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5594B1 -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 Google Patents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5594B1
KR102115594B1 KR1020180012022A KR20180012022A KR102115594B1 KR 102115594 B1 KR102115594 B1 KR 102115594B1 KR 1020180012022 A KR1020180012022 A KR 1020180012022A KR 20180012022 A KR20180012022 A KR 20180012022A KR 102115594 B1 KR102115594 B1 KR 10211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perforated network
coffee beans
grai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9322A (en
Inventor
신승아
감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엔텍
Publication of KR20180089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3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2Arrangement of air or material condition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4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1/00Arrangement of accessories i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 B07B11/06Feeding or discharg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및 곡물용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와, 상기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와, 상기 투입로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투입로의 출구 측에 투입로에서 타공망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과, 상기 타공망의 하부 측에 타공망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는 냉풍(바람)의 세기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이송시켜 정선하기 때문에 규정된 정량의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정선할 수 있으며, 또한 냉풍을 발생하여 정선시 발생하는 벤조피렌과 분진가루를 포집하여 배출하며, 배출되는 커피원두 및 곡물의 온도를 급속히 내려줌으로써 커피원두 또는 곡물의 산화 및 산패를 방지하는 정선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and grain picker, and more specifically, a smart factory type pick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perforated network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dust collecto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during the selection of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ow, a blower for transferring the grains input to the input path to the perforated network side through the wind, an input door installed to be opened only from the input path to the perforated network side at the outlet side of the input path, and the selection in the perforated network is completed at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It relates to a smart factory-type picker for a fixed amount of coffee beans and grai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charge door that is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means so that the grain is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network.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ffee beans and grain sel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by transferring coffee beans or grains with the intensity of cold wind (wind), coffee beans or grains of a prescribed quantity can be selected, and also generated by cold air. It collects and discharges benzopyrene and dust powder generated during the city, and has a remarkable effect such as improving the selection work environment that prevents oxidation and acidification of coffee beans or grains by rapidl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coffee beans and grains discharged .

Description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본 발명은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공망의 내부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투입하여 타공망의 내부로 냉풍(공기)를 분사하여 타공망이 회전하면서 정선과 탈연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bean and grain sort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by injecting coffee beans or grains into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spraying cold air (air) into the perforated network to rotate the perforated network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sorting and decommissioning operations. It relates to a smart factory-type pick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in a quantity.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는 제조공장에 첨단 정보기술(IT)를 접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자동화 비중을 높인 공장을 일컫는다.A smart factory refers to a factory that increases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es the weight of automation by incorporat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to a manufacturing factory.

즉, 설계, 개발, 제조, 유통, 물류 등 생산 전체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를 적용하여 생산성, 품질, 고객만족도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능형 공장이다.In other words, it is an intelligent factory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by applying ICT to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such as design, development, manufacturing, distribution, and logistics.

이에, 공장 내 설비와 기기 간에 사물 인터넷(IoT)를 설치하여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제품위치, 재고량 등을 자동감지하여 인적, 물적, 자원을 절감하는 등 공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Thus, by install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between equipment and devices in the factory, real-time information is exchanged to increase productivity while automatically detecting product location, inventory, etc., thereby reducing human, material, and resource efficiency. To do.

그리고 정선기는 커피 및 벼, 참깨 또는 콩과 같은 곡식을 탈곡한 뒤에 낟알만 골라내고 겨, 먼지 같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기로서 정선기 관련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596884호에 원료참깨에 혼입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참깨를 선별한 다음 물에 침전 후 교반하여 세척기에서 세척하는 세척단계; 탈수통의 내부에 비닐망이 설치된 탈수기로 원심탈수하여 상기 세척된 참깨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상기 세척 탈수된 참깨를 볶음솥에 투입한 뒤 히터온도 기준 200 내지 220℃로 10 내지 20분 동안 볶으며 배기장치를 이용하여 연기와 분진을 제거해 주는 볶음단계; 상기 볶은 참깨의 온도를 통풍을 통하여 낮추도록 정선기로 이송한 다음 정선기의 외부에 설치된 이송조절밸브와 이송기호퍼에 연결된 이물제거관에서 작용하는 진공을 이용하여 정선기에서 이송기호퍼로 이송되는 참깨의 속도와 시간을 조절하고 냉각시키는 이송단계; 이송단계와 동시에 일어나며 이송기호퍼에 연결된 이물제거관에서 진공을 작용하여 참깨 볶음시 생성된 이물이 이물저장탱크에 저장되면서 제거되는 이물제거단계; 상기 이송기호퍼에서 냉각된 참깨를 착유기에 투입하여 착유하는 착유단계; 및 착유된 참기름을 참기름여과기에 이송한 다음 활성탄 필터를 사용하여 벤조피렌을 제거하는 여과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선기는 볶음솥의 배출구에서 배출된 볶은 참깨 중에 포함된 이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본체 상부에 필터망이 결합되어 있고, 참깨가 본체의 상부 한쪽 면에서 하부 다른쪽 면의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경사면이 있으며, 참깨가 흘러내려서 이송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 한 쪽에 배출구가 있고, 상기 배출구에서 이송관으로 참깨가 배출되는 속도와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배출구 말단에 이송조절밸브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송기호퍼에 연결된 이물제거관에서 작용하는 진공을 이용하여 배출구에서 이송관을 거쳐 이송기호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정선기 사용 벤조피렌이 저감된 참기름 제조방법이 등록공개되어 있다.In addition, Jeongseongi is a device that filters grains such as coffee, rice, sesame or soybeans, and then filters out grains such as bran, dust, and impurities mixed with raw sesame seed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596884. Separating the sesame seeds by separating them, then washing them in a washing machine by stirring after sedimentation in water; A dehydration step of removing water from the washed sesame seeds by centrifugal dehydration with a dehydrator having a plastic net installed inside the dehydration container; A frying step in which the washed and dehydrated sesame is put in a frying pan and then roasted at a heater temperature of 200 to 220° C. for 10 to 20 minutes to remove smoke and dust using an exhaust system; Transfer the sesame seeds to the pick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roasted sesame is lowered through ventilation, and then transfer the sesame seeds transferred from the picker to the feeder hopper by using a vacuum acting on the transfer control valv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icker and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ipe connected to the feeder hopper. A transfer step of controlling and cooling the speed and time; A foreign substance removal step that occurs at the same time as the transfer step, and removes 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when the sesame is fried in a foreign substance storage tank by applying a vacuum in a foreign substance removal pipe connected to the transfer hopper; A milking step in which sesame oil cooled in the feeder hopper is introduced into a milking machine and milked; And transferring the milked sesame oil to a sesame oil filter, followed by a filtration step to remove benzopyrene us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Filter net is coupled, and there is an inclined surface inside the body to allow sesame to flow from the upper one side of the body to the lower other side, and the outlet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so that the sesame flows down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transport There is, a transfer control valv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outlet so that the speed and time at which the sesame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to the transfer pipe is transferred from the outlet using a vacuum acting on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pipe connected to the transfer hopper. A method of manufacturing sesame oil with reduced benzopyrene is disclosed,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transferred to a transfer hopper through a pipe.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670988호에 공급용호퍼에 채워진 탈곡된 벼가 설정된 양만큼 공급되도록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로부터 공급된 벼에서 벼보다 부피가 크거나 작은 이물질이 순차적으로 선별되어 그 투입부의 반대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 상하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그 투입부의 반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를 통해 벼에서 걸러진 이물질이 수거 및 배출되도록 상기 선별부의 하향 경사진 끝단부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이물질수거부가 구비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선별부를 통해 공급된 벼에서 비중이 다른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 및 선별하도록 마련된 석발부와, 상기 석발부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선별된 벼가 배출 및 수집되도록 형성된 선별벼수집부가 구비되는 하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선별부는 벼보다 큰 크기의 제1타공홀이 형성되어 최상측에 설치되는 제1타공판과, 상기 제1타공판의 하측에 이격 설치되어 벼보다 작은 크기의 제2타공홀이 형성된 제2타공판과, 상기 제2타공판의 하측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타공홀에 의해 배출된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수거부 측으로 수거되도록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제2타공판 및 받침판의 하향 경사진 끝단부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이물질이 선별된 벼가 상기 하부몸체에 이송 및 공급되도록 마련된 벼이송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벼이송영역은 상기 제2타공판의 하향 경사진 끝단부에 좌·우 양측을 따라 다수개가 상·하 관통되어 이물질이 선별된 벼가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이송공과, 상기 이송공을 통해 이송된 벼가 상기 하부몸체에 이송되도록 상기 받침판의 하향 경사진 끝단부에 상기 이송공과 대응되는 위치로 상·하 관통된 연통공과, 상기 이송공과 연통공 사이가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연통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발 기능이 구비된 벼 정선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As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n th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670988, an input portion which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portion so that the threshed rice filled in the supply hopper is supplied in a set amount, and the volume of rice from the rice supplied from the input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rice. A large or small foreign matter is sequentially sorted and discharg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put par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vertically arrang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put part, and a sorting part which is installed to be inclined downwar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input part. An upper body provided with a foreign material collection unit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downwardly inclined end portion of the sorting unit to collect and discharge; Excavation uni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and provided for separating and sorting foreign matters having different specific gravity from the rice supplied through the sorting unit by vibration, and rice installed in one lower part of the precipitation unit to discharge foreign matter sorted And a lower body provided with a sorted rice collecting part formed to be collected. The sorting part includes a first perforated plate having a first perforated hole having a size larger than that of rice, and a first perforated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erforated plate A second perforated plate having a second perforated hole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rice installed, and a base plat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perforated plate and form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by the second perforated hole toward the foreign material collecting part, The second perforated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re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downwardly inclined end portion, and are configured to include a rice transfer area provided to transport and supply the ri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elected to the lower body, wherein the rice transfer area is the second perforated plate. A transport hol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rice is penetrated up and down along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ownwardly inclined end portion, so that the rice from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elected is transferred downward, and the rice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hole is transferred to the lower body. Equipped with an explos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ly inclined end of the base plate comprises a communication hole that is penetrated up and down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port hole, and a communication tube that is connected to be install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transport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The rice picker has been registered.

그러나 종래의 정선기는 커피 또는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벤조피렌을 없앨 수 있는 기능이 없거나, 없애기 위한 구성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그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cking machine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have a function to remove benzopyrene generated when picking coffee or grains, or its efficiency is very low even if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it is includ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선기로부터 배출되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로부터 벤조피렌을 손쉽게 없앨 수 있으며, 배출되는 커피원두 및 곡물의 온도를 급속히 내려줌으로써 커피 또는 곡물의 산화 및 산패를 방지하는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can easily remove benzopyrene from coffee beans or grains discharged from a picker, and rapidly lowers the temperature of coffee beans and grains discharged to prevent oxidation and acidification of coffee or grains. It is to provide a smart factory-type picker that prevents it.

본 발명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과, 상기 타공망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와, 상기 본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와, 상기 투입로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투입로의 출구 측에 투입로에서 타공망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과, 상기 타공망의 하부 측에 타공망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smart factory type pick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from the main body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perforated network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grain installed on the perforated network and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A dust collector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at the time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eed the grain into the inside and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route to the perforated network through the wind A blower, an input door installed to be opened only from the input path to the perforated network side at the outlet side of the input path, and an output door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means so that the grains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는 냉풍(바람)의 세기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이송시켜 정선하기 때문에 규정된 정량의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정선할 수 있으며, 또한 냉풍을 발생하여 정선시 발생하는 벤조피렌과 분진가루를 포집하여 배출하며, 배출되는 커피원두 및 곡물의 온도를 급속히 내려줌으로써 커피원두 또는 곡물의 산화 및 산패를 방지하는 정선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ffee beans and grain sel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by transferring coffee beans or grains with the intensity of cold wind (wind), coffee beans or grains of a prescribed quantity can be selected, and also generated by cold air. It collects and discharges benzopyrene and dust powder generated during the city, and has a remarkable effect such as improving the selection work environment that prevents oxidation and acidification of coffee beans or grains by rapidl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beans and grains discharged. .

도 1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정면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측면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정면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
도 6은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ffee bean and grain p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overview of the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overview of th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spens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OT.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OT-based coffee beans and grain dispenser.

본 발명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240)과, 상기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2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와,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220)와, 상기 투입로(220)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230)와, 상기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투입로(220)에서 타공망(240)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250)과,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26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smart factory type pick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body 210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perforated network 2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t is installed on the perforated net 240, the dust collector 270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during the selection of grain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input path 220 into which grain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he blower 230 for transferring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rough the wind, and input to the outlet side of the input path 220 The input door 250 installed to be opened only from the furnace 220 toward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the grains that have been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charge door 260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이에, 상기 투입로(220)에 정량의 곡물이 투입되면 송풍기(230)의 바람에 의해 곡물이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설치된 투입문(250)을 강제로 밀게 되어 타공망(24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타공망(240)에 곡물이 인입되면 타공망(240)이 회전하여 정선을 하게 되면서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된 집진기(270)를 통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고,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된 곡물은 타공망(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문(260)이 개방되면 상기 배출문(260)을 통해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Thus,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is input to the input path 220, the grai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forced by the wind of the blower 230 to push the input door 250 installed at the exit side of the input path 220. When the grain is drawn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perforated network 240 rotates to select, while foreign matters are collect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discharge door 26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opened, the grain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discharge door 260. It is characteristic.

그리고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에는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80)이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240, a plurality of jet nozzles 280 for jetting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projected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o be.

또한, 상기 분사노즐(280)은 정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역방향 분사노즐(282)이 교번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28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 injection nozzle 281 for injecting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injection nozzle 282 for injecting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are alternately installed.

본 발명 커피 및 곡물용 정선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ffee and grains.

도 1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측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의 정면개요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coffee bean and grain p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a coffee bean and grain pi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선기(2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240)과, 상기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2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와,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220)와, 상기 투입로(220)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230)와, 상기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투입로(220)에서 타공망(240)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250)과,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26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2, the picker 200 includes a main body 210 having an internal space, a perforated network 2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a perforated network 240. A dust collector 270 tha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during the selection of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blower 230 for transferring grain to the perforation network 240 through the wind to the input path 220 into which the grain is input, and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path 220, and the outlet side of the input path 220 The input door 250 installed to be opened only from the inpu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the grains that have been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charge door 260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s much as possible.

상기 배출문(260)의 하부에는 배출문(260)이 배출구(211)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출문 지지부재(261)가 설치되어 있다.A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261 is installed under the discharge door 260 to support the discharge door 260 toward the discharge port 211.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망(240)은 본체(2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기(230)는 냉풍기를 사용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installed in a rotatable structure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the blower 230 is configured to use a cold air fan.

상기 타공망(240)은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내외부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전체 형상은 환형 또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 형상으로서 양단에 회전축(241)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241)이 본체(210)의 내부 측면에 결합되어 본체(21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The perforated network 240 has an internal space, but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allow air to circulate inside and outside, and the entire shape is preferably formed in an annular or cylindrical shape,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shape As the shape, the rotating shaft 241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rotating shaft 241 is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210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main body 2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공망(140)은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보다는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있되, 경사각은 대략 50°정도가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diameter is formed larger toward the center rather than both ends, but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about 50°.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는 타공망(2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정선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기(270)의 널지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dust collector 27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during the selection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discharge them to the outside. As it is a means of toleranc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는 타공망(240)으로 곡물이 투입되도록 투입로(2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투입로(220)는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타공망(240)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of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is formed with an input path 220 so that grain is input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the input path 22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that the end portion is facing the perforated network 240. It is characterized by.

이에, 본체(2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는 투입로(220)의 일단의 상면에는 투입로(220)의 내부에 정량의 커피 또는 곡물이 투입되는 호퍼형태의 투입구(221)가 형성되어 있고, 입구의 반대편인 투입문(250) 측에는 타공망(240) 방향으로 개방되는 투입문(250)이 형성되어 있다.Thus, a top end of the input path 220 protruding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is formed with a hopper-type input port 221 into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or grain is introduced into the input path 2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the input door 250 is formed with an input door 250 that opens in the direc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즉, 상기 투입문(250)은 체크밸브 타입으로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상단이 힌지결합되어 있는 형상이다.That is, the input door 250 is a check valve type, and the upper end is hinged to open only in one direction.

상기 투입로(220)로 입구 측에는 호퍼형태의 투입구(2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형태의 투입구(211)와 투입로(220) 간에는 곡물의 투입을 제어하는 투입제어판(221-1)이 설치되어 있다.A hopper-type inlet 221 is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input path 220, and an input control panel 221-1 for controlling the input of grain is provided between the hopper-type input port 211 and the input path 220. Installed.

그리고 상기 투입로(220)의 일단에는 송풍기(230)가 설치되어 투입로(220)의 입구를 통해 투입된 정량의 커피 또는 곡물을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되, 상기 송풍기(23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세기는 투입문(250)을 개방시킬 정도의 세기로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blower 230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input path 220 so as to transfer a quantity of coffee or grains input through the inlet of the inpu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side, by the blower 230.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wind is preferably set to an intensity sufficient to open the input door 250.

이에, 송풍기(230)에 의해 투입문(250)이 개방되면 투입로(220)에 있던 커피 또는 곡물이 타공망(24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input door 250 is opened by the blower 230, coffee or grains in the input path 220 are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이때, 상기 송풍기(230)에서는 냉풍이 배출되도록 하여 커피나 곡물의 로스팅과정 시 발생한 열기도 식혀줌으로써 산화방지의 효과뿐만 아니라 로스팅 과정에서 발생한 벤조피렌의 발생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blower 230 cools the air and cools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of coffee or grains, thereby preventing the oxidation effect as well as the generation of benzopyrene generated during the roasting process.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인입되면 타공망(240)의 내부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이물질이나 가스가 부유되도록 하여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기(270)로 이물질이나 가스를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When coffee beans or grains are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foreign matter or gas is floated by spraying air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reby allowing foreign matter or foreign matter to be collected into the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한편, 상기 타공망(240)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축(241)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타공망(240)의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network 240 may be rotated with the rotating shaft 241 as a central axis by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or alternatively, it may be rotated by air inject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즉,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에는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80)이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That is,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240,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280 for jetting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install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이에, 상기 분사노즐(280)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면, 분사되는 공기는 분사노즐(280)에 공기압을 부가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타공망(240)이 회전하도록 하였다.Thus, when ai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280, the injected air adds air pressure to the injection nozzle 280, thereby causing the perforated network 240 to rotate.

한편, 공기의 분사로 인해 더욱 효율적으로 이물질이나 가스가 부유할 수 있도록 타공망(240)이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교번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rotated alternately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so that foreign matter or gas may float more efficiently due to the injection of air.

즉, 상기 분사노즐(280)은 정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역방향 분사노즐(282)이 교번하여 설치함으로써, 일정시간 동안은 정방향 분사노즐(281)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고, 세팅된 시간이 지나면 역방향 분사노즐(282)에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타공망(24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였다.That is, the injection nozzle 280 is installed by alternately installing the forward injection nozzle 281 for injecting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injection nozzle 282 for injecting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air is injected at 281, and after the set time passes, the air is injected from the reverse injection nozzle 282 so that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역방향 분사노즐(282)에 의해 발생하는 바람도 송풍기(230)와 마찬가지로 냉풍이 발생하도록 하였다.The wind generated by the forward spraying nozzle 281 and the reverse spraying nozzle 282 was also made to generate cold air like the blower 230.

그리고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290)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260)을 설치하였다. In addition, a discharge door 260 opened by the opening/closing means 290 wa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so that the grains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한편, 상기 배출문(260)의 하부 측 본체(210)의 하면에는 배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Meanwhile, an outlet 211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side body 210 of the discharge door 260.

상기 배출문(260)을 개방시키는 동력수단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Since the power means for opening the discharge door 260 is a well-known general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상술한 바에 의해 본 발명 정선기(200)의 구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투입로(220)에 정량의 곡물이 투입되면 송풍기(230)의 냉풍(바람)에 의해 곡물이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설치된 투입문(250)을 강제로 밀게 되어 타공망(24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타공망(240)에 곡물이 인입되면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역방향 분사노즐(282)에 의해 발생하는 냉풍으로 타공망(240)이 회전하여 정선을 하게 되면서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된 집진기(270)를 통해 이물질이 포집되어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되고,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된 곡물은 타공망(2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문(260)이 개방되면 상기 배출문(260)을 통해 타공망(240)의 하부로 곡물 또는 커피원두가 배출되고 본체(210)의 하면에 형성된 배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I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iv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picker 200 as described abov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grain is input to the input path 220, the grain of the input path 220 by the cold air (wind) of the blower 230 The input door 25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is forcibly push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when grain enters the perforated network 240, it is generated by the forward spraying nozzle 281 and the reverse spraying nozzle 282. As the perforated network 240 rotates and selects with the cold air, foreign matter is collected through the dust collector 270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selected in the perforated network 240 Grai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when the discharge door 26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is opened, the grain or coffee beans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rough the discharge door 26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211.

특히, 투입구(221)와 투입로(220) 사이에는 상술한 IOT 기반의 곡물 투입제어판(221-1) 탑재되며, 투입구(221)에 적재된 곡물의 배출을 IOT제어로 통제하여 수동 및 자동으로 투입로(220)의 배출관을 통하여 투입문(250)의 타공망(240) 투입구(221)를 열리게 하여 곡물이 전송되게 된다.Particularly, the above-described IOT-based grain input control panel 221-1 is mounted between the input port 221 and the input path 220, and manually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grain loaded in the input port 221 by IOT control. Through the discharge pipe of the input path 220, the perforated network 240 of the input door 250 is opened to open the input port 221 so that grain is transferred.

도 3은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측면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커피생두 및 곡물용 초음파 세척기 정면개요도이다.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ront schematic view of the ultrasonic clean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초음파 세척키트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14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로 곡물 또는 커피생두(원두)가 투입되도록 개방되는 투입문(150)과, 상기 타공망(140)의 상부 측 본체(110)에 설치되어 타공망(1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에서 발생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170)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에 투입된 커피생두(원두) 또는 곡물을 초음파로 세척하는 초음파 세척키트(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3 to 4, the ultrasonic cleaning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perforated network 1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the main body 110. Installed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the door 150 is opened so that the grain or coffee beans (beans) are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the upper side body 110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140 Consists of a dust collector 170 that collects foreign matter and gas generated from grains introduced into the body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but inside the body 110, coffee beans (bea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ion network 140 are formed.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ltrasonic cleaning kit 120 for washing the grain with ultrasonic waves is installed.

상기 타공망(140)의 하부 측에는 타공망(140)의 하부로 세척 및 건조된 커피생두(원두)가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160)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ischarge door 160 that is opened by opening and closing means so that the coffee beans (beans) washed and dri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re discharged.

상기 배출문(160)의 하부에는 배출문(260)이 배출구(111)를 향하도록 지지하는 배출문 지지부재(161)가 설치되어 있다.A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161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door 160 to support the discharge door 260 toward the discharge port 111.

상기 타공망(140)은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양단보다는 중심부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있되, 경사각은 대략 50°정도가 바람직하다.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inside the main body 110, and has a larger diameter toward the center rather than both ends, but the inclination angle is preferably about 50°.

그리고 상기 타공망(140)의 내부에는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하는 복수 개의 열풍분사노즐(180)이 타공망(1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Further,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140, a plurality of hot air spray nozzles 180 spraying hot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are protruded and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It is characteristic.

한편, 상기 열풍분사노즐(180)은 정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정방향 열풍노즐(181)과, 역방향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역방향 열풍노즐(182)이 교번하여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정방향 열풍노즐(181)과 역방향 열풍노즐(182)을 교번하여 분사함으로써 타공망(140)은 정방향 열풍노즐(181)로부터 열풍이 분사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다가 역방향 열풍노즐(182)이 분사되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t air spray nozzle 180 is installed by alternately installing a forward hot air nozzle 181 for spraying hot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 reverse hot air nozzle 182 for spraying hot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orward hot air nozzle 181 By alternately spraying the hot air nozzle 182 and the reverse direction,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hot air is jetted from the forward hot air nozzle 181, and then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hot air nozzle 182 is jetted.

또한, 상기 타공망(140)의 외부에는 타공망(140)의 내부로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류에 묻어 있는 중금속을 분리하기 위해 자석(130)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130 is mounted to separate heavy metals buried in coffee beans or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상기 자석(130)은 환봉형상의 자석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 130 uses a circular rod-shaped magnet rod.

더욱 상세히 본 발명 초음파 세척기(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1) 세척단계1) Washing step

본 장치의 타공망(140)에 커피생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면 설정된 시간 동안 일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열풍분사노즐을 통해 강풍이 타공망(140) 내의 공간에서 부유하게 되면서 미세먼지를 불어내고. 불어낸 미세먼지는 집진기(170)에 의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When coffee beans or grains are put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of the device, strong winds float in the space with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through hot air spray nozz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or a set time to blow out fine dust. The blown fine dus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10 by the dust collector 170.

이때, 곡물보다 무거운 모래나 이물질은 세척실의 원형 혹은 타공망(140)의 통공을 통하여 하부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At this time, sand or foreign matter that is heavier than grains is collected by falling downward through a circular shape of the washing room or through a hole in the perforated network 140.

그 다음은 설정된 시간 동안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과정이다.The next step is to spray water at high pressure for a set time.

타공망(140)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기(도면부호 미도시)는 본체(110)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된다.A water sprayer (not shown) for spraying water into the perforated network 140 is separate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이 커피생두 또는 곡류와 같이 섞이면서 원료를 세척하게 되며, 이때 동시에 초음파 세척키트(120)를 통해 초음파 세척도 진행된다. 또한 집진기(170)를 통한 집진도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된다.The water sprayed at high pressure is mixed with coffee beans or grains to wash the raw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ultrasonic cleaning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ultrasonic cleaning kit 120. In addition, dust collection through the dust collector 170 is also carried out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2) 건조단계2) Drying step

고압분사 및 초음파 세척과정이 완료되면, 즉시 건조단계로 이어진다. 이때 같은 열풍분사노즐(180)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를 위한 열풍이 분사되도록 한다.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습기는 열풍과 집진작업으로 제거되면서 투입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은 건조된다.When the high pressure injection and ultrasonic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the drying step is immediately performed. At this time, the hot air for drying is sprayed for a set time in the same hot air spray nozzle 180. Moisture generated in the washing process is removed by hot air and dust collecting, so the coffee beans or grains are dried.

투입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의 건조상태는 본 초음파 세척기(100)의 모니터에 표시되어, 세척실 내 온도, 습도, 투입된 원료의 무게를 표시하고, 수동 및 자동 작업 설정에 따라 작업자가 건조된 커피생두 또는 곡물은 배출구(111)를 통하여 직접 배출되거나 IOT 제어를 통하여 다음 공정단계의 장치 및 기계(배전, 분쇄 등의 공정과정 등)로 원료를 전송하여 생산공정의 자동화를 구축한다.The dried state of the coffee beans or grains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ultrasonic cleaner 100 to display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eight of the raw materials in the washing room, and the coffee beans are dried by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manual and automatic work settings, or Grain is discharged directly through the outlet 111 or through IOT control to transfer raw materials to devices and machines (process processes such as power distribution, crushing, etc.) in the next process stage to establish autom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다음 공정은 정선기(200)를 통한 정선작업이다.The next process is the selection operation through the selection machine 200.

도 5는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이다.5 is a dispenser for coffee beans and grai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O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정선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저장탱크(310)와, 상기 저장탱크(310)의 내부에 저장탱크(310)의 중심부를 향하여 하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311)과, 상기 경사면(311)의 중심부에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부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12)와, 상기 투입구(312)를 통해 투입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임시저장되는 저장소(313)와, 상기 저장소(313)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다음 공정장치인 작업대(320)로 이송되도록 배출시키는 배출문(314)으로 이루어져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storage tank 310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so that coffee beans or grains selected inward is introduced, and dow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storage tank 310 inside the storage tank 310. The inclined surface 311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downwardly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surface 311, and the coffee beans or grains are introduced to the bottom thereof, and the coffee bean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s 312 or It consists of a storage 313 where the grain is temporarily stored, and a discharge door 314 that discharges the coffee beans or grain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313 to be transferred to the next work unit 320.

상기 배출문(314)은 복수 개가 저장소(313)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다음 공정장치인 작업대(320)는 배출문(314)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doors 314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servoir 313, and the next process apparatus, the work table 320, is installed to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discharge door 314. to be.

이에, 상기 복수 개로 이루어진 작업대(320) 중 작업이 완료된 것이 인지되면, 작업이 완료된 작업대(320)와 연통되어 있는 배출문(314)이 개방됨으로써 저장소(313)에 임시저장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작업대(320)로 배출되는 것이다.Thus,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work is completed among the plurality of work platforms 320, the coffee beans or grains temporarily stored in the storage 313 by opening the discharge door 314 in communication with the work tables 320 where the work is completed. It is discharged to the work table (32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저장소(313)는 작업대(320)로 배출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정량으로 보관되는 장소로서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각각의 배출문(314)을 통해 작업대(320)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배출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storage 313 is a place where coffee beans or grains discharged to the work table 320 are quantitatively stored, and the work table 320 is provided through each discharge door 314 by a control unit (not shown). The coffee beans or grains are discharged.

한편, 상기 본체(310)와 저장소(313) 사이에는 자동개폐기(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자동개폐기(330)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Meanwhile, an automatic switch 330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body 310 and the storage 313, and the automatic switch 330 is also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제어부는 널리 공지되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is a well-known means of toleranc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 IOT기반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분배기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OT-based coffee beans and grain dispenser.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313)의 하단에 하나의 배출문(314)을 장착하되, 상기 배출문(314)의 하부에는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레일(37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370)에는 복수 개의 배출통(360)이 안착되어 있다.6, a single discharge door 314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313, and a rail 37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door 314 in the left-right or front-rear direc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bins 360 are seated on the rail 370.

상기 배출통(360)은 하면에 바퀴(361)가 장착되어 레일(370)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배출통(360)의 개수는 배출통(360)과 작업대(320)가 일대일 대응하도록 작업대(320)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bin 36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heel 361 to move along the rail 370, and the number of discharge bins 360 is such that the discharge bin 360 and the work table 320 correspond one-to-one. 320).

상기 배출통(360)과 대응하는 작업대(320) 간에는 관용의 연결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The discharge tube 360 and the corresponding work table 3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mmon connecting pipe.

이에, 작업대(320)에 놓여진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치우게 되면, 제어부에 의해 상기 작업대(320)에 대응하는 배출통(360)이 배출문(31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저장소(313)에 적재되어 있는 커피원두 또는 곡물은 배출문(314)을 통해 배출통(360)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배출통(314)에 담겨진 커피원두 또는 곡물은 다시 상기 배출통(314)에 대응하는 작업대(320)로 보내지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ffee beans or grains placed on the work table 320 are removed, a discharge bin 360 corresponding to the work table 320 is placed under the discharge door 314 by a control unit, and the storage 313 The coffee beans or grains loaded in the container are dropped into the discharge bin 360 through the discharge door 314, and the coffee beans or grains contained in the discharge bin 314 again correspond to a work tabl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bin 314. It will be sent to (320).

한편, 상기 저장소(313)에는 무게감지센서(350)가 장착되어 있어, 정량의 커피원두 또는 곡물이 배출통(314)으로 배출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orage 313 is equipped with a weight sensor 350, a quantity of coffee beans or grains ar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bin 314.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관용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This series of processes is controlled by a customary control.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In more detail,

장치의 기능구성Device Functionality

.IOT제어를 위한 센스: 온도, 습도, 무게, 타이머, 자동 및 수동 선택 스위치Sense for IOT control: temperature, humidity, weight, timer, automatic and manual selection switch

.기능설정: 원하는 작업의 센스를 활용하여 IOT제어를 통한 스마트 펙토리형 자동화 구축.Function setting: Smart factory-type automation through IOT control by utilizing the sense of the desired operation

.모니터작업표시판: 현재 적재된 원료량(무게센스), 최대적재량, 온도 및 습도,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별 작업현황(전송 및 분배량, 현재 작업진행현황: 1번 기계 작업진행, 2번 기계 대기 등 표시),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에 ‘작업을 진행하는가?’를 물어보는 작업허가 기능, 1일 작업목표량(선택형으로 입력받기 기능), 작업자 코드인식 및 데이터화, 기계 가동시간 DB화(1일-주-월-년별), 스마트폰 앱으로 본 장치를 통제 및 관리하는 기능,  Monitor work display panel: the amount of raw material currently loaded (weight sense), the maximum loa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e operation status of each device connected to this unit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mount, current operation progress: machine 1, machine 2, machine 2) Waiting, etc.), the work permission function that asks the device connected to this device,'Are you working?', the daily work target amount (selective input function), worker code recognition and dataization, machine uptime DB (1 Day-week-month-yearly), the ability to control and manage the device with a smartphone app,

.조건설정 및 기능: 최대적재량, 온도, 습도, Condition setting and function: maximum loading, temperature, humidity,

.최대적재량 설정: 곡물이 본 보관함의 최대치에 도달할 경우, 전 공정의 센스에 전달하여 전송을 중단하고 전송대기 하도록 함..Maximum loading setting: When grain reaches the maximum value of this storage box, it is delivered to the sense of the whole process to stop transmission and wait for transmission.

.1일 작업량 통계기능: 본 장치와 연결된 장치의 작업량(기계별 전송 및 배출량) 통계Daily workload statistics function: Statistics on the workload (transmission and emission by machine) of devices connected to this unit

.선택스위치(자동 및 수동): 본 장치와 전후작업단계 간의 진행을 자동 및 수동으로 처리하는 제어로, 필요 시 대기를 원하는 작업에 적용함(예, 유지의 착유는 착유 후, 깻묵을 작업자가 처리해야 하므로 깻묵처리 후, 원료공급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함Selection switch (automatic and manual): This is a control that automatically and manually handles the progress between the unit and the pre- and post-operational stages, and applies waiting to the desired job when necessary (e.g., milking for maintenance is performed by the worker Since it has to be processed, it is possible to work by selecting the selection switch for supplying raw materials after ink treatment.

.본 장치의 적재량Loading capacity of this unit

기본 100kg 적재 가능한 탱크로 구성하지만, 최대 1톤까지 적재 보관 할 수 있도록 함,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적재를 할 수 있는 탱크의 크기가 아니라 IOT기술 기반의 분배기의 기능이다. 따라서 탱크의 크기는 작업환경에 따라서 그 크기를 조율할 수 있다. It consists of a basic 100kg loadable tank, but allows storage of up to 1 ton, but the important thing is not the size of the tank that can be loaded, but the function of the distributor based on IOT technology. Therefore, the size of the tank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장치의 작동원리How the device works

본 장치와 전 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배치:Arrangement of machines and devices in this and before and after process steps:

본 장치와 전 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배치는 도 5와 같이 본 장치를 중앙에 두고 양쪽으로 각기 다른 공정의 전 후 단계의 공정에 따른 여러 대의 기계 및 장치를 배치시켜서 작업동선을 최소화시키고 작업자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The arrangement of the machine and the devices in the process steps before and after the device is centered as shown in FIG. 5, and several machines and devices according to the process in the before and after steps of different processes are placed on both sides to minimize work flow. It is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workers.

.IOT 제어:.IOT control: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와 본 장치 간의 연동;Interworking between all process steps of the device and the device;

본 장치를 가동시키면, 우선 모니터에 입력사항이 요구된다.When this device is activated, input is first requested to the monitor.

.모니터표시기 입력설정요인:.Monitor indicator input setting factors:

.항상 표시되는 요소:Elements always displayed:

.본 장치의 최대 적재량(총100kg ∼ 1톤), 현재온도, 곡물온도, 외부습도, 본 장치 내부의 습도.Maximum loading capacity of this unit (total 100kg ~ 1 ton), current temperature, grain temperature, external humidity, humidity inside the unit

.현재 작업중인 전후 공정기계번호 및 기계별 작업량.Process machine number and amount of work by machine

.본 장치를 가동할 때 입력할 요소:Elements to enter when operating this unit:

.하루 혹은 주어진 시간에 작업할 목표량 입력(예: 8시간 작업, 곡물생산 목표량 310kg)Enter target amount to work on a day or at a given time (e.g. 8 hour work, target grain production 310kg)

.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1회 작업 가능량입력(예: 1회 5kg). Enter the amount of work that can be performed once for machines and devices at all stages of the process (e.g., 5 kg once)

.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기계 및 장치의 번호입력(예: 기계1번, 기계 5번 등). Enter the number of the machine and device to be operated in all the process steps of the device (e.g. machine 1, machine 5, etc.)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목표량 입력(예: 7시간 작업, 곡물생산목표량 250kg). Enter the target amount to work in the next process step of the unit (e.g., 7 hour work, 250 kg grain production target)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의 1회 작업 가능량입력(예: 1회 3kg). Enter the amount of work that can be performed once per machine and device in the next process step of the device (e.g., 3 kg once)

. 본 장치의 다음 공정단계에서 작업할 기계 및 장치의 번호입력(예: 기계3번, 기계 5번 등). Enter the number of the machine and device to be worked on in the next process step of the device (e.g. machine 3, machine 5, etc.)

. 이러한 작업 지시 정보를 입력하면, 장치작동을 위한 선택스위치를 눌려서 IOT제어로 자동화 작업이 진행된다.. When such work instruction information is input, an automatic operation is performed by IOT control by pressing a selection switch for device operation.

세부적인 장치의 가동방법Detailed device operation method

. 본 장치에 적재 가능한 작업량을 작업자가 설정하면, 그것이 본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고, 본 장치는 작업을 할 전 공정기계 및 장치에 작업지시를 내리고, 작업지시를 받은 기계 및 장치가 목표하는 원료를 공급받아 작업을 하고 본 장치에 전송한다. 이때, 본 장치의 작업량을 설정할 때, 전 공정단계에서 기계 및 장치당 작업 가능한 작업량(kg)을 동시에 설정하여 전 공정의 기계 및 장치가 한 번에 작업 가능한 원료무게를 동시에 설정 입력하도록 한다.. 예) 하루 작업량을 310kg의 원료(곡물)를 본 장치에 설정할 경우, 전 공정단계의 기계당 한번에 작업 가능한 곡물의 무게가 5kg일 때, 5대의 기계를 동시에 가동할 경우, 5대의 기계가 한 번에 작업하는 곡물의 량이 5kg이므로, 한번에 25kg의 작업을 12번 해야 하고, 나머지 10kg의 작업이 남아있으므로, 전 공정의 기계 중 기계1번과 기계2번만 다시 한 번 더 작업하면 총 310kg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When the operator sets the amount of work that can be loaded on the device,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device, and the device issues work orders to the process machines and devices before work, and the machine and device that received the work orders target the raw materials. Work on supply and send to the device. At this time, when setting the work amount of the device, the work amount per machine and device (kg) is set at the same time in all process steps so that the machine and device of the entire process can set and input the workable material weight at the same time. Example) When the daily work quantity is set to 310kg of raw materials (grains) in this unit, when the weight of grains that can work at a time per machine in all process stages is 5kg, when 5 machin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5 machines are operated once Since the amount of grain working on 5kg, 25kg of work must be done 12 times at a time, and the remaining 10kg of work remains, if only the first machine and the second machine are processed once more, a total of 310kg of work will be done. It becomes possible.

. 설정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이어를 통하여 작업된 곡물은 본 장치로 전송된다. . In the process of setting work, when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machine of all the process steps of the apparatus, the grains worked through the conveyor are transferred to the apparatus.

. 설정된 작업량이 모두 완료되면;. When all set workloads are completed;

. 본 장치는 전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에 더 이상 작업을 중지하고 기계 및 장치의 전원을 끄게 한다.. This device stops the machine and device in all process steps and stops the machine and device.

. 본 장치는 전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별로 정해진 시간, 즉 하루 간 작업량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데이터 처리는 각 기계에 탑재된 관련센스 및 기구를 이용한다. . This device makes a database of the amount of work for a certain time, that is, one day, for each machine and device in the pre-process stage. The data processing uses the relevant senses and mechanisms installed on each machine.

. 작업 중 본 장치의 최대곡물적재량을 초과할 경우, 즉 경고범위(1톤 중 900kg의 곡물이 적재되었을 때)에 곡물이 적재되었을 때, 경고음이 울리고, 본 장치에 탑재된 경고등이 켜진다. 하지만 본 장치는 최대 적재량인 1톤이 적재될 때까지는 작업을 계속하고, 1톤의 적재량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전 공정단계의 기계를 관리하여 미리 더 이상의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작업완료 후, 전 공정단계의 기계를 정치시킨다.. When the maximum grain loading of this unit is exceeded during work, that is, when grain is loaded in the warning range (when 900 kg of grain is loaded in 1 ton), a warning sound sounds and the warning light mounted on the unit turns on. However, the device continues to work until the maximum loading capacity of 1 ton is loaded, and when the 1 ton loading is completed, it automatically manages the machines in all process steps to control further work in advanc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work At the same time, the machine at all stages of processing is left standing.

본 발명과 다음 공정 간의 연동Interlocking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process

. 본 장치에 다음 생산공정의 목표량과 작업할 기계번호를 작업자가 설정하여 입력하면, 그것이 본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고, 본 장치는 작업을 할 다음 공정기계 및 장치에 작업지시를 내리고, 작업지시를 받은 기계 및 장치가 목표하는 원료를 공급받아 작업을 하고, 그 데이터를 본 장치에 전송하여 빅데이터화 시킨다. 이때, 본 장치에 다음 공정의 작업량을 설정할 때, 다음 공정단계에서 기계 및 장치당 작업 가능한 작업량(kg)을 동시에 입력한다. . When the operator sets and inputs the target amount of the next production process and the machine number to work on this unit, it is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unit, and this unit issues work orders to the next process machine and unit to work on, and gives work orders. Received raw materials targeted by the machine and device are supplied for work, and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device to be converted into big data. At this time, when setting the work volume of the next process in the device, the work volume per machine and device can be input at the same time in the next process step.

. 예) 하루 작업량을 310kg의 원료(곡물)를 본 장치에 설정할 경우, 전 공정단계의 기계당 한번에 작업 가능한 곡물의 무게가 5kg일 때, 5대의 기계를 동시에 가동할 경우, 5대의 기계가 한 번에 작업하는 곡물의 량이 5kg이므로, 한번에 25kg의 작업을 12번 해야 하고, 나머지 10kg의 작업이 남아있으므로, 전 공정의 기계 중 기계1번과 기계2번만 다시 한 번 더 작업하면 총 310kg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전 공정단계의 작업방법이 동일함). Example) When the daily work quantity is set to 310kg of raw materials (grains) in this unit, when the weight of grains that can work at a time per machine in all process stages is 5kg, when 5 machin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5 machines are operated once Since the amount of grain working on 5kg, 25kg of work must be done 12 times at a time, and the remaining 10kg of work remains, if only the first machine and the second machine are processed once more, a total of 310kg of work will be done. It becomes possible. (All process steps have the same working method)

. 본 장치에서 다음 공정단계로 곡물이 전송될 때, 본 장치의 하부에 탑재된 분배기(디스트리뷰터)가 작동한다. IOT 제어로 다음 공정의 기계 및 장치의 연동으로 작동되는 분배기는 본 장치를 가동할 때, 작업자가 설정하여 입력한 작업지시에 따라서 작업을 진행할 다음 공정의 기계 및 장치로 곡물을 전송한다. 분배기는 작업자가 설정한 기계로 곡물을 보내기 위해 본 장치의 하부에 탑재된 분배기 내의 일정한 IOT제어에 의하여 목표량과 작업기계를 통제한다. . When grain is transferred from the device to the next process step, a distributor (distributor)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device operates. The dispenser, which is operated by interworking with machines and devices of the next process with IOT control, transmits grain to the machines and devices of the next process to proceed with the work instruction set and input by the operator when the device is operated. In order to send grain to the machine set by the operator, the dispenser controls the target amount and the working machine by constant IOT control in the dispenser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unit.

. 따라서 분배기는 해당 기계로 곡물을 보내는 모듈의 컨베이어에 곡물을 탑재하여, 작업을 해야할 기계에 곡물을 보내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대의 기계 및 장치를 관리 통제하고 작업에 따른 빅데이터를 수집한다. . Therefore, the divider mounts the grain on the conveyor of the module that sends the grain to the corresponding machine, sends the grain to the machine to be worked on, and manages and controls multiple machines and devices in this way and collects big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 전 공정에서와 같이 설정된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 본 장치의 전 공정단계의 기계에서 작업이 완료되면 컨베이어를 통하여 작업된 곡물은 본 장치로 전송된다. . In the process of setting the work as in the previous process, when the work is completed in the machine of all the process steps of the device, the grains worked through the conveyor are transferred to the device.

. 본 장치의 분배기에서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로 곡물을 전송하는 방법은 컨베이어를 활용하는 방법과 본 장치의 탱크높이를 이용하여, 즉 중력의 힘을 이용하여 분배기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다음 공정의 기계의 투입구로 곡물을 투입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 The method of transferring grains from the distributor of this unit to the machines and devices in the next process step uses the conveyor and the tank height of this unit, that is, the gravity of the next process in the lower position of the distributor. It is also possible to inject grain into the machine's inlet.

. 설정된 작업량이 모두 완료되면;. When all set workloads are completed;

. 본 장치는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에 작업을 중지시키고 기계 및 장치의 전원을 끄게 한다.. This device stops the machine and device in the next process step and turns off the machine and device.

. 본 장치는 다음 공정단계의 기계 및 장치별로 정해진 시간, 즉 하루 간 작업량을 데이터베이스화 한다. 데이터 처리는 각 기계에 탑재된 관련센스 및 기구를 이용한다.. This device makes a database of the amount of work per day, that is, for each machine and device in the next process step. The data processing uses the relevant senses and mechanisms installed on each machin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커피원두 및 곡물용 정선기는 냉풍(바람)의 세기로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이송시켜 정선하기 때문에 규정된 정량의 커피원두 또는 곡물을 정선할 수 있으며, 또한 냉풍을 발생하여 정선시 발생하는 벤조피렌과 분진가루를 포집하여 배출하며, 배출되는 커피원두 및 곡물의 온도를 급속히 내려줌으로써 커피원두 또는 곡물의 산화 및 산패를 방지하는 정선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ffee beans and grain selec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lected by transferring coffee beans or grains with the intensity of cold wind (wind), coffee beans or grains of a prescribed quantity can be selected, and also generated by cold air. It collects and discharges benzopyrene and dust powder generated during the city, and has a remarkable effect such as improving the selection work environment that prevents oxidation and acidification of coffee beans or grains by rapidly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ffee beans and grains discharged. .

100. 초음파 세척기
110. 본체 111. 배출구
120. 투입로
130. 자석
140. 타공망 141. 회전축
150. 투입문
160. 배출문 161. 배출문 지지부재
170. 집진기
180. 열풍분사노즐 181. 정방향 열풍노즐 182. 역방향 열풍노즐
190. 경고등
200. 정선기
210. 본체 211. 배출구
220. 투입로 221. 투입구 221-1. 투입제어판
230. 송풍기
240. 타공망 241. 회전축
250. 투입문
260. 배출문 261. 배출문 지지부재
270. 집진기
280. 분사노즐 281. 정방향 분사노즐 282. 역방향 분사노즐
290. 개폐수단
300. 분배기
310. 본체 311. 경사면 312. 투입구
313. 저장소 314. 배출문
320. 작업대
330. 자동개폐기
340. 경고등
350. 무게센서
360. 배출통 361. 바퀴
370. 레일
400. 호퍼 410. 투입제어판
M1, M2, M3. 모니터
U. 초음파 세척키트
100. Ultrasonic cleaner
110. Main body 111. Outlet
120. Input route
130. Magnet
140. Perforated network 141.
150. Input statement
160. Discharge door 161.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170. Dust collector
180. Hot air spray nozzle 181. Forward hot air nozzle 182. Reverse hot air nozzle
190. Warning lights
200. Jeong Seon Ki
210. Main body 211. Outlet
220. Inlet 221. Inlet 221-1. Input control panel
230. Blower
240. Perforated network 241.
250. Input statement
260. Discharge door 261. Discharge door support member
270. Dust collector
280. Spray nozzle 281. Forward spray nozzle 282. Reverse spray nozzle
290. Switching means
300. Splitter
310. Body 311. Slope 312. Inlet
313. Reservoir 314. Outlet
320. Workbench
330. Automatic switch
340. Warning light
350. Weight sensor
360. Outlet 361. Wheels
370. Rail
400. Hopper 410. Input control panel
M1, M2, M3. monitor
U. Ultrasonic cleaning kit

Claims (3)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타공망(240)과, 상기 타공망(24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타공망(240)의 내부에 인입된 곡물의 정선시 발생되는 이물질과 가스를 포집하여 본체(2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기(270)와, 상기 본체(210)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로(220)와, 상기 투입로(220)에 투입된 곡물에 바람을 통해 타공망(240) 측으로 이송시키는 송풍기(230)와, 상기 투입로(220)의 출구 측에 투입로(220)에서 타공망(240) 측으로만 개방되도록 설치된 투입문(250)과, 상기 타공망(240)의 하부 측에 타공망(240) 내에서 정선이 완료된 곡물이 타공망(24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문(260)으로 구성되는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240)의 내부에는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 개의 분사노즐(280)이 타공망(240)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분사노즐(280)은 정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정방향 분사노즐(281)과, 정방향의 역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역방향 분사노즐(282)이 교번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
The main body 210 in which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the perforated network 24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grains introduced in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A dust collector 270 tha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gases generated at the time of selection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an input path 220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and into which grains are introduced, A blower 230 for conveying the grain input to the inpu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rough the wind, and installed to be opened only from the input path 220 to the perforated network 240 on the outlet side of the input path 220 Consists of an input door 250 and an exit door 260 that is opened by opening/closing means so that grains that have been selected in the perforation network 240 on the lower side of the perforation network 240 are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erforation network 240. In a smart factory-type picker for fixed quantity coffee beans and grains,
Inside the perforated network 240,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280 for jetting air toward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are installed to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perforated network 240,
The injection nozzle 280 is a constant amount of coffee beans and gra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ward injection nozzle 281 for spraying air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injection nozzle 282 for spraying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are alternately installed. Yong-suk Jeong Factor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12022A 2017-01-31 2018-01-31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KR10211559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3977 2017-01-31
KR1020170013977 201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22A KR20180089322A (en) 2018-08-08
KR102115594B1 true KR102115594B1 (en) 2020-06-02

Family

ID=6323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22A KR102115594B1 (en) 2017-01-31 2018-01-31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5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642Y1 (en) * 1998-06-03 2001-01-15 배근수 Dry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KR200390605Y1 (en) * 2005-05-02 2005-07-22 문대원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red perrer
KR101670988B1 (en) 2015-10-02 2016-11-16 (주) 성산기업 Careful selection machine contained stone separating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74B1 (en) * 2009-12-08 2012-04-24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Rotary drum type agricultural products desicc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642Y1 (en) * 1998-06-03 2001-01-15 배근수 Dry Structure of Grain Washing Device
KR200390605Y1 (en) * 2005-05-02 2005-07-22 문대원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for red perrer
KR101670988B1 (en) 2015-10-02 2016-11-16 (주) 성산기업 Careful selection machine contained stone separa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22A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482788U (en) A kind of construction Sand screen with automatic collection function
KR102012584B1 (en) Smart factory typ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103521452B (en) A kind of environment-friendly type compound grain cleaner
CN207057023U (en) A kind of corn pellet processing spends stone vibrating screen panel
CN112024391A (en) Wheat edulcoration and stoving integration equip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CN101243817A (en) Tea leaf withering process plant
KR102061959B1 (en)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108684835A (en) A kind of automation stone roller tea production line
KR102115594B1 (en) Smart factory type sorting machine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N107081267A (en) Crop seeds screening, cleaner and its operating method
CN112620106B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helling and screening camellia oleifera fruits
CN206778535U (en) A kind of circulation milling device for wheat
CN216913427U (en) Sand screening device
CN112146398A (en) Agricultural machine cereal drying process device
CN209124108U (en) A kind of garden type workshop
CN104996557B (en) Nut deinsectization screening technique and its production system
JP2005152684A (en) Controlling mechanism of grain preparation facility
CN210646718U (en) Reducing mechanism of medical intermediate
KR102063413B1 (en) Manufacturing factory system having complex equipment of far infrared dry apparatus and magnetic separating apparatus for eco agricultural and marineproducts of organic processed food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owder using thesame
CN206620499U (en) A kind of intelligent agricultural byproducts drying screening integrated production line
CN209597652U (en) A kind of stem tea screening plant
CN111656967A (en) Intelligent grain threshing integrated device
KR20100034943A (en) Washing and sorting apparatus for farm produce
CN217726221U (en) Fodder component screening machine
CN203768500U (en) Silkworm cocoon classificator of improve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