)과 상토(NS) 사이에 압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진동을 최소화하는 컨베이어 형식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송부(238a, 238b)는 가공재(WT)의 이송 방향에 대하여 정압 파이프(204)의 타단에서 타측 방향의 이미 설정한 위치까지 이송하는 제 1 이송부(238a)와 제 1 이송부(238a)의 타측으로부터 가공재(WT)의 이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제 1 이송부(238a)에 연이어 이송을 담당하는 제 2 이송부(23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2 이송부(238a, 238b)를 가공재(WT)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한 것은, 이들 사이에서 진행하는 가공재(WT)를 이미 설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부(240)의 작동과 이를 통한 연속하는 가공재(WT)로부터 육묘포트(NP)를 완전하게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절단부(240)는, 제 1, 2 이송부(238a, 238b) 사이에 놓인 가공재(WT)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커터()가 절단하며 통과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절단부(240)는 커터(242)의 커터날이 제 1, 2 이송부(238a, 238b) 사이에 놓이는 가공재(WT)를 이미 설정한 주기 또는 가공재(WT)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통과시키도록 하는 절단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커터(242)는 가공재(WT)의 측부에 대하여 커터날을 원형으로 배치하여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작두와 같은 형식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200)는, 정압 파이프(204)의 타단과 절단부(240)의 커터(242) 위치 사이의 가공재(WT)를 가공재(WT)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압하여 형상을 보완함과 동시에 그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이송을 도우며 절단부()에 의한 잘단 과정에서 육묘포트(NP)의 절단 부위 형상을 매끄럽도록 보조하는 압박 이송부(244)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압박 이송부(24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압 파이프(204)를 벗어나 진행하는 가공재(WT)의 측부 양측에서 가이드(246)의 안내를 받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벌어지고,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에 오므려지는 압박부재(248)를 구비하고, 압박부재(248)의 타측 방향 진행과 일측 방향 진행을 이미 설정한 주기로 반복하게 하는 작동부(2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공재(WT)에 대향하는 압박부재(248)의 표면에는 그 이송으로부터 가공재(WT)의 미끄러짐을 방지토록 함과 동시에 가공재(WT)를 이루는 원단(P) 표면에 내외측으로 공기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핀(pin)을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는, 앞서 언급한 상토 공급장치(100)와; 상토 공급장치(100)로부터 상토(NS)를 전달받아 육묘포트(NP)를 제조하는 상술한 육묘포트 제조장치(200)와; 육묘포트 제조장치(200)에 의해 제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육묘포트(NP)를 트레이(T)에 순차적으로 탑재시키는 탑재장치(300); 및 육묘포트(NP)들을 탑재한 트레이(T)를 이송시키며 육묘포트(NP)에 해당 식물의 씨앗을 심기 위해 천공하는 천공부(402)와 천공한 부위에 씨앗을 파종하는 파종부(404)와, 파종한 씨앗을 주변 상토로 덮어 다지는 복토부(406) 및 복토를 마친 육묘포트(NP)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8)를 구비하여 시행하는 자동 파종장치(40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NS: 상토 WT: 가공재
P: 원단 h: 관통홀
d: 간격 R: 원단롤
G: 접착제 NP: 육묘포트
T: 트레이
100: 상토 공급장치 102: 컨베이어
104: 상토 배출구 106: 호퍼
108: 교반날개 110: 교반기
200: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202: 푸싱부
204: 정압 파이프 206: 상토 유입구
208: 라이너 210: 스크류
212: 정렬부재 214: 구동부
216: 브러시 218: 토크감지센서
220: 원단 공급부 222: 장착부
224: 가이드부 226: 롤이송부
228: 가열롤러 230: 접합부
232: 도포부 234: 건조부
236: 롤이송부 238: 이송부
240: 절단부 242: 커터
244: 압박 이송부 246: 가이드
248: 압박부재 250: 작동부
300: 탑재장치 400: 자동 파종장치
402: 천공부 404: 파종부
406: 복토부 408: 물 공급부

Claims (9)

  1. 상토 공급장치와 연통 연결로 내부에 상토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정압 파이프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그 내부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이 이루어져 회전 가능한 스크류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일측에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과의 연결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푸싱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 길이 방향 타측으로 원단을 공급하며,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가 상기 정압 파이프를 감싸며 상호 겹치도록 성형하는 원단 공급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측 측부에서 상호 겹쳐진 원단의 폭 방향 양측 부위를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 부위에서 배출되는 상토가 파이프 형상을 이룬 원단 내에 채워진 가공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 상에 설치하여 상기 가공재를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파이프는 내주면에 탈착이 이루어지는 라이너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외곽 가장자리 부위를 따라 브러시를 더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른 저항을 감지하는 토크감지센서를 더 연결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공급부는,
    원단롤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이 이루어지는 장착부; 및
    원단롤에서 풀리는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각 위치에서 원단의 폭 방향 형상이 상기 정압 파이프 외측을 감싸는 형상을 이루도록 단계적으로 구부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원단이 폭 방향 양측 부위 중 상호 겹침으로써 밀착이 이루어지는 적어도 일측면에 열가소성 접착제를 증착 또는 도포가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측 부위에서 상호 겹쳐진 상기 원단의 폭 방향 가장자리 부위를 가열과 함께 가압하며 원단의 진행을 안내하는 가열롤러;
    또는 원단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 부위가 상호 겹치는 부위 사이에 접착제를 분사 도포하는 살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에서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까지 가공재를 이송하는 제 1 이송부와; 가공재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제 1 이송부의 타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한 제 2 이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부는 커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터의 커터날이 상기 제 1, 2 이송부 사이에 놓이는 가공재를 이미 설정한 주기로 통과시켜 절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 파이프의 타단과 상기 절단부 사이에 가공재를 이룬 원단을 내부에 채워진 상토에 대하여 압박하며 상기 절단부 방향으로 이미 설정한 간격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상기 절단부의 절단 반복 수행하는 압박 이송부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9. 상토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공급받은 상토를 수용하며 하부에 배출구를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 내에 설치하여 수용한 상토를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토 공급장치와;
    상기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와;
    상기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로부터 제조되어 순차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는 육묘포트를 트레이에 순차적으로 탑재시키는 탑재장치; 및
    육묘포트들을 탑재한 트레이를 이송시키며 육묘포트에 천공작업과 파종작업 및 물 공급을 시행하는 자동 파종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KR1020180090957A 2018-08-03 2018-08-03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KR20180090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57A KR20180090238A (ko) 2018-08-03 2018-08-03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57A KR20180090238A (ko) 2018-08-03 2018-08-03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4623A Division KR20170141500A (ko) 2016-06-15 2016-06-15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38A true KR20180090238A (ko) 2018-08-10

Family

ID=6322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57A KR20180090238A (ko) 2018-08-03 2018-08-03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4533A (zh) * 2023-09-18 2023-11-14 刘小勐 一种智慧农业育苗系统及育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4533A (zh) * 2023-09-18 2023-11-14 刘小勐 一种智慧农业育苗系统及育苗方法
CN117044533B (zh) * 2023-09-18 2024-04-16 石家庄慧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育苗系统及育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4790A (en) Seed ma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t
CN207948098U (zh) 一种高效自动化水稻工厂化精密播种育秧生产线
JP5667582B2 (ja) 播種機
KR20180090238A (ko)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KR100772992B1 (ko) 분해성 씨앗 봉합시트
KR100759274B1 (ko) 분해성 씨앗 봉합시트 제조장치 및 그 방법
TW393290B (en) Transplanter for rice seedling
KR20160130613A (ko) 씨앗 부착장치
KR20170141500A (ko) 육묘용 페이퍼 포트 제조장치
CN107721645B (zh) 一种种、药、肥一体化包衣设备
CN113179705A (zh) 一种直播种子智库编带装备
JP5176712B2 (ja) 播種機
JP2018102257A (ja) 播種機
EP3482615A1 (en) Sowing machine for distributing seeds on the ground
JP2009296971A5 (ko)
KR101911688B1 (ko) 종자 직파용 종자실 제조장치
KR200417427Y1 (ko) 파종기의 상토왕겨장치
CN215269409U (zh) 一种直播种子智库编带装备
RU273698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еменных лент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H03297306A (ja) 苗床シート製造装置
CN210900284U (zh) 一种品比试验用播种带、播种带盘
JP2022128399A (ja) 播種機
KR0120259Y1 (ko) 씨앗접착 종이테이프 제작장치
US20220330475A1 (en) Seedling planter
JP3433307B2 (ja) 土詰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