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765A -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765A
KR20180089765A KR1020170014494A KR20170014494A KR20180089765A KR 20180089765 A KR20180089765 A KR 20180089765A KR 1020170014494 A KR1020170014494 A KR 1020170014494A KR 20170014494 A KR20170014494 A KR 20170014494A KR 20180089765 A KR20180089765 A KR 2018008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heat treatment
core
yarn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완석
Original Assignee
서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완석 filed Critical 서완석
Priority to KR102017001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9765A/ko
Publication of KR2018008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05Net structures, e.g. structural arrangements of ne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4/00Other catching n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합성 수지제의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코어를 이루는 수지보다 낮은 융점의 열경화성 합성 수지제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실로 형성되는 경사와 위사로 소정 폭을 갖는 무결절 구조의 그물을 짜는 편망 단계 및 이 편망 단계에 의해 형성된 그물을 피복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열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의 형태의 유지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의 피복이 용융되어 서로 접합되고 경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HARD NE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NET}
본 발명은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질로 형성되어 양식장의 울타리로 사용되거나 안전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물은 대표적으로는 어업에 있어서 물고기를 포획하는 데 이용된다. 물고기의 포획에 이용되는 그물은 합성수지제의 날실을 꼬아서 형성한 경사와 위사를 서로 짜서 그물코를 형성하는 것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그물은 그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이 갖는 유연성을 그대로 보유하여 유연한 상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그물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는데, 운동 경기장 등에 설치되어 운동 경기에서 사용하는 공과 같은 물체가 관중에게 날아 들어 관중을 다치게 하거나 주변의 물체를 파손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안전망으로 이용된다. 또 다른 그물의 용도로서는 가두리 양식장에서의 어류 또는 패류를 가두어 기르는 활어조 등로서도 이용된다.
활어조로서 이용되는 그물은 경사와 위사를 서로 엮어서 매듭을 형성함으로써 매듭 부분이 마디가 되고 경사와 위사로 둘러싸이는 그물눈을 형성하는 결절 편망 방식의 것과 경사와 위사를 서로 관통시키면서 동시에 꼬아지게 함으로써 매듭 없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서 마디를 형성하는 무결절 편망 방식의 것이 있다.
그러나, 양식장의 활어조에 그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러한 활어조는 그물의 소재가 되는 실의 유연성을 그대로 가지고 유연하게 형성되므로 해류에 의해 그물의 표면이 휘어 전체 형상의 변형이 인하여 가두리 내의 용적 손실이 발생하고 해수의 유동성이 떨어져서 어류의 활동과 성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활어조 주변에서 활어조를 관리하는 작업자의 활동에도 상당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해수에 대한 저항을 줄여 표면의 휨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물코를 크게 형성하면 해수의 저항에 의한 그물의 형태 변형은 상대적으로 작게 되지만, 큰 그물코를 통하여 활어조 밖으로부터 다른 어류가 활어조 내로 침입할 수 있게 되어 양식하는 어류의 생장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가두리 양식장에서는 필요로 하는 크기의 그물코를 가지면서도 경질로 형성되어 해류 등에 의한 형태 변형이 최소한으로 되는 강성의 그물이 요구된다.
이러한 그물이 휘어지는 문제를 해소하고 그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서는 경질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레임에 그물을 고정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그러한 하나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95호(문헌 1)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가두리 양식장용 그물 보호구의 고안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 1의 고안에 따른 보호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물과 별도로 경질의 합성수지 파이프를 가로와 세로로 배치한 프레임 형태의 보호구를 갖추어야 하므로, 가두리 양식장의 활어조가 상당한 중량을 가지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 원가가 상당히 드는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보호구가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작업자의 작업에 방해가 되며, 먼바다에 설치되는 가두리 양식장까지 이러한 중량물을 운반하여 설치하는 것 역시 상당히 곤란한 작업이 된다. 더욱이, 이러한 보호구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그물이 프레임 사이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지도 못한다.
마찬가지로, 그물을 운동장 등의 안전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안전망을 이루는 그물이 통상의 그물과 같이 유연한 경우에는 바람에 의해 그물이 휘어져 버리면서 주변의 물체와 접촉하거나 통행하는 사람에게 방해가 되고, 바람에 의해 덜 휘어지도록 그물코를 크게 하면 안전망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안전망의 경우에도 경질의 재료로 형성되어 강성을 갖는 그물이 요구된다.
이러한 용도에 맞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경질의 그물로서 통상 철망이라고 불리우는 금속제 그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망은 부식에 취약하고, 특히 가두리 양식장과 같이 해수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급격히 부식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스테인리스제의 철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가혹한 부식 환경 하에서는 철망이 산화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며, 장기간의 수명을 보장할 수 없다.
철망을 구성하는 금속의 표면을 합성수지로 피복하는 경우에도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합성수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균열이나 손상 부위에서 급격한 부식이 일어나므로, 합성수지로 피복한 철망 역시 가두리 양식장에 사용하는 그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이러한 철망은 성형이 어렵고 상당한 중량을 가지므로 이동과 설치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261095호(문헌 1)
본 발명은 양식장의 활어조나 안전망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쉽게 편망하여 그물 구조를 형성하면서도 경질의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과 같은 부식에 취약한 환경에서도 부식의 우려가 없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벼우면서도 이동과 보관이 용이한 합성수지제의 그물을 사용하되,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경질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합성 수지제의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코어를 이루는 수지보다 낮은 융점의 열경화성 합성 수지제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실로 형성되는 경사와 위사로 소정 폭을 갖는 무결절 구조의 그물을 짜는 편망 단계 및 상기 편망 단계에 의해 형성된 그물을 피복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의 형태의 유지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의 피복이 용융되어 서로 접합되고 경화되는 것인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합성 수지제의 실은 금속제의 그물 소재에 비해 저렴하며 유연성을 갖추어 편망이 용이하지만, 오히려 그 유연성으로 인하여 가두리 양식장이나 안전망의 그물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그물의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을 코어와 피복의 복층으로 형성하되, 피복을 이루는 열경화성 합성수지를 코어를 이루는 합성수지에 비해 낮은 융점을 갖는 것으로 하고, 무결절 구조로 편망된 그물을 피복을 이루는 합성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그물의 그물코에서 경사와 위사의 피복이 용융 접합되고 피복이 경화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그물이 경질의 것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경질의 그물은 전체적으로 강성을 가지고 해류나 바람에 의해 휘어지지 않게 되므로, 가두리 양식장의 활어조를 이루는 그물이나 안전망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통상의 무결절 편망 공정을 그대로 이용하고, 이 편망 공정에서 형성된 그물에 대한 별도의 가공이나 처리 없이 이를 단지 피복의 용융 온도 정도로 가열하는 것인 간단한 열처리 단계를 추가하는 것만에 의해 경질의 그물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양태로서, 실의 코어와 피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되, 피복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코어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비해 융점이 낮은 것이고, 열처리 단계에서는 실의 피복이 용융되고 코어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열처리 단계에서는 편망 단계에서 형성된 그물을 그 편망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면서 열처리로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서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열처리 단계에서는 절단된 그물을 그 편망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을 가한 상태로 열처리로에서 가열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편망된 그물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다양한 편망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열처리 전의 그물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물을 이루는 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경질 그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은 크게 무결절 구조의 그물을 짜는 편망 단계와 편망된 그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로 나누어지고, 편망된 그물을 열처리하는 방법의 양태에 따라 편망 단계와 열처리 단계 사이에 편망된 그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라 편망되고 열처리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그물을 보여준다.
그물(10)은 각각 경사와 위사(21, 22)가 서로 교차되어 이루어지며 교차 부위에서 마디(40)를 이루며, 경사와 위사(21, 22) 각각은 2개의 실(30)이 Z 방향 또는 S 방향으로 꼬여져 형성된 것이다. 경사와 위사(21, 22)는 이들을 이루는 각각의 실(30)이 서로 관통함과 동시에 꼬아지면서 결속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서 경사와 위사라는 용어는 특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
니고, 단지 서로 교차하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경사는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의 길이 방향에 대체로 평행한 방향의 것을 표시하고, 위사는 경사와 교차하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편망되는 그물(10)은 그물코의 마디(40)에 매듭이 형성되지 않아 마디(40)와 다른 부분의 두께가 거의 동일하여 매듭이 있는 결절 방식의 그물에 비해 마디(40)의 용적이 작아지므로, 그물(10)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고 어류의 활동이나 해류의 유동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게 된다.
한편, 이러한 무결절 방식의 편망은 도 1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c)로 도시한 편망 구조가 도 1에 도시한 편망 방식이다.
도 1에서는 편망된 그물을 직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 편망 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사(22)가 그물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편망이 되므로, 그물코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열처리 단계에 투입되는 그물(10, 10')을 도시하고 있는데, 편망된 그물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망된 형태 그대로 마름모꼴 형태를 유지하면서 이후의 열처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름모꼴로 형성된 그물을 사선으로 절단한 후에 이를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여, 도 3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직사각형 형태로 변형시키고 절단면들을 재봉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그물코가 연속되는 형태로 형성하여 열처리 단계로 투입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되는 그물(10)에 대한 열처리는 2가지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로는, 편망 단계에서 형성된 그물을 재단하거나 단위 길이로 절단하는 일이 없이 열처리로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면서 가열하는 것이고, 두번째로는, 편망 단계에서 형성된 그물을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하고, 절단한 그물을 틀에 고정하여 열처리로에 넣어 가열하는 것이다.
첫 번째의 열처리 방식에서는 그물(10)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그물에 길이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며, 열처리로(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열처리로 내의 컨베이어에서 그물코의 모서리 마다 핀을 걸어 폭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가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그물이 비틀리거나 수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두 번째의 열처리 방식에서는 단위 길이로 절단된 그물(10)의 크기에 맞는 열처리용 틀(미도시)을 형성하고, 틀의 테두리에는 그물의 각 그물코의 모서리에 걸리는 핀을 부착하여 그물코가 핀에 부착되어 소정의 장력에 의해 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열처리 과정에서의 뒤틀림이나 수축에 의한 변형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열처리에서의 가열에 따른 그물의 접합 및 경화를 설명하기에 앞서 그물을 형성하는 실(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그물을 이루는 실(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어(31)와 피복(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30)은 코어(31)의 둘레를 피복(32)이 둘러싸는 형태로 피복한 것이다.
코어(31)는 높은 점도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데, 융점 약 260 ℃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융점 약 220 ℃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융점 약 270 ℃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들의 혼합 재료로도 형성될 수 있다.
피복(32)은 코어(31)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융점 보다 낮은 융점 100 ~ 200 ℃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성분, 지방족 락톤 성분, 에틸렌글리콜 성분 및 1,4 부타디엔 성분으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있다.
아울러, 코어(31)와 피복(32)은 서로 별개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서로 박리되지 않도록 양자의 박리 방지를 위해서 서로 융합되는 물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그물(10)에서 경사(31)와 위사(32)를 이루는 실은 서로 관통하고 꼬이는 그물코의 마디에서 실들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열처리 단계에서는 실의 코어(31)는 용융되지 않고 피복(32)이 용융되는 온도로 가열된다.
열처리 단계는 기본적으로 실을 서로 열융착하고 경화하는 공정이다. 실을 이루는 소재에 따라 달라지지만, 피복이 저융점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실에서는 160 ~ 180 ℃의 온도에서서 1 ~ 2 분 정도 가열함으로써 각 실의 피복을 이루는 소재가 융융되어 서로 열융착된다.
이러한 가열 온도와 시간은 실을 이루는 소재 및 경사와 위사의 굵기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에서 피복(32)을 이루는 합성수지 소재가 용융되어 그물코의 마디에서 서로 열융착되어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고, 마디 부분을 포함한 그물전체에서 각 실의 피복이 용융된 후에 열처리가 종료되어 온도가 강화하면서 고화되어 그물 전체에서 실이 경화되어 그물이 전체적으로 소정의 강성을 갖는 경질의 그물로 된다.
다만, 피복으로 둘러싸이는 각 실의 코어(31)는 열처리 과정에서 용융되지 않으므로, 열처리 종료 후에도 그 유연성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형성되는 경질의 그물이 충격을 받거나 외력 등에 의해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그물이 부러지지 않고, 피복에 크랙이 생기는 경우에도 그물이 파손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이렇게 형성되는 그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그물을 원통형으로 권취하거나 일정 길이 단위로 포개는 경우에도 코어(31)가 가지는 인성과 유연성에 의해 그물이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특히 설치 장소에서 그물을 피면 다시 그 형태로 파손이나 변형 없이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실을 이루는 피복(32)과 코어(31)가 모두 폴리에스테르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므로, 가열에 의한 수축률의 차이가 최소로 되어 열처리 후의 망사 변형이 최소화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 및 구성 요소의 부가가 가능하다.
10: 그물 31: 코어 32: 피복

Claims (5)

  1. 합성 수지제의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코어를 이루는 수지보다 낮은 융점의 열경화성 합성 수지제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실로 형성되는 경사와 위사로 소정 폭을 갖는 무결절 구조의 그물을 짜는 편망 단계, 및
    상기 편망 단계에 의해 형성된 그물을 피복을 이루는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열처리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는 상기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의 형태의 유지하면서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의 피복이 용융되어 서로 접합되고 경화되는 것인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의 코어와 피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되되, 피복을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코어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 비해 융점이 낮은 것이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는 실의 피복이 용융되고 코어는 용융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하는 것인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는 편망 단계에서 형성된 그물을 그 편망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을 인가하면서 열처리로에 연속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인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망 단계에서 형성되는 그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하는 절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는 절단된 그물을 그 편망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일정한 장력을 가한 상태로 열처리로에서 가열하는 것인 경질 그물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경질 그물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코어를 이루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보다 낮은 융점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제의 피복으로 이루어지는 실로 이루어지는 경사와 위사로 소정 폭을 갖는 무결절 구조로 편망되고,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그물코에서 경사와 위사를 이루는 실의 피복이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되고 실의 피복이 경화되는 것인 경질 그물.
KR1020170014494A 2017-02-01 2017-02-01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9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94A KR20180089765A (ko) 2017-02-01 2017-02-01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494A KR20180089765A (ko) 2017-02-01 2017-02-01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765A true KR20180089765A (ko) 2018-08-09

Family

ID=6325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494A KR20180089765A (ko) 2017-02-01 2017-02-01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97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582A (zh) * 2018-11-13 2019-03-26 潜江市昌贵水产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水产绿色养殖方法
CN110476841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一种深海网箱鱼苗的投放方法
CN110476840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金鲳鱼超大型深海网箱养殖方法
CN110476842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点蓝子鱼深海网箱养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1582A (zh) * 2018-11-13 2019-03-26 潜江市昌贵水产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水产绿色养殖方法
CN110476841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一种深海网箱鱼苗的投放方法
CN110476840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金鲳鱼超大型深海网箱养殖方法
CN110476842A (zh) * 2019-08-09 2019-11-22 临高海丰养殖发展有限公司 点蓝子鱼深海网箱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765A (ko) 경질의 그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0952B1 (ko) 온실 스크린
JPS59187655A (ja) オ−プンワ−ク編成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36459B2 (ja) 硬質網材および硬質網材の製造方法
US20130008082A1 (en) Greenhouse screen
CN109023638A (zh) 织物及用于生产织物和复合材料体的方法
KR20210030307A (ko) 발수기능이 구비된 방충망 원단
RU2015101889A (ru) Геотекстильная сетка с высоким механическим сопротивлением и усилен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для проложенных в земле сетей или устройств
US11788180B2 (en) Discontinuous vacuum-metalized thin film and w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4023477A (ja) 農業用トンネル被覆資材
KR102605308B1 (ko) 고강도, 저융점성을 갖는 복합멀티필라멘트사로 제직한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KR101845689B1 (ko) 0°일방향성 원사 프리프레그,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축 프리프레그 복합재의 제조방법
US2017026066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or Changeable Fiber
JP2018188777A (ja) 特定用途硬質網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53029B2 (ja) 網戸用網シート
CN107604513B (zh) 结构稳定的织唛及其织造方法
JP6359215B1 (ja) 漁網の製造方法
KR20210070946A (ko) 모노사 및 화섬사로 구성되는 방충망
KR101358394B1 (ko)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JP3726350B2 (ja) ネット状の農業用資材
JPH09275821A (ja) ネット状の農業用資材
CN206035348U (zh) 一种窗纱
JP3981204B2 (ja) 織物構造物の製造法
JP3101644U (ja) ネット状シート
KR101681804B1 (ko) 자외선 차단용 통풍 마스크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