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264A - Food container - Google Patents

Foo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264A
KR20180089264A KR1020170063313A KR20170063313A KR20180089264A KR 20180089264 A KR20180089264 A KR 20180089264A KR 1020170063313 A KR1020170063313 A KR 1020170063313A KR 20170063313 A KR20170063313 A KR 20170063313A KR 20180089264 A KR20180089264 A KR 2018008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protrusion
container portion
r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0441B1 (en
Inventor
김수석
Original Assignee
(주)착한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착한음식 filed Critical (주)착한음식
Publication of KR2018008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4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2Cooking- or baking-vessels or supports thereof for using only o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84Packages having self-contained heating means, e.g. heating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wo chemica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which primarily and properly controls food heating in a second container part and the steam release by forming an edge-like projection part on an outside of an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inserted into a first container part. In addition, by forming a hanging projection having a steam release passage, instant heat emission becomes possible to secondarily control the food heating in the second container part and the steam release.

Description

식품 용기{FOOD CONTAINER}FOOD CONTAINER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more specifically, a protruding portion in the form of a rim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of a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o discharge water vapor and heat the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food container in which water vapor can be discharged and food heating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secondarily adjusted by heating the food container.

바쁜 생활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시간은 매우 중요한 것이 되었다. 이러한 생활 패턴에 발맞춰 최근에는 즉석에서 바로 조리해서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이 개발되었다. 인스턴트 식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라면, 햄버거, 통조림 등이 있다. 인스턴트 식품들은 기본적으로 1차 조리가 되어 있어, 간단하게 뜨거운 물을 붓거나 가열하는 정도의 2차 조리 과정만 거치면 바로 먹을 수 있다. 따라서 바쁜 현대인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점점 그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Time has become very important to modern people living in a busy life. In line with these patterns of life, recently, instant food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be cooked and ready for immediate use. Typical examples of instant foods include ramen, hamburgers, and canned foods. Instant foods are basically pre-cooked, so they can be eaten as soon as they are cooked in a secondary cooking process, such as pouring or heating hot water. Therefore, it is popular among the busy modern people, and the kind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인스턴트 식품들이 다양하게 개발됨에 따라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식품 [0003] 용기도 함께 개발되고 있다.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들은 보관된 식품이 외부 오염 물질에 의해 상하는 것을 방지하며, 인스턴트 식품의 휴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s instant foods are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food containers for storing instant foods are also being developed. Containers for storing instant foods prevent the stored food from being damaged by external contaminants and make it easy to carry and carry instant food.

그러나 종래의 인스턴트 식품을 보관하는 용기는 단순히 식품을 보관하는데 이용될 뿐, 보관된 인스턴트 식품을 2차 조리하는데 이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인스턴트 식품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버너 등과 같은 별도의 가열 장치가 필요하다. 별도의 가열 장치는 사용시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야외에서 인스턴트 식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관된 식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가열할 수 있어 별도의 가열 장치가 필요 없는 식품 용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ontainer for storing instant food is merely used for storing food, and has not been used for secondary cooking of stored instant food. Therefore, a separate heating device such as a portable burner or the like is necessary for ingesting instant food. There is a risk of fire when using the separate heating devic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venience in carrying is inferior when an instant food is to be used outdoors. Therefore, the stored food can be heated by a simple method, and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food containers which do not require a separate heating devic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11-0039109가 출원되었으며, 이하 본 발명을 설명 또는 이해하는데 있어서 상기 한국출원의 관련 용어 또는 기술사상이 적용가능 한 것은 본 발명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은 경우에도 발명을 이해 또는 해석하는데 적용하도록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39109 has been filed. Hereinafter, in order to explain or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vention shall be applied to understanding or interpreting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가능하게 하는 것을 제안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 ridge-like protrusion outside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discharge of steam and the heating of the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

또한 본 발명은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식품 용기를 제안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econdaril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and the heating of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by forming a stopper provided with a steam discharge passage outside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hav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 first outer wall 112 exten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 first outer wall 112; And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외벽(122)이 상기 제 1 용기부(110)에 내삽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외벽(1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돌기(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120); 를 포함한다.And a second outer wall (122) rising up along an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between a midd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n upper portion, a midd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art 110 so that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outer wall 112 A second container part 120 having a first extension part 125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rotrusion 11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In additi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hav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 first outer wall 112 exten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 first outer wall 112; And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And a second outer wall 122 ris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a second outer wall 122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portion, And a rim formed by the protrusion 123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한다.A locking protrusion 1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m protruding along the second outer wall 122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as to catch steam rising between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And a part of the rim of the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be used as the discharge passage 129 for the water vapor rising.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제 1 용기부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상기 돌출부에 부딪히게 되어 급속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을 1차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container capable of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has a rim-like protrusion formed outside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so that water vapor coming from the first container portion hits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can be heated primarily and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제 1 용기부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상기 걸림돌기에 부딪히게 되어 급속히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을 2차적으로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수증기가 배출통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제 2 용기부가 수증기로 인해 제 1 용기부 상측으로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tching protrusion provided with a water vapor discharge passage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water vapor coming from the first container portion hits against the catching protrusion, The food in the container can be heated secondarily and effectively, and steam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to prevent the second container from rising above the first container due to water vapor.

본 발명의 구조(돌출부,걸림돌기, 제 1 연장부, 꺽임부, 제 2 연장부등)로 인해, 특히 돌출부 및 걸림돌기로 인해 제 2 용기부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경우, 그 무게와 상기 구조로 인해 최대로 발열된 수증기를 용기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음식물의 데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due to the protrusions and the locking protrusions due to the structure (the protrusions, the protrusions,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the bent portions, It is possible to keep the maximum amount of water vapor in the container, thereby reducing the warming time of the f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2 용기부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어 식품용기가 결합된 상태 및 부분이 확대된 도면
도 3 및 도 4는 제 2 용기부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capable of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상측,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하측으로 명명하였다.Terms such as top, bottom, top, bottom, or top, bottom, etc. are used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in components. For example, for convenience, the upper side of the drawing is referred to as the upper /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drawing is referred to as the lower / lower sid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밀폐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eam-seal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제 1용기부 안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FIGS. 1 to 4 are views showing a food container capable of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ood container hav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상단부,하단부 또는 상부단부,하부단부는 같은 의미로 해석되도록 한다.In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the lower end, or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interpreted in the same sen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 1 용기부 또는 제 2 용기부 모양이나 형태는 원통형, 원형, 네모형, 마름모형을 포함하며, 음식등 액체 또는 고체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가변될 수 있기에, 어떠한 모양이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r shape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or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ncludes a cylindrical shape, a circular shape, a four-piece shape, a rhombus shape, and can be varied into various shapes , Any form of the invention falls und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2 용기부가 제 1 용기부에 내삽되어 식품용기가 결합된 상태 및 부분이 확대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제 2 용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od container capable of instantaneous heat gen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cond container portion is inserted into a first container portion,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100)는 제1 용기부(110), 제2 용기부(120), 발열체(130), 덮개(140)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종이 또는 다른 수단으로도 가능하다.1, a food container 100 capable of instantaneous he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tainer unit 110, a second container unit 120, a heating body 130, a lid 140, . The cover may be paper or other means.

제 1 용기부(110)는 제1 밑면(111)과 제1 외벽(112)을 구비한다. 제 1 외벽(112)은 제1 밑면(1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밑면(111)이 원형이고 제1 외벽(112)은 테이퍼 진 원기둥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밑면(111)이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되고 제1 외벽(112)은 제1 밑면 (1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ncludes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The first outer wall 112 is raise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Although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outer wall 112 has a tapered cylindrical shape,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quadrangl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제1 외벽(112)의 상단부에는 받침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돌기(113)는 제1 외벽(112)의 끝단을 말아서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돌기(113)를 형성함에 따라 제 2 용기부(120)의 연장부가 제1 외벽(112)의 상단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결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The receiv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2. The support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by rolling the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2. As the support protrusion 113 is formed, the extens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2. A detailed combination of these is described below.

제1 외벽(112)은 외측에 물표시선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돌출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돌출부(123)은 발열체(130)를 발열시키기 위해 부어야 하는 물의 양을 표시해준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123)은 제1 외벽(112)의 외측에서 약간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outer wall 112 may have a protrusion 123 which may be used as a water indicator or the like on the outer side. This protrusion 123 indicates the amount of water to be poured to generate heat of the heating element 130. 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123 is formed to protrude slightly from the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wall 112, but it may be formed in a shape not limited thereto.

제1 용기부(110)는 플라스틱, 발포폴리스타이렌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용기부(110)를 방수 처리된 종이로 형성하는 것이 단열성에 우수하며,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first container unit 1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foamed polystyrene, and the like.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made of water-repellent paper because it is excellent in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prevents environmental pollu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인 제2 용기부(120)는 제2 밑면(121)과 제2 외벽(122)을 구비한다. 제2 밑면(121)은 제1 밑면(111)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1 밑면(1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밑면(121)에는 격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발열체(1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제2 용기부(120)에 보관된 식품에 잘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제2 밑면(121)은 중앙 부분이 상부로 조금 볼록해 지도록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열체(130)에서 발산되는 열이 제2 밑면(121)과 장시간 접하고 따라서 열전달 효율이 좋아진다.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which is the cor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a second outer wall 122.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smaller than the first bottom surface 111. In this embodiment, a grid-shaped groove is formed in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so that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30 is transmitted to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container part 120 well. In addition,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thereof is slightly convexed upward, so that the heat radiated from the heating element 130 contacts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제2 외벽(122)은 제2 밑면(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The second outer wall 122 is raised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제2 외벽(122)의 상단에는 걸림부(1230)가 형성될 수 있다.And a latching part 1230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제2 용기부(120)가 제1 용기부(110)에 결합되는 경우 제2 밑면(121)과 제2 외벽(122)은 제1 용기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2 외벽(122)은 제1 외벽(112)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When the second container part 120 is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part 110,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the second outer wall 122 are locat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part 110. In this case,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wall 112.

발열체(130)는 제1 용기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발열체(130)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130)는 발열제와 발열제를 감싸는 부직포를 포함한다.The heating element 130 is located inside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The heating element 130 reacts with water to generate heat. In this embodiment, the heating body 130 includes a nonwoven fabric that surrounds the exothermic agent and the exothermic agent.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부연 설명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로 임의로 구분한 위치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시켜 수증기를 1차적으로 걸리게 하여 수증기가 급속도로 상승하여 빠져나가지 않고 아래에 머무르면서 음식을 데울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외벽(122)이 상기 제 1 용기부(110)에 내삽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외벽(1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돌기(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120); 를 포함한다.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hav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rising up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 second outer wall (122) rising up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a second outer wall (122) extending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the steam is firstly caught by the protrusion 123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steam can rapidly rise and stay up without heating up the food, And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receiving protrusion 11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outer wall 112 so as to be inserted and held in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A second container part 120 having a first extension part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127 of the container part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

또한 다른 설명으로써,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2차적으로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함으로써, 적절하게 음식물도 데워지고 또한 수증기의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하여 제 2용기가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제 1 용기부 상측으로 들썩들썩하지 않게 하거나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planation, the first container unit 110 includes a first bottom surface 111, a first outer wall 112 exten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 first outer wall 112. And a second container part (12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art, wherein the second container part (120) has a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an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A rim formed by the protrusion 123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outer wall, A locking protrusion 124 is formed in a shape of a rim protruding along the second outer wall 122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that water vapor is lifted between the upper portion 127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By making the part of the rim of the latching protrusion to have a recessed shape and being used as the water discharge passage 129 for raising the water vapor appropriately, the food is warmed appropriately and the discharge of the water vapor is made smooth so that the pressure of the water vapor The first container < RTI ID = Not hilarious upward or may be without departing.

본 발명의 구조(돌출부,걸림돌기, 제 1 연장부, 꺽임부, 제 2 연장부등)로 인해, 특히 돌출부 및 걸림돌기로 인해 제 2 용기부내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경우, 그 무게와 상기 구조로 인해 최대로 발열된 수증기를 용기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음식물의 데우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Due to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o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due to the protrusions and the locking protrusions due to the structure (the protrusions, the protrusions, the first extension portions, the bent portions, It is possible to keep the maximum amount of water vapor in the container, thereby reducing the warming time of the food.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외벽(122)의 위치로 구분한 중부 및 하부사이에 테두리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123)가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지름은 외벽(122)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food container 100 hav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n outer wall 122 form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 protrusion 123 including a rim shape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and the bottom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in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wall 122 A locking protrusion (124) protruded so as to hit water vapor rising is formed at a position below the second container unit upper end (127)

상기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는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127)로부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25)가 접촉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상기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110)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와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1 연장부(125)를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꺽어서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도록 하여, 수증기가 제 2 용기부에 침투되지 않도록 한다.The first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7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extension portion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7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terminate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 of the container portion 120 is bent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redetermined length to prevent the steam from penetrating into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제 1 밑면(111)과 제 1 외벽(112)을 포함하는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제 2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부 직경 지름은 상기 2 용기부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다가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container 100 hav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be inserted into 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A rim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is formed by a protrusion 123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between a midd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second outer wall 122 form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 diameter of the inner diameter is increa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upper end 127 is formed at a position below the upper portion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6)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의 외측접촉부분(114)위치에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가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도록 한다.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6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moved downward in the position of the outer contact part 114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of the container part and the support protrusion 113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part upper end part 117 And a bent portion 128 bent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length.

상기 꺽임부와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6)가 상기 제 2 용기부(120)에 구비되게 함으로써, 특히 발열체에 의한 수증기등 건전하지 않은 성분이 제 2 용기부내에 있는 음식물에 침투되는 것을 더욱 확실히 차단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126 connected to the bent part in the second container part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nhealthy component such as steam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from penetrating into the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part It is possible to block more surely.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에서 돌출시킨 걸림돌기(124)가 외벽을 따라 형성된다.A locking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second outer wall 122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wall so that water vapor rising between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caught.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여, 걸림돌기에 걸려 쉽게 병목되는 수증기가 음식을 데우도록 하면서, 또한 수증기의 압력으로 제 2 용기가 제 1 용기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수증기의 배출을 위해 배출통로를 구비하였다.A locking protrusion 1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m protruding along the second outer wall 122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as to catch steam rising between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And the water vapor is used as the discharge passage 129 for raising the water vapor to form a concave shape of a part of the rim of the locking protrusions, Has a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vapor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first container portion.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129)의 갯수나 크기는 수증기가 제 2 용기부 전체 외벽을 따라 균형있게 배출되도록 구비되도록 한다.The number and size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ways (129) are such that water vapor is discharged along the entir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n a balanced manner.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 갯수 또는 크기는 상기 제 2 용기부 윗면 어느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도 서로 대응되게 형성시켜 수증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도록 하고, 또한 용기가 균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The number or the size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that the steam is discharged in a state not deviated in either direction, hav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의 외벽 외측으로 테두리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 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1차적으로 적절히 조절하고, 또한 수증기 배출통로가 구비된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수증기의 배출과 상기 제 2용기부내의 음식물 가열을 2차적으로 조절 가능한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o form a protruding portion having a rim shape outside the outer wall of a second contain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capable of instantaneously generating heat in which the discharge of water vapor and the heating of food in the second container can be controlled in a secondary manne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식품 용기,
110 : 제1 용기부, 111 : 제1 밑면, 112 : 제1 외벽, 113 : 받침돌기, 114: 외측접촉부분, 117 : 제 1 용기부 상단부
120 : 제2 용기부, 121 : 제2 밑면, 122 : 제2 외벽, 123 : 돌출부, 124 : 걸림돌기, 125: 제 1 연장부, 126: 제 2 연장부, 127 : 제 2 용기부 상단부,
128 : 꺽임부, 129 : 수증기 배출통로
130 : 발열체
140 : 덮개
100: food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having a first container portion, a first container portion, a first bottom portion, a first outer wall,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
128: bent portion, 129: steam discharge passage
130: heating element
140: cover

Claims (9)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2 외벽(122)이 상기 제 1 용기부(110)에 내삽되어 위치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외벽(11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돌기(1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구비되는 제 2 용기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hav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rising up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nd a second outer wall (122) rising up along an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and between a midd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n upper portion, a middle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And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art 110 so that the second outer wall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outer wall 112 A second container part 120 having a first extension part 125 exten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rotrusion 11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art; ≪ / RTI >
제 1 밑면(111), 상기 제 1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제 1 외벽(112)이 구비되는 제1 용기부(110); 및
상기 제 1 용기부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를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2 밑면(121)과 상기 제 2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지는 제 2외벽(122)이 구비되고,상기 제 2 외벽의 상부, 중부, 하부 중에서 중부 및 하부 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A first container portion 110 hav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rising up along the edge of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And a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And a second outer wall 122 ris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121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a second outer wall 122 extending upwardly from an upper portion, And a rim formed by the protrusion 123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between the low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12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im protruding along the second outer wall 122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as to catch steam rising between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And a part of the rim of the latch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so as to be used as a discharge passage (129) for steam rising.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테두리 형상을 포함하는 돌출부(123)가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지름은 외벽(122)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며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는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127)로부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25)가 접촉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상기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110)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와의 접촉이 끝나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용기부(120)의 제 1 연장부(125)를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꺽어서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In a food container (100) having a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A protrusion 123 having a rim shap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between the middle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wall 122 form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a protruding protrusion 124 is formed at a position below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so as to collide with the rising steam,
The first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7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extension portion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portion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25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7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is terminated, Wherein a bent portion (128) formed by bending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5) of the container portion (120)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length is provided.
제 1 밑면(111)과 제 1 외벽(112)을 포함하는 제 1용기부(110)에 내삽되는 제 2 용기부(120)가 구비되는 식품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120)를 형성하는 제 2 외벽(122)의 중부 및 하부사이에 상기 제 2 용기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3)에 의한 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내부 직경 지름은 상기 2 용기부 상부로 갈수록 증가되다가 상기 제 2 용기부 상단부(127) 아래 위치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부딪히도록 돌출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용기부(120) 상단부로부터 용기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125)가 제 1 용기부(110)의 상단부(116)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와 제 1 용기부 상단부(117)에 형성된 받침돌기(113)의 외측접촉부분(114)위치에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제 1 연장부(125)가 하측으로 미리 정한 각도 및 길이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꺽임부(1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A food container (100) having a second container part (120) inserted into a first container part (110) including a first bottom surface (111) and a first outer wall (112)
A rim formed by a protrusion 123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is formed between a cent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a second outer wall 122 forming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he diameter of which in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7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4 protruding to collide with the rising steam,
The first extending portion 125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120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rotrusion 113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116 of the first container portion 110,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is moved downward in the position of the outer contact part 114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5 of the container part and the support protrusion 113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part upper end part 117 And a bent portion (128) bent and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length.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꺽임부와 접속되어 연장되는 제 2 연장부(126)가 상기 제 2 용기부(1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a second extension part (126) connected to the bent part is provided in the second container part (120). 제 1항, 2항,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에서 돌출시킨 걸림돌기(124)가 외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간 발열이 가능한 식품 용기.The second container second outer wall (122) is arranged to receive water vapor rising between the upper end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Wherein a protruding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outer wall is formed along the outer wall. 제 1항, 2항,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용기부의 상단부(127)와 제 2외벽(122) 상부 사이에는 상승되는 수증기가 걸리도록 제 2 용기부 제 2 외벽(122)을 따라 돌출되어 테두리로 모양으로 걸림돌기(124)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의 테두리 일부 부분을 오목한 형상으로 하여 상승되는 수증기의 배출통로(129)로 사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A second container second outer wall (12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127)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uter wall (122) Wherein a protrusion (124) is formed in a rim shape so as to be used as a discharge passage (129) for water vapor rising in a concave shape in a part of the rim of the latching protrus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129)의 갯수나 크기는 수증기가 제 2 용기부 전체 외벽을 따라 균형있게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number and size of the water vapor discharge passage (129) are such that water vapor is discharged along the entire outer wall of the second container in a balanced mann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출통로 갯수 또는 크기는 상기 제 2 용기부 윗면 어느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도 서로 대응되게 형성시켜 수증기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number or the size of the steam discharge passage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portion so that steam is discharged in a state where the steam is not deviated in any one direction Food container.
KR1020170063313A 2017-01-31 2017-05-23 Food container KR1019004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3560 2017-01-31
KR1020170013560 2017-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64A true KR20180089264A (en) 2018-08-08
KR101900441B1 KR101900441B1 (en) 2018-09-20

Family

ID=6323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13A KR101900441B1 (en) 2017-01-31 2017-05-23 Foo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4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7015A (en) * 2020-12-22 2021-04-27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Convenient self-heating lotus root starch paste bowl-shaped stru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209Y1 (en) * 2001-12-15 2002-03-20 이욱우 steam pot
JP2003265309A (en) * 2002-03-20 2003-09-24 Sanyo Engineering Kk Electromagnetic plate and cooking vessel corresponding to microwave oven
US7131289B2 (en) 2004-06-29 2006-11-07 The Glad Products Company Container
EP2459038B1 (en) 2009-07-26 2018-09-05 Forever Young International, Inc. Instant self-heating contai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7015A (en) * 2020-12-22 2021-04-27 杭州艺福堂茶业有限公司 Convenient self-heating lotus root starch paste bowl-shaped structure and u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441B1 (en)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119A (en) Roaster with movement roast pan
KR101900441B1 (en) Food container
JP5142070B2 (en) Microwave cooking container
CN208925878U (en) Diaphragm structure and stewed steaming appliance
KR20120077885A (en) Grill used as direct-roast
JP2007267872A (en) Cooking utensil
KR100893326B1 (en) Lid for cooking receptacle
KR200393644Y1 (en) 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KR200394229Y1 (en) Lid of cooker
KR20190064952A (en) Cooking container
KR20090070170A (en) A double lid structure of earthen ware bowl
KR101232617B1 (en) Direct heating type cooking kettle
KR20120129149A (en) Heating apparatus using overheated steam
US20110271848A1 (en) Steamer with hi-dome lid
KR102126775B1 (en) 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with simple bottom sensing part and manufacturing mehtod thereof
KR200323729Y1 (en) Pan structure for double heating
KR200283338Y1 (en) An earthen bowl
CN203252443U (en) Egg boiler
JPS62573Y2 (en)
KR101435178B1 (en)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KR102058692B1 (en) Dual layer cooking receptacle corresponding to gas shutting cooking deivce
JP2008279141A (en) Microwave cooking container
KR100590287B1 (en) A double faced frying pan structure for double heating type
KR200230432Y1 (en) Pan to steam food
KR200490536Y1 (en) Cooking aid and double-bassed cooking pan utilized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