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321A -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 Google Patents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321A
KR20180089321A KR1020180012011A KR20180012011A KR20180089321A KR 20180089321 A KR20180089321 A KR 20180089321A KR 1020180012011 A KR1020180012011 A KR 1020180012011A KR 20180012011 A KR20180012011 A KR 20180012011A KR 20180089321 A KR20180089321 A KR 2018008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erforated network
grain
coffee beans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1959B1 (en
Inventor
신승아
감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엔텍
Publication of KR2018008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3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08B7/026Using sound waves
    • B08B7/028Using ultrasound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a standard quantity of coffee beans and crop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a punched mesh installed in the body; an inlet door installed in the body to be opened to insert crops or coffee beans into the mesh; and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the body on an upper side of the punched mesh to discharge gas and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from the crops in the punched mesh,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 ultrasonic washer is installed in the body to wash the coffee beans or crops inserted into the mesh with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ffee beans and crops are manufactured, a washing process of ingredients and a drying process of ingredients after the wash are performed in the same space of the washer at the same tim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making the work very efficient, reducing processes, and making a manufacturing procedure efficient, thereby improving product quality.

Description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본 발명은 커피원두(생두) 및 곡물을 제조하기 전 원료의 세척과 세척 후 원료의 건조를 같은 장치 내의 공간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coffee bean and a smart factory ultrasonic cleaner for cereals, wherein coffee beans (green beans) and cereals are washed and washed before preparation of the cereal, followed by simultaneous drying of the raw materials in a space in the same apparatus.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는 제조공장에 첨단 정보기술(IT)를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자동화 비중을 높인 공장을 일컫는다.Smart Factory refers to factories that have enhanced their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d the proportion of automation by incorporat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to their manufacturing plants.

즉, 설계, 개발, 제조, 유통, 물류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이다.In other words, it is an intelligent factory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apply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o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such as design, development,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logistics.

이에, 공장 내 설비와 기기 간에 사물 인터넷(IoT)를 설치하여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제품위치, 재고량 등을 자동감지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절감하는 등 공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Therefore, IOT is installed between plant and equipment in the plant to exchange real-time information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automatic detection of product location and inventory quantity to reduce human, material and resources I will.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곡물 또는 커피원두에 관해 스마트 팩토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의 세척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804135호에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며 회전가능한 회전통과,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 착설되어 상기 회전통과 함께 회전하며 곡물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의 외주로 이격되서 고정설치되어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망통과, 상기 망통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망통을 보호하고 상기 망통의 하부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세척부와, 상기 회전통과 상기 브러쉬가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망통 내부에 있는 곡물의 부상력을 유지시키는 배기팬이 구비된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팬이 작동하면 공기가 상기 회전통의 양단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망통으로 배출된 후 상기 배기팬으로 유출됨으로서 곡물의 부상력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 factory is used for cereals or coffee beans. In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cleaning of cereals or coffee beans, JP-A-0804135 discloses an air purifier capable of allowing air to flow in and out, A brush which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ush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brist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brush, a mesh cap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ush and capable of discharging foreign matter, And a case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ngan tube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a driving unit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brush through rotation, And an exhaust section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for maintaining the lifting force of the grain inside, If copper is the rotating air is flowed over the traditional two ends of the public after the release to the Menton grain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vitation force of the grain by being released into the exhaust fan holding register.

또한 곡물 또는 커피원두의 건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705710호에 곡물이 투입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내의 곡물을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수단과, 1차건조된 상기 곡물을 다시 상기 저장실로 끌어올려 재건조시키는 통상의 순환식 곡물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수단은; 일측이 개방되면서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된 적어도 두개 이상의 중앙송풍실과, 상기 각각의 중앙송풍실의 양옆에 사방면이 타공망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저장실내의 곡물이 하부로 통과되는 곡물이동통로와, 상기 곡물이동통로의 외측에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배풍실과, 상기 배풍실의 개방된 타측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중앙송풍실에 내장되어 양옆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열풍을 배출시키는 원적외선 방사체와,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 중 두개당 하나씩으로 외부에 구비되어 열풍을 공급하는 버너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사체는 상기 중앙송풍실의 개방된 입구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체와, 상기 제1방사체의 타단에서 상측으로 만곡되게 굴곡되는 "U"자형상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타단에서 다시 상기 제1방사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체와, 상기 제2방사체의 일단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방사체 및 제2방사체는 상하로 길쭉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지면서 표면에 세라믹 도료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초대형 원적외선 순환식 곡물건조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Also, in the prior art relating to the drying of cereals or coffee beans, 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705710 that a storage room into which cereals are put, drying means for drying the cereals in the storage room while moving them downward, And then drying it again to the storage room, and drying the same, wherein the drying means comprises: At least two central ventilating chambers formed with openings on one side and formed with perforations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ventilating chamber, a grain moving passage through which the grains of the storage chamber are passed downwardly, A far infrared ray radiator which is installed in the central air blowing room and discharges hot air while radiating far infrared rays on both sides of the far infrared ray radiator; Wherein the far infrared ray radiator includes a first radiator extending from an open inlet side of the central ventilation chamber to the other side, and a second radiator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adiator, U "-shaped heat sink plate curved upward, and a heat sink plate at the other end of the heat sink plate An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adiator, wherein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have an elongated diamond shap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Far infrared ray circulating type grain dryer using far infrared ray is disclosed in which a ceramic paint is applied.

그러나 종래의 곡물 또는 커피원두는 각각 세척과 건조를 다른 기기에서 따로 작업을 하여야 하기에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기기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cereal or coffee beans have to be separately cleaned and dried in different apparatus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is low,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척과 건조를 동일한 기기 내에서 행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우수하고, 또한 제작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단순한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sonic cleaner for cereals and a coffee bean having a simple structure in which cleaning and drying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apparatus, ≪ / RTI >

본 발명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타공망의 내부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가 투입되도록 개방되는 투입문과, 상기 타공망의 상부 측 본체에 설치되어 타공망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타공망에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초음파로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in a fixed amou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perforated network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grain or coffee bean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And a dust collecto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in the grain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installed on the upper side main body of the perforated network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t features an ultrasonic washing machine that ultrasonically cleans coffee beans or grai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피원두 및 곡물을 제조하기 전 원료의 세척과 세척 후 원료의 건조를 같은 장치 내의 공간에서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고, 또한 공정과정의 단축 및 제조과정의 효율성 등을 이루어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and washing of raw materials and the drying of raw material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same space in the same apparatus, the operation is very effici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도 1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정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측면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정면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
도 6은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ultrasonic washing machine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ultrasonic washing machine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 coffee machine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 coffee bea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grain selector. Fig.
Figure 5 is an IOT-based dispenser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ve IOT-based coffee bean and grain dispenser.

본 발명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14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가 투입되도록 개방되는 투입문(150)과, 상기 타공망(140)의 상부 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17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에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초음파로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키트(U)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SmartFactory typ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perforated network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 feed door 15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of the perforation network 140 and opened to allow cereals or coffee beans to be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And a dust collector 17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in the main body 110 and discharging the collected foreign substances and ga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cleaning kit U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타공망(14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열풍분사노즐(180)이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plurality of hot air spray nozzles 180 for spraying hot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re installed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ies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Feature.

또한, 상기 타공망(140)의 외부에는 타공망(140)의 내부로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에 묻어 있는 중금속을 분리하기 위해 자석(13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magnet 13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to separate heavy metals from the coffee beans or grain put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초음파 세척기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정면개요도이다.FIG. 1 is a side schematic view of a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ing machine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smart factory ultrasonic washing machine for cereals and coffee b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초음파 세척키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14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로 곡물 또는 커피생두가 투입되도록 개방되는 투입문(150)과, 상기 타공망(140)의 상부 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170)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에 투입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을 초음파로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키트(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1 and 2, the ultrasonic cleaning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perforated network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an inlet door 150 installed in the upper main body 110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nd being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And a dust collector 17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from the grains and discharging the dust and the ga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10 is cleaned with ultrasonic waves, The ultrasonic cleaning kit 120 is provided.

상기 타공망(140)의 하부 측에는 타공망(140)의 하부로 세척 및 건조된 커피생두(원두)가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16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nd a discharge door 160 opened at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by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cleaned and dr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상기 배출문(160)의 하부에는 배출문(260)이 배출구(111)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출문 지지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And a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161 for supporting the discharge door 260 toward the discharge port 111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door 160.

상기 타공망(140)은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보다는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있되, 경사각은 대략 50°정도가 바람직하다.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main body 110.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central portion than at both ends,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about 50 degrees.

그리고 상기 타공망(14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열풍분사노즐(180)이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plurality of hot air spray nozzles 180 for spraying hot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re installed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peripheries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Feature.

한편, 상기 열풍분사노즐(180)은 정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정방향 열풍노즐(181)과, 역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역방향 열풍노즐(182)이 교번하여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정방향 열풍노즐(181)과 역방향 열풍노즐(182)을 교번하여 분사함으로써 타공망(140)은 정방향 열풍노즐(181)로부터 열풍이 분사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역방향 열풍노즐(182)이 분사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t air spray nozzle 180 alternately includes a forward hot air nozzle 181 for spraying hot air in a positive direction and a reverse hot air nozzle 182 for spraying hot air in a reverse direction, When the hot air is sprayed from the hot air nozzle 181, the perforated network 140 rotates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n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hot air nozzle 182 is sprayed.

또한, 상기 타공망(140)의 외부에는 타공망(140)의 내부로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류에 묻어 있는 중금속을 분리하기 위해 자석(13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magnet 13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to separate heavy metals from coffee beans or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상기 자석(130)은 환봉형상의 자석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130 uses a round bar-shaped magnetic bar.

더욱 상세히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세척단계1) washing step

본 장치의 타공망(140)에 커피생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일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열풍분사노즐을 통해 강풍이 타공망(140) 내의 공간에서 부유하게 되면서 미세먼지를 불어내고. 불어낸 미세먼지는 집진기(170)에 의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When coffee beans or grains are put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of the apparatus, strong wind blows fine dust while floating in a space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through the hot air blowing nozz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blown fine dust escap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by the dust collector 170.

이때, 곡물보다 무거운 모래나 이물질은 세척실의 원형 혹은 타공망(140)의 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sand or foreign matter heavier than the grain is collected downward through the round hole of the washing chamber o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그 다음은 설정된 시간 동안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과정이다.The next step is to inject water at high pressure for a set time.

타공망(14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기(도면부호 미도시)는 본체(11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다.A water injector (not shown)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separately.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이 커피생두 또는 곡류와 같이 섞이면서 원료를 세척하게 되며, 이때 동시에 초음파 세척키트(120)를 통해 초음파 세척도 진행된다. 또한 집진기(170)를 통한 집진도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된다.The water sprayed at a high pressure is mixed with coffee beans or cereal, and the raw material is washed. At the same time, the ultrasonic cleaning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ultrasonic cleaning kit 120. Also, dust collection through the dust collector 170 is perform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2) 건조단계2) Drying step

고압분사 및 초음파 세척과정이 완료되면, 즉시 건조단계로 이어진다. 이때 같은 열풍분사노즐(180)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를 위한 열풍이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습기는 열풍과 집진작업으로 제거되면서 투입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은 건조된다.Upon completion of the high-pressure spray and ultrasonic cleaning processes, the drying step is immediately followed. At this time, hot air for drying is sprayed for the set time by the same hot air spray nozzle 180. Moisture generat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is removed by hot air and dust collecting process, so that the introduced coffee bean or grain is dried.

투입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의 건조상태는 본 초음파 세척기(100)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세척실 내 온도, 습도, 투입된 원료의 무게를 표시하고, 수동 및 자동 작업 설정에 따라 작업자가 건조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은 배출구(111)를 통하여 직접 배출되거나 IOT 제어를 통하여 다음 공정단계의 장치 및 기계(배전, 분쇄 등의 공정과정 등)로 원료를 전송하여 생산공정의 자동화를 구축한다.The dried state of the coffee beans or grains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ultrasonic washing machine 100 to display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raw materials in the washing room and display the dried coffee beans or the dried coffee beans according to manual and automatic operation settings. The grain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 or through the IOT control, the raw material is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and the machine of the next process step (such as distribution, crushing, etc.) to establish the autom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다음 공정은 정선기(200)를 통한 정선작업이다.The next process is a straight line operation through the rectifier 200.

도 3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측면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정면개요도이다.Fig. 3 i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coffee bean and grain sele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the coffee bean and grain sele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선기(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240)과, 상기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2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와,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220)와, 상기 투입로(220)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230)와, 상기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투입로(220)에서 타공망(240)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250)과,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배출문(26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3 to 4, the water purifier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on, a perforated network 2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0, A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to collect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when the grain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collec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 blower 230 that feeds the cereal into the inflow path 220 through the wind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side and an outlet 220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the inflow path 220, A feed door 250 installed in the feed path 220 so as to be opened only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a grained feeder 240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feeder 240, And a discharge door 260 that is opened to be opened.

상기 배출문(260)의 하부에는 배출문(260)이 배출구(211)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출문 지지부재(261)가 설치되어 있다.A discharge gate support member 261 for supporting the discharge gate 260 toward the discharge port 211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gate 260.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망(240)은 본체(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기(230)는 냉풍기를 사용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and the blower 230 uses a cooler.

상기 타공망(24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내외부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전체 형상은 환형 또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양단에 회전축(24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41)이 본체(210)의 내부 측면에 결합되어 본체(2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formed in an inner space,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can circulate air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entire perforated network 240 is preferably formed in an annular or cylindrical shape, A rotary shaft 241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210 so that the rotary shaft 241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body 210 and is rotatable within the body 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망(140)은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보다는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있되, 경사각은 대략 50°정도가 바람직하다.Further, preferably,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main body 110. The perforation network 140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central portion than both ends, and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about 50 degrees.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는 타공망(2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선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기(270)의 널지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dust collector 27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when the dust is genera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discharging the dust and the like to the outside. An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는 타공망(240)으로 곡물이 투입되도록 투입로(2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로(220)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타공망(240)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eed path 2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feed cereal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feed path 220 is inclined downward, .

이에, 본체(2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투입로(220)의 일단의 상면에는 투입로(220)의 내부에 정량의 커피 또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형태의 투입구(221)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의 반대편인 투입문(250) 측에는 타공망(240) 방향으로 개방되는 투입문(250)이 형성되어 있다.A hopper-type inlet 221 into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or grain is injected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inlet path 220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210, And a closing door 25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closing door 250 opposite to the inlet. The closing door 250 opens in the direction of the perforating network 240.

즉, 상기 투입문(250)은 체크밸브 타입으로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형상이다.That is, the closing door 250 is a check valve type and its upper end is hinged to open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투입로(220)로 입구 측에는 호퍼형태의 투입구(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형태의 투입구(211)와 투입로(220) 간에는 곡물의 투입을 제어하는 투입제어판(221-1)이 설치되어 있다.A hopper-shaped inlet 221 is formed at the inlet side of the inlet path 220. Between the hopper-shaped inlet 211 and the inlet 220, a feed control plate 221-1 for controlling the feeding of the cereal is installed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투입로(220)의 일단에는 송풍기(230)가 설치되어 투입로(220)의 입구를 통해 투입된 정량의 커피 또는 곡물을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되, 상기 송풍기(23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세기는 투입문(250)을 개방시킬 정도의 세기로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lower 23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let path 220 to feed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or grain fed through the inlet of the inle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side, Preferably, the intensity of wind generated is set to an intensity sufficient to open the input door 250.

이에, 송풍기(230)에 의해 투입문(250)이 개방되면 투입로(220)에 있던 커피 또는 곡물이 타공망(24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put door 250 is opened by the blower 230, the coffee or the grain in the input path 220 is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이때, 상기 송풍기(230)에서는 냉풍이 배출되도록 하여 커피나 곡물의 로스팅과정 시 발생한 열기도 식혀줌으로써 산화방지의 효과뿐만 아니라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한 벤조피렌의 발생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lower 230 discharges cool air to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roasting process of coffee or grains, thereby preventing not only the oxidation but also the generation of benzopyrene generated in the roasting process.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인입되면 타공망(240)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이나 가스가 부유되도록 하여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기(270)로 이물질이나 가스를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When a coffee bean or grain is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ir is spray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o float foreign matter or gas, and foreign substances or gas can be trapped by the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on the perforated network 240. So that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한편, 상기 타공망(240)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24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타공망(240)의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the perforated network 240 may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241 as a center axis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or may be rotated by air injec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즉,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에는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80)이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spray nozzles 280 for spraying air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이에, 상기 분사노즐(28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되는 공기는 분사노즐(280)에 공기압을 부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타공망(240)이 회전하도록 하였다.When the ai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280, the air injected into the injection nozzle 280 causes the perforated network 240 to rotate.

한편, 공기의 분사로 인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물질이나 가스가 부유할 수 있도록 타공망(240)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network 240 can alternately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foreign matter or gas can float more efficiently due to the air injection.

즉, 상기 분사노즐(280)은 정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역방향 분사노즐(282)이 교번하여 설치함으로써, 일정시간 동안은 정방향 분사노즐(281)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세팅된 시간이 지나면 역방향 분사노즐(282)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타공망(24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다.That is, the injection nozzle 280 is provided with the forward injection nozzle 281 for injecting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injection nozzle 282 for injecting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Air i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281 and air is sprayed from the reverse spray nozzle 282 after the set time has elapsed so that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역방향 분사노즐(282)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도 송풍기(230)와 마찬가지로 냉풍이 발생하도록 하였다.The cold wind generated by the forward spray nozzle 281 and the reverse spray nozzle 282 is generated similarly to the blower 230.

그리고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290)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260)을 설치하였다. The discharge door 260 is opened at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by means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90 so as to discharge the finished grain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한편, 상기 배출문(260)의 하부 측 본체(210)의 하면에는 배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discharge port 211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210 of the discharge door 260.

상기 배출문(260)을 개방시키는 동력수단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The power means for opening the discharge door 260 is a well-known conventional mean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omitted.

상술한 바에 의해 본 발명 정선기(200)의 구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입로(220)에 정량의 곡물이 투입되면 송풍기(230)의 냉풍(바람)에 의해 곡물이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설치된 투입문(250)을 강제로 밀게 되어 타공망(24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타공망(240)에 곡물이 인입되면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역방향 분사노즐(282)에 의해 발생하는 냉풍으로 타공망(240)이 회전하여 정선을 하게 되면서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된 집진기(270)를 통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고,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된 곡물은 타공망(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문(260)이 개방되면 상기 배출문(260)을 통해 타공망(240)의 하부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가 배출되고 본체(210)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is fed into the feeding path 220, the grain is fed to the feed path 220 by the cold wind of the blower 230. In this case, And the grain is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When the grain is pull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grain is drawn by the forward jetting nozzle 281 and the reverse jetting nozzle 282 The foreign matter is collect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When the discharge door 260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opened, the cere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oor 260 to the lower part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1.

특히, 투입구(221)와 투입로(220) 사이에는 상술한 IOT 기반의 곡물 투입제어판(221-1) 탑재되며, 투입구(221)에 적재된 곡물의 배출을 IOT제어로 통제하여 수동 및 자동으로 투입로(220)의 배출관을 통하여 투입문(250)의 타공망(240) 투입구(221)를 열리게 하여 곡물이 전송되게 된다.Particularly, the above-mentioned IOT-based grain feed control plate 221-1 is mounted between the feed inlet 221 and the feed-in passage 220, and the discharge of the grain placed in the feed inlet 221 is controlled by the IOT control, The inlet 221 of the perforating network 240 of the input door 250 is open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of the input path 220 to transfer the grain.

도 5는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이다.5 is an IOT-based dispenser for coffee beans and gr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정선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탱크(310)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탱크(3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11)과, 상기 경사면(311)의 중심부에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부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12)와, 상기 투입구(312)를 통해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임시저장되는 저장소(313)와, 상기 저장소(313)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다음 공정장치인 작업대(320)로 이송되도록 배출시키는 배출문(314)으로 이루어져 있다.A storage tank 310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so that coffee beans or grains cleaned inwardly ar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tank 310 as shown in FIG. An inlet 312 through which the coffee beans or cereals ar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and which is formed to penetrate downwar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311 and a coffee bean inserted through the inlet 312; A reservoir 313 in which cereals are temporarily stored and a discharge door 314 for discharging the coffee beans or cereals temporarily stored in the reservoir 313 to be transferred to a workbench 320 which is a next processing apparatus.

상기 배출문(314)은 복수 개가 저장소(3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다음 공정장치인 작업대(320)는 배출문(314)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A plurality of the discharge doors 314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servoir 313 and the workbench 320 as the next processing apparatus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charge door 314 in a one- to be.

이에, 상기 복수 개로 이루어진 작업대(320) 중 작업이 완료된 것이 인지되면, 작업이 완료된 작업대(320)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문(314)이 개방됨으로써 저장소(313)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작업대(320)로 배출되는 것이다.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work platforms 320 is completed, the discharge door 314,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ork platform 320, is opened, so that the coffee beans or grain And is discharged to the work table 32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저장소(313)는 작업대(320)로 배출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정량으로 보관되는 장소로서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배출문(314)을 통해 작업대(320)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배출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reservoir 313 is a place where coffee beans or grains discharged to the work platform 320 are stored in a predetermined amount, and is connected to the work table 320 through respective discharge doors 314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ffee beans or the cereals are discharged.

한편, 상기 본체(310)와 저장소(313) 사이에는 자동개폐기(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개폐기(330)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Meanwhile, an automatic switch 330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torage 313, and the automatic switch 330 is also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제어부는 널리 공지되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is well known and is a means of toleranc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n IOT-based coffee bean and grain dispens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313)의 하단에 하나의 배출문(314)을 장착하되, 상기 배출문(314)의 하부에는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레일(3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370)에는 복수 개의 배출통(360)이 안착되어 있다.6, one discharge door 314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reservoir 313, and a rail 370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door 314 in the left and right or front and rear directions, A plurality of discharge cylinders 360 are seated on the rail 370.

상기 배출통(360)은 하면에 바퀴(361)가 장착되어 레일(37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배출통(360)의 개수는 배출통(360)과 작업대(320)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작업대(3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cylinder 36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 360 with a wheel 361 mounted thereon so that the number of the discharge cylinders 360 can be reduced by the number of the discharge cylinders 360 and the work table 320, 320).

상기 배출통(360)과 대응하는 작업대(320) 간에는 관용의 연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discharge cylinder 360 and the corresponding work platform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mon connection pipe.

이에, 작업대(320)에 놓여진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치우게 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작업대(320)에 대응하는 배출통(360)이 배출문(31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저장소(313)에 적재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은 배출문(314)을 통해 배출통(360)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배출통(314)에 담겨진 커피원두 또는 곡물은 다시 상기 배출통(314)에 대응하는 작업대(320)로 보내지게 된다.When the coffee beans or the grain placed on the workbench 320 are removed, the discharge cylinder 360 corresponding to the workbench 320 is positioned below the discharge door 314 by the control unit, The coffee beans or the grain loaded in the discharge cylinder 314 fall into the discharge cylinder 360 via the discharge door 314 and the coffee beans or the grain contained in the discharge cylinder 314 are again returned to the workbench 314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cylinder 314, (320).

한편, 상기 저장소(313)에는 무게감지센서(350)가 장착되어 있어, 정량의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배출통(314)으로 배출되게 된다.Meanwhile, a weight detection sensor 350 is installed in the reservoir 313, so that a certain amount of coffee beans or cereals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ylinder 314.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관용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This series of processes is controlled by a conventional control unit.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More specifically,

장치의 기능구성Configure the features of the device

.IOT제어를 위한 센스: 온도, 습도, 무게, 타이머, 자동 및 수동 선택 스위치Sensing for .IOT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weight, timer, automatic and manual selection switch

.기능설정: 원하는 작업의 센스를 활용하여 IOT제어를 통한 스마트 펙토리형 자동화 구축Function setting: Smart effect type automation construction by using IOT control by utilizing sense of desired work

.모니터작업표시판: 현재 적재된 원료량(무게센스), 최대적재량, 온도 및 습도,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별 작업현황(전송 및 분배량, 현재 작업진행현황: 1번 기계 작업진행, 2번 기계 대기 등 표시),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에 ‘작업을 진행하는가?’를 물어보는 작업허가 기능, 1일 작업목표량(선택형으로 입력받기 기능), 작업자 코드인식 및 데이터화, 기계 가동시간 DB화(1일-주-월-년별), 스마트폰 앱으로 본 장치를 통제 및 관리하는 기능,  Monitor operation panel: Current weight of raw material (weight sense), maximum load, temperature and humidity, operation status of each device connected with this device (transmission and dispensing volume, current work progress: (1) (1) (1) (1) (2) (1) (2) (1) (2) Day-week-month-by-year), the ability to control and manage this device with smartphone apps,

.조건설정 및 기능: 최대적재량, 온도, 습도, Condition setting and function: Maximum load capacity, temperature, humidity,

.최대적재량 설정: 곡물이 본 보관함의 최대치에 도달할 경우, 전 공정의 센스에 전달하여 전송을 중단하고 전송대기 하도록 함.Maximum load setting: If the grain reaches the maximum value of the library, it is sent to the sensor of the previous process to stop transmission and wait for transmission.

.1일 작업량 통계기능: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의 작업량(기계별 전송 및 배출량) 통계. Daily workload statistics function: Statistics of workload (transmission and discharge by machine) of this device and connected devices

.선택스위치(자동 및 수동): 본 장치와 전후작업단계 간의 진행을 자동 및 수동으로 처리하는 제어로, 필요 시 대기를 원하는 작업에 적용함(예, 유지의 착유는 착유 후, 깻묵을 작업자가 처리해야 하므로 깻묵처리 후, 원료공급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Selection switch (automatic and manual): Controls the automatic and manual control of the progress between this unit and the front and rear work steps, so that it is applied to the desired operation when necessary (eg milking of the retaining uni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election switch for raw material supply after the silk screening process.

.본 장치의 적재량The load capacity of this unit

기본 100kg 적재 가능한 탱크로 구성하지만, 최대 1톤까지 적재 보관 할 수 있도록 함,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적재를 할 수 있는 탱크의 크기가 아니라 IOT기술 기반의 분배기의 기능이다. 따라서 탱크의 크기는 작업환경에 따라서 그 크기를 조율할 수 있다. It consists of a base 100kg loadable tank, but it can store up to 1 tonne of load, but the important thing is not the size of the tank to load, but the function of the IOT technology-based distributor. Therefore, the size of the tank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장치의 작동원리How the device works

본 장치와 전 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배치:Arrangement of the apparatus and the machines and equipment at the pre- and post-processing stages:

본 장치와 전 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배치는 도 5와 같이 본 장치를 중앙에 두고 양쪽으로 각기 다른 공정의 전 후 단계의 공정에 따른 여러 대의 기계 및 장치를 배치시켜서 작업동선을 최소화시키고 작업자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arrangement of the present apparatus and the machines at the pre- and post-processing stages can be achiev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machines and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ocesses of the front and rear stages of the process, Thereby enhanc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operator.

.IOT 제어:.IOT control: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와 본 장치 간의 연동;Interlocking between the pre-processing steps of the apparatus and the apparatus;

본 장치를 가동시키면, 우선 모니터에 입력사항이 요구된다.When this device is turned on, inputs are first required on the monitor.

.모니터표시기 입력설정요인:Monitor Indicator Input Setting Factor:

.항상 표시되는 요소:Always visible elements:

.본 장치의 최대 적재량(총100kg ∼ 1톤), 현재온도, 곡물온도, 외부습도, 본 장치 내부의 습도The maximum load of this unit (100kg ~ 1 ton), current temperature, grain temperature, external humidity, humidity inside this unit

.현재 작업중인 전후 공정기계번호 및 기계별 작업량The number of the front and rear process machine currently in operation and the workload per machine

.본 장치를 가동할 때 입력할 요소:When you turn on this unit, you need to enter:

.하루 혹은 주어진 시간에 작업할 목표량 입력(예: 8시간 작업, 곡물생산 목표량 310kg)Enter a target amount to work on a day or at a given time (eg 8 hours work, grain production target 310 kg)

.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1회 작업 가능량입력(예: 1회 5kg). Enter the workable capacity of the machine and the device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of this equipment (eg 5kg once)

.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기계 및 장치의 번호입력(예: 기계1번, 기계 5번 등). Enter the number of the machine and device to be used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of this device (eg machine 1, machine 5, etc.)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목표량 입력(예: 7시간 작업, 곡물생산목표량 250kg). Enter a target amount to work in the next process step of this unit (eg 7 hours work, grain production target 250 kg)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1회 작업 가능량입력(예: 1회 3kg). Enter the workable capacity of the machine and the device of the next process step of this equipment (eg 3kg once)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기계 및 장치의 번호입력(예: 기계3번, 기계 5번 등). Enter the number of the machine and device to be used in the next process step of this device (eg machine 3, machine 5, etc.)

. 이러한 작업 지시 정보를 입력하면, 장치작동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눌려서 IOT제어로 자동화 작업이 진행된다.. When the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is input, a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IOT control by depressing the selection switch for operation of the apparatus.

세부적인 장치의 가동방법How to operate the device in detail

. 본 장치에 적재 가능한 작업량을 작업자가 설정하면, 그것이 본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고, 본 장치는 작업을 할 전 공정기계 및 장치에 작업지시를 내리고, 작업지시를 받은 기계 및 장치가 목표하는 원료를 공급받아 작업을 하고 본 장치에 전송한다. 이때, 본 장치의 작업량을 설정할 때, 전 공정단계에서 기계 및 장치당 작업 가능한 작업량(kg)을 동시에 설정하여 전 공정의 기계 및 장치가 한 번에 작업 가능한 원료무게를 동시에 설정 입력하도록 한다.. 예) 하루 작업량을 310kg의 원료(곡물)를 본 장치에 설정할 경우, 전 공정단계의 기계당 한번에 작업 가능한 곡물의 무게가 5kg일 때, 5대의 기계를 동시에 가동할 경우, 5대의 기계가 한 번에 작업하는 곡물의 량이 5kg이므로, 한번에 25kg의 작업을 12번 해야 하고, 나머지 10kg의 작업이 남아있으므로, 전 공정의 기계 중 기계1번과 기계2번만 다시 한 번 더 작업하면 총 310kg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When the operator sets the workload that can be loaded on the apparatus,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apparatus. The apparatus gives a work instruction to the pre-work machine and apparatus, Receive the work and send it to this device. At this time, when setting the workload of this equipment,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set the workable amount (kg) per machine and equipment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so that the machine and the device of the previous process can simultaneously set the workable weight. For example, if 310 kg of raw material (grain) per day is set in this unit, the weight of grain that can be processed per machine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is 5 kg, if 5 machin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amount of grains to be worked on is 5kg, you have to work 12 times at 25kg at a time, and the remaining 10kg of work is left. If you work once more on machine 1 and machine 2 again, It becomes possible.

. 설정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이어를 통하여 작업된 곡물은 본 장치로 전송된다. . In proceeding with the set operation, the work done through the conveyor is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when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machine at the previous process stage of the apparatus.

. 설정된 작업량이 모두 완료되면;. When all the set workload is completed;

. 본 장치는 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에 더 이상 작업을 중지하고 기계 및 장치의 전원을 끄게 한다.. This device stop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s and devices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and turns off the machines and devices.

. 본 장치는 전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별로 정해진 시간, 즉 하루 간 작업량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데이터 처리는 각 기계에 탑재된 관련센스 및 기구를 이용한다. . This system database sets the time that is set for each machine and device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that is, the amount of work per day. The data processing uses the related sense and mechanism mounted on each machine.

. 작업 중 본 장치의 최대곡물적재량을 초과할 경우, 즉 경고범위(1톤 중 900kg의 곡물이 적재되었을 때)에 곡물이 적재되었을 때, 경고음이 울리고, 본 장치에 탑재된 경고등이 켜진다. 하지만 본 장치는 최대 적재량인 1톤이 적재될 때까지는 작업을 계속하고, 1톤의 적재량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 공정단계의 기계를 관리하여 미리 더 이상의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작업완료 후, 전 공정단계의 기계를 정치시킨다.. When the maximum grain load of the unit is exceeded during operation, ie when the grain is loaded in the warning range (when 900 kg of grain has been loaded), a warning beep sounds and the warning light on this unit is turned on. However, this device continues the operation until the maximum load of 1 ton is loaded, and when the amount of one ton is completed, it automatically manages the machine in the previous process stage, , The machine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is allowed to stand.

본 발명과 다음 공정 간의 연동Interlocking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ext process

. 본 장치에 다음 생산공정의 목표량과 작업할 기계번호를 작업자가 설정하여 입력하면, 그것이 본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고, 본 장치는 작업을 할 다음 공정기계 및 장치에 작업지시를 내리고, 작업지시를 받은 기계 및 장치가 목표하는 원료를 공급받아 작업을 하고, 그 데이터를 본 장치에 전송하여 빅데이터화 시킨다. 이때, 본 장치에 다음 공정의 작업량을 설정할 때, 다음 공정단계에서 기계 및 장치당 작업 가능한 작업량(kg)을 동시에 입력한다. . When the worker sets and inputs the target quantity of the next production process and the machine number to be worked on in this apparatus,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apparatus, and the apparatus issues a work instruction to the next work machine and apparatus, The received machine and the device receive the target raw material, work it, and transfer the data to the device to make big data. At this time, when setting the work amount of the next process to the present apparatus, the work amount (kg) that can be operated per machine and apparatus is input simultaneously in the next process step.

. 예) 하루 작업량을 310kg의 원료(곡물)를 본 장치에 설정할 경우, 전 공정단계의 기계당 한번에 작업 가능한 곡물의 무게가 5kg일 때, 5대의 기계를 동시에 가동할 경우, 5대의 기계가 한 번에 작업하는 곡물의 량이 5kg이므로, 한번에 25kg의 작업을 12번 해야 하고, 나머지 10kg의 작업이 남아있으므로, 전 공정의 기계 중 기계1번과 기계2번만 다시 한 번 더 작업하면 총 310kg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전 공정단계의 작업방법이 동일함). For example, if 310 kg of raw material (grain) per day is set in this unit, the weight of grain that can be processed per machine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is 5 kg, if 5 machine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Since the amount of grains to be worked on is 5kg, you have to work 12 times at 25kg at a time, and the remaining 10kg of work is left. If you work once more on machine 1 and machine 2 again, It becomes possible. (The same method of operation in the previous process step)

. 본 장치에서 다음 공정단계로 곡물이 전송될 때, 본 장치의 하부에 탑재된 분배기(디스트리뷰터)가 작동한다. IOT 제어로 다음 공정의 기계 및 장치의 연동으로 작동되는 분배기는 본 장치를 가동할 때, 작업자가 설정하여 입력한 작업지시에 따라서 작업을 진행할 다음 공정의 기계 및 장치로 곡물을 전송한다. 분배기는 작업자가 설정한 기계로 곡물을 보내기 위해 본 장치의 하부에 탑재된 분배기 내의 일정한 IOT제어에 의하여 목표량과 작업기계를 통제한다. . When the grain is transferred from the present apparatus to the next process step, a distributor (distributor)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apparatus operates. The distributor, which is operated by the interlocking of the machine and the device of the next process by IOT control, transmits the grain to the next process machine and device according to the work instruction set by the worker when the device is operated. The dispenser controls the target quantity and the working machine by a constant IOT control in the distributor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apparatus to send the grain to the machine set by the worker.

. 따라서 분배기는 해당 기계로 곡물을 보내는 모듈의 컨베이어에 곡물을 탑재하여, 작업을 해야할 기계에 곡물을 보내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대의 기계 및 장치를 관리 통제하고 작업에 따른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 Thus, the distributor mounts the grain on the conveyor of the module that sends the grain to the machine, sends the grain to the machine to be worked on, and manages and controls several machines and devices in this way and collects big data according to the work.

. 전 공정에서와 같이 설정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이어를 통하여 작업된 곡물은 본 장치로 전송된다. . In carrying out the work set up as in the previous process, when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machine of the previous step of the apparatus, the grains which are worked through the conveyor are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 본 장치의 분배기에서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로 곡물을 전송하는 방법은 컨베이어를 활용하는 방법과 본 장치의 탱크높이를 이용하여, 즉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분배기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다음 공정의 기계의 투입구로 곡물을 투입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 A method of transferring grain from a dispenser of the present apparatus to a machine and apparatus of a next process step includes a method of utilizing a conveyor and a method of using the tank height of the apparatus,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grain into the machine's inlet.

. 설정된 작업량이 모두 완료되면;. When all the set workload is completed;

. 본 장치는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에 작업을 중지시키고 기계 및 장치의 전원을 끄게 한다.. This device stops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and the device of the next process step and turns off the machine and the device.

. 본 장치는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별로 정해진 시간, 즉 하루 간 작업량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데이터 처리는 각 기계에 탑재된 관련센스 및 기구를 이용한다.. This device database sets the time that is set for each machine and device in the next process step, that is, the daily amount of work. The data processing uses the related sense and mechanism mounted on each machi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커피원두 및 곡물을 제조하기 전 원료의 세척과 세척 후 원료의 건조를 같은 장치 내의 공간에서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작업이 매우 효율적이고, 또한 공정과정의 단축 및 제조과정의 효율성 등을 이루어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ashing and washing of raw materials and the drying of raw materials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in the same space in the same apparatus, the operation is very effici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 quality.

100. 초음파 세척기
110. 본체 111. 배출구
120. 투입로
130. 자석
140. 타공망 141. 회전축
150. 투입문
160. 배출문 161. 배출문 지지부재
170. 집진기
180. 열풍분사노즐 181. 정방향 열풍노즐 182. 역방향 열풍노즐
190. 경고등
200. 정선기
210. 본체 211. 배출구
220. 투입로 221. 투입구 221-1. 투입제어판
230. 송풍기
240. 타공망 241. 회전축
250. 투입문
260. 배출문 261. 배출문 지지부재
270. 집진기
280. 분사노즐 281. 정방향 분사노즐 282. 역방향 분사노즐
290. 개폐수단
300. 분배기
310. 본체 311. 경사면 312. 투입구
313. 저장소 314. 배출문
320. 작업대
330. 자동개폐기
340. 경고등
350. 무게센서
360. 배출통 361. 바퀴
370. 레일
400. 호퍼 410. 투입제어판
M1, M2, M3. 모니터
U. 초음파 세척키트
100. Ultrasonic Cleaner
110. Body 111. Outlet
120. Injection furnace
130. Magnets
140. Perforations 141. Rotor
150. Input door
160. Exhaust door 161. Exhaust door support member
170. Dust collector
180. Hot Air Injection Nozzle 181. Forward Hot Air Nozzle 182. Inverse Hot Air Nozzle
190. Warning lights
200.
210. Body 211. Outlet
220. Input line 221. Input port 221-1. Input control panel
230. Blower
240. Pier 241. Rotation axis
250. Input door
260. Discharge door 261.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270. Dust collector
280. Injection nozzle 281. Forward spray nozzle 282. Reverse spray nozzle
290. opening and closing means
300. Dispenser
310. Body 311. Slope 312. Inlet
313. Storage 314. Exit door
320. Workbench
330. Automatic switchgear
340. Warning lights
350. Weight sensor
360. Discharge canister 361. Wheels
370. Rail
400. Hopper 410. Feed control panel
M1, M2, M3. monitor
U. Ultrasonic Cleaning Kit

Claims (3)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14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가 투입되도록 개방되는 투입문(150)과, 상기 타공망(140)의 상부 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17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에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초음파로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키트(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A main body 110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perforated network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a grain or coffee bean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main body 110.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dust collector (170)
Wherein the ultrasonic cleaning kit (120)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to clean the coffee beans or the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ing network (140) by ultrasonic 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14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열풍분사노즐(180)이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hot air spray nozzles 180 for spraying hot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re installed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so as to protrude from the peripheries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Smart factory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cereals in a fixed quant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140)의 외부에는 타공망(140)의 내부로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에 묻어 있는 중금속을 분리하기 위해 자석(13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gnet 130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in order to separate a coffee bean or a heavy metal buried in the cereal into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 smart coffee bean and a cereal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ve syringe.
KR1020180012011A 2017-01-31 2018-01-31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KR10206195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3970 2017-01-31
KR20170013970 201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21A true KR20180089321A (en) 2018-08-08
KR102061959B1 KR102061959B1 (en) 2020-03-02

Family

ID=6323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11A KR102061959B1 (en) 2017-01-31 2018-01-31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95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7238A (en) * 2019-01-25 2019-04-05 甘肃大漠紫光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leaning method of black tomato
KR101970511B1 (en) * 2018-12-12 2019-08-13 (주)클린아이디어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CN111493338A (en) * 2020-05-09 2020-08-07 胡飞 Nut food processing frying machine capable of removing dust on surface of fo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975A (en) * 1991-06-26 1993-08-10 Seitaro Nishibayashi Continuous cleaner
JPH08108152A (en) * 1994-10-13 1996-04-30 Ikeda Rinetsu Kogyo:Kk Washer
KR200209642Y1 (en) * 1998-06-03 2001-01-15 배근수 Dry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KR200390605Y1 (en) * 2005-05-02 2005-07-22 문대원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red perrer
KR101555251B1 (en) * 2014-12-29 2015-09-24 농업회사법인 강산푸드플러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ed red papp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9975A (en) * 1991-06-26 1993-08-10 Seitaro Nishibayashi Continuous cleaner
JPH08108152A (en) * 1994-10-13 1996-04-30 Ikeda Rinetsu Kogyo:Kk Washer
KR200209642Y1 (en) * 1998-06-03 2001-01-15 배근수 Dry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KR200390605Y1 (en) * 2005-05-02 2005-07-22 문대원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red perrer
KR101555251B1 (en) * 2014-12-29 2015-09-24 농업회사법인 강산푸드플러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ducing powered red papp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511B1 (en) * 2018-12-12 2019-08-13 (주)클린아이디어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CN109567238A (en) * 2019-01-25 2019-04-05 甘肃大漠紫光生物科技有限公司 A kind of cleaning method of black tomato
CN111493338A (en) * 2020-05-09 2020-08-07 胡飞 Nut food processing frying machine capable of removing dust on surface of food
CN111493338B (en) * 2020-05-09 2021-08-17 浙江何字食品有限公司 Nut food processing frying machine capable of removing dust on surface of fo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959B1 (en)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321A (en)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103859018B (en) Large output low temperature circulating grain products drying equipment
KR20180089323A (en) Smart factory typ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208482788U (en) A kind of construction Sand screen with automatic collection function
CN212375252U (en) Rotary drum type grain spreading machine and grain tank cooling system
JP4643346B2 (en) Drum type shelf type iron making machine
CN208449407U (en) A kind of controllable temperature rice mill
CN115554160A (en) Preparation and processing technology and processing equipment of compound salvia tablets
CN108684835A (en) A kind of automation stone roller tea production line
CN108740867A (en) Date powder produces and jujube core recycles set composite
CN109043603A (en) Fresh date producing unit
CN109417917A (en) A kind of crusher for straw
KR102115594B1 (en)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108895797A (en) A kind of textile process drying unit
CN108936429A (en) Date powder production and jujube core recycle combination process
KR200186467Y1 (en) Fungi growing apparatus
CN211854717U (en) Raw material drying system
CN208751207U (en) Textile process drying unit
CN207763418U (en) A kind of crops circulation dryer convenient for safeguarding
CN206803598U (en) Raw material drying device is used in a kind of ceramic product processing
KR101206152B1 (en) Stone sludge sorting machine
CN104996557A (en) Nut sterilization and screening method and production system thereof
CN219985359U (en) Screening device with drying function
CN109105800A (en) Red date powder producing unit
CN214406815U (en) Bio-organic fertilizer desic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