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78B1 -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178B1
KR101435178B1 KR1020120106301A KR20120106301A KR101435178B1 KR 101435178 B1 KR101435178 B1 KR 101435178B1 KR 1020120106301 A KR1020120106301 A KR 1020120106301A KR 20120106301 A KR20120106301 A KR 20120106301A KR 101435178 B1 KR101435178 B1 KR 10143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ntainer
container
fitting
communication holes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0330A (en
Inventor
오재탁
Original Assignee
오재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탁 filed Critical 오재탁
Priority to KR102012010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78B1/en
Publication of KR2014004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뚜껑 몸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조 용기와;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용기의 저장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끼움부; 및 상기 저장 공간 내부 또는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통홀들을 커버하는 탄성 재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뚜껑을 갖는 조리 기구도 제공한다.An auxiliary container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lid body, the auxiliary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A fitting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a cover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tting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space or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covers the communication holes.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container lid.

Description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multi-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증기를 사용하여 찜요리를 하거나 수증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요리를 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lid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ainer lid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capable of cooking steam by using steam, preventing leakage of steam, and a cooking device .

일반적으로, 찜요리는 고기나 생선 ㅇ채소 등에 갖은양념을 하여 국물을 바특하게 붓고 흠씬 끓이거나 쪄서 만든 음식을 말한다.Generally, the steamed dish is a dish made by boiling or steamed poured soup into the meat, fish, and vegetables in a special way.

음식을 찌는 그릇으로 한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시루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흙을 구워 만든 그릇으로, 밑에 수증기가 통하도록 큰 구멍이 6∼7개 뚫려 있으며, 그 위에는 음식재료가 새지 않도록 시루밑을 칡덩굴 등으로 깔게 되어 있다.It is used as a dish to cook food in Korea for a long time. This is a bowl made of baked clay, with six to seven large holes through which water vapor can pass underneath.

이것을 물솥 위에 걸고 불을 지펴서 피어오르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찐다. 근래에는 알루미늄 제품의 조리기구가 다양하게 만들어져 시중에 나오는데, 둥글고 깊은 원통형의 알루미늄 찜통을 흔히 볼 수 있다.It is put on a water cooker and steamed using steam rising from the fire.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cooking utensils for aluminum products have appeared on the market, and a round, deep cylindrical aluminum steamer can often be seen.

상기와 같이 종래의 찜 요리를 하고자하는 경우에 별도의 찜 기구를 용기의 내부에 장착하여야 하고, 찜 요리 이외의 조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찜 기구를 탈거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steamed dish is desired to be cooke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steamer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vessel, and when the steamer is to be cooked other than the steamed dish,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the steamer.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2525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증기를 이용한 간접 가열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찜요리The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22525, an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steam cooking method which can be cooked by an indirect heating method using steam

용 용기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A technique for a container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몸체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시 용기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사용하여 찜 요리를 하거나, 수증기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면서 요리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이를 갖는 조리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cooking device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a lid body and which can be used for steam cooking using steam generated in the cooking chamber during cooking or for selectively cooking while preventing leakage of steam. And a cooking appliance having the container lid.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뚜껑 몸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조 용기와;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용기의 저장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끼움부; 및 상기 저장 공간 내부 또는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통홀들을 커버하는 탄성 재질의 커버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d comprising: an auxiliary container detachably attached to a lower end of a lid body, the auxiliary container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A fitting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a cover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tting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inside the storage space or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covers the communication holes.

상기 끼움부는, 외측 둘레에 상기 관통홀의 내주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 몸체와, 상기 끼움부 몸체의 중앙부에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at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direction radiat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ion body, .

상기 끼움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에워싸고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rtition wall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nd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body.

상기 끼움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된다.A fixing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tting body.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커버하도록 일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단부에 상기 고정홀의 주변 영역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갖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 circular plate-like cov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o cover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nd a cover plate project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late and being 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And a latching member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for latching.

상기 보조 용기의 외측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보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다수의 수증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water inlet holes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container, the plurality of water inlet holes being open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상기 보조 용기의 상단 외측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설치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설치 돌기들이 끼워지는 다수의 설치홈들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mounting projections are protru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to receive the mounting projections.

상기 용기 뚜껑에는, 상기 보조 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힌지 개폐되는 개폐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ainer lid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ing / closing plate hinged to open / clos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보조용기 바닥부의 윗면에 접촉된 상기 끼움부 몸체의 부분이 상기 보조용기 바닥부의 아랫면에 접촉된 상기 끼움부 몸체 부분보다 직경이 길다. The portion of the fitting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longer than the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에 의해 상부가 커버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 용기가 위치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comprising: a container lid; And a cooking container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covered by the container lid and the auxiliary container is located inside.

본 발명은, 뚜껑 몸체의 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조리시 용기 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사용하여 찜 요리를 하거나, 수증기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면서 요리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selectively cook while preventing steam from being leaked by using steam generated in a container during cooking, or being installed at the bottom of a lid body.

또한, 끼움부를 이용하여 용기가 과도하게 가열되더라도 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tainer can be prevented from exploding even if the container is excessively heated by using the fitting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tainer lid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및 조리 기구를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tainer lid and a cooking apparatus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을 보여준다.1 shows a container lid having a multi-purpose coo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용기 뚜껑(1)은 크게 뚜껑 몸체(100)와, 보조 용기(200)와, 끼움부(300)와, 커버부(4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ainer lid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lid body 100, an auxiliary container 200, a fitting part 300, and a cover part 400.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용기 뚜껑(1)은 내부에 일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조리 용기(미도시)의 상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조리 기구를 형성한다.The container lid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a cooking container (not shown) in which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by forming a cooking device.

상기 뚜껑 몸체(100)의 상단에는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01)에는 힌지 개폐되는 개폐판(120)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01)는 원형의 홀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12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는 뚜껑 몸체(100)의 상단에 힌지(H) 연결된다.An opening 101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lid body 100. The opening part (101) is formed with an opening / closing plate (120) which is hinged. The opening portion 101 is formed in a circular ho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120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its end portion is connected to a hinge H at the upper end of the lid body 100.

여기서, 상기 개폐판(120)은 힌지(H)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전 개폐된다. 상기 뚜껑 몸체(100)의 하단에는 다수의 설치홈(102)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들(102)의 역할은 후술한다. 상기 보조 용기(200)는 상기 뚜껑 몸체(10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Here, the opening / closing plate 120 is vertically opened and closed with the hinge H as a rotational center. At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00,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102 are formed. The role of the installation grooves 102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00.

상기 보조 용기(2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부에 일정 크기의 관통홀(22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2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관통홀(220)은 원형 이외의 다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auxiliary container 200 has an upper opening and a certain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22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bottom. The through hole 2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f course, the through hole 220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hole other than a circular shape.

상기 관통홀(220)은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과 외부를 연결한다.The through hole 220 connects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보조 용기(200)의 테두리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 용기(200)의 상단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설치 돌기(201)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에 언급한 설치홀들(102)은 상기 각 설치 돌기들(201)이 끼워질 수 있도록 뚜껑 몸체(100)의 하단에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rim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A plurality of mounting projections 201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The mounting holes 102 are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00 so that the mounting protrusions 201 can be fitted.

따라서, 상기 설치 돌기들(201)이 상기 설치홈(102)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보조 용기(200)는 상기 뚜껑 몸체(10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Therefore, the auxiliary projections 200 can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00 by fitting the installation projections 201 into the installation recesses 102.

상기 보조 용기(200)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홀(220)에는 상기 끼움부(300)가 고정 설치된다.The fitting part 300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20 formed in the bottom part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또한, 보조 용기(200)의 외측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보조 용기(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다수의 수증기 유입홀(210)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water vapor inflow holes 210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round the auxiliary vessel 2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vessel 2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t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fit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끼움부(300)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300)는 내열성의 러버(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2 and 3, the fitting part 3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Preferably, the fitting part 300 is formed of a heat-resistant rubber (rubber).

상기 끼움부(300)는 끼움부 몸체(310)와, 연통홀들(311)과, 격벽(320)으로 구성된다.The fitting portion 300 includes a fitting body 310, communication holes 311, and a partition 320.

상기 끼움부 몸체(3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 상기 보조 용기(200)의 바닥부에 형성된 관통홀(220)의 내주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310a)이 형성된다.The fitting body 31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an insertion groove 310a is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body 310 so that it can be fit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20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vessel 200.

끼움부 몸체(310)는 관통홀(220)의 내주에 끼워짐에 의해 보조용기(200)의 바닥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도4와 같이 접촉되게 되는데, 이때, 도4의 그림과 같이 보조용기(200) 바닥부의 윗면에 접촉된 끼움부 몸체(310) 부분이 보조용기(200) 바닥부의 아랫면에 접촉된 끼움부 몸체(310) 부분보다 직경이 길게(크게) 되어 있다. The fitting body 310 is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220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as shown in FIG. 4.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itting body 310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tting body 310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그러면, 몸체(100)가 열에 의해서 가열되어 내부의 음식물을 끓이는 경우, 열에 의해서 내부 압력이 일정한 임계치를 넘게되면 보조용기(200)의 바닥부의 관통홀(220)에 끼워져 있던 끼움부(300)가 "퐁" 하고 소리를 내면서 위로 튀어 오르게 되며, 이에 의해 냄비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dy 100 is heated by the heat to boil the internal food, if the internal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fitting part 300, which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220 of the bottom part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t bounces up with a "pong" sound, thereby preventing the pot from exploding.

끼움부 몸체(310)가 도4에 도시된 것과 반대 방향으로 관통홀(220)에 끼워져 있으면, 즉, 보조용기(200) 바닥부의 윗면에 접촉된 끼움부 몸체(310) 부분이 보조용기(200) 바닥부의 아랫면에 접촉된 끼움부 몸체(310) 부분보다 직경이 짧게(작게) 되어 있으면, 몸체(100)가 과도하게 가열될 경우에도 끼움부(300)가 위로 빠지기가 어렵게 되어 냄비가 폭발할 위험성이 높아진다. 4, the portion of the fitting body 31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0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4, When the body 100 is heated excessively, it is difficult for the fitting portion 300 to be pulled out upward, so that the pot will explode if the body 100 is heated excessively if the diameter is shorter (smaller) than the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body 31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The risk increases.

상기 연통홀들(311)은 끼움부 몸체(310)의 중앙부에서 방사상을 따르는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들(311)의 외측 둘레는 원을 형성한다.The communication holes 31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in a radial direction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tting body 310 and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communication holes 311 form a circle.

상기 연통홀들(311)의 주변 영역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격벽(3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3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부 몸체(31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The partition 320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communication holes 311. Accordingly, the partition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extends from the upper end of the fitting body 310.

또한, 상기 끼움부 몸체(310)의 중앙부에는 고정홀(312)이 형성된다.A fixing hole 3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tting body 310.

상기 고정홀(312)은 상기의 커버부(4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홀이다.The fixing hole 312 is a hole through which the cover part 400 can be fitted.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311)을 커버하도록 일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커버판(410)과, 상기 커버판(410)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312)에 끼워져 고정되고, 단부에 상기 고정홀(312)의 주변 영역에 걸리는 걸림 돌기(421)를 갖는 걸림 부재(420)로 구성된다.The cover unit 400 includes a circular cover plate 410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o cover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311 and a cover plate 410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410, And an engaging member 420 having an engaging projection 421 at an end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421 engaged with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fixing hole 312.

여기서, 상기 커버판(410)은 상기 격벽(3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Here, the cover plate 41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partition 320.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420)의 길이는 상기 고정홀(312)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커버판(410)은 상기 걸림 부재(420)가 고정홀(3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를 따라 일정 높이로 유동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latching member 42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hole 312. Accordingly, the cover plate 410 can be mov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state where the engaging member 420 is fitted in the fixing hole 312.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 first embodiment of the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 하면, 커버부(400)는 커버판(410)이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 내부 즉, 끼움부(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4, the cover part 400 is disposed such that the cover plate 410 is position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itting part 300.

따라서, 커버판(410)은 격벽(420)의 내부에 위치되고, 걸림 부재(420)는 고정홀(312)을 따라 하방으로 끼워지고, 걸림 돌기(421)는 고정홀(312)의 하부 주변 영역에 걸치도록 구성된다.Thus, the cover plate 410 is positioned inside the partition wall 420, the engaging member 420 is fitted downward along the fixing hole 312, and the engaging protrusion 421 is engaged with the lower periphery of the fixing hole 312 Area.

이와 같이 커버부(400)가 끼움부(3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조 용기(200)는 뚜껑 몸체(100)의 하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의 방식은 설치 돌기들(201)이 설치홈들(102)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lid body 100 in a state where the cover part 400 is installed in the fitting part 300. [ The fixing method is fixed by fitting the mounting protrusions 201 into the mounting recesses 102.

그리고, 개폐판(120)을 열면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은 개구부(101)를 통해 개방된다.When the opening / closing plate 120 is opened,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01.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예컫대 계란찜과 같은 조리를 하도록 일정량의 계란을 포함하는 조리물을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에 저장한다.The cooked food including a certain amount of eggs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so as to be cooked like the egg steamed steam through the opening 101.

상기 조리물 자체의 중량에 의해, 커버부(400)의 커버판(410)은 끼움부(300)의 연통홀들(311)을 밀폐하는 상태를 형성한다.The cover plate 410 of the cover part 400 forms a state of sealing the communication holes 311 of the fitting part 300 by the weight of the food itself.

이어, 개폐판(120)을 덮어 개구부(101)를 밀폐한다.Next, the opening portion 101 is closed by cover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120.

이때, 도시되지 않은 조리 용기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다.At this time,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cooking vessel not shown.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 용기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면, 조리 용기 내의 물이 증발하여 수증기로 상태변화하면서 상승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water in the cooking vessel evaporates and rises while changing to the steam.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수증기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보조 용기(20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수증기 유입홀들(210)을 통해,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으로 유입된다.The water vapor rising as described above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vessel 200 through the steam inlet holes 210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vessel 200 along the arrow direction.

여기서, 상기 수증기는 일정의 가열 온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보조 용기(200) 내에 저장된 계란찜을 위한 조리물을 익힐 수 있다.Here, since the water vapor forms a certain heating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cook the food for the steamed egg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20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조 용기(200) 만을 사용하여 찜 요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team cooking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only the auxiliary container 200.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용기 뚜껑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끼움부와 커버부와의 결합 관계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ainer li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configura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tting portion and the cove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 하면, 도시되지 않은 조리 용기의 내부에는 조리를 위한 조리물이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5, a cooking utensil for cooking is stored in a cooking vessel (not shown).

여기서, 커버부(400)의 커버판(410)은 끼움부(300)의 저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커버판(410)은 끼움부 몸체(310)의 저부에 위치되고, 걸림 부재(420)는 고정홀(312)을 상부를 향하여 관통하고, 걸림 돌기(421)는 끼움부 몸체(310) 상부에서 연통홀들(311)의 주변 영역에 걸친다.Here, the cover plate 410 of the cover part 40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itting part 300. That is, the cover plate 41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itting body 310, the engaging member 420 penetrates the fixing hole 312 upward, and the engaging protrusion 421 passes through the fitting body 310, And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peripheral area of the communication holes 311.

이때, 커버판(410)은 끼움부 몸체(310)의 저면과 일정 거리 하부에 위치되고, 연통홀들(311)을 개방시킨 상태를 이룬다. 상기 커버판(410)은 상하를 따라 일정 높이 유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plate 410 is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fitting body 310 by a certain distance, and the communication holes 311 are opened. The cover plate 410 can be moved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뚜껑 몸체(100)는 조리 용기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Then, the lid body 100 ma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utensil.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리 용기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면, 조리 용기 내부의 조리물은 가열되어 일정의 수증기를 발생하여 상승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the food inside the cooking vessel is heated to generate a certain amount of steam and is raised.

상승되는 수증기는 보조 용기(200)의 하단에 설치된 커버판(410)을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고, 상기 커버판(410)은 끼움부 몸체(310)의 연통홀들(311)을 밀착하여 막을 수 있다.The raised water vapor can push up the cover plate 41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and the cover plate 4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s 311 of the fitting body 310, .

이와 아울러, 상승되는 수증기는 보조 용기(20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수증기 유입홀(210)을 통해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으로 유입된다.In addition, the rising water vapo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vessel 200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vapor inflow holes 210 form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vessel 200.

상기 저정 공간으로 유입되는 수증기는 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에 물로 상태 변화하여 저장된다.The water vapor flowing into the storage spac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and is stored therein.

따라서,보조 용기(200)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물은 연속적으로 발생되어 일정의 중량을 형성하고, 이 중량을 형성한 물은 연통홀들(311)을 밀폐하고 있는 커버판(410)을 자중에 의해 누른다.Accordingly,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200 is continuously generated to form a predetermined weight, and the water formed by the weight of the auxiliary plate 200 is filled with the cover plate 410, which hermetically closes the communication holes 311, Lt; / RTI >

따라서, 커버판(410)은 하방을 따라 연통홀들(311)로부터 이격되어, 연통홀들(311)은 개방되고, 보조 용기(200) 내의 물은 상기 개방되는 연통홀들(311)을 통해 조리 용기의 조리물로 다시 낙하된다.Accordingly, the cover plate 410 is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holes 311 along the lower side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s 311 are opened and the water in the auxiliary container 200 flows through the open communication holes 311 And then dropped again into the cooking vessel.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경우, 수증기의 누설없이 조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oked food is cook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oked without leakage of steam.

또한, 본 발명에서는 커버판을 보조 용기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연통을 갖는 끼움부 상부에 위치 또는 하부에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식의 조리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late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at a position above or below the fitting portion having the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so that different types of cooking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용기 뚜껑 및 조리 기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lid and the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용기 뚜껑 100 : 뚜껑 몸체
200 : 보조 용기 210 : 수증기 유입홀
220 : 관통홀 300 : 끼움부
310 : 끼움부 몸체 311 : 연통홀
312 : 고정홀 320 : 격벽
400 : 커버부 410 : 커버판
420 : 결림 부재 421 : 걸림 돌기
1: container lid 100: lid body
200: auxiliary vessel 210: water vapor inlet hole
220: through hole 300:
310: fitting body 311: communication hole
312: Fixing hole 320:
400: cover part 410: cover plate
420: stitching member 421: latching projection

Claims (9)

뚜껑 몸체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바닥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조 용기;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조 용기의 저장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탄성 재질의 끼움부; 및
상기 저장 공간 내부 또는 상기 저장 공간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끼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통홀들을 커버하는 탄성 재질의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부는, 외측 둘레에 상기 관통홀의 내주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끼움부 몸체와, 상기 끼움부 몸체의 중앙부에서 방사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어 형성되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부 몸체의 일측면에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에워싸고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격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An auxiliary container detachab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id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a bottom thereof;
A fitting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detachably attached to the through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And a cover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fitting portion so as to b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or outside the storage space and covers the communication holes,
Wherein the fitt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body having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hole is inserted at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direction radiat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insertion body, ,
And a partition wall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nd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fitt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다수의 연통홀을 커버하도록 일정의 직경을 갖는 원판 형상의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중앙부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고정되고, 단부에 상기 고정홀의 주변 영역에 걸리는 걸림 돌기를 갖는 걸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hol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tting body,
The cover portion
Shaped cover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to cover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nd a latching member protruding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plate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and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at an end portion of the latching plate in a peripheral region of the fixing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의 외측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보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개구되는 다수의 수증기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container,
Wherein a plurality of water vapor inflow hol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용기의 상단 외측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설치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뚜껑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설치 돌기들이 끼워지는 다수의 설치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ounting projections are protru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container,
Where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id body so that the installation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lid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에는,
상기 보조 용기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힌지 개폐되는 개폐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ainer lid,
And an open / close plate hinged to open / clos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보조용기 바닥부의 윗면에 접촉된 상기 끼움부 몸체의 부분이 상기 보조용기 바닥부의 아랫면에 접촉된 상기 끼움부 몸체 부분보다 직경이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ion of the fitting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ottom portion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fitting portion body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제 1항과,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기 뚜껑; 및
상기 용기 뚜껑에 의해 상부가 커버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 용기가 위치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0. A container li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nd a cooking cavity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covered by the container lid and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located.
KR1020120106301A 2012-09-25 2012-09-25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KR101435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01A KR101435178B1 (en) 2012-09-25 2012-09-25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301A KR101435178B1 (en) 2012-09-25 2012-09-25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30A KR20140040330A (en) 2014-04-03
KR101435178B1 true KR101435178B1 (en) 2014-09-01

Family

ID=5065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301A KR101435178B1 (en) 2012-09-25 2012-09-25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17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85Y1 (en) * 1999-03-18 2000-02-15 고혁준 A receptacle able to be steemed dish
KR20120036438A (en) * 2010-10-08 2012-04-18 오재탁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KR20120100120A (en) * 2011-03-03 2012-09-12 오재탁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485Y1 (en) * 1999-03-18 2000-02-15 고혁준 A receptacle able to be steemed dish
KR20120036438A (en) * 2010-10-08 2012-04-18 오재탁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KR20120100120A (en) * 2011-03-03 2012-09-12 오재탁 Cookpot equipped with multi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30A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JP2013503704A (en) Combined multi-container cooking utensils
KR200471229Y1 (en) Direct Heating Cook Kettle type Steam Combined Roast Pan
KR200445346Y1 (en) A brass chafing dish
JP4727481B2 (en) kitchenware
KR101435178B1 (en) Container cap and cooking utensils having the same
JP3163168U (en) kitchenware
JP7323923B2 (en) Thermal cooker
KR200391164Y1 (en) Steamed and Barbecue combined pot
KR101593035B1 (en) Steam decoctor
KR101645410B1 (en) Instant steam container
KR200387420Y1 (en) A pressure stove pot
KR101458458B1 (en) Portable pressure cooker set
KR101285816B1 (en) Cooking vessel utilizing steam
KR101900441B1 (en) Food container
KR102405053B1 (en) Electric pressure cooker
KR101605253B1 (en) Earthen pot
KR200473141Y1 (en) Gas Oven Steam Pot
KR101227248B1 (en) Multi-purpose Pressure Cooker
CN211534052U (en) Food steamer and have its cooking utensil
CN211795832U (en) Multifunctional pot
KR20190064952A (en) Cooking container
KR101280021B1 (en) Multi-Function Roast Pan
JP7116598B2 (en) microwave cooker
KR200223060Y1 (en) Vessel for coo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