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156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89156A KR20180089156A KR1020170013895A KR20170013895A KR20180089156A KR 20180089156 A KR20180089156 A KR 20180089156A KR 1020170013895 A KR1020170013895 A KR 1020170013895A KR 20170013895 A KR20170013895 A KR 20170013895A KR 20180089156 A KR20180089156 A KR 201800891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rotation
- displays
- connection
- displa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배치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간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가 각각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슬라이딩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적으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복수로 구비하여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인치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각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물리적인 구분 형태를 디스플레이(Display)로 정의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를 띠고 있는 경우 상기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가변적으로 휘어지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인접한 디스플레이의 경계간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연속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나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휘어질 때 발생하는 공백 또는 벌어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가 각각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슬라이딩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인접한 모서리가 맞닿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연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인접한 두 지점을 고정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두 지점보다 먼 또 다른 두 지점을 고정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회전부 사이에 구비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에 구비된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각각에 구비되고 각 디스플레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팅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커넥팅 로드 각각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커넥팅 로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구현하는 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간의 공백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수평바와 수직바의 필요한 최소의 형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래 형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상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5의 D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해단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상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영역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5의 D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해단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대형 인치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 각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물리적인 구분 형태를 디스플레이로 정의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를 띠고 있는 경우 상기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다.
각각의 디스플레이가 가변적으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인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특성상 인접한 디스플레이의 경계간 거리가 변화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연속 화면을 보여줘야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조건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복수의 디스플레이(310)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종래 형태에 관한 개념도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310)는 좌우로 휘어지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1(a)는 제1 상태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상단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1(b)는 제2 상태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상단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복수의 디스플레이(310)가 평평한 제1 상태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310) 간 경계는 서로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310)는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310) 각각이 오목하게 휘어진 제2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하자. 고정 장치가 동일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310)를 고정함에 따라 디스플레이(310)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티비와 같은 일정 인치를 넘는 거치 형태의 디스플레이 중 가변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또는 휘어진 상태로 구비되는 커브드(Curved) 디스플레이는 횡 방향, 즉 좌우로 휘어지거나 휘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좌우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전제로 서술한다. 하지만 반드시 좌우로 휘어지는 경우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방향으로 휘어지는 경우도 포함한다. 다만 그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특징들도 90도 회전한 것으로 생각하면 될 것이다.
도 1의 문제점과 관련한 논의라는 점에서, 좌우로 휘어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는 횡 방향으로 나열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특히,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2개의 디스플레이 중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제1 디스플레이(110), 타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제2 디스플레이(120)로 정의한다.
도 1의 형태와 달리, 제1 디스플레이(100)와 제2 디스플레이는 연결되어 구비된다. 특히,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는 인접한 각 모서리(111, 121)가 맞닿아 연결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의 내측 모서리(111)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1)는 디스플레이(110, 120)가 휘어지는 경우에도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연결 방식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지지부(130)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각 거동에 대해 상대 변위를 제공한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지지부(130)는 제1 회전부(231a) 및 제1 연결부(140)를 통해 연결되고, 제2 디스플레이(120)와 지지부(130)는 제2 회전부(231b) 및 제2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된다.
제1 연결부(140)는 지지부(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특히, 제1 연결부(140)는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제1 회전부(231a)는 제1 디스플레이(110)에 고정되어 제1 연결부(140)와 회전 결합한다. 즉, 제1 회전부(231a)는 제1 디스플레이(110)가 제1 연결부(14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구조를 형성한다.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140)에 대해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한다.
제2 연결부(150)는 지지부(130)에 고정된다. 즉, 제1 연결부(140)와 달리 제2 연결부(150)는 지지부(130)에 대해 슬라이딩 하지 않는다.
제2 회전부(231b)는 제2 디스플레이(120)에 고정되어 제2 연결부(150)와 회전 결합한다. 즉, 제2 회전부(231b)는 제2 디스플레이(120)가 제2 연결부(1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구조를 형성한다. 제2 회전부(231b)는 상기 제2 연결부(150)에 대해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한다.
도 2(a)는 디스플레이(110, 120)가 휘어지기 전 평평한 상태를, 도 2(b)는 디스플레이(110, 120)가 전면이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를, 도 2(c)는 디스플레이(110, 120)가 전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직 방향에서 바라본 것이다.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제1 방향에 대해 휘어지면, 제1 방향에 대해 각 디스플레이(110, 120) 사이의 직선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이때 제1 연결부(140)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제1 디스플레이(110)와 함께 슬라이딩 하고, 제1 회전부(231a) 및 제2 회전부(231b)는 회전하게 된다.
제1 방향으로 휘어진다는 의미는, 디스플레이(110, 120)가 휘어지는 곡률 중심이 제1 방향에 수직한 것을 뜻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면에서 바라본 것이라 하면, 제1 방향은 디스플레이(110, 120)가 나열된 좌우 방향(x축 방향)을 의미하고, 디스플레이(110, 120)는 수직 방향(z축 방향)의 특정 축을 곡률 중심으로 도 2(b) 또는 도 2(c)와 같이 휘어진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2(a)와 같이 평평한 상태의 디스플레이(110, 120)가 도 2(b)와 같이 전면이 오목하게 휘어지는 경우 제1 회전부(231a)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부(231b)는 제2 디스플레이(120)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연결부(140)는 제2 연결부(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 사이의 제1 방향에 대한 직선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도 2(a)의 상태에서 도 2(c)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120)의 전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로 변하는 경우 제1 회전부(231a)는 제1 디스플레이(110)를 따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회전부(231b)는 제2 디스플레이(12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연결부(140)는 제2 연결부(15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한다. 그 이유는 도 2(a)에서 도 2(b) 상태로 변하는 경우와 같다.
도 2(b)의 상태에서 도 2(a)의 상태로, 또는 도 2(c)의 상태에서 도 2(a)의 상태로 변하는 경우에는 회전 방향 및 슬라이딩 방향이 상술한 경우의 반대가 된다. 즉, 제1 회전부(231a)와 제2 회전부(231b)의 회전 방향은 각각 반대가 되며, 제1 연결부(140)는 제2 연결부(1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상기 제1 회전부(231a)는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 구비되므로 제1 회전부(231a)의 회전 방향은 제1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과 동일시 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부(231b)는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 구비되므로 제2 회전부(231b)의 회전 방향은 제2 디스플레이의 회전 방향과 동일시 된다. 다만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는 자체적으로 휘어지는 거동을 하므로 디스플레이(110, 120)의 회전이라 함은 전체적인 경향을 말할 뿐, 각 영역의 정확한 회전 방향을 의미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상태에 관한 개략도이다.
제1 디스플레이(110)의 휘어짐 정도가 결정되면 제1 회전축으로부터 제1 디스플레이(110)의 내측 모서리(111)까지의 거리 A가 결정된다. 제2 디스플레이(120)의 휘어짐 정도가 결정되면 제2 회전축으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1)까지의 거리 C가 결정된다.
제1 디스플레이(110)의 내측 모서리(111) 또는 제2 디스플레이(120)의 내측 모서리(121)의 지지부(130)로부터의 거리가 특정되면 거리 B가 결정되고, D와 E의 거리도 특정된다. 따라서 제1 연결부(140)의 슬라이딩 거리도 정해진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휘어짐 정도는 각각 독립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110)는 전면이 볼록하도록 휘어지고, 제2 디스플레이(120)는 전면이 오목하게 휘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메커니즘은 구현된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110, 120)는 반드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질 것을 요건으로 하지도 않는다. 즉, 각 디스플레이(110, 120)가 z축 방향의 곡률 중심으로 휘어지는 경우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 형태는 x-y 평면을 기준으로 원형 방정식이 아닌 타원, 포물선, 쌍곡선 방정식에서부터 비전형 함수 형태의 일부 형상을 띨 수도 있다.
또한 각 회전부(231)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은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횡 방향 중심에 위치할 것을 조건으로 하지 않는다. 다만, 장치의 무게 중심과 관련된 안정성을 위해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가로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1 회전부(231a) 및 제2 회전부(231b)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140)와 제2 연결부(150) 각각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거리는 특정 길이 이상으로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가 전면이 오목하게 휘어져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만나는 모서리(111, 121)가 지지부(130)에 가까워 지더라도 지지부(130)에 닿지는 않도록 연결부(140, 150)가 충분한 길이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가 전면이 볼록하게 휘어지는 경우 제1 디스플레이(110)의 외측 영역과 제2 디스플레이(120)의 외측 영역이 지지부(130)와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부(130)의 회피 설계도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연결부(150)는 도 2의 실시 예와 같이 지지부(130)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110, 120)에 체결된 두 개의 연결부가 모두 지지부(130)에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자유도가 증가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상태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도 2의 실시 예와 달리, 두 개의 연결된 디스플레이(110)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한 제1 연결부(140)를 통해 지지부(1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두 개의 디스플레이(110)가 모두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경우, 지지부(130)가 지면에 고정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10)의 유동적인 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의 형태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의 두 디스플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 2x1 매트릭스 배열 형태를 가진다.
mxn 매트릭스 배열에서 m은 디스플레이의 행의 수를, n은 열의 수를 의미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배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 많은 개수의 디스플레이의 배열로 확장되어 2x2, 2x4, 4x2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110, 120)는 물리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측면 및 배면을 감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를 포함한다. 케이스(101)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을 보호하고 강성을 제공하는 백 플레이트(211)까지 포함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211)의 배면 소정 공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 및 제어부 등의 전자적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백 플레이트(21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10, 120), 인터페이스 보드 및 제어부 등의 기본적으로 출력을 위한 구성을 제외한 구성을 디스플레이 고정 장치로 정의한다. 간단히 말해 디스플레이 고정 장치는 크게 연결부(140, 150)와 지지부(130)의 결합 구성을 가리킨다.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은 휨 구동부(21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하는 고정되고 좌우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110, 120)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해 휘어지지 않는 고정 구조가 요구된다.
센터 브라켓(214)은 디스플레이(110, 120)의 좌우 중심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고, 사이드 브라켓(215)은 디스플레이(110, 120)의 좌우 양단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하 방향 강성을 확보하는 뼈대 역할을 수행한다. 사이드 브라켓(215)은 디스플레이(110, 120) 좌측단에 구비되는 좌측 사이드 브라켓(215a) 및 우측단에 구비되는 우측 사이드 브라켓(2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분한 강성 확보를 위해 센터 브라켓(214) 및 각 사이드 브라켓(215a, 215b)은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단 끝부터 하단 끝까지 전체에 걸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센터 브라켓(124) 및 사이드 브라켓(215a, 215b)은 디스플레이(110, 120)의 배면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면에 시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네팅 로드(212)는 휨 구동부(213)와 사이드 브라켓(215)을 연결한다. 휨 구동부(123)는 커넥팅 로드(212)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휨 구동부(213)는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적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 여부 및 휘어짐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모터의 회전에 따라 모터와 체결된 커넥팅 로드(212)가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휨 구동부(213)와 같은 전자동에 의한 휘어짐이 아닌, 수동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 120)에 결합하는 프레임 구조가 형상의 변형 및 유지가 용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형상기억합금을 예로 들 수 있다.
프레임 구조는 전술한 백 플레이트(211)가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백 플레이트(211)의 재질이 형상 변형 및 유지가 유리한 물질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휘어짐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수동적으로 디스플레이(110, 120)를 휘는 경우에도 휘어지는 상태의 고정을 위해 상기 커넥팅 로드(212)는 여전히 구비될 수 있다.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커넥팅 로드(212)의 인출 또는 인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체결부(221)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인접한 각 모서리(111,121)를 연결시킨다. 체결부(221)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플레서블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체결부(221)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내측 사이드 브라켓(215) 상에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221)는 일체의 금속판 형상으로 각 디스플레이(110, 120)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금속 물질은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에도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형태 변형이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알루미늄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휘어짐 정도가 큰 경우, 체결부(221)는 힌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 형태의 체결부(221)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의 인접한 각 모서리(111, 121)를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부(221)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간의 연결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영역 확대도이다.
체결부(221)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 사이의 벌어짐을 최소화 하고 동시에 내구성을 보장받기 위해 이 중의 결합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221)는 제1 체결부(2211) 및 제2 체결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211)는 두 개의 제1 스크류 홀(222)를 형성하여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체결하고, 제2 체결부(2212)는 두 개의 제2 스크류 홀(223)을 형성하여 제1 제1 디스플레이(110) 및 제2 디스플레이(120)를 체결할 수 있다.
두 개의 제1 스크류 홀(222) 사이의 거리는, 두 개의 제2 스크류 홀(223)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체결 길이를 갖는 제1 체결부(2211)는 상대적으로 긴 체결 길이를 갖는 제2 체결부(2212)로 인한 디스플레이(110, 120) 간의 벌어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2 체결부(2212)는 제1 체결부(2211)만이 구비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응력 집중을 방지하여 강성을 보완하여 체결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즉, 제1 체결부(2211) 및 제2 체결부(2212)는 상화 보완적으로 디스플레이(110, 120) 간의 체결 신뢰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벌어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211)는 백 플레이트(211)의 배면 테두리를 감싸는 케이스 탑(216) 상에 결합하고, 제2 체결부(2212)는 인접한 사이드 브라켓(215) 상에 결합할 수 있다.
제1 체결부(2211) 및 제2 체결부(2212)는 각 역할을 위해 체결되는 지점이 서로 다르므로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방향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복수의 수평바(131)와 복수의 수직바(132)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충분한 강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피 및 무게 증가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0)에 지지되는 수평바(131)를 제1 수평바(131a), 제2 디스플레이(120)에 지지되는 수평바(131)를 제2 수평바(131b)라 한다. 제1 수평바(131a) 및 제2 수평바(131b)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하에 한 쌍 단위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수직바(132a)는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수평바(131a)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제2 수직바(132b)도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제2 수평바(131b)를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고정바(134)는 제1 수직바(132a) 및 제2 수직바(132b)를 고정 연결시켜 지지부(130)가 일체로 고정되는 하나의 구성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5의 B 영역 확대도이다.
지지부(130)에는 제1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133)이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133)은 제1 연결부(140),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부(140)의 슬라이더(141)가 체결되어 슬라이드 거동할 수 있는 경로를 안내한다.
슬라이더(141)는 제1 연결부(140)의 일부 구성이 될 수 있다. 슬라이더(141)는 가이드 레일(133)과 직접적으로 마찰 거동을 하므로 가이드 레일(133)과 마찰시 마찰력을 최소화 하고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가이드 레일(133)은 금속 소재를, 슬라이더(141)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나 고무와 같은 탄성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41)에는 제1 연결부(140)의 제1 회전축에 작용하는 여러 방향의 힘이 전달되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방향에 대한 힘뿐만 아니라 다른 방향에 대한 힘 및 힘의 작용점의 차이에 따른 커플힘도 작용한다. 다만, 제1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한 힘 또는 커플힘은 가이드 레일(133)에 의해 상쇄될 뿐이다. 따라서 슬라이더(141) 및 가이드 레일(133)에 많은 하중 또는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다. 슬라이더(141)는 가이드 레일(133)에 결합하는 폭 T1보다 제1 방향에 대한 폭 T2를 더 크게 구성하여 제1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 작용하는 힘이 분산되어 상쇄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3)은 돌기(1331)를 구비하고, 슬라이더(141)에는 가이드 레일(133)의 돌기(1331)가 삽입되는 홈(141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33)의 돌기(1331)는 돌출된 방향의 일단의 너비를 더 넓게 구비하여 슬라이더(141)의 홈(1411)이 빠지지 않도록 억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부(140)의 링크바(14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 방향 중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링크바(142)는 슬라이더(141)와 고정 결합되어 제1 방향으로 함께 병진 거동할 수 있다. 링크바(142)와 슬라이더(141)는 스크류 결합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바(142)는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휘어짐 정도를 고려하여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140)는 지지부(130)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제1 수평바(131a)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 한 쌍의 제1 수평바(131a)와 제1 연결부(140)의 결합은 제1 디스플레이(110)에 의한 지지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제1 디스플레이(110)에 의해 휘어져 슬라이드 거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힘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5의 C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133)은 도 7과 같이 지지부(130) 상단(1301)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 8과 같이 지지부(130) 측면(1302)에 구비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의 상하로 구비된 두 개의 제1 수평바(131a) 중,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상단의 제1 수평바(131a)보다 하단의 제1 수평바(131a)에 가해지는 디스플레이(110)의 하중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하단의 제1 수평바(131a)에는 더 큰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레일(133)이 지지부(130) 측면(1302) 방향에 구비되어 하중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드 거동과 무관하게, 상하 두 개의 수평바(131) 각각에 지지하는 제1 연결부(140)는 상단 제1 연결부(140a)보다 하단 제1 연결부(140b)가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단 제1 연결부(140b)는 상단 제1 연결부(140a)의 'ㄱ'자 링크바(142)와 달리 수평바(131)의 상면 및 하면을 모두 잡아주는 'ㄷ'자 링크바(143)를 통해 지지부(130)에 안정적으로 결합한다.
제1 수평바(131a)의 상하 구비 특징은 제2 플레서블 디스플레이(120)의 한 쌍의 제2 수평바(132a)로 대체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 연결부(140a, 140b)는 두 개의 제2 연결부(150a, 150b)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거동의 특징 이외에는 제1 디스플레이(110)와 제2 디스플레이(120)에 동일한 특징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도 5의 D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실시 예는 제2 연결부(150)와 제2 회전부(231b) 의 회전 결합에 대한 것이다. 도 9는 제2 연결부(150) 영역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나, 회전 결합은 제1 연결부(140) 및 제2 연결부(150)에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본 특징은 제1 연결부(140) 및 제2 연결부(15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중복되는 설명 및 도면은 생략될 수 있다.
각 연결부(140, 150)는 회전부(231)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110, 120)와 힌지 결합한다. 각 디스플레이(110, 120)의 좌우 휘어짐에 따라 회전부(231)는 연결부(140, 150)에 대해 상대 회전 한다.
회전부(231)의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특히 제1 회전부(231a) 및 제2 회전부(231b)의 기능 또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부(231)는 디스플레이(110, 120) 배면 각각에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백 플레이트(211) 또는 센터 브라켓(214)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센터 브라켓(214)은 상술한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하 방향 강성 확보 역할뿐만 아니라, 확장부(231)가 체결될 수 있는 상대물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부(231)와 연결부(140, 150) 사이에는 연결부(140, 150)의 회전 거동 시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한 베어링(Bearing, 232)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베어링(232a)은 제1 회전축 상에, 제2 베어링(232b)은 제2 회전축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상하 방향의 한 쌍의 연결부(140, 150)에 대응하여 베어링(232) 또한 상하 방향으로 한 쌍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베어링(232) 대신 부싱(Bushing)이 사용되어 무게 및 생산 비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마찰력 감소의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앞선 실시 예와 달리, 회전부(231)와 연결부(140, 150) 각각은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서 결합할 수 있다. 즉,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 디스플레이(110, 120)가 구성하는 선상, 즉 케이스(101)의 상면(1011)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디스플레이(110, 120) 면을 동일 곡률로 오목 또는 볼록하게 만들었을 때 제1 연결부(140)와 제2 연결부(15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는 특정 곡률로 휘어지게 만드는데 대한 예측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2x2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두 개 구비된 2x4 또는 2x2x2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특히 필요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힘의 균형 및 안정성 측면에 있어서, 한 쌍의 연결부(140, 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단과 하단에 최대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x2 배열 구조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연결부(140, 150)는 디스플레이(110, 120) 상단 및 하단에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1x2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mxn 매트릭스 배열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매트릭스의 배열 숫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만큼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1x2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직 방향에 대해 확장되어 2x2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구비될 수 있다.
2x2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후술하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1x2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특징이 상하로 중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단 연결부(140a, 150a)는 1행의 각 디스플레이(110a, 120a)에, 하단 연결부(140b, 150b)는 2 행의 각 디스플레이(110b, 120b)에 구비될 수 있다. 즉, 4개의 디스플레이(110a, 110b, 120a, 120b)에 4 개의 연결부(140a, 140b, 150a, 150b)를 구비함으로써 최소한의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연결부 구조를 없앰으로써 무게 및 생산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는 연결부(140, 150)가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하는 도 10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의 실시 예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1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브라켓(214) 및 사이드 브라켓(215)은 1 행의 디스플레이(110a, 120a)와 2 행의 디스플레이(110b, 120b)를 서로 연결하는 일체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단 디스플레이(110a, 120a)와 하단 디스플레이(110b, 120b)를 서로 고정시키는 뼈대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터 브라켓(214) 및 사이드 브라켓(215) 각각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110a, 110b, 120a, 120b)에 구비되되, 인접한 상하 구성끼리 별도의 피스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부(130)도 상기와 같은 무게 및 생산 비용의 감소를 위해 네 개의 연결부(140a, 140b, 150a, 150b)를 연결하는 하나의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사각틀 형상의 지지부(130)는 길어진 상하, 좌우 방향의 폭으로 인해 비틀림 힘에 취약할 수 있다. 강성바(135)는 사각틀 형상의 지지부(130) 가로 중심 또는 세로 중심을 이어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x4 배열의 디스플레이들(110, 12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평 방향으로 4개의 디스플레이(110, 120)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부(140, 150)는 수평 방향으로 4개 구비될 수 있다.
4 개의 디스플레이(110, 120)는 체결부(221)에 의해 인접한 디스플레이끼리 체결되어 네 개의 디스플레이(110, 120)가 하나의 구성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 때 4 개의 연결부(140, 150)는 지지부(130)에 고정 결합하는 하나의 제2 연결부(150) 및 지지부(130)에 슬라이드 결합하는 세 개의 제1 연결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지지부(130)와 체결되므로 이 지지부(130)와 연결된 하나의 고정 점만 가지면 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도 12의 실시 예와 같은 조건 하에서는 수평 방향 네 개의 디스플레이(110, 120)를 전체적으로 오목하거나 볼록한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아래와 같이 지지부의 회전 구조를 제안한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해단 개념도이다.
2x4 매트릭스 배열의 디스플레이로 단일 볼록면 또는 오목면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도 12와 같이 네 개의 디스플레이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구성이 아닌,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이 두 개 복수로 구비된 형태를 띨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디스플레이(110, 120)는 도 5의 형태와 같이 체결부(221)에 의해 인접한 모서리가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두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간의 인접한 모서리(122)는 체결부(221)에 의해 연결되지 않아 분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상 휘어짐이 발생하고 거동이 다 이루어진 특정 상태에서는 인접한 모서리(122)는 서로 맞닿도록 구비될 것을 요건으로 한다.
각각의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은 각각의 지지부(130)에 의해 고정되고, 각 지지부(130)는 각 지지부(130)에 회전 결합하는 회전 구동부(161)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61)는 두 개의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을 회전시켜 네 개의 디스플레이(110, 120)가 도 13과 같이 단일의 오목면을 형성하거나 또는 도 14와 같이 단일의 볼록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0과 같이 연결부(140, 150)의 회전축이 디스플레이(110, 120)의 상면 또는 하면 상에 구비되는 경우, 도 13에서 도시한 오목면의 곡률 R1과, 도 14에서 도시한 볼록면의 곡률 R2를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61)를 갖는 도 13 및 도 14의 실시 예의 경우에도, 각 지지부(130)의 회전 구동부(161)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인접한 모서리(122)를 맞닿도록 하기 위한 곡률 값이 하나로 특정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제약은 슬라이드 구동부(162)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대한 개념도이다.
슬라이드 구동부(162)는 지지부(130)를 특정 제2 방향에 대해 병진 운동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지지부(130)의 병진 운동에 따라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은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곡률 또는 평면을 구성하여 두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의 인접한 모서리(122) 사이에 공백이 발생하거나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61) 및 슬라이드 구동부(162)에 의해 각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170)은 회전 및 병진 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a)와 같은 단일 볼록 또는 오목면에서 13(b)와 같은 단일 평면으로 변형 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케이스
1011: 케이스 상면 110: 제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11: 제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측 모서리
120: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1: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측 모서리
122: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간 인접 모서리
130: 지지부 1301: 지지부 상면
1302: 지지부 측면 131: 수평바
132: 수직바 133: 가이드 레일
1331: 돌기 134: 고정바
135: 강성바 140: 제1 연결부
140a: 상단 제1 연결부 140b: 하단 제1 연결부
141: 슬라이더 1411: 홈
142: 'ㄱ'자 링크바 143: 'ㄷ'자 링크바
150: 제2 연결부 150a: 상단 제2 연결부
150b: 하단 제2 연결부 161: 회전 구동부
162: 슬라이드 구동부 170: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
211: 백 플레이트 212: 커넥팅 로드
213: 휨 구동부 214: 센터 브라켓
215: 사이드 브라켓 216: 케이스 탑
221: 체결부 2211: 제1 체결부
2212: 제2 체결부 222: 제1 스크류 홀
223: 제2 스크류 홀 231: 회전부
231a: 제1 회전부 231b: 제2 회전부
232: 베어링 232a: 제1 베어링
232b: 제2 베어링
1011: 케이스 상면 110: 제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11: 제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측 모서리
120: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121: 제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내측 모서리
122: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간 인접 모서리
130: 지지부 1301: 지지부 상면
1302: 지지부 측면 131: 수평바
132: 수직바 133: 가이드 레일
1331: 돌기 134: 고정바
135: 강성바 140: 제1 연결부
140a: 상단 제1 연결부 140b: 하단 제1 연결부
141: 슬라이더 1411: 홈
142: 'ㄱ'자 링크바 143: 'ㄷ'자 링크바
150: 제2 연결부 150a: 상단 제2 연결부
150b: 하단 제2 연결부 161: 회전 구동부
162: 슬라이드 구동부 170: 2x2 매트릭스 배열 구성
211: 백 플레이트 212: 커넥팅 로드
213: 휨 구동부 214: 센터 브라켓
215: 사이드 브라켓 216: 케이스 탑
221: 체결부 2211: 제1 체결부
2212: 제2 체결부 222: 제1 스크류 홀
223: 제2 스크류 홀 231: 회전부
231a: 제1 회전부 231b: 제2 회전부
232: 베어링 232a: 제1 베어링
232b: 제2 베어링
Claims (13)
-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와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연결부와 회전 결합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회전부가 각각 회전하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슬라이딩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제1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1 방향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는 인접한 모서리가 맞닿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해 제1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제2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결합하고,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해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연결시키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알루미늄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인접한 두 지점을 고정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두 지점보다 먼 또 다른 두 지점을 고정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회전부 사이에 구비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회전부 사이에 구비된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각각에 구비되고 각 디스플레이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커넥팅 로드; 및
상기 한 쌍의 커넥팅 로드 각각과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커넥팅 로드를 인출 또는 인입시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휘어짐을 구현하는 휨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수직 방향으로 한 쌍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3895A KR102628093B1 (ko) | 2017-01-31 | 2017-01-31 | 디스플레이 장치 |
US15/660,142 US10440838B2 (en) | 2017-01-31 | 2017-07-26 | Display device having a bendable display panel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bendable display panel |
EP17205793.7A EP3355294B1 (en) | 2017-01-31 | 2017-12-07 | Display device |
CN201810071142.5A CN108376520B (zh) | 2017-01-31 | 2018-01-25 | 显示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3895A KR102628093B1 (ko) | 2017-01-31 | 2017-01-31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9156A true KR20180089156A (ko) | 2018-08-08 |
KR102628093B1 KR102628093B1 (ko) | 2024-01-23 |
Family
ID=60661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3895A KR102628093B1 (ko) | 2017-01-31 | 2017-01-31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440838B2 (ko) |
EP (1) | EP3355294B1 (ko) |
KR (1) | KR102628093B1 (ko) |
CN (1) | CN108376520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42863A (zh) * | 2018-10-25 | 2019-02-15 |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 测试装置 |
KR102507176B1 (ko) * | 2022-07-01 | 2023-03-08 |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0178B1 (ko) * | 2016-05-27 | 2017-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US20220139159A1 (en) * | 2017-03-27 | 2022-05-05 | Incredible Technologies, Inc. | Electronic gam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
US10580252B2 (en) * | 2017-03-27 | 2020-03-03 | Incredible Technologies, Inc. | Electronic gaming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
KR102481264B1 (ko) * | 2018-01-04 | 2022-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힌지 조립체 |
KR102502881B1 (ko) * | 2018-01-16 | 2023-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465746B1 (ko) * | 2018-07-03 | 2022-11-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다중 패널 표시 장치 |
CN108962036B (zh) * | 2018-09-07 | 2021-10-19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可折叠显示装置 |
CN109118964A (zh) * | 2018-09-18 | 2019-01-0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CN208967363U (zh) * | 2018-09-19 | 2019-06-11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折叠柔性显示屏的装置 |
US11310927B2 (en) * | 2018-11-23 | 2022-04-19 | Shenzhen Gloshine Technology Co., Ltd. | LED display screen |
US11079996B2 (en) * | 2019-03-22 | 2021-08-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ellular display device |
TWI736266B (zh) * | 2019-05-20 | 2021-08-11 |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 可撓式電子裝置 |
CN110415609B (zh) * | 2019-09-16 | 2021-05-11 | 嘉视(山东)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内外双向保险的柔性显示器 |
US10885815B1 (en) * | 2020-02-13 | 2021-01-05 | Ilya Svidler | Modular multi-computer monitor stand system for multi-computer monitor setup |
KR102689566B1 (ko) * | 2020-03-24 | 2024-07-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11415593B (zh) * | 2020-05-19 | 2024-08-06 | 合肥美铭电子科技有限公司 | 用于柔性显示屏的弯折治具 |
CN111583801B (zh) * | 2020-05-20 | 2022-03-11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可弯折显示面板的支撑结构和显示模组 |
CN111664345A (zh) * | 2020-05-22 | 2020-09-15 | 张海亮 | 一种监控用显示设备及监控方法 |
CN112431845B (zh) * | 2020-11-16 | 2024-06-04 | 东莞市劲丰电子有限公司 | 斜槽互动弯折的u型内折转动机构 |
KR20220148997A (ko) * | 2021-04-29 | 2022-1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3327514B (zh) * | 2021-05-25 | 2022-09-09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显示装置和交通载具 |
KR20230018178A (ko) * | 2021-07-29 | 2023-02-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N114215830B (zh) * | 2021-12-17 | 2024-02-20 | 江西新视通科技有限公司 | 一种组装式大型led显示屏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02438A1 (en) * | 2014-01-03 | 2015-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KR101614407B1 (ko) * | 2013-07-08 | 2016-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리즘 시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
US20160127674A1 (en) * | 2014-10-30 | 2016-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EP3113161A1 (en) * | 2015-05-06 | 2017-01-04 | Glux Visual Effects Tech (Shenzhen) Co., Ltd. | Variable led display screen |
JP6538361B2 (ja) * | 2014-02-11 | 2019-07-03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KR102034586B1 (ko) * | 2013-07-15 | 2019-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
KR102172980B1 (ko) * | 2014-04-07 | 2020-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
JP6823927B2 (ja) * | 2015-01-21 | 2021-02-03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015632A1 (en) * | 2001-07-18 | 2003-01-23 | Daniel Dunn | Multiple flat panel display system |
CN101540125B (zh) * | 2009-04-16 | 2012-06-27 |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 显示系统 |
US9711752B2 (en) * | 2011-12-19 | 2017-07-18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apparatus |
EP2912650B1 (en) * | 2012-10-25 | 2018-12-05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101986796B1 (ko) * | 2013-01-14 | 2019-06-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150018339A (ko) * | 2013-08-08 | 2015-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KR102068769B1 (ko) * | 2013-09-30 | 2020-01-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
KR102088912B1 (ko) * | 2013-11-13 | 2020-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CN103559847A (zh) * | 2013-11-14 | 2014-02-05 | 北京先韬科技发展有限公司 | 智能双开合led显示屏 |
KR20150081225A (ko) * | 2014-01-03 | 2015-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
WO2015111890A1 (ko) * | 2014-01-24 | 2015-07-30 | 엘지전자(주) |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5160099A1 (en) * | 2014-04-15 | 2015-10-22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apparatus |
CN103971608B (zh) * | 2014-05-26 | 2016-05-18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曲面液晶显示装置 |
CN104266146B (zh) * | 2014-10-09 | 2017-02-15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曲率可变的背板组件及其背光单元 |
CN105845036A (zh) * | 2015-01-14 | 2016-08-10 | 丁炜慷 | 一种拼接后“像素全覆盖”的“全无缝”显示幕墙系统 |
KR101720178B1 (ko) * | 2016-05-27 | 2017-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102581776B1 (ko) * | 2016-10-26 | 2023-09-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롤러블 표시장치 |
-
2017
- 2017-01-31 KR KR1020170013895A patent/KR102628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26 US US15/660,142 patent/US10440838B2/en active Active
- 2017-12-07 EP EP17205793.7A patent/EP3355294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1-25 CN CN201810071142.5A patent/CN108376520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4407B1 (ko) * | 2013-07-08 | 2016-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프리즘 시트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34586B1 (ko) * | 2013-07-15 | 2019-10-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멀티비전 디바이스 및 이에 부착되는 렌즈 바 |
WO2015102438A1 (en) * | 2014-01-03 | 2015-07-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
JP6538361B2 (ja) * | 2014-02-11 | 2019-07-03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KR102172980B1 (ko) * | 2014-04-07 | 2020-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
US20160127674A1 (en) * | 2014-10-30 | 2016-05-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JP6823927B2 (ja) * | 2015-01-21 | 2021-02-03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表示システム |
EP3113161A1 (en) * | 2015-05-06 | 2017-01-04 | Glux Visual Effects Tech (Shenzhen) Co., Ltd. | Variable led display scre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342863A (zh) * | 2018-10-25 | 2019-02-15 | Tcl王牌电器(惠州)有限公司 | 测试装置 |
KR102507176B1 (ko) * | 2022-07-01 | 2023-03-08 |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8376520B (zh) | 2020-08-11 |
CN108376520A (zh) | 2018-08-07 |
US20180220537A1 (en) | 2018-08-02 |
EP3355294A1 (en) | 2018-08-01 |
KR102628093B1 (ko) | 2024-01-23 |
EP3355294B1 (en) | 2021-10-27 |
US10440838B2 (en) | 201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8915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00409422A1 (en) | Bendable device,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10011514A1 (en) | Bendable mechanis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 |
KR102393344B1 (ko)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
US9535452B2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EP2083313B1 (en) | Liquid crystal module | |
US20210307185A1 (en) | Foldab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 |
US8235335B2 (en) | Multi-display device | |
CN112602032A (zh) | 可弯曲显示终端 | |
US10917985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US20220261046A1 (en) |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 |
JP2007079271A (ja) | 表示スクリーン装置 | |
CN101403937A (zh) | 支撑装置以及具有该支撑装置的双显示单元 | |
EP1895386A1 (en) | A flat screen assembly | |
US7433121B2 (en) |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 |
CN110244424A (zh) | 共轴光学系统的安装架及具有其的共轴光学系统 | |
KR101838905B1 (ko) | 3-방향 정렬식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220164007A1 (en) | Slidable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 |
US10715707B2 (en) | Imaging device able to perform auto focus and vibration compensation | |
CN207925024U (zh) | 一种拼接墙安装结构 | |
JP2011213476A (ja) | 設置機構 | |
KR102429097B1 (ko)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
CN114135765B (zh) | 拼接显示屏 | |
US9482811B2 (en)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1353559B1 (ko) | 평판표시장치의 거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