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176B1 -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176B1
KR102507176B1 KR1020220081508A KR20220081508A KR102507176B1 KR 102507176 B1 KR102507176 B1 KR 102507176B1 KR 1020220081508 A KR1020220081508 A KR 1020220081508A KR 20220081508 A KR20220081508 A KR 20220081508A KR 102507176 B1 KR102507176 B1 KR 102507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ame
driving unit
scree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춘
박상윤
박은경
김선종
황창순
Original Assignee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타모빌리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 및 하측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미리 정해진 넓이를 갖는 사각틀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가요성을 갖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의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의 곡률을 변경하여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최적의 투영조건을 찾을 수 있고, 스크린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 SLIDING TYPE VARIABLE SCREEN }
본 발명은 가변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 타입으로 밀거나 당김으로써 곡면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가변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빔 프로젝터는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 투사되는 영상을 비추기 위해 벽면이나 바닥, 천장 등과 같은 평면의 스크린(screen)이 필요하다.
빔 프로젝트에 대응되는 스크린은 천이나 아크릴,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빔 프로젝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최근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장치와 같이 곡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청자의 눈에서 화면 중심부와 양 측면까지의 거리가 같도록 화면이 오목하게 휘어진 장치로서, 화면 왜곡이나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곡면으로 휘어진 패널은 어느 위치에서나 시청자와 표시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여 시청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영상에 입체감을 주어 시청자가 더욱 실감있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스크린을 곡면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곡률이 동일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곡률을 가지는 레일 또는 틀과 같은 지지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넓은 규모의 강당 또는 회의실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영상을 투영하기 위해 그 크기나 곡률을 정밀하게 만드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성(硬性)의 재질로써 곡면을 형성한 스크린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경성 재질의 스크린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미리 설계된 사양을 변경하기 불가능하고 최초로 한 번 정해진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여야 하며,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변경이 불가능하여 최적의 영상이 표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0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 및 하측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미리 정해진 넓이를 갖는 사각틀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가요성을 갖는 스크린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의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린부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1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1구동부; 상기 좌측프레임 또는 우측프레임에 회동되게 지지되는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제3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며 지렛대 원리로 상기 스크린부를 가변시키는 제4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좌측프레임 또는 우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5구동부; 상기 제5구동부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5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6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제6구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5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는 제7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지지부는,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는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이 해제되면 평면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실린더를 통해 신축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체;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체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회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부를 바라보며 상기 제1구동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측; 및 상기 스크린부와 반대되는 쪽을 바라보며 상기 제3구동부가 연결되는 제2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구동부의 폭은 상기 제3구동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제4구동부의 폭방향의 양단 사이와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고 바닥에 세워지거나 벽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외부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에 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크린의 곡률을 변경하여 환경이 변화되더라도 최적의 투영조건을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에 의하면, 스크린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은 프레임부(100)와 스크린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스크린부(200)가 구부러져 형성되는 곡면은 실린더가 신장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 좌측프레임(130), 우측프레임(140) 및 중앙지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 좌측프레임(130) 및 우측프레임(140)은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130)과 우측프레임(140)도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은 레일(111, 121)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는 면 즉, 상측프레임(110)의 하측면과 하측프레임(120)의 상측면에 각각 상측레일(111)과 하측레일(121)이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구동부(300)는 레일(111, 121)을 통해 레일(111, 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중앙지지부(150)는 사각틀을 형성하는 프레임부(100)의 내측, 즉 상측프레임(110)과 하측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중앙지지부(150)는 후술하는 구동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지지부(150)는 한 쌍의 지지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축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후술하는 한 쌍의 구동부(3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중앙지지부(150)는 프레임부(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여기서는 한 쌍의 지지축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으로 프레임부(100)를 지지하기만 하다면 그 형태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스크린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크린부(200)는 테두리가 프레임부(100)의 테두리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부(200)는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중앙지지부(150)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스크린부(200)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스크린부(200)는 후술하는 구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오목해지는데, 프레임부(100)의 반대방향 즉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가변될 수 있다.
스크린부(200)는 천과 같은 직물 또는 편물이나 필름 또는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스크린부(200)는 평면으로 되돌아가는 탄성을 가진 평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부(200)는 빔프로젝터용 시트지가 결합되어 빔프로젝터용 가변형 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LED가 결합되어 가변형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부(200)는 이미지나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다른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부(20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인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이 결합되어 가변형 TV로 활용될 수 있다. OLED 패널의 경우 플렉서블 PCB가 내장되어 스크린부(200)와 결합됨으로써 함께 가변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스크린부(200)의 후방, 그리고 프레임부(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동부(300)가 스크린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만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부(300)는 스크린부(2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스크린부(200)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스크린부(200)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0)는 신장 또는 수축가능하도록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300)는 제1구동부(310)와 제2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310)는 일측이 중앙지지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구동부(310)는 상측프레임(110) 또는 하측프레임(120)과 평행하게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제1구동부(310)는 실린더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구동부(320)는 일측이 제1구동부(3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린부(200)의 좌우측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구동부(310)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부(200)를 전방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슬라이딩체(321)와 회동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체(321)는 일측이 제1구동부(31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체(321)는 레일(111, 121)에 설치될 수 있고, 제1구동부(310)의 구동에 의해 레일(111, 121)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회동체(322)는 일측이 슬라이딩체(321)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동체(322)는 타측이 스크린부(200)의 후면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310)가 확장 또는 신장되어 슬라이딩체(321)를 밀면, 스크린부(200)와 연결된 회동체(322)는 슬라이딩체(321)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동체(322)는 슬라이딩체(321)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은 외부거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거치부는 프레임의 후측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거치부는 중앙지지부(150)와 연결될 수 있고 중앙지지부(150)를 지지할 수 있다. 외부거치부는 바닥에 세워지거나 벽에 거치되기 위한 구조를 갖는 구성으로 설명된 구조는 일실시예일 뿐이며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구동부(310)가 신장되고 수축됨에 따라 구동부(300)가 지렛대와 같이 작동하여 스크린부(200)가 곡면을 형성하는 구성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구동부(300)가 제1구동부(310)와 제3구동부(330) 및 제4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31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측이 중앙지지부(150)에 연결되어 상측프레임(110) 또는 하측프레임(120)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실시예의 구성으로 제2실시예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3구동부(330)는 일측이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에 회동되게 지지될 수 있다.
제4구동부(340)는 제1구동부(310)와 제3구동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구동부(340)는 제1구동부(310) 및 제3구동부(330)와 회동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4구동부(340)는 판체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스크린부(200)를 바라보며 제1구동부(310)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측(미부호)과 스크린부(200)와 반대되는 쪽을 바라보며 제3구동부(330)가 연결되는 제2측(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구동부(340)는 제3구동부(330)와 회동부재(341)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제4구동부(340)는 제1구동부(310)의 신장 또는 수축을 통해 지렛대 원리로 스크린부(200)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제4구동부(340)는 스크린부(200)를 곡면 또는 평면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제3구동부(330)와 제4구동부(340)는 판체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으로 제1구동부(310)의 신장 또는 수축에 따라 제3구동부(330)와 제4구동부(340)가 지렛대 원리로 회동되며 스크린부(200)를 가변시키기만 한다면, 제3구동부(330)와 제4구동부(340)의 형상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판체로 형성된 제4구동부(340)의 폭은 판체로 형성된 제3구동부(3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구동부(330)는 일측이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과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4구동부(340)의 제2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구동부(330)의 타측은 제4구동부(340)의 폭방향을 따른 양단 사이의 어느 부분과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이로써, 제3구동부(330)와 제4구동부(340)가 회동되며 서로 접혀 대면하게 배치될 때 제4구동부(340)는 회동지점으로부터 스크린부(200)까지 더욱 돌출되므로 적은 움직임에 의해 스크린부(200)의 가변 폭을 크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3구동부(330)가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에 지지됨으로써 스크린부(200)의 평면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제1실시예의 레일(111, 121)에서보다 용이하게 버틸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구동부(300)가 당겨지며 스크린부(200)가 곡면을 형성하므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을 곡면상태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구동부(300)가 제5구동부(350)와 제6구동부(360) 및 제7구동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구동부(350)는 일측이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5구동부(350)는 실린더로 마련될 수 있고, 상측프레임(110) 또는 하측프레임(120)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제6구동부(360)는 제5구동부(350)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고, 제5구동부(350)의 움직임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제5구동부(350)가 수축하는 경우 제6구동부(360)는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과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제5구동부(350)가 신장하는 경우 제6구동부(360)는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과 멀어지며 중앙지지부(15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7구동부(370)는 일측이 제6구동부(360)와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린부(200)의 끝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7구동부(370)는 위치가 변하면서 스크린부(200)를 곡면 또는 평면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제5구동부(350)가 수축하는 경우 제6구동부(360)가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과 가깝게 당겨지며 제7구동부(370)는 회동되며 스크린부(200)를 밀어냄으로써 스크린부(200)가 곡면을 형성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제5구동부(350)가 신장하는 경우 제6구동부(360)가 좌측프레임(130) 또는 우측프레임(140)과 멀리 밀려지며 제7구동부(370)는 회동되며 프레임부(100)와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스크린부(200)가 평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스크린은 상기에서 언급한 구동부(300) 이외의 구성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를 준용하여 유추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상측프레임
111 : 상측레일 120 : 하측프레임
121 : 하측레일 130 : 좌측프레임
140 : 우측프레임 150 : 중앙지지부
200 : 스크린부 300 : 구동부
310 : 제1구동부 320 : 제2구동부
321 : 슬라이딩체 322 : 회동체
330 : 제3구동부 340 : 제4구동부
341 : 회동부재 350 : 제5구동부
360 : 제6구동부 370 : 제7구동부

Claims (13)

  1. 삭제
  2.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 및 하측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미리 정해진 넓이를 갖는 사각틀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축으로 마련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가변되는 가요성을 갖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의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실린더를 통해 신축하여 상기 스크린부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고 바닥에 세워지거나 벽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외부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1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는 제2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체; 및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후면과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체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회동체;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이 해제되면 평면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갖는 가변형 스크린.
  3.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 및 하측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미리 정해진 넓이를 갖는 사각틀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축으로 마련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가변되는 가요성을 갖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의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실린더를 통해 신축하여 상기 스크린부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고 바닥에 세워지거나 벽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외부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1구동부;
    상기 좌측프레임 또는 우측프레임에 회동되게 지지되는 제3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와 제3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며 지렛대 원리로 상기 스크린부를 가변시키고 폭이 상기 제3구동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폭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3구동부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제4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4구동부는
    상기 스크린부를 바라보며 상기 제1구동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1측; 및
    상기 스크린부와 반대되는 쪽을 바라보며 상기 제3구동부가 연결되는 제2측;
    을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와 상기 제4구동부는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이 해제되면 평면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갖는 가변형 스크린.
  4.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상기 상측 및 하측프레임의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으로 둘러싸여 미리 정해진 넓이를 갖는 사각틀 형상이고 내측에 상기 상측프레임과 상기 하측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지지축으로 마련되는 중앙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부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중앙지지부에 연결되어 지지되며 전면이 바라보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가변되는 가요성을 갖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의 후방의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실린더를 통해 신축하여 상기 스크린부의 양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스크린부를 평면 또는 곡면으로 가변시키는 구동부;
    상기 상측프레임과 하측프레임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가 슬라이딩 가능한 레일;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지지부와 연결되고 바닥에 세워지거나 벽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중앙지지부를 지지하는 외부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일측이 상기 좌측프레임 또는 우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 또는 상기 하측프레임과 평행하게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제5구동부;
    상기 제5구동부의 움직임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5구동부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6구동부; 및
    일측이 상기 제6구동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크린부의 끝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5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스크린을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는 제7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구동부의 움직임이 해제되면 평면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갖는 가변형 스크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20081508A 2022-07-01 2022-07-01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KR102507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08A KR102507176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08A KR102507176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76B1 true KR102507176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508A KR102507176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073A (ko) 2011-09-01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
KR20160145907A (ko) * 2015-06-10 2016-12-21 희성전자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변 곡률 구동장치
KR20180089156A (ko) * 2017-01-31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43613A (ko) * 2016-09-29 2019-04-26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 장치 및 플렉서블 스크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073A (ko) 2011-09-01 2013-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빔 프로젝터
KR20160145907A (ko) * 2015-06-10 2016-12-21 희성전자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의 가변 곡률 구동장치
KR20190043613A (ko) * 2016-09-29 2019-04-26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플렉서블 스크린 지지 장치 및 플렉서블 스크린
KR20180089156A (ko) * 2017-01-31 2018-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030A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from multiple projectors onto a common screen
US9576510B2 (en) Display device
CN108091262B (zh) 曲面调节机构及背光模组
US7918565B2 (en) Expanding chassis for imaging systems
KR20200014112A (ko) 롤러블 표시장치
GB2428304A (en) Dual image projection system using separation mirror
KR20210011555A (ko) 폴더블 표시 장치
CN103930827A (zh) 成像路径散斑减轻
US8089692B2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60012308A (ko) 표시 장치
US20190041795A1 (en) Holographic display device
CN102033573B (zh) 显示装置及其滑动结构
KR102507176B1 (ko) 슬라이드 타입의 가변형 스크린
CN106842883B (zh) 全息显示装置
CN110209007B (zh) 反射式抗光投影屏幕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JP2008070749A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
CN113781910B (zh)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WO2022258064A1 (zh) 投影装置
JP2007079271A (ja) 表示スクリーン装置
US20030137641A1 (en) Multiple images from a single projector
US6324000B1 (en) Seam between adjacent visualization screens
CN114241913A (zh) 可弯折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230144694A1 (en) Display apparatus
JP2007127924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