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91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913A
KR20180088913A KR1020187020694A KR20187020694A KR20180088913A KR 20180088913 A KR20180088913 A KR 20180088913A KR 1020187020694 A KR1020187020694 A KR 1020187020694A KR 20187020694 A KR20187020694 A KR 20187020694A KR 20180088913 A KR20180088913 A KR 2018008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arrangement
power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954B1 (ko
Inventor
앤쏘니 마일즈
스티븐 휴스
Original Assignee
디에스티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티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디에스티 이노베이션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18Circuits comprising a photodet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3Dummy 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02F1/13324Circuits comprising solar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자체 전력공급 또는 부분적 자체 전력 공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자체에 통합될 수 있는 광전지 층을 이용하는 광전지 에너지 생성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층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광전지 층에 광을 분배하기 위한 광 수집 렌즈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통합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배열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열체 내에서 전력을 전달 및/또는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기구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상기 표시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에 부과되는 처리 및 계산 요구의 증가는 보다 크고 더 높은 해상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과 함께, 상기 장치에서 더 높은 전력 소비율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자체 전력 공급 또는 부분적인 자체 전력 공급을 위해 이들 전자 장치에 에너지 수집을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형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배열체로 모듈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체의 작동에 있어 더 큰 유연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자체에 일체로 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발광층 아래에 형성되는 광전지 층을 이용하는 광전지 에너지 생성을 통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자체 전원식 또는 부분적 자체 전력 공급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을 광전지 층에 분배하기 위한 집광 렌즈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광전지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자체 전원 공급식 또는 부분적 자체- 전원공급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충전식 전원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서 전기 전하를 전달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마치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방출되는 것처럼 청취자에게 들리는 사운드를 방출하는 사운드 방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들이 배열체로 배열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모든 디스플레이에 걸쳐 통합되거나, 사운드는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들에 걸쳐 동적으로 움직이거나, 통합 및 동적 사운드의 조합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배열체가 제공되며,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인접한 에지들은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 전력, 데이터 및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제거 가능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에 의해 함께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는 단지 예시적으로, 단지 도식적인 목적으로 제공되는 도면에 대한 설명이다. 다른 실시예도 청구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된 광전지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의 배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집광 렌즈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자체에 통합된 에너지 수확 광전지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배열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스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면과 보호 커버가 위로 향하는 도 7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의 소켓 내로 삽입하기 위한 블랭크 플러그의 상부, 측면 및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블랭크 플러그를 구성하는 부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의 상부, 하부 및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플러그 부분의 분해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함께 사용되는 비디오 입력 플러그의 저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상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비디오 입력 플러그의 분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각각 디스플레이 유닛 용 전력 입력 플러그의 저부, 정면, 배면 및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a 내지 도 15d의 전원 플러그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조립된 대형 포맷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각각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의 배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0은 대형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와 상호 작용하는 제어 단위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
도 1은 발광 디스플레이 층(2) 및 광전지 층(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광전지 층(3)은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의 발광 소자(4) 사이의 갭(5)을 통하여 광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자체 전원 공급 또는 부분적으로 자체 전원 공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되는 전원공급부에 대한 광전지 층(3)에 도달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4)는 발광 소자(4)를 연결하는 투명 회로를 포함하는 투명 기판(6) 상에 배열되어, 가능한 최대량의 입사광이 광전지 층(2)에 도달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 및 회로(6)는 투명 기판, 또는 반투명 기판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상기 회로는 투명, 반투명, 불투명일 수 있으며 또는 투명 반투명 및 불투명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및 회로(6)는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가요성 층으로서 제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판 및 회로(6)는 반-가요성 또는 비-가요성 부품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발광 소자(4)를 포함하는 발광 디스플레이 층(2) 대신에, 광 반사 디스플레이 층 및 광 반사 소자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은 광전지 층(3) 위에 위치된다. 집광 렌즈 시스템(7)은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의 발광 소자(4)들 사이의 갭(5)에 위치된 렌즈(8)의 배열체를 포함한다. 집광 렌즈(8)의 목적은 발광 소자(4) 사이의 갭(5) 아래의 영역보다는 전체 광전지 층(3)을 가로 질러 디스플레이 상에 입사하는 광선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은 기판(6)의 바닥면에 통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은 별도의 기판에 집적되고 장치 구조에서 광학적으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은 렌즈 패턴이 엠보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얇은 시트로 형성되고, 시트는 플라스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1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광 가이드 층(9)은 집광 렌즈 시스템(7)과 광전지 층(3)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광 가이드 층(9)은 가능한 한 많은 광이 그것이 수집되는 광전지 층(3)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 가이드 층(9)은 집광 렌즈 시스템(7) 위에 배치되어 가능한 한 많은 광을 광전지 층(3) 이전의 집광 렌즈 시스템(7)으로 지향시키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 및/또는 광 가이드 층(9)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광전지 층(3)은 투명 기판 및 회로(6)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광 가이드 층은 그 구조 내부의 광을 트래핑(trap)할 수 있고 소정의 위치로 채널링(channel)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 예를 들어 유리, 플라스틱 또는 투명 수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련의 원뿔형 광학 소자(10)가 발광 소자(4) 아래에 위치된다. 이러한 원뿔형 광학 소자(10)는 그 아래에 배치된 발광 소자(4)로부터의 입사광의 음영 효과를 감소 시키는데 사용되어, 입사광이 가능한 한 많은 광전지 층(3)에 도달 할 수 있게 한다.
보호층(1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광 디스플레이 층(2) 위에 위치된다. 이 보호층(11)의 목적은 전형적으로 물 및/또는 UV 방사선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발광 소자(4)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호 층(11)은 투명하며, 다른 실시예에서, 보호 층(11)은 반투명하다.
발광 디스플레이 층(2)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은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은 가요성 소자로써 제조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은 반 -가요성 또는 비 -가요성 소자로써 제조될 수 있다. 광전지 층(3)은 유기 광전지, 실리콘 광전지, 박막 광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전지 층(3)은 가요성 구성 소자로써 제조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광전지 층(3)은 반-가요성 또는 비-가요성 소자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이전에 도입된 집광 렌즈 시스템(7)의 작동을 도시한다. 발광 소자(4) 사이의 갭(5)에 입사한 입사 광선(12)은 집광 렌즈 시스템(7)의 집광 렌즈(8)에 의해 굴절된다. 렌즈(8)는 광전지 층(3)을 가로질러 외측으로 입사 광선(12)을 굴절시키는 발산 렌즈(diverging lens)로서 기능한다. 굴절 된 광은 광 가이드 층(9)에 의해 광전지 층(3)으로 이동되어 광전지 생성을 위해 흡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집광 렌즈 시스템(7)은 광선을 광전지 층(3)의 특정 영역 상에 집중시키는 수렴 렌즈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작은 광전지 셀의 배열체가 요구되어 적은 광전지 물질을 사용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발광 디스플레이 층(2) 및 광전지 층(3)을 포함하는 자체 전원 공 식 또는 부분 자체 전원 공급식 디스플레이 장치(14)에 대한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발광 디스플레이 층(2)은 충전식 전력 셀(16)에 번갈아 연결되는 제어 전자 장치(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전지 층(3)은 충전식 전력 셀(16)에 역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전자 장치(15)는 데이터 저장부, 마이크로 프로세싱 및 전력 관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작동시, 상기 제어 전자 장치(15)는 디스플레이 될 이미지 또는 이미지들에 대해 디스플레이(1)에 데이터 신호들을 전송한다. 동시에, 디스플레이(1)에 입사하여 디스플레이 층(2)을 통과하는 주변 광(12)은 광전지 층(3)에 흡수되어, 장치(14) 내의 충전식 전력 셀(16)을 충전하는 전력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전지 층(3)은 디스플레이(1)가 사용되지 않을 때 충전식 전력 셀(16)을 충전 할 수 있다. 자체 전원 공급식 또는 부분적 자기 전원 공급식 장치(14)는 가요성, 반-가요성 또는 비-가요성 재료일 수 있는 케이싱(17) 내에 수용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자체 전원 공급식 또는 부분적 자체 전원 공급식 디스플레이 장치(1)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디스플레이 유닛(18)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보호 층(11)과 광전지 층(3) 사이에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2)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충전식 전력 셀(16) 및 제어 전자 장치(15)에 연결된다. 제어 전자 장치(15)는 표시 층(2) 내의 발광 소자(4)의 배열체로 전송되며, 광전지 층(3)에 의해 수집된 에너지를 관리하며, 충전식 전력 셀의 충전 및 에너지 사용을 관리하는 정보를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또한 집광 렌즈 시스템(7), 광 안내 층(9) 및 원뿔형 광학 소자(10)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주변에 센서를 포함한다. 센서는 동일한 유형의 다른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18)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또한 근처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은 필요한 양의 데이터를 전달하기에 적합한 직접 또는 네트워크 무선 연결, 예를 들어 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연결에 의해 수행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를 형성하는 서로 다른 것과 무선 통신하되, 도 5는 4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예시적인 배열체(19)를 도시한다. 이들 디스플레이 유닛(18) 각각은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18) 간의 통신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시에 서로 상호작용한다. 각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주변에 있는 센서는, 예를 들어 전이의 전자기장을 검출함으로써, 근접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다른 공지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18) 각각에 대한 방향을 식별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2 유닛(18)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8)의 근접한 범위 내에 있을 때, 제 1 유닛(18)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18) 서로에 대한 그들의 방향에 기초한 가장 논리적인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8)간에 공유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8)이 서로 근접하게 될 때, 상이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에,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을 가로 질러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 두 세트의 데이터 사이에서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8) 또는 원격 제어기에 설정된 모드에 따라 하나의 세트가 우선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제 3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배열체에 포함되는 도 5에서와 같이, 더 많은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배열체에 도입될 때 동일한 프로토콜이 적용될 수 있다.
제 4 디스플레이 유닛(18)(도 5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배열체(19)에 가깝게 되면, 제 1, 제 2 및 제 3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의해 검출될 것이고,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모든 4 개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모두 상호 작용하므로 모두 4개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걸쳐서 분포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배열체(19)의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의해 검출되어 배열체(19)에 통합되는 데 필요한 거리는 프로그래밍 가능하며 시스템 관리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배열체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서 공유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추가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리소스는 또한 배열체(19)의 디스플레이 유닛(18) 사이에서 공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배열체(19)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18)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 디스플레이 유닛(18)상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다른 유닛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와 구별 될 수 있지만, 집합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일부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연계된다.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배열체(19)에 배열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닛(18)이 정확하게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 여전히 기능하는 유닛(18)은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가장 논리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재구성하게 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오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을 새롭게 적절하게 기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8)로 교체시에, 새로운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오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8) 처럼 동일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자동적으로 그 자체를 구성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유닛이 정확하게 기능하지 못하는 경우, 기술적 진단 신호 또는 리포트가 배열체(19)의 관리자에게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때, 유도 충전(inductive charge)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통해 전기 충전의 유선 또는 무선 교환을 위한 수단을 통해 서로 저장된 전하를 공유한다. 도 6은 이러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스택을 도시한다. 그러나, 저장된 전하는 도 5에서와 같이 배열체(19)에 배치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거나, 서로 근접하게 위치 될 때 임의의 다른 방향으로 공유될 수 있다. 단지 예시로서, 도 6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스택된 집합 내에서 마스터 유닛이 할당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프로세스는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도 5의 배열체와 같은 배열체로 배열될 때 발생하거나 또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 될 때 임의의 다른 배향으로 발생한다. 마스터 유닛에 근접한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자신을 마스터 유닛에 대해 식별할 것이고; 마스터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18) 사이의 전기 전하 교환을 지시함으로써 각 디스플레이 유닛에 저장된 전하를 관리하게 되어, 소정의 시간 이후에, 집합체 내의 각 디스플레이 유닛은 대략 동일한 수준의 전하를 포함하게 된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저장된 전하는 광전지 층(3)에서의 광전지 전력 생성을 통해 수집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저장된 전하는 외부 전원에 의해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저장된 전하는 광전지 전력 생성 및 외부 전원의 조합에 의해 공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터 유닛(18)은 메인 파워 서플라이와 같은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충전될 수 있고, 각 디스플레이 유닛(18)이 완전히 충전될 때까지 일괄적으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들 각각으로 전기 전하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청취자의 관점에서 사운드가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정면으로부터 직접 전달되도록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설계된 사운드 방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방출 유닛은 종래의 스피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8)에 통합된 비교적 얇은/평평한 스피커일 수 있다.
2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이 도 5에서 처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열체로 배열되는 실시예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통합 사운드로서 양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출된 사운드는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을 가로 질러 움직일 수 있는 사운드를 동적으로 배열하도록 각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사운드 및 동적으로 배열된 사운드의 조합이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로부터 방출된다. 방출된 사운드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어 전자 장치(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연결 구성
도 7 내지 도 20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연결 장치가 도시된다. 도 7a, 도 7b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에지에 인접한 배면 상에 위치된 2 개 이상의 측면들 각각 상에 결합된 전력과 데이터 소켓(3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전면(31)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보호하도록 설계된 보호 그리드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 그리드는 또한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표면(3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에너지를 수집하기 위한 광전지 층을 포함하거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소켓(30)은 연결 마운트(36), 데이터 연결 소켓(37) 및 전원 연결 소켓(38)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연결 소켓(37)은 HDMI, USB 또는 다른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마운트(36)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를 수용하고 데이터 및 전력 연결 소켓(37, 38)과 플러그를 정렬하도록 배열된다.
각각의 소켓(30)은 양호한 체결 및 내습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소켓(30)의 주위 둘레에 밀봉을 제공하는 방수 가스켓(33)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34)은 내부 전자 부품을 위한 방수 보호 커버를 제공한다. 가압 체결 또는 나사 체결과 같은 체결부(35)는 각 모서리 또는 그 근처에서 배면 상에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유닛(18)을 장착 브라켓(80)에 또는 프레임에 직접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소켓(30)을 먼지 및/또는 액체 침입으로부터 밀봉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 소켓(30) 내로 삽입하기 위한 블랭크 플러그(40)를 도시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크 플러그(40)의 외측면은 블랭크 플러그(40)의 삽입 및 추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그립부(41)를 도시한다.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 섹션(42)은 소켓(30)의 에지에 대해 밀봉한다. 비-도전성 핀(43)은 전력 연결 소켓(38)에 끼워져서 액체 침투에 대한 추가적인 장벽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블랭크 플러그(40) 내의 블랭크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미도시)가 데이터 연결 소켓(37)에 끼워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크 플러그(40)는 함께 조립된 본체 부(45)와 가스켓부(42)를 포함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인접한 소켓(30)을 가로 질러 그리고 그 사이에 끼워져서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 사이에 데이터 및 전력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 플러그(50)를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 플러그(50)는 인접한 소켓(30)의 둘레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플러그 커버(51) 및 가스켓(52)을 포함한다. 하나의 소켓(30)의 전력 연결 소켓(38)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전력 커넥터 핀(54a)은 다른 인접한 소켓(30)의 전력 연결 소켓(38)에 연결하기 위하여 제 2 전력 커넥터 핀(54b)에 대하여 커넥터 플러그(50) 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소켓(30)의 데이터 접속 소켓(37)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53a)(예를 들어, HDMI 플러그)는 커넥터 플러그(50) 내에서 다른 인접한 소켓(30)의 데이터 접속 소켓(37)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전력 커넥터 플러그(53a)(예를 들어, HDMI 플러그)에 상호 접속된다. 따라서, 인접한 소켓들(30) 간의 전력 및 데이터 연결이 커넥터 플러그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은, 커넥터 플러그(50)가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견고한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유닛(18)을 대형 배열체(19)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안전하고 쉬운 방법을 제공하며 배열체(19)에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한다.
도 12는 플러그 커버(55), 전원 커넥터 핀(54a, 54b) 및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53a, 53b)가 접속되는 회로 기판(56), 전기적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메인 본체(56) 및 커넥터 플러그(50)(50)를 액체 침투로부터 보호하는 가스켓(57)을 포함하는 커넥터 플러그의 소자를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비디오 소스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배열체(19)에 데이터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배열체(19)의 에지에서 소켓(30) 중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 플러그(60)를 도시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 플러그(60)는 커버(61), 소켓(30)의 주변에 대해 밀봉하는 가스켓(62),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64) 및 전력 커넥터 핀(63)을 포함한다. 케이블 구멍(65)은 외부 소스에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64)에 연결되는 외부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전력 커넥터 핀(63)은 비-도전성 블랭크 핀이거나, 데이터 입력 플러그가 전력 입력 플러그로서 기능하는 경우 도전성 핀일 수 있다.
도 14는 커버(61), 데이터 커넥터 플러그(64)가 접속되는 회로 기판(66), 메인 본체(67) 및 가스켓(62)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플러그(6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15a 내지 15d는 외부 파워서플라이 로부터 배열체(19)로의 전력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소켓들(30) 중 하나에 연결하기 위한 전력 입력 플러그(70)를 도시한다. 상기 전력 입력 플러그(70)는 커버(71), 소켓(30)의 주변에 대해 밀봉하기 위한 가스켓(72), 및 전력 커넥터 핀(73)을 포함한다. 케이블 구멍(75)은 전력 커넥터 핀(7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 전원 케이블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도 16은 커버(71), 전원 커넥터 핀이 연결된 회로 기판(76), 메인 본체(77) 및 가스켓(62)을 포함하는 전력 입력 플러그(7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인접한 측면의 각각의 소켓(30)을 가로 질러 커넥터 플러그(50)와 상호 연결된 3 x 2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를 포함하는 대형 포맷 디스플레이를 도시한다. 상기 배열체의 에지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외측상에서, 상기 소켓(30)은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입력 플러그(60)를 수용하는 하나의 소켓(30) 및 전력 입력 플러그(70)를 수용하는 다른 소켓(30)을 제외하고 블랭크 플러그(40)를 사용하여 밀봉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측상의 하나의 소켓(30)은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입력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유닛(18)은 구조적 무결성, 빠르고 용이한 조립, 안전하며 플러그 앤 플레이 기능, 및/또는 유지 보수를 위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플러그를 사용하여 배열체(19)에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복수의 아암(81)이 고정된 메인 본체(8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을 위한 장착 브라켓(80)을 도시한다. 각각의 아암(81)은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면상의 대응하는 체결부(35)에 부착하기 위한 구멍 또는 다른 수단을 갖는다.
상기 메인 본체(83)는 안정성을 제공하는 견고한 중공 구조를 갖는다. 메인 본체(83)는 배열체(19)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바아(90)를 수용하는 공동(84)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바아(90)는 공동(84) 내에 밀접하게 체결되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멍(82)은 메인 본체(83)의 배면을 통하여 제공되며, 그로부터 파지 스크류(미도시)가 지지 바(90)를 파지하고 장착 브라켓(80)을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메인 본체(83)는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식 전력 팩을 수용하기 위한 또다른 공동(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5 × 4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를 도시하며, 각각은 이에 부착되는 장착 브라켓(80)을 구비한다. 지지 바(90)는 장착 브라켓(80)을 통과하여 배열체(19)에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 바(90)는 압출 된 알루미늄일 수 있다.
충전식 전력 팩이 하나 이상의 장착 브라켓(8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전력 입력 플러그(70)를 통해 배열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열체(1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유닛(18)을 관련 장착 브라켓(80)으로부터 해제함으로써,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개별 디스플레이 유닛(18)를 제거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장착 브라켓 사이의 연결은 원격으로 제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래칭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어될 수 있어서, 상기 배열체(19)의 후면에 접근할 필요가 없다.
연결 구성은 상술된 플러그 및 소켓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인 연결 구성에서, 상기 소켓(30)은 대신 플러그로서 배열될 수 있고, 커넥터 플러그(50), 블랭크 플러그(40), 전력 입력 플러그(70) 및 데이터 입력 플러그(60)는 대신 소켓으로서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켓(30) 내에서 데이터 연결 소켓(37)은 대신에 데이터 접속 플러그로서 배열될 수 있고, 또는 전력 연결 소켓(38)은 대신 플러그 또는 핀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지만, 정삼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른 바둑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함께 연결되어 필요한 형상의 배열체(19)를 형성하는 상이한 형상 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디스플레이 유닛(18) 사이에 갭을 남겨 둘 수 있지만, 바둑판 형태로 되지 않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관은 특정 적용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력 입력 플러그(70)가 예를 들어 더 높은 전력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배열체(19)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교대로 또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다수의 비디오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데이터 입력 플러그(60)가 배열체(19)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Wi-Fi 또는 이더넷), 직접 무선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메모리 저장, 동작 검출 등을 제공하기 위해, 대체 타입의 입력 플러그가 제공 될 수 있다. USB와 유사한 플러그 앤 플레이 구성에서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에 연결할 수 있다.
플러그의 다른 형태가 비평면 연결, 예를 들어 각진 연결 또는 직각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1은 제어 단위(20)가 디스플레이 유닛(18) 또는 배열체(19) 내의 디스플레이 유닛(18)과 상호 작용하여 장치(들)의 온 또는 오프 스위칭, 장치의 스케줄링 기능, 장치의 사전 설정된 스케쥴 제어 및 수정, 장치에 디스플레이 정보 전송, 장치(들)로부터 정보 수신 등을 포함 할 수 있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21)과 같은 제어 단위(20),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의 위치에서 컴퓨터 시스템(22)으로부터 직접, 또는 인터넷(23)으로부터의 통싱에 의해 제어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8)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에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는 암호화된 명령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8)의 배열체(19)로 전달된 암호화된 정보는 그들이 수행해야 하는 기능의 단위뿐만 아니라 상기 기능을 수행할 시기를 지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반원형, 1/4 원형, 삼각형 및 그 밖의 것들과 같은 많은 상이한 물리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할 수 있는 대안적인 실시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8: 디스플레이 유닛
19: 디스플레이 배열체
30: 포트
33: 시일
50: 커넥터
57: 가스켓

Claims (66)

  1. 인접한 에지에서 서로 연결된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8)을 포함하고, 각각의 인접한 상기 에지는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를 구비하되, 상기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 사이에 전력, 데이터 및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는 제거가능한 전력 및 데이터 커넥터(5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0)는 제 1 디스플레이 유닛과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에 실질적으로 견고한 기계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18)의 포트(30) 사이에서 연장되는 하우징(51, 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3)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의 후방면 내부 또는 후방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유입을 막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50) 및 상기 포트(30) 사이에 시일(3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각각의 상기 포트(30) 주위에 가스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상기 커넥터(50) 주위에 가스켓(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50)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포트(30)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포트(3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전력 포트(38) 및 데이터 포트(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포트(37)는 HDMI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 1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 2 디스플레이 유닛(18)은 추가적인 유사한 디스플레이 유닛(18)에 대한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에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는 블랭크 커넥터(40)에 의해 밀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는 상기 배열체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커넥터(7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18)에 연결되지 않은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결합된 전력 및 데이터 포트(30)는 상기 배열체에 데이터을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터 커넥터(70)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 중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장착 브라켓(8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8)은 대응하는 장착 브라켓(80)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80)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열체에 구조적 일체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80)은 복수의 장착 브라켓(80)를 통하여 연장되는 바(9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브라켓(80) 중 하나는 상기 배열체(19)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 전원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배열체(19).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50).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열체의 커넥터(50).
  21. 제 11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열체의 블랭크 커넥터(40).
  22. 제 12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열체의 전력 커넥터(70).
  23. 제 13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배열체의 데이터 커넥터(60).
  24. i) 광이 통과하게 하는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 및
    ii) 광전지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광전지 층은 통과하는 광을 수용하기 위하여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광을 수집하여 상기 광전지 층에 광을 분배하기 위하여 집광 렌즈 시스템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렌즈 시스템은 상기 광전지 층 위로 굴절된 광을 분산시키는 발산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렌즈 시스템은 상기 광전지 층 상으로 굴절된 광을 집속하는 수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지 층은 적어도 하나의 광전지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 24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 또는 광반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또는 반사 소자는 기판 상에 인쇄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연결 회로의 투명 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인쇄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연결 회로의 투명 및 불-투명 소자는 상기 기판 상에 인쇄되거나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 29 항 내지 제 3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 렌즈 시스템은 상기 발광 또는 반사 소자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집광 렌즈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 2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안내 층은 상기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 및 광전지 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 2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원뿔형 광학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또는 반사 소자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 24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또는 반사 디스플레이 층 위에 보호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 24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지 층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상기 장치의 충전식 전력 셀을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 24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지 층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상기 장치에 자체 전원을 공급하거나 부분적으로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 24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 24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요성 소자를 적용함으로써 가요성을 가지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 24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유닛.
  44. 제 43 항에 있어서,
    충전식 전력 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전력 셀은 광전지 전력 발생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흐는 디스플레이 유닛.
  46.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을 탐지하는 센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8. 제 46 항 또는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수단은 인접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하여 그 자체를 배향시키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49. 제 43 항 내지 제 4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다른 유사한 디스플레이 유닛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50. 제 44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된 전하를 유사한 디스플레이 유닛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51. 제 43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취자의 관점으로부터 사운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직접 전달되도록 사운드를 방출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사운드 방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52. 제 43 항 내지 제 5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로 무선 통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4. 제 52 항 또는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부에 위치된 센서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하여 배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5. 제 52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정보는 상기 배열체의 모든 디스플레이 유닛 간에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6. 제 55 항에 있어서,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에 인접하게 배치될 때, 제 1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2 디스플레이 유닛에까지 공유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7. 제 52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에 위치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을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에 부가하여, 상기 배열체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유닛 간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상에 표시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공유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8. 제 55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디스플레이 정보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의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 상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구별되지만, 수집된 정보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정보와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59. 제 55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하나 이상의 인간에 의해 시각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림, 텍스트, 동영상, 컬러 패턴 또는 다른 유형의 정보와 같은 인간이 판독할 수 있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0. 제 52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정확하게 작동하는데 실패한 경우, 상기 배열체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별도의 제어 유닛의 프로그래밍 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 정보를 재구성하도록 프로그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1. 제 52 항 내지 제 60 항에 있어서,
    마스터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열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 간에 무선 전하 이동에 의해 저장된 전하의 분포를 관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디스플레이 유닛은 소정의 시간 이후에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열체의 모든 디스플레이 유닛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전하를 가지게 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간에 저장된 전하의 전송을 관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3. 제 52 항 내지 제 58 항, 제 60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51 항을 직, 간접적으로 인용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방출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사운드는 모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통합된 사운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4. 제 52 항 내지 제 58 항, 제 60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51 항을 직, 간접적으로 인용할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운드 방출 유닛으로부터 방출된 사운드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배열체의 디스플레이 유닛 간의 디스플레이 정보의 이동에 대응하는 다른 사운드를 전송하도록 동적으로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5. 제 43 항 내지 제 52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제 52 항 내지 제 58항, 제 60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는 외부 제어 단위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제어 단위는 외부 제어 단위와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간에 전달된 정보를 암호화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열체.
KR1020187020694A 2015-12-18 2016-12-19 타일 배열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가 동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6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22381.1A GB2545490A (en) 2015-12-18 2015-12-18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GB1522381.1 2015-12-18
PCT/GB2016/053985 WO2017103622A2 (en) 2015-12-18 2016-12-19 Display device and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913A true KR20180088913A (ko) 2018-08-07
KR101946954B1 KR101946954B1 (ko) 2019-02-12

Family

ID=5531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694A KR101946954B1 (ko) 2015-12-18 2016-12-19 타일 배열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가 동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88028B2 (ko)
EP (2) EP3268951B1 (ko)
JP (1) JP7102349B2 (ko)
KR (1) KR101946954B1 (ko)
CN (1) CN109074769B (ko)
GB (1) GB2545490A (ko)
RU (1) RU2685056C1 (ko)
WO (1) WO20171036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08A (ko) * 2018-12-28 2020-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9815B (en) 2017-12-29 2021-12-01 Francisca Jones Maria Display apparatus
GB2604816B (en) * 2017-12-29 2023-01-18 Francisca Jones Maria Display apparatus
KR102464234B1 (ko) * 2018-02-28 202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50122B1 (ko) * 2019-05-27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110197629A (zh) * 2019-07-04 2019-09-03 深圳市齐普光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拼接led显示屏
TWI719721B (zh) * 2019-11-20 2021-02-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拼接顯示器及其製造方法
CN214587724U (zh) * 2020-11-26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屏
USD999176S1 (en) * 2021-07-29 2023-09-19 Ohc Ip Holdings, Llc Outdoor electronics enclosure
CN113516923B (zh) * 2021-07-29 2022-10-04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屏拼接装置以及拼接显示装置
US11470731B1 (en) * 2021-08-10 2022-10-11 H2Vr Holdco, Inc. Video display panel mounting and aligning system and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07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71973A1 (en) * 2011-11-03 2013-10-17 Cirrus Systems, Inc. Modular variable presentation system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5342B1 (en) * 1996-04-15 2001-01-16 Aadco, Inc. Enhanced modular message board
JPH09292841A (ja) * 1995-12-28 1997-11-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ランプ装置,表示ユニット,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大形表示装置
US5986622A (en) 1996-05-24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Panel display of multiple display units for multiple signal sources
US6611241B1 (en) 1997-12-02 2003-08-26 Sarnoff Corporation Modular display system
JP2000330487A (ja) 1999-05-24 2000-11-30 Sony Corp Led集合ランプ、専用ソケット、及び大画面表示装置
EP1513060A1 (en) 2003-09-08 2005-03-09 Barco N.V. Large-area display system, modular unit used therei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display
US6967700B2 (en) * 2003-11-03 2005-11-22 Motorola, Inc. Sequential full color display and photocell device
US20050134526A1 (en) 2003-12-23 2005-06-23 Patrick Willem Configurable tiled emissive display
US7108392B2 (en) 2004-05-04 2006-09-19 Eastman Kodak Company Tiled flat panel lighting system
US20060077126A1 (en) 2004-09-27 2006-04-13 Manish Kothari Apparatus and method for arranging devices into an interconnected array
JP2009543279A (ja) 2006-06-27 2009-12-0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大面積照明
US7948450B2 (en) 2006-11-09 2011-05-24 D3 Led,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display modules to communicate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to other display modules in the same display panel
US20080165082A1 (en) 2007-01-05 2008-07-10 Manico Joseph A Function enhancing array for multi-frame display system
US7965257B2 (en) 2007-05-14 2011-06-21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Configurable imaging system
US7961157B2 (en) 2007-05-14 2011-06-14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Configurable imaging system
EP2037438A1 (en) 2007-09-13 2009-03-18 Dmitrijs Volohovs Display module configuring a large-scale see-through display
CN101408291A (zh) 2007-10-11 2009-04-15 富士迈半导体精密工业(上海)有限公司 光源模组及相应的光源装置
WO2009052326A2 (en) * 2007-10-19 2009-04-23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Display with integrated photovoltaics
US8922458B2 (en) 2007-12-11 2014-12-30 ADTI Media, LLC Data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a large scale display
US8558755B2 (en) 2007-12-11 2013-10-15 Adti Media, Llc140 Large scale LED display system
KR20090063692A (ko) 2007-12-14 2009-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기능 디스플레이 장치
RU114211U1 (ru) * 2008-11-10 2012-03-10 Пикс2о Корпорейшн Портативный светодиодный дисплей с большим экраном
JP2012508402A (ja) * 2008-11-10 2012-04-05 ピックス2オ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大画面携帯型ledディスプレイ
JP5680936B2 (ja) 2009-11-30 2015-03-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用モニタ装置
KR101036213B1 (ko) * 2010-01-26 2011-05-20 광주과학기술원 발광소자와 태양전지 성능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CA2794049A1 (en) 2010-03-17 2011-09-22 Jerry Moscovitch Linkable electronic display devices
JP3160260U (ja) 2010-04-08 2010-06-17 有限会社Kik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US8194197B2 (en) * 2010-04-13 2012-06-05 Sharp Kabushiki Kaisha Integrated display and photovoltaic element
US8675028B2 (en) 2010-04-19 2014-03-18 Craig P. Mowry Display system and device with sustainable power generation
US8947415B1 (en) 2010-04-19 2015-02-03 Green Display LLC Display system and method
TWI406036B (zh) * 2010-06-28 2013-08-21 Au Optronics Corp 光電池整合液晶顯示器及光電池整合平面顯示器
JP2013029773A (ja) 2011-07-29 2013-02-07 Bridgestone Corp 情報表示ボードおよびそれに用いる情報表示用パネル
CA2750668A1 (en) * 2011-08-26 2013-02-26 Archie Gillis Modular computer units
US8963803B2 (en) 2011-09-30 2015-02-24 Apple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 displayed on multiple devices in an array
US8640369B2 (en) 2011-10-20 2014-02-04 Brysart Associates L.L.C. Portable digital display
KR20130056999A (ko) * 2011-11-23 2013-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093009B2 (en) 2013-02-04 2015-07-28 Stramos Oy Display module
GB2511549B (en) 2013-03-07 2020-04-22 Plastic Logic Ltd Tiled Displays
DE102013113001B4 (de) 2013-09-13 2018-05-24 Osram Oled Gmbh Modul und Anordnung mit einem Modul
GB2515845A (en) 2013-10-04 2015-01-07 Lightgeist Ltd Pixel unit
US9195281B2 (en) * 2013-12-31 2015-11-24 Ultravisio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modular multi-panel display
US9727896B2 (en) * 2014-03-13 2017-08-08 Johnnie E. Richardso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acilitating mobile communications
US10030853B2 (en) * 2014-06-13 2018-07-24 Martin Professional Aps. LED screen comprising spring retainers for LED modules
US9477438B1 (en) 2015-09-25 2016-10-25 Revolution Display, Llc Devices for creating mosaicked display systems, and display mosaic systems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8007A (ko) * 2010-06-18 2011-12-26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271973A1 (en) * 2011-11-03 2013-10-17 Cirrus Systems, Inc. Modular variable presentation system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108A (ko) * 2018-12-28 2020-07-08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안전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8951B1 (en) 2018-12-19
CN109074769B (zh) 2021-06-04
WO2017103622A2 (en) 2017-06-22
JP7102349B2 (ja) 2022-07-19
KR101946954B1 (ko) 2019-02-12
EP3268951A2 (en) 2018-01-17
GB2545490A (en) 2017-06-21
CN109074769A (zh) 2018-12-21
US11288028B2 (en) 2022-03-29
US20190196773A1 (en) 2019-06-27
GB201522381D0 (en) 2016-02-03
EP3385939A1 (en) 2018-10-10
WO2017103622A3 (en) 2017-08-03
RU2685056C1 (ru) 2019-04-16
EP3385939B1 (en) 2021-01-20
JP2019512748A (ja)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954B1 (ko) 타일 배열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자가 동력 디스플레이 장치
CN111258444B (zh) 电子面板和包括该电子面板的电子装置
KR20190132602A (ko)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117776A (ko) 자기 체결 장치를 포함하는 모듈식 조명 유닛
EP3754740A1 (en) Electronic panel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4393533U (zh) 衬底拾取工具和用于捕获异质衬底的轮廓的系统
US11402899B2 (en) Electronic apparatus
CN112905040A (zh) 电子装置
CN209056218U (zh) 显示屏与电子设备
US20160140882A1 (en) Assembly of multiple flexible displays
CN104583665A (zh) 模块化led阵列网格和用于提供这样的模块化led阵列网格的方法
US20160270220A1 (en) Electronic apparatus
CN211017070U (zh) 装饰装置及车辆
TWI818069B (zh) 輸入感測單元及包含其之顯示裝置
CN201749639U (zh) 一种立体显示器
KR101928878B1 (ko) 엑스선 검출 장치
KR101063928B1 (ko) 전선 장착형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6858A (ko) 3d 엘이디 디스플레이 큐브 장치
CN104136833B (zh) 灯具元件
KR100968381B1 (ko) 엘이디 패키지 유닛을 이용한 전광판 장치
KR101203168B1 (ko) 투영화 시스템에 사용하는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CN206671755U (zh) 三维成像系统及用于为基于光度立体视觉的移动终端提供光源的插件
CN104123889B (zh) 一种立体灯式建筑运输车辆车牌
JP2017068632A (ja) 電子機器
CN101377273A (zh) 一种led灯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