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511B1 -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511B1
KR101970511B1 KR1020180159732A KR20180159732A KR101970511B1 KR 101970511 B1 KR101970511 B1 KR 101970511B1 KR 1020180159732 A KR1020180159732 A KR 1020180159732A KR 20180159732 A KR20180159732 A KR 20180159732A KR 101970511 B1 KR101970511 B1 KR 10197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cleaning device
frequency
mod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주)클린아이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린아이디어 filed Critical (주)클린아이디어
Priority to KR102018015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69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8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the liquid having chemical or dissolving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4Under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dual frequency of an ultrasonic vibrator and conducting Internet of Things (IoT)-based remote control, which is able to notify a remotely located worker of the inclination status of a dishwasher, thereby allowing the worker to control and check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ishwasher from a remote pl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apparatus compris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means which includes one or more transducers; a frequency generation means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frequency for oscillation in the shape of a sine wave, which oscillates the transducers; an output value measuring unit which measures and outputs an output value of an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means; an inertia measuring means which measures change values on front, rear,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to output the values as inclination measurement values of the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a control means which, when the ultrasonic wave output value is not a maximum value within a reference value range, generates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to generate and output a frequency for oscillation as a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outputs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frequency generation means, and, when the inclination measurement value for the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range, generates and outputs a position adjust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and a user interface means which outputs a menu item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and receives the status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ultrasonic washing apparatus from the control means to output th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n administrator or a work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a dishwasher or to check the operation status regardless of his or her position.

Description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본 발명은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기울기 상태를 원격지의 작업자에게 알려주고 원격지에서 식기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그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of an ultrasonic vibrator and IoT-based remote contro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rator at a remote location, to control an operation state of the dishwasher at a remote location, and to operate the ultrasonic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an ultrasonic vibrator for checking a state.

일반적으로 과일 또는 식기 등의 세척작업이 가정주부들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과일 또는 식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식기세척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washing operations such as fruit or tableware have been made by housewives, but recently, dishwashers for automatically washing fruits or tablewar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이와 같은 식기 세척기의 세척 방식은 크게 2개로 분류할 수 있다.The washing method of the dishwasher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첫째는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분사식 세척방식과 둘째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24752(2006.03.17)"와 같이, 세척기 내측에 식기를 물에 불리는 세척부를 가지며, 세척부에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기를 부착하여 식기 또는 과일 표면에 부착된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초음파 세척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First, the nozzle spray cleaning method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hrough the nozzle, and the second has a washing unit called the dish inside the washing machine, such as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6-0024752 (2006.03.17)", Attached to the ultrasonic generator for generating an ultrasonic wave can be divided into the ultrasonic cleaning method to remove the residu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ableware or fruit.

초음파 세척 방식에서 사용되는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 16Hz~20KHz의 범위를 초과하는 주파수를 갖는 음파를 의미한다.Ultrasonic wave used in the ultrasonic cleaning means a sound wave having a frequency exceeding the audible frequency of 16Hz ~ 20KHz that can be heard by humans.

이러한 초음파를 수중에서 발생시키면, 음파의 진동에 의해 미세 기포가 생성되었다가 소멸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라 한다.When the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in water,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fine bubbles are generated and extinguished by the vibration of sound waves, which is called cavitation.

캐비테이션 현상에 의해 미세기포가 생성 및 소멸을 반복할 때 매우 큰 압력과 고온이 동반되는 바, 수중에 피세척물이 담겨있는 상태라면 고온 및 고압에 의해 피세척물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When microbubbles are repeatedly generated and destroyed by cavitation, very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are involved. If the object is contained in water, it is difficult to remov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by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t becomes possible.

이러한 초음파는 주파수를 높일수록 초음파의 직진성이 커져 침투력이 증가하나,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가 미세해지므로 캐비테이션의 강도가 약해지게 되고, 초음파의 주파수를 낮출수록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가 커져 캐비테이션 강도가 강해지게 되나 침투력이 약해져 초음파가 도달하지 않는 시각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higher the frequency, the greater the straightness of the ultrasonic waves, the higher the penetration force. However, the smaller the size of the generated bubbles, the weaker the cavitation strength becomes. Although it becomes stronger, the penetration force is weaken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visual region does not reach the ultrasonic wave.

상술한 고주파와 저주파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세척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복수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다주파식 초음파 세척기가 이용되고 있다. 다주파 방식의 초음파 세척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하나의 주파수만을 이용했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형태의 초음파 세척기이다.In order to supplement the above-mentioned shortcomings of the high frequency and the low frequency and maximize the washing efficiency, a multi-frequency ultrasonic cleaner using a plurality of frequencies is used. Multi-frequency ultrasonic cleaner is a type of ultrasonic cleaner that can solve the problem that occurs when using only one frequency by using a vibrator generating different frequencies.

그러나, 다주파 방식을 채택하게 되면 불가피하게 단일 주파수의 출력이 저하되어 단주파를 이용할 때보다 세척효율이 떨어질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multi-frequency method is adopted,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output of a single frequency is inevitably lowered and the washing efficiency is lowered than when using a single frequency.

이에,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면서도 출력 저하를 해결할 수 있는 듀얼 주파수 방식의 초음파 세척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ual frequency type ultrasonic cleaner capable of solving power degradation while using multiple frequencies.

그리고, 초음파 세척기를 작동하거나, 초음파 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원격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기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In addition, it has been required to provide a variety of user interfaces, such as operating the ultrasonic cleaner, or to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ultrasonic cleaner from a remote loc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6-0024752 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2475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세척기의 기울기 상태를 원격지의 작업자에게 알려주고 원격지에서 식기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그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in view of the above, the dual frequency of the ultrasonic vibrator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inclination of the dishwasher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hwasher at the remote place an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nd IoT-based remote control.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에 마련되어 발진하는 트랜스듀서들을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고 발진되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an ultrasonic vibrator to oscillate transducers provided in a washing space with different frequencies.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시켜 링크된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폰을 통해 식기세척기와 통신 이루어지도록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dual-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to communicate with the dishwasher via a smart phone having a Bluetooth module linked to the dishwasher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The purpose is.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초음파 식기 세척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항목을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to provide an intuitively recognizable form of menu items provided through the ultrasonic dishwasher management application mounted on the dishwasher and smart phone To provide, the purpose 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는, 재료와 세척제가 수용되는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들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수단; 상기 트랜스듀서를 발진시키는 정현파 형태의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트랜스듀서들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수단; 상기 초음파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값 측정부; 초음파 세척장치의 앞뒤, 상하, 좌우 변화값을 측정하여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으로 출력하는 관성측정수단; 상기 초음파 출력값이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 상기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으로 상기 주파수 발생수단이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시켜 출력하도록 초음파 발생제어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이 기준 값 범위를 벗어나면 초음파 세척장치 위치조정 알림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초음파 세척장치의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 중 상태정보들을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ltrasonic generation consisting of one or mor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and the cleaning agent are accommodated Way; Frequency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inusoidal oscillation frequency for oscillating the transducer and outputt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to the transducers; An output value measuring unit measuring and outputting an output valu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Inertial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front and rear, up and down, left and right change valu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o output the tilt measurement valu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ltrasonic output value is a maximum value within a reference value range, and if it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generates and outputs a frequency for oscillation to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ultrasonic cleaning device position adjust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ilt measurement value is out of a reference value range; And providing menu items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outputting a menu item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when one of the menu items is selected by a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operating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user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ean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from those generated by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space, and are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The transducers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nd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leaning space may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은,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전원모드 선택, 초음파 설정모드, 버블모드, 세척(야채)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 자가점검모드, 세처장치의 기울기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Bluetooth module of a smartphone, wherein the smartphone is configured to service a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power mode selection, ultrasonic setting mode, bubble mode, cleaning (vegetable) mode, turbo mode, auto mode, self-check mode, the tilt device notification mode At least one of the modes may be provide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초음파 설정모드를 선택하면, 트랜스듀서들의 초음파 세기 및 시간을 결정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버블모드, 세척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아이콘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ltrasonic setting mode is selected,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ime of the transducers are determined to serve, and the bubble mode, the cleaning mode, the turbo mode, and the auto mode are icons having different colors. Can be provided.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세척공간의 외부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면이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 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상기 발진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진기에서 상기 진동판으로 열 또는 전자파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판과, 상기 발진기와 결합하고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진기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제1볼트와, 상기 진동판과 결합하여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진동판의 주변을 기밀하게 하는 기밀 링과, 상기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된 제2볼트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진동판과 상기 기밀 링이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캡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노출부가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에서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볼트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벽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밀 링이 안착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밀 링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며 상기 제2볼트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의 일면과 맞대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상기 돌출부 측 일단에서 상기 벽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노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과 상기 발진기의 상부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볼트는 상기 제1면과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캡과 결합하며 상기 결합홈을 축으로 하여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 벽면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the oscillato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leaning space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and provided on top of the oscillator and one surface of the cleaning space A vibration plate formed to protrude therein and vibrated by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oscillator, an insulation plate provided between the vibration plate and the oscillator to prevent heat or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oscillator to the vibration plate, and coupled to the oscillator; And a first bolt for penetrating the insulating plate and connecting the oscillator and the diaphragm, an airtight ring coupled to the diaphragm to seal the periphery of the diaphragm projecting inside the washing space, and the washing space. The diaphragm and the airtight ring are fast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lt formed on the wall to be formed. And a cap configured to be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washing space, wherein the diaphragm has an exposed portion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space through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ll, and extends from one end of the exposed portion to expose the exposed portion. A protrusion for exposing 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space, a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otrusion to engage with the second bolt, and a seating portion bent in the wall direction at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 seat the hermetic ring. A bent portion to be formed, the hermetic ring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second bolt to engage with one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side of the first surface in the wall direction; And a third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wherein the diaphragm comprises: And a space part formed by the outlet part and the protrusion part to have the insulating plate and the upper part of the oscillator embedded therein, and the second bolt penetrates the first surface and the coupling part and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 plurality of the coupling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washing space with the coupling groove as an axis.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기울기 상태를 원격지의 작업자에게 알려주고 원격지에서 식기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그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작업자로 하여금 위치에 무관하게 식기세척기 작동을 제어하거나 그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늘 식기세척기를 직접 제어 및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inclination of the dishwasher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hwasher at the remote location and to check the operation state, so that the manager or operator can control the dishwasher opera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r oper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status, which eliminates the hassle that a manager or operator always has to control and check the dishwasher directly.

또한, 본 발명은 세척공간에 마련되어 발진하는 트랜스듀서들을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고 발진되도록 함으로써, 세척해야 하는 대상물을 더욱더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특히 오래되어 세척이 잘 안되는 것들도 쉽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oscillating transducers provided in the cleaning space to be oscillated with a different frequency, it is possible to clean the object to be cleaned more particularly,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wash even those that are difficult to wash old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시켜 링크된 블루투스 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폰을 통해 식기세척기와 통신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리자 및 작업자에게 늘 식기세척기를 통해 직접 작동조건을 설정하거나, 동작상태를 확인해봐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module in the dishwasher to communicate with the dishwasher via a smartphone having a Bluetooth module linked to, by set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directly through the dishwasher to the manager or worker, or operating state This helps to eliminate the hassle of checking.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초음파 식기 세척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항목을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 또는 작업자로 하여금 식기세척기의 현재 상태를 오인하거나, 또는 세척조건 설정시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nu item provided through the ultrasonic dishwasher management application mounted on the dishwasher and smart phone in an intuitively recognizable form, so that the administrator or worker may misunderstand or wash the current state of the dishwasher. This has the effect of avoiding errors when setting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트랜스듀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트랜스듀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ducers provided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nsduc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nles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ecial meaning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excessive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sense of or in the sense of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orrect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prope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defined in the dictionary or according to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b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트랜스듀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트랜스듀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ransducers provided 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ransduc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는, 트랜스듀서(100), 초음파 발생수단(200), 주파수 발생수단(300), 출력값 측정수단(400), 관성측정수단(500), 제어수단(600), 사용자 인터페이스(700), 블루투스 모듈(8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an ultrasonic vibrator includes a transducer 100,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200, a frequency generator 300, and an output value measurer 400. ), The inertial measurement means 500, the control means 600, the user interface 700, the Bluetooth module 800.

초음파 발생수단(200)은 재료와 세척제가 수용되는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100)들로 이루어진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 대상체를 세척하는 것으로, 세척 대상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초음파를 발생시켜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척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110)와 세척공간의 측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120)의 발진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제공한다.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200 is composed of one or more transducers 100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in which the material and the cleaning agent are accommodated. That is, by cleaning the cleaning object by generating ultrasonic waves having different frequenci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by generating different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the cleaning object. By sett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of one or more transducers 110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and one or more transducers 12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space differently, workers or managers can select and set them as necessary. To provi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700.

주파수 발생수단(300)은 트랜스듀서(100)를 발진시키는 정현파 형태의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하여 트랜스듀서(100)들로 출력한다.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generates a sinusoidal oscillation frequency for oscillating the transducer 100 and outputs the generated frequency to the transducers 100.

출력값 측정수단(400)은 초음파 발생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출력한다.The output value measuring means 400 measures and outputs the output valu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300.

관성측정수단(500)은 초음파 세척장치의 앞뒤, 상하, 좌우 변화값을 측정하여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으로 출력한다.The inertial measurement means 500 measures the front, back, top, bottom, left and right change values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outputs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nclination measurement value.

제어수단(600)은 초음파 출력값이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으로 주파수 발생수단(300)이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시켜 출력하도록 초음파 발생제어신호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초음파 발생제어신호를 주파수 발생수단(400)으로 출력한다.The control means 600 determines whether the ultrasonic output value is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and if it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generates the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and outputs it. An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as to output the generated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400.

제어수단(600)은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이 기준 값 범위를 벗어나면 초음파 세척장치 위치조정 알림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즉, 초음파 세척장치의 경우 일정 장소에 위치시켜 식기, 야채 등 다양한 대상체를 세척시키는 기능이 주기능이므로, 초음파 세척장치가 안정적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세척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이러한 초음파 식기세척기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600 generates and outputs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position adjust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ilt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range. That is, in the cas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since the main function is to wash various objects such as dishes and vegetables by placing it at a predetermined place, problems may occur in the cleaning process when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s not installed stab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ultrasonic dishwasher and to operate stably.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초음파 세척장치의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 중 상태정보들을 제어수단(600)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한다.The user interface 700 provides menu items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and when one of the menu items is selected by a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outputs a menu item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The state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means 600 and outputs it.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또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세척모드가 세척시간 등 선택된 세척모드와 관련된 정보들이 간략하게 표시되어, 누구나 보고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메뉴항목으로, 기기검색, 시간설정, 세기결정, 세척모드, 버블모드, 야채모드, 오토모드, 터보모드로,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원격지에서 식기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거나, 또는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user interface 700 briefly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lected washing mode such as the washing time of the washing mode selected by the manager or the operator, so that anyone can see and know. In addition, Figure 4 is a menu item provided through the ultrasonic dishwasher management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device search, time setting, strength determination, washing mode, bubble mode, vegetable mode, auto mode, turbo mode, manager or worker The smart phone can be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hwasher or check the operation state from a remote location.

블루투스모듈(800)은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모듈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초음파 세척장치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거나, 작동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Bluetooth module 800 is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phone, the administrator or worker using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mounted on the smartphone to remote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or operating conditions Service to confirm.

트랜스듀서(100)들은 식기 세척기의 세척공간의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과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 또한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킨다.The transducers 100 are composed of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of the dishwasher and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space, and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washing space are mount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space. Ultrasonic waves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from the ultrasonic waves generated by the transducers are generated, and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chamber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each other, and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leaning chamber are also identical to each other. Generate ultrasonic waves with frequency.

스마트폰은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전원모드 선택, 초음파 설정모드, 버블모드, 세척(야채)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 자가점검모드, 세처장치의 기울기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제공한다.The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that services the remot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power mode selection, ultrasonic setting mode, bubble mode, washing (vegetable) mode At least one or more of a turbo mode, an auto mode, a self-check mode, and a tilt notification mode of the capturer.

초음파 설정모드를 선택하면, 트랜스듀서들의 초음파 세기 및 시간을 결정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버블모드, 세척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아이콘으로 제공된다.When the ultrasonic setting mode is selected, the ultrasonic intensity and time of the transducers are determined to serve, and the bubble mode, the washing mode, the turbo mode, and the auto mode are provided as icons having different colors.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100)는 발진기(110), 진동판(120), 절연판(130), 제1볼트(140), 기밀 링(150) 및 캡(160)을 구비할 수 있다.The transducer 100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includes an oscillator 110, a diaphragm 120, an insulating plate 130, a first bolt 140, an airtight ring 150, and a cap 160. can do.

상기의 발진기(11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류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발진기(110)는 세척공간(20)의 외부(20b)에 구비되며 (+)극과 (-)극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발진기(110)의 중앙에는 삽입부(111)가 형성되며 상기의 삽입부(111)에는 제1볼트(14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삽입부(111)의 내면과 제1볼트(14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각각 구비되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제1볼트(140)가 발진기(1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진기(110)가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제1볼트(140)와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탈착이 이루어짐으로써 편리하고 신속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The oscillator 110 may serve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by using a current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scillator 110 may be provided at the outside 20b of the washing space 20 so that the (+) and (-) poles face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crosstalk does not occur. An insertion portion 1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scillator 110, and one end of the first bolt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1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reads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lt 140, respectively, so that the first bolt 140 may be coupled to the oscillator 110 through a screw coupling method. As such, the oscillator 110 is easily detached from the first bolt 140 through the screwing method, and thus, the maintenance unit 110 can be conveniently and quickly maintained.

한편, 삽입부(111)에 삽입되지 않은 제1볼트(140)의 타단에는 진동판(120)이 구비될 수 있다. 진동판(120)은 발진기(110)에서 발생 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게 되며 진동을 통해 초음파를 세척공간(20)의 내부(20a)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벽면(21)에 형성된 결합홈(21a)을 통해 세척공간(20)의 내부(20a)로 노출되는 노출부(121), 노출부(12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노출부(121)가 세척공간(20)의 외부(20b)에서 내부(20a)로 노출되도록 하는 돌출부(122), 돌출부(122)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세척공간(20)의 외부(20b) 벽면(21)에 구비되는 제2볼트(22)와 결합하는 결합부(123) 및 결합부(123)의 일단에서 벽면(21) 방향으로 절곡되어 기밀 링(150)이 안착하는 안착부(124)를 형성하는 절곡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볼트(22)는 결합홈(21a)을 중심으로 하여 세척공간(20)의 외부(20b) 벽면(21)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볼트(22)의 일단에는 캡(160)이 체결되어 진동판(120)과 기밀 링(150)이 세척공간(20)의 외부(20b) 벽면(21)에 고정 및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diaphragm 120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lt 140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111. The diaphragm 120 is vib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from the oscillator 110 and serves to transmit the ultrasonic wave to the interior 20a of the washing space 20 through the vibration, and the coupling groove 21a formed on the wall surface 21a. Exposed portion 121 exposed to the interior 20a of the washing space 20 through the (),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exposed portion 121, the exposed portion 121 is inside the outer space 20b of the washing space 20 Coupling portion 122 to be exposed to the (20a), the coupl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protrusion 122 is coupled to the second bolt 22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1 of the exterior (20b) of the washing space 20 ( 123 and a bent portion 125 that is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21 at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123 to form a seating portion 124 on which the airtight ring 150 is seated. Here, a plurality of second bolts 22 may b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21 of the exterior 20b of the cleaning space 2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groove 21a. In addition, the cap 160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lt 22 so that the diaphragm 120 and the airtight ring 150 may be fixed and adhered to the wall surface 21 of the exterior 20b of the washing space 20. have.

돌출부(122)에 의해 세척공간(20)의 내부(20a)에 위치하게 되는 노출부(121)는 세척공간(20)에 수용된 재료와의 거리가 근접하게 됨으로써 초음파가 재료에 닿는 거리를 좁힘으로써 상대적으로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e exposed portion 121 positioned in the interior 20a of the cleaning space 20 by the protrusion 122 is closer to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cleaning space 20, thereby narrowing the distance that the ultrasonic wave contacts the material. Relatively improved cleaning effect.

그리고, 진동판(120)은 관통홀(미부호)이 형성된 결합부(123)를 구비함으로써 제2볼트(22)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상기의 캡(160)이 제2볼트(22)의 일단에 체결됨으로써 진동판(120)이 제2볼트(22)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볼트(22)와 캡(160)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볼트(140)와 발진기(110)의 삽입부(111)와 같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phragm 120 includes a coupling part 123 having a through hole (not shown), so that the diaphragm 120 is easily coupled to the second bolt 22 and the cap 16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second bolt 22. By being fastened, the diaphragm 120 may mainta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120 is coupled to the second bolt 22. Here, the second bolt 22 and the cap 160, such as the insertion portion 111 of the first bolt 140 and the oscillator 110 mentioned above, can be easily coupled because of the screw coupling method Or can be separated.

따라서, 진동판(120)은 제2볼트(22)와 캡(160)의 결합에 의해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향후 진동판(120)의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볼트(22)와 캡(160)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결합하므로 설치 또는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또한 발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aphragm 120 may be easily detach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bolt 22 and the cap 160, so that the maintenance of the diaphragm 120 may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bolt 22 and the cap 160 are coupled through a screw coupling method, installation or dismantling can be performed quickly,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한편, 상기의 진동판(120)은 노출부(121)와 돌출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의 공간부(126)에는 상기의 절연판(130)과 발진기(110)의 상부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절연판(130)은 중앙에 관통홀(미부호)을 구비하여 상기의 제1볼트(140)와 결합함으로써 진동판(120)의 공간부(126)에 내장됨과 동시에 발진기(110)의 상부에 얹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발진기(110)에서 초음파를 발생할 시 발생하는 열이나 전자파가 진동판(120)으로 전해져 세척공간(20)이나 세척공간(20)의 내부(20a)에 수용된 재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의 절연판(130)은 발진기(110)와 마찬가지로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제1볼트(140)와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aphragm 120 may include a space portion 126 formed by the exposed portion 121 and the protrusion 122.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plate 130 and the oscillator 110 may be built in the space portion 126. Here, the insulating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unsigned) in the center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first bolt 140 to be embedded in the space portion 126 of the diaphragm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oscillator 110 Can be placed on top. Accordingly, heat or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when the ultrasonic wave is generated in the oscillator 110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120 to prevent the cleaning material 20 or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interior 20a of the cleaning space 20 from being affected. It can be effective. Like the oscillator 110, the insulating plate 130 can be easily coupled or separated by coupling with the first bolt 140 through a screw coupling method.

따라서, 절연판(130)은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어 향후 절연판(130)의 교체 등의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시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insulating plate 130 can be easily detached and thus can convenient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replacement of the insulating plate 130 in the futur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작업자는 초음파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에 세척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집어넣고, 세척공간에 대상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넣게 된다.The worker puts an object to be cleaned in the washing space of the ultrasonic dishwasher and puts water in the washing space so that the object is locked.

이후, 작업자는 초음파 식기세척기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700) 또는 스마트폰에 탑재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세척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만약에 버블모드, 야채모드, 오토모드, 터보모드 중 하나의 세척모드를 선택하고 세척세기, 세척 시간을 선택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를 통해 입력된 세척설정정보들은 제어수단(600)으로 입력된다. 이때 버블모드는 세척공간에 세척할 대상체를 넣고 물과 세제를 혼합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모드이고, 야채모드는 세척공간에서 야채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되어진다. 오토모드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자동으로 초음파 세척 및 버블을 실행시켜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한다. 터보모드는 강력한 초음파 세척으로 세척공간 내의 세척 대상체를 세척하게 된다.Thereafter, the worker selects the washing mode through the user interface 700 provided in the ultrasonic dishwasher or the user interface 700 provided through the ultrasonic dishwasher management application mounted in the smart phone. If the washing mode is selected among bubble mode, vegetable mode, auto mode, and turbo mode, and washing intensity and washing time are selected, washing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700 is inputted to the control means 600. do. In this case, the bubble mode is a mode mainly used when putting an object to be washed in the washing space and mixing water and detergent, and the vegetable mode is used when washing vegetables in the washing space. Auto mode automatically executes ultrasonic cleaning and bubbles at preset time intervals to automatically clean dishes. Turbo mode is a powerful ultrasonic cleaning to clean the cleaning object in the cleaning space.

제어수단(600)은 세척설정정보들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세척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주파수 발생수단(300)으로 세척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주파수가 발생되도록 제어하고, 주파수 발생수단(300)은 제어수단(600)의 제어에 의해 주파수를 생성시켜 초음파 발생수단(200)으로 출력한다.The control means 600 receives and stores the washing setting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to generate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setting information based on the washing setting information, and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controls the controlling means. The frequency is generated under the control of 600 and output to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200.

그러면 초음파 발생수단(200)은 주파수 발생수단(300)에 의해 발진하기 시작하고, 이러한 발진은 물속에 담겨져 있는 대상체를 세척하게 된다.T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200 starts to oscillate by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and such an oscillation washes the object contained in the water.

제어수단(600)은 이렇게 세척공간의 세척 대상체를 세척하면서 초음파 발생수단(200)의 출력값을 출력값 측정수단(300)을 통해 측정하여 처음에 설정한 주파수로 세척이 이루어진다. 즉 제어수단(600)은 초음파 출력값이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 상기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으로 주파수 발생수단(300)이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시켜 출력하도록 초음파 발생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주파수 발생수단(400)으로 출력하고,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이 기준 값 범위를 벗어나면 초음파 세척장치 위치조정 알림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600 measures the output valu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200 through the output value measuring means 300 while washing the object to be washed in the washing space. That is, the control means 600 determines whether the ultrasonic output value is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and if it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300 generates the oscillation frequency with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o be outputted to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400, and when the inclination measurement valu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range,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position adjust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output.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트랜스듀서
200 : 초음파 발생수단
300 : 주파수 발생수단
400 : 출력값 측정수단
500 : 관성측정수단
600 : 제어수단
7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800 : 블루투스 모듈
100: transducer
200: ultrasonic generation means
300: frequency generating means
400: output value measuring means
500: inertial measurement means
600 control means
700: user interface
800: Bluetooth Module

Claims (5)

초음파 세척장치는, 재료와 세척제가 수용되는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트랜스듀서들로 이루어진 초음파 발생수단; 상기 트랜스듀서를 발진시키는 정현파 형태의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하여 상기 트랜스듀서들로 출력하는 주파수 발생수단; 상기 초음파 발생수단에서 발생되는 초음파의 출력값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출력값 측정수단; 초음파 세척장치의 앞뒤, 상하, 좌우 변화값을 측정하여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으로 출력하는 관성측정수단; 상기 초음파 출력값이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인지를 판단하고, 최대값이 아닌 경우 상기 기준 값 범위 내에서의 최대값으로 상기 주파수 발생수단이 발진용 주파수를 생성시켜 출력하도록 초음파 발생제어신호를 생성시키고,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 기울기 측정값이 기준 값 범위를 벗어나면 초음파 세척장치 위치조정 알림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제어수단; 및 초음파 세척장치의 메뉴 항목들을 제공하고,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하나의 메뉴항목이 선택되면 메뉴항목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 중 상태정보들을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제공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와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세척공간 바닥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며,
상기 세척공간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서로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
Ultrasonic cleaning device, the ultrasonic generating means consisting of one or mor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containing the material and the cleaning agent; Frequency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inusoidal oscillation frequency for oscillating the transducer and outputting the oscillation frequency to the transducers; Output value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value of the ultrasonic wave generated by the ultrasonic wave generating means; Inertial measurement means for measuring the front and rear, up and down, left and right change valu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o output the tilt measurement value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ltrasonic output value is a maximum value within a reference value range, and if it is not the maximum value, the ultrasonic wave generation control signal is generated so that the frequency generating means generates and outputs a frequency for oscillation to the maximum value within the reference value range. Control mean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ultrasonic cleaning device position adjustment no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ilt measurement value is out of a reference value range; And providing menu items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outputting a menu item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means when one of the menu items is selected by a physic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operating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state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means and outputting the state information.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space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a frequency different from that generated by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cleaning space.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each other,
The transducers mount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space generate ultrasonic waves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each other, and dual frequency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and an IoT-based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remote contro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모듈과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은, 초음파 세척장치의 동작을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초음파 세척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전원모드 선택, 초음파 설정모드, 버블모드, 세척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 자가점검모드, 세척장치의 기울기 알림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Equipped with a Bluetooth modul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Bluetooth module of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management application to service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of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The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management application, at least one of the power mode selection, ultrasonic setting mode, bubble mode, washing mode, turbo mode, auto mode, self-check mode, the tilt notification mode of the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IoT-based remote contro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설정모드를 선택하면, 트랜스듀서들의 초음파 세기 및 시간을 결정하도록 서비스하고,
상기 버블모드, 세척모드, 터보모드, 오토모드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아이콘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When the ultrasonic setting mode is selected, the service to determine the ultrasonic strength and time of the transducers,
The bubble mode, the washing mode, the turbo mode, the auto mode, the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icons having different col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장착된 트랜스듀서들은,
세척공간의 외부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와,
상기 발진기의 상부에 구비되고 일면이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진기에서 발생 된 초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상기 발진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발진기에서 상기 진동판으로 열 또는 전자파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판과,
상기 발진기와 결합하고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발진기와 상기 진동판을 연결하는 제1볼트와,
상기 진동판과 결합하여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에 돌출된 상기 진동판의 주변을 기밀하게 하는 기밀 링과,
상기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된 제2볼트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진동판과 상기 기밀 링이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 벽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캡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진동판은 상기 벽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통해 상기 세척공간의 내부로 노출되는 노출부와, 상기 노출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노출부가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에서 내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볼트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단에서 상기 벽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기밀 링이 안착하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밀 링은 상기 안착부에 안착하며 상기 제2볼트와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의 일면과 맞대어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상기 돌출부 측 일단에서 상기 벽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면과, 상기 제2면의 일단에서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노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절연판과 상기 발진기의 상부가 내장되는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볼트는 상기 제1면과 상기 결합부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결합부의 타면에 노출되어 상기 캡과 결합하며 상기 결합홈을 축으로 하여 상기 세척공간의 외부 벽면에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동자의 듀얼주파수 제어 및 IoT기반 원격제어가 가능한 초음파 세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ransducers mounted on the bottom and side of the cleaning space,
An oscillator provided outside the washing space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A vibrating plate provided on the oscillator and having one surface protruding in the washing space to vibrate by ultrasonic waves generated from the oscillator;
An insulating plate provided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oscillator to prevent heat or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oscillator to the diaphragm;
A first bolt coupled to the oscillator and penetrating the insulation plate to connect the oscillator and the diaphragm;
An airtight ring coupled to the diaphragm to hermetically seal the periphery of the diaphragm projecting inside the washing space;
It is provided with a cap tha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lt formed on the wall forming the cleaning space to fix the diaphragm and the airtight ring to the outer wall of the cleaning space,
The diaphragm may include an exposed portion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washing space through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wall, a protrus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exposed portion to expose the exposed portion to the inside from the outside of the washing space, and the protrusion portion. A bent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and engaged with the second bolt, and a bent portion that is bent from one end of the coupling portion toward the wall to form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hermetic ring rests;
The hermetic ring seats on the seating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second bolt to face the first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surface extending in the wall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protrusion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a third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from one end of the second surface,
The diaphragm includes a space portion formed by the exposed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plate and the oscillator are embedded.
The second bolt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the coupling part, one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to engage with the cap, and a plurality of second bolts are provided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washing space with the coupling groove as an axis.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dual frequency control and IoT-based remote control of the ultrasonic vibrator.
KR1020180159732A 2018-12-12 2018-12-12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KR101970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32A KR101970511B1 (en) 2018-12-12 2018-12-12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32A KR101970511B1 (en) 2018-12-12 2018-12-12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0511B1 true KR101970511B1 (en) 2019-08-13

Family

ID=6762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732A KR101970511B1 (en) 2018-12-12 2018-12-12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51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258A (en) * 2019-11-29 2021-06-08 김진현 Automatic Ultrasonic Sterilization Cleaner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927A (en) * 1997-09-26 1999-04-15 구자홍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JP2003053086A (en) * 2001-08-10 2003-02-25 Sharp Corp Ultrasonic washer
JP2003053085A (en) * 2001-08-10 2003-02-25 Sharp Corp Ultrasonic washer
JP2004122275A (en) * 2002-10-01 2004-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Underwater robot monitoring control device
KR20060024752A (en) 2004-09-14 2006-03-17 강명도 Ultrasonic Generation Structure for Ultrasonic Cleaner
JP2013086059A (en) * 2011-10-20 2013-05-13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KR101761344B1 (en) * 2016-07-01 2017-07-25 (주)클린아이디어 Ultrasonic cleaners
KR20180001643U (en) * 2016-11-25 2018-06-04 조성호 Ultrasonic cleaners
KR20180001642U (en) * 2016-11-25 2018-06-04 조성호 Ultrasonic cleaners
KR20180089321A (en)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927A (en) * 1997-09-26 1999-04-15 구자홍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JP2003053086A (en) * 2001-08-10 2003-02-25 Sharp Corp Ultrasonic washer
JP2003053085A (en) * 2001-08-10 2003-02-25 Sharp Corp Ultrasonic washer
JP2004122275A (en) * 2002-10-01 2004-04-22 Mitsubishi Heavy Ind Ltd Underwater robot monitoring control device
KR20060024752A (en) 2004-09-14 2006-03-17 강명도 Ultrasonic Generation Structure for Ultrasonic Cleaner
JP2013086059A (en) * 2011-10-20 2013-05-13 Hitachi Kokusai Denki Engineering:Kk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KR101761344B1 (en) * 2016-07-01 2017-07-25 (주)클린아이디어 Ultrasonic cleaners
KR20180001643U (en) * 2016-11-25 2018-06-04 조성호 Ultrasonic cleaners
KR20180001642U (en) * 2016-11-25 2018-06-04 조성호 Ultrasonic cleaners
KR20180089321A (en)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Smart factory type ultrasonic washer for coffee and grain of standard capac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7258A (en) * 2019-11-29 2021-06-08 김진현 Automatic Ultrasonic Sterilization Cleaner
KR102355076B1 (en) * 2019-11-29 2022-01-26 김진현 Automatic Ultrasonic Sterilization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344B1 (en) Ultrasonic cleaners
KR101915930B1 (en) Removable oscillator coupling structure of ultra sonic dishwasher
CN101084586B (en) Ultrasonic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multiple frequency transducers
KR101970511B1 (en) Dual frequency control of ultrasonic vibrator and ultrasonic cleaning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based on IoT
KR200486983Y1 (en) Ultrasonic cleaners
KR200409300Y1 (en) Ultrasonic washer for vibrator structure
KR101068807B1 (en) The ultrasonic cleaner for use water quailty sensor
JP2007165695A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ultrasonic cleaning
KR102282608B1 (en) Piezoelectric ultrasonic generating device
US10495501B2 (en) Ultrasonic transducer with emitting element
KR101705773B1 (en) The insulation method of ultrasonic cleaner for sink and thereof device
KR20130123562A (en) Ultrasonic cleaner and method for cleaning for use in the same
JP7231914B1 (en) SPACE-SAVING PORTABLE ULTRASONIC WASHER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8643448U (en) A kind of high single slot environment protection cleaning machine of cleaning efficiency
KR20170096291A (en) Wash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210368347U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ultrasonic drum cleaning function
CN108158438B (en) Rice washing assembly, upper cover and cooking utensil
CN111118824B (en) Ultrasonic generator and cleaning device
KR102145223B1 (en) Piezoelectric ultrasonic generating device
KR20170125565A (en) Ultrasonic washer
KR200183765Y1 (en) Cleansing device generating ultrasonic
KR102185501B1 (en) Ultrasonic cleaners for preventing ultrasonic output from being decreased
CN111318442A (en) Ultrasonic transducer, ultrasonic device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KR102143020B1 (en) Cleaning apparatus using superconic vibration for sink
KR20150056286A (en) Ultrasonic vibration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as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