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683A - 안경 렌즈 및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 및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683A
KR20180088683A KR1020187018017A KR20187018017A KR20180088683A KR 20180088683 A KR20180088683 A KR 20180088683A KR 1020187018017 A KR1020187018017 A KR 1020187018017A KR 20187018017 A KR20187018017 A KR 20187018017A KR 20180088683 A KR20180088683 A KR 20180088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lens
blue light
spectacle
eye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8582B1 (ko
Inventor
히토시 가무라
요이치 오고
요시타카 마츠이
겐지 다카시바
Original Assignee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야 렌즈 타일랜드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88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3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ultraviol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4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having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purposes other than sun-prot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7Interference 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8Colouring materials

Abstract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고,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20.0%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2.0% 미만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경 렌즈 및 안경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3월 31일 출원된 일본 특원 2016-0727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기재는 여기에 특히 개시로서 원용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디지털 기기의 모니터 화면은 브라운관으로부터 액정으로 바뀌고, 최근에는 LED 액정도 보급되고 있지만, 액정 모니터, 특히 LED 액정 모니터는 청색광이라고 불리는 단파장 광을 강하게 발광한다. 그 때문에,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때에 생기는 안정피로나 눈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400~500㎚의 파장역의 광 또는 이 파장역 부근의 광이 청색광이라고 불린다.
상기의 점에 관해서,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13-8052호 공보에는, 파장 400~450㎚의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플라스틱 기재의 볼록면 상 및 오목면 상에 가지는 광학 물품이 제안되고 있다.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안경 렌즈에 있어서, 일본 특개 2013-80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렌즈 기재의 양면에 청색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가지는 다층막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으로, 안경 렌즈에는 안경 착용자가 양호한 착용감을 가지고 사용 가능한 것, 및 외관이 양호한 것도 요망된다. 그런데, 안경 렌즈 양면에서의 청색광의 반사율을 높일수록 안경 렌즈를 통해서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양을 저감시킬 수 있지만, 안경 렌즈의 착용감 및 외관은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본 개시)의 일 태양은,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 가능함과 함께, 착용감 및 외관이 양호한 안경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렌즈 기재와,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고,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20.0%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視感) 반사율은 2.0% 미만인 안경 렌즈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열심히 검토를 거듭한 결과, 상기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를 새롭게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 및 안구측 표면 상에 각각 다층막을 가진다. 즉, 안경 렌즈의 양면에 다층막을 가진다. 그리고,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하, 「청색광 반사율」이라고도 함)이 10.0~20.0%의 범위이다. 이것에 의해, 상기 안경 렌즈는 그 양면에서 각각 청색광을 높은 반사율로 반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안경 렌즈의 양면에 다층막을 형성하여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달성하려고 하면, 얻어지는 안경 렌즈는 착용감 및 외관이 뒤떨어지는 것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은, 고스트라고 불리는 이중상이 발생하는 것, 및 안경 렌즈의 양면에 반짝임이 발생하는 것이 이유였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고, 또한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다. 이것에 의해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자세한 것은 더 후술한다.
또, 착용감 및 외관에 관해서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발생은 안경 렌즈의 외관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안경 착용자에 대향한 제3자가 안경 착용자의 외관에 위화감(부자연스러운 반사)을 느끼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또,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발생은 안경 착용자가 느끼는 착용감이 저하되는(부자연스러운 반사를 느끼는) 원인이 된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 양면에서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양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이 각각 2.0% 미만이다. 이것에 의해,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의 반짝임 및 안구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발생을 각각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가지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고, 게다가 착용감 및 외관이 양호한 안경 렌즈 및 이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는 참고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비교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비교예 2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3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은 비교예 3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은 비교예 4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4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5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6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7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8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4는 실시예 9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안경 렌즈]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와,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고,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20.0%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2.0% 미만이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의 정의 및/또는 측정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물체측 표면」이란,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물체측에 위치하는 표면이고, 「안구측 표면」이란, 그 반대, 즉 안경 렌즈를 구비한 안경이 착용자에게 착용되었을 때에 안구측에 위치하는 표면이다.
「청색광 흡수율」이란, 안경 렌즈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하고,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분광 광도계에 의해서 파장 380㎚~500㎚의 파장역에서의 투과율 및 반사율을 측정한다. 본 발명 및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반사, 투과 또는 흡수를 구하는 측정광은 직입사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의 투과율 및 반사율은 직입사광에 대한 투과율 및 반사율이다. 또, 측정은 광학 중심에서 실시한다.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측정에 있어 측정 파장 간격(피치)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5㎚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투과율에는 입사광 중에서 안경 렌즈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성분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안경 렌즈가 흡수한 광과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 표면에서 반사되어 렌즈 내에 입사하고 있지 않는 광도 분광 광도계에 의한 측정에서는 투과량의 감소로서 관측된다. 여기서, 반사의 영향을 뺀 파장 λ㎚에서의 투과율 τ*(λ)를 하기 식 1에 의해 산출한다.
(식 1)
Figure pct00001
(식 1 중, τ(λ)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파장 λ㎚에서의 투과율이며, R(λ)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파장 λ㎚에서의 반사율이다.)
산출된 투과율 τ*(λ)을 이용하여,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 ab를 하기 식 2에 의해 산출한다.
(식 2)
Figure pct00002
식 2 중, WB(λ)는 가중 함수이며, 하기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식 3 중, E(λ)는 태양광의 분광 방사 조도이며, B(λ)는 블루라이트 위험성(blue-light hazard) 함수이다. E(λ), B(λ) 및 WB(λ)는, JIS T 7333 부속서 C에 기재되어 있다. E(λ), B(λ) 및 WB(λ)를 이용해 값을 산출하는 경우, 분광 광도계에 의한 측정은, 적어도 380㎚에서 500㎚까지, 380㎚, 385㎚, 390㎚…로 5㎚ 피치로 500㎚까지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렇게 하여 5㎚ 피치로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식에 의해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 ab를 구하는 것으로 한다.
(식 3)
Figure pct00003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이란, 400~500㎚의 파장역에 흡수를 가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파장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및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파장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각 표면에서 분광 광도계를 이용해 파장 400~500㎚의 파장역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의 산술 평균이다. 측정에 있어서, 측정 파장 간격(피치)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5㎚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시감 반사율」이란, JIS T 7334:2011에 따라 측정되며, 후술하는 「시감 투과율」이란, JIS T 7333:2005에 따라 측정된다.
후술하는 「청색광 커트율」이란, 하기 식 4에 의해 구해진다.
(식 4)
청색광 커트율 Cb = 1 - τb
식 4 중, τb는 일본 의료용 광학기기 공업회의 규격에 규정되어 있는 눈에 유해한 청색광의 가중 투과율이며, 하기 식 5에 의해 산출된다. 식 5 중, WB(λ)는 상기 식 3에 의해 산출된다. τ(λ)는 분광 광도계에 의해 측정되는 파장 λ㎚에서의 투과율이다. 따라서, 청색광 커트율 Cb에는 흡수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과 반사에 의한 청색광의 커트율이 합산되어 있다.
(식 5)
Figure pct00004
이하에, 상기 안경 렌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사 특성>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청색광 반사율))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20.0%의 범위이며, 또한 안경 렌즈의 안경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10.0~20.0%의 범위이다. 안경 렌즈의 양면에 있어서, 각각 10.0% 이상의 청색광 반사율을 가지는 안경 렌즈에 의하면, 청색광이 눈에 주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안경 렌즈에서는 안경 렌즈 양면에서 청색광의 반사율을 높이려고 하면, 안경 렌즈의 착용감 및 외관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 양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이 각각 10.0~20.0%로 높고, 또한 양호한 착용감 및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높은 청색광 반사율과 양호한 착용감 및 외관을 함께 실현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일 태양에서는, 청색광이 눈에 주는 영향을 보다 한층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2.0% 초과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13.0%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14.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고, 15.0%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일 태양에서는, 청색광이 눈에 주는 영향을 보다 한층 저감시키는 관점에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도 10.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0% 초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2.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2.0% 초과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13.0% 이상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14.0% 이상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고, 15.0% 이상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한편,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안경 렌즈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20.0% 이하이며,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도 20.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보다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상기 안경 렌즈에 있어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5%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7.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16.0%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고, 14.0%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일 태양에서는, 보다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는 관점에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5% 이하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7.0%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고, 16.0% 이하인 것이 더욱 한층 바람직하며, 15.0% 이하인 것이 보다 더 한층 바람직하고, 14.0%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과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동일한 값이어도 되고, 상이한 값이어도 된다. 상이한 값인 경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보다 커도 되고, 작아도 된다.
(시감 반사율)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양면에 있어서, 각각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나타낸다. 이것에 의해 청색광이 눈에 주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 점에 관하여 본 발명자들은 검토를 거듭하는 가운데, 종래의 다층막의 막 설계에서는, 청색광 반사율을 높일수록 착용감 및 외관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반짝임이 현저하게 되는 이유는, 청색광의 파장역에 장파장측에서 인접하는 파장역에 있는 소위 녹색광의 반사율이 상승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청색광 반사율이 10.0~20.0%의 범위에서 녹색광의 반사율 상승을 억제한다고 하는, 종래와는 상이한 막 설계를 실시함으로써, 시감 반사율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10.0~20.0%의 범위의 청색광 반사율을 나타내는 물체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발생, 및 10.0~20.0%의 범위의 청색광 반사율을 나타내는 안구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발생을, 함께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착용감 및 외관 품질의 저하의 원인이 되는 반짝임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안경 렌즈에 의하면, 청색광에 의한 눈에 대한 부담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착용감 및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외관 품질 저하로 이어지는 물체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추가적인 억제의 관점에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착용감 저하로 이어지는 안구측 표면에서의 반짝임의 추가적인 억제의 관점에서, 안경 렌즈의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 및 안구측 표면에서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각각 예를 들어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0.4% 이상 또는 0.5% 이상일 수 있지만, 상기 값은 예시로서, 이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
상기 안경 렌즈는, 이상 설명한 반사 특성을 갖고, 또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인 안경 렌즈이다. 안경 렌즈 양면에서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가짐과 함께, 안경 렌즈의 청색광이 10.0% 이상임으로써, 고스트라고 불리는 이중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간단하게 안경 렌즈 양면에서 청색광 반사율을 높일 뿐에서는, 고스트의 발생에 의해서 착용감이 저하해 버린다.
고스트의 주된 발생 원인은,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에서 반사되지 않고 렌즈에 입사한 청색광이, 안경 렌즈 내부에서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가지는 안구측 표면 및 물체측 표면의 사이에서 다중 반사하는 것에 기인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임으로써, 양면에서 청색광 반사율을 높인 안경 렌즈에 있어서의 고스트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다중 반사를 가져오는 청색광이 안경 렌즈 내부에서 많이 흡수됨으로써, 다중 반사에 의해 결상되는 이중상이 시인되는 강도를 내릴 수 있든지, 또는 시인되지 않을 만큼 강도를 내릴 수 있다는 것에 따르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고스트 발생을 더욱 억제하는 관점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은,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4.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며, 15.5% 이상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은, 예를 들어 40.0% 이하, 30.0% 이하, 28.0% 이하 또는 25.0% 이하일 수 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고스트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예시한 값을 웃돌아도 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렌즈 기재에 포함한다. 이것이 안경 렌즈가 10.0% 이상의 높은 청색광 흡수율을 나타내는 것에 기여한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에 대해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상기 안경 렌즈에 포함되는 다층막, 렌즈 기재 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층막>
상기 안경 렌즈는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 및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한다. 상기 다층막은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직접 위치해도 되고, 1층 이상의 다른 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렌즈 기재의 표면 상에 위치해도 된다.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층으로는, 예를 들어 편광층, 조광층, 하드 코트층(이하, 「하드 코트」라고도 기재함)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의 내구성(강도)을 높일 수도 있다. 하드 코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5~0028, 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렌즈 기재와 상기 다층막 사이에는, 밀착성 향상을 위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12-128135호 공보의 단락 0029~0030을 참조할 수 있다.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 물체측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다층막은, 이들 다층막을 가지는 안경 렌즈 표면에 먼저 기재한 반사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은 다층막은,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것은,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막 재료의 굴절률과, 다층막을 형성함으로써 안경 렌즈에 가져와야 할 반사 특성(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에 근거하여, 공지의 수법에 따르는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각 층의 막 두께를 결정하고, 결정된 막 두께가 되도록 정한 성막 조건 하에서 고굴절률층과 저굴절률층을 차례로 적층함으로써, 상기 다층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청색광에 대한 반사율을 높임과 함께, 청색광의 파장역에 인접하는 파장역(예를 들어 500㎚ 초과 580㎚ 이하의 파장역)에 있는 녹색광의 반사율의 상승을 억제하는 막 설계를 실시함으로써, 10.0~20.0㎚의 범위의 청색광 반사율 및 2.0% 미만의 시감 반사율을 안경 렌즈의 각 표면에 가져올 수 있다. 성막 재료는 무기 재료여도 유기 재료여도 유기 무기 복합 재료여도 되고, 성막이나 입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무기 재료가 바람직하다. 성막 재료의 종류, 막 두께, 적층 순서 등을 조정함으로써,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을 제어할 수 있다.
고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고굴절률 재료로는, 지르코늄 산화물(예를 들어 ZrO2), 탄탈 산화물(Ta2O5), 티탄 산화물(예를 들어 TiO2), 알루미늄 산화물(Al2O3), 이트륨 산화물(예를 들어 Y2O3), 하프늄 산화물(예를 들어 HfO2), 및 니오브 산화물(예를 들어 Nb2O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저굴절률층을 형성하기 위한 저굴절률 재료로는 규소 산화물(예를 들어 SiO2), 불화 마그네슘(예를 들어 MgF2) 및 불화 바륨(예를 들어 BaF2)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물 또는 불화물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편의상 산화물 및 불화물을 화학량론 조성으로 표시했지만, 화학량론 조성으로부터 산소 또는 불소가 결손 혹은 과다의 상태에 있는 것도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로서 사용 가능하다.
다층막에 포함되는 각 층의 막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적 시뮬레이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다층막의 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측으로부터 렌즈 최표면측을 향하여,
제1층(저굴절률층)/제2층(고굴절률층)/제3층(저굴절률층)/제4층(고굴절률층)/제5층(저굴절률층)/제6층(고굴절률층)/제7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제1층(고굴절률층)/제2층(저굴절률층)/제3층(고굴절률층)/제4층(저굴절률층)/제5층(고굴절률층)/제6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제1층(저굴절률층)/제2층(고굴절률층)/제3층(저굴절률층)/제4층(고굴절률층)/제5층(저굴절률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성;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조합의 일례로는,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저굴절률층)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저굴절률층)과 니오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고굴절률층)의 조합을 들 수도 있다. 상기 조합의 2층의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다층막을, 다층막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각 층은, 전술한 고굴절률 재료 또는 저굴절률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이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피막에 대해 가장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은 전체의 50 질량% 정도~100 질량%, 나아가서는 90 질량% 정도~100 질량%를 차지하는 성분이다. 상기 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성막 재료(예를 들어 증착원)를 이용하여 성막을 실시함으로써, 그와 같은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재료에 관한 주성분도 상기와 동일하다. 피막 및 성막 재료에는 불가피하게 혼입되는 미량의 불순물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또 주성분이 완수하는 기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다른 무기 물질이나 성막을 보조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공지의 첨가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성막은 공지의 성막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성막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증착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증착에는, 건식법, 예를 들어 진공 증착법, 이온 도금법, 스퍼터링법 등이 포함된다. 진공 증착법에서는, 증착 중에 이온 빔을 동시에 조사하는 이온 빔 어시스트법을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다층막은, 이상 설명한 고굴절률층 및 저굴절률층에 가하고,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막,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증착원을 이용하는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1층 이상의 도전성 산화물층을, 다층막의 임의의 위치에 포함할 수도 있다. 도전성 산화물로는 안경 렌즈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인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아연 산화물, 티탄 산화물 및 이들 복합 산화물 등의, 일반적으로 투명 도전성 산화물로서 알려진 각종 도전성 산화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및 도전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한 도전성 산화물로는, 주석 산화물, 인듐-주석 산화물(ITO)을 들 수 있다. 도전성 산화물층을 포함함으로써, 안경 렌즈가 대전하여 티끌이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다층막 상에 추가적인 기능성막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기능성막으로는, 발수성 또는 친수성의 방오막, 방담막 등의 각종 기능성막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막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기술을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렌즈 기재>
상기 다층막이 물체측 표면 상 및 안구측 표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 기재는 플라스틱 렌즈 기재 또는 유리 렌즈 기재일 수 있다. 유리 렌즈 기재는, 예를 들어 무기 유리제의 렌즈 기재일 수 있다. 렌즈 기재는 경량으로 갈라지기 어렵고, 또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의 도입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플라스틱 렌즈 기재가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렌즈 기재로는, (메타)아크릴 수지를 비롯한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알릴 수지,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수지(CR-39) 등의 알릴카보네이트 수지, 비닐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 등의 히드록시 화합물과의 반응으로 얻어진 우레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반응시킨 티오우레탄 수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디술피드 결합을 가지는 (티오)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화물(일반적으로 투명 수지라고 불림)을 들 수 있다. 또한 렌즈 기재로는, 염색되어 있지 않은 것(무색 렌즈)를 이용해도 되고, 염색되어 있는 것(염색 렌즈)를 이용해도 된다.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예를 들어 1.60~1.75 정도이다. 단, 렌즈 기재의 굴절률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의 범위 내여도, 상기의 범위로부터 상하로 벗어나 있어도 된다. 또한 굴절률이란, e선(파장 546.07㎚)에 대한 굴절률 ne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안경 렌즈는 단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누진 굴절력 렌즈 등의 각종 렌즈일 수 있다. 렌즈의 종류는 렌즈 기재의 양면의 면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또, 렌즈 기재 표면은 볼록면, 오목면, 평면 중 어느 하나여도 된다. 통상의 렌즈 기재 및 안경 렌즈에서는 물체측 표면은 볼록면, 안구측 표면은 오목면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것이 상기 안경 렌즈에 10.0% 이상의 청색광 흡수율을 가져오는 것에 기여한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인돌 화합물 등의 청색광의 파장역에 흡수를 가지는 각종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및 인돌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로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로는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 1]
Figure pct00005
식 (1)에 있어서, X는 공명 효과를 부여하는 기를 나타낸다. X의 치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아졸 고리의 5위이다.
X의 예로는,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 요오드 원자, 술포기, 카르복시기, 니트릴기, 알콕시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불소 원자가 바람직하며, 염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식 (1)에 있어서, R2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12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알킬기 및 알콕시기 각각에 대하여, 탄소수 1~8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8이 보다 바람직하며, 탄소수 4~8이 더욱 바람직하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는 분기여도 되고, 직쇄여도 된다. 알킬기 및 알콕시기 중에서도,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알킬기의 예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n-옥틸기, 1,1,3,3-테트라메틸부틸기, 노닐기, 데실기, 운데실기, 도데실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및 1,1,3,3-테트라메틸부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tert-부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알콕시기의 예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노닐옥시기, 데실옥시기, 운데실옥시기, 도데실옥시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부톡시기 또는 에톡시기가 바람직하다.
식 (1)에 있어서, R2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3위, 4위 또는 5위가 바람직하다.
식 (1)에 있어서, R1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를 나타내고, 이들의 구체예로는, R2에 대해 든 상기 예 중 탄소수가 적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틸기 또는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식 (1)에 있어서, m는 0 또는 1의 정수를 나타낸다.
식 (1)에 있어서, R2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5위가 바람직하다.
n는 R3의 가수를 나타내며, 1 또는 2이다.
식 (1)에 있어서, R3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n가 1인 경우, R3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n가 2인 경우, 탄소수 1~8의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3로 나타내는 탄화수소기로는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3로 나타내는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탄소수 1~8이며, 탄소수 1~3인 것이 바람직하다.
R3로 나타내는 2가의 탄화수소기의 예로는 메탄디일기, 에탄디일기, 프로판디일기, 벤젠디일기, 톨루엔디일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메탄디일기가 바람직하다.
식 (1)에 있어서, R3의 치환 위치는 벤조트리아졸릴기의 치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3위가 바람직하다.
R3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며, 이 경우 n는 1이다.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다.
[화 2]
Figure pct00006
식 (1-1)에 있어서, R1, R2, m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며, 예시 및 바람직한 태양도 상기와 동일하다.
식 (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tert-부틸-2-히드록시페닐], 메틸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에톡시-2-히드록시페닐], 페닐렌비스[3-(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5-(1,1,3,3-테트라메틸부틸)-2-히드록시페닐] 및 하기 식 (1-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를 들 수 있다.
식 (1-1)로 나타내는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3,5-디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4-부톡시-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및 5-클로로-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3-tert-부틸-2-히드록시-5-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5-클로로-2-(4-에톡시-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및 2-(4-부톡시-2-히드록시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기재는, 예를 들어 렌즈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또는 수지를 얻기 위한 중합성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해서,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0.05~3.00 질량부 포함할 수 있고, 0.05~2.5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0~2.0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0~2.00 질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을 10.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상기 범위의 함유량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렌즈 형상의 성형품으로 하여 렌즈 기재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중합성 조성물에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렌즈 기재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일반적으로 렌즈 기재의 염색 방법으로서 이용되는 각종 습식 또는 건식의 방법에 의해, 렌즈 기재에 청색광 흡수성 색소를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습식의 방법의 일례로는 딥법(침지법)을 들 수 있고, 건식의 방법의 일례로는 승화 염색법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렌즈 기재에는 일반적으로 안경 렌즈의 렌즈 기재에 포함되는 일이 있는 각종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렌즈 기재를 중합성 화합물과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성형하는 경우, 이러한 중합성 조성물에, 예를 들어 일본 특개 평7-063902호 공보, 일본 특개 평7-10410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08621호 공보, 일본 특개 평9-255781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 촉매, 일본 특개 평1-163012호 공보, 일본 특개 평3-281312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부 이형제, 산화 방지제, 형광 증백제, 블루잉제 등의 첨가제의 1종 이상을 첨가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량, 및 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는 렌즈 기재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는, 공지 기술을 아무런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는 양면에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가지는 다층막을 갖고, 또한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임으로써, 안경 렌즈로서 높은 청색광 커트율을 실현할 수 있다. 청색광 커트율은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이상이며, 한층 바람직하게는 36.0%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8.0% 이상이다. 또, 청색광 커트율은, 예를 들어 50.0% 이하일 수 있다. 단, 착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청색광의 광양을 저감시키는 관점에서는 청색광 커트율은 높을수록 바람직하기 때문에, 50.0% 초과여도 된다.
또한, 상기 안경 렌즈는, 일 태양에서는, 높은 시감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성이 뛰어난 안경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9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2.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2.5~99.0%의 범위이다.
[안경]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상기의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가지는 안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안경 렌즈에 대해서는, 먼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안경 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안경에 의해서, 청색광이 착용자의 눈에 주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그 외의 안경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공지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추가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태양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 있어서, 굴절률이란 파장 500㎚에서의 굴절률이다. 광학막 두께에 관하여, λ=500㎚이다. 물리막 두께의 단위는 ㎚이다.
[실시예 1]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0.40 질량부를 교반 혼합한 후, 촉매로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Hg의 감압 하에서 3분간 교반 혼합하여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에, 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미리 준비한 유리제 몰드와 수지제 개스킷으로 구성되는 렌즈 성형용 주형(0.00 D, 두께 1.6 ㎜로 설정)의 안에 주입하고, 로 내 온도 20℃~100℃의 전기로 중에서 20시간에 걸쳐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개스킷 및 몰드를 떼어낸 후, 11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2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가피적으로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불순물을 제외하면 표 1에 나타내는 산화물로 이루어진 증착원(성막 재료)을 사용했다. 각 산화물의 굴절률 및 각 층의 막 두께를 표 1에 나타낸다. 이들 점은, 후술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2]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 대신에, n-부틸티오글리콜레이트 100.00 질량부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7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8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실시예 3]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인 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0.10 질량부를 교반 혼합한 후, 촉매로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Hg의 감압 하에서 3분간 교반 혼합하여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에, 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미리 준비한 유리제 몰드와 수지제 개스킷으로 구성되는 렌즈 성형용 주형(0.00 D, 두께 1.6 ㎜로 설정)의 안에 주입하고, 로 내 온도 20℃~100℃의 전기로 중에서 20시간에 걸쳐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개스킷 및 몰드를 떼어낸 후, 11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2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비교예 1]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에, 촉매로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0.05 질량부를 첨가하고, 10 ㎜Hg의 감압 하에서 3분간 교반 혼합하여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중합성 조성물)을 조제했다. 그 다음에, 이 렌즈용 모노머 조성물을, 미리 준비한 유리제 몰드와 수지제 개스킷으로 구성되는 렌즈 성형용 주형(0.00 D, 두께 1.6 ㎜로 설정)의 안에 주입하고, 로 내 온도 20℃~100℃의 전기로 중에서 20시간에 걸쳐 중합을 실시했다. 중합 종료 후, 개스킷 및 몰드를 떼어낸 후, 110℃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여기서 성형된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렌즈 기재이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2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비교예 2]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비스-(β-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100.00 질량부 대신에, n-부틸티오글리콜레이트 100.00 질량부를 이용한 점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7이었다. 여기서 성형된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렌즈 기재이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8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실시예 4~8, 비교예 3, 4]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2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7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7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실시예 9]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7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8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5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5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5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참고예 1]
(1) 주형 중합에 의한 렌즈 기재(티오우레탄 수지제 렌즈 기재)의 성형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플라스틱 렌즈(렌즈 기재)를 얻었다. 얻어진 렌즈 기재는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 굴절률은 1.60이었다.
(2) 다층막의 성막
상기 렌즈 기재의 양면을 광학면으로 가공(연마)한 후에, 하드 코트를 형성했다. 하드 코트층은 표 1에 나타내는 두께를 갖고, 굴절률은 1.62이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양면이 광학적으로 마무리되어 미리 하드 코트가 실시된, 물체측 표면이 볼록면, 안구측 표면이 오목면인 렌즈 기재의 볼록면측(물체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 어시스트 가스로서 산소 가스 및 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이온 어시스트 증착으로 합계 5층의 다층 증착막을 차례로 형성했다.
오목면측(안구측)의 하드 코트 표면에도 동일한 조건으로 이온 어시스트 증착에 의해 합계 5층의 다층 증착막을 적층해 안경 렌즈를 얻었다.
볼록면측, 오목면측 모두 다층 증착막은 렌즈 기재측(하드 코트측)으로부터 안경 렌즈 표면을 향하여, 표 1(표 1-1 ~ 표 1-6)에 나타내는 증착원을 이용해 제1층, 제2층…의 순서로 적층하여, 안경 렌즈 표면측 최외층이 제5층이 되도록 형성했다.
참고예 1에서 성막한 다층 증착막은, 통상 반사 방지막으로서 안경 렌즈에 형성되는 다층막이다
[표 1-1]
Figure pct00007
[표 1-2]
Figure pct00008
[표 1-3]
Figure pct00009
[표 1-4]
Figure pct00010
[표 1-5]
Figure pct00011
[표 1-6]
Figure pct00012
[안경 렌즈의 평가]
(1)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 및 시감 반사율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볼록면측), 안구측 표면(오목면측)의 광학 중심에 있어서, 히타치 제작소제 분광 광도계 U4100를 이용하여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측정했다(측정 피치:1㎚). 비측정면으로부터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해, JIS T 7334의 5.2절과 같이, 비측정면은 광택이 없는 흑색으로 도장했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먼저 기재한 방법에 의해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 시감 반사율을 각각 구했다.
(2)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 청색광 커트율 및 시감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안경 렌즈의 직입사 반사 분광 특성을, 안경 렌즈의 물체측의 표면측(볼록면측)에서 히타치 제작소제 분광 광도계 U4100를 이용하여, 파장 380㎚에서 500㎚까지 1㎚ 피치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먼저 기재한 방법에 의해 안경 렌즈의 청색광 흡수율, 청색광 커트율 및 시감 투과율을 구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도 1~도 14에 나타낸다. 도 중, 실선의 스펙트럼은 반사(R) 스펙트럼이며, 파선의 스펙트럼은 투과(T) 스펙트럼이다. 도 1~도 14는,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도 1에 실시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2에 참고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에 비교예 1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4에 실시예 2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에 비교예 2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에 실시예 3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에 비교예 3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8에 비교예 4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9에 실시예 4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0에 실시예 5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1에 실시예 6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2에 실시예 7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3에 실시예 8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14에 실시예 9의 안경 렌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중에 나타내는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반사 스펙트럼 및 투과 스펙트럼의 대비로부터, 실시예의 안경 렌즈가 청색광의 반사율은 높기는 하지만, 청색광의 파장역에 인접하는 녹색광의 파장역에서 반사율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특징적인 반사 분광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고스트 평가
실시예, 비교예의 안경 렌즈를, 암실에서 형광등 하 30㎝의 위치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해, 고스트(이중상)의 발생의 유무 및 정도를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B:명료한 고스트가 관찰된다.
A:명료한 고스트는 관찰되지 않는다. 옅은 고스트가 관찰된다.
A+:옅은 고스트가 관찰되지만, A보다 경도.
A++:옅은 고스트가 관찰되지만, A+보다 경도.
A+++:옅은 고스트가 관찰되지만, A++보다 경도이든지, 또는 고스트가 관찰되지 않는다.
(4) 반짝임 평가(물체측)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안경 렌즈를 통상의 밝기의 실내에서 물체측으로부터 관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경 렌즈의 반짝임(물체측 면이 반사하는 광)의 세기를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B:비교예 1의 안경 렌즈와 비교해서 분명하게 반짝임이 느껴진다.
A:반짝임이 느껴지지 않든지, 또는 약간의 반짝임이 느껴지지만 B보다 경도.
(5) 반짝임 평가(안구측)
실시예, 비교예, 참고예의 안경 렌즈를 통상의 밝기의 실내에서 안구측으로부터 관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안경 렌즈의 반짝임(안구측면이 반사하는 광)의 세기를 관찰자의 눈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근거하여 관능 평가했다.
B:비교예 1의 안경 렌즈와 비교해서 분명하게 반짝임이 느껴진다.
A:반짝임이 느껴지지 않든지, 또는 약간의 반짝임이 느껴지지만 B보다 경도.
이상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Figure pct00013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안경 렌즈는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의 청색광 반사율이 10.0~20.0%로 높기는 하지만, 고스트 및 반짝임의 발생이 억제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실시예의 안경 렌즈가 높은 청색광 커트율을 가지는 것, 및 시감 투과율이 높고 투명성이 뛰어난 안경 렌즈인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각 태양을 총괄한다.
일 태양에 따르면, 렌즈 기재와,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고,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20.0%의 범위이고, 또한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2.0% 미만인 안경 렌즈가 제공된다.
상기 안경 렌즈는,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높은 청색광 반사율을 가지는 것에도 불구하고, 고스트 및 반짝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양호한 착용감 및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은 30.0% 이상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청색광 커트율은 36.0% 이상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5.0~20.0%의 범위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9.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9.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8.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8.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7.5%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7.5%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7.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7.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1.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1.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2.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2.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 및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은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을 복수 가지는 다층막이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 및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가진다.
일 태양에서는, 상기 안경 렌즈의 시감 투과율은 90.0% 이상이다.
일 태양에 의하면, 상기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가지는 안경도 제공된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발명은 안경 렌즈 및 안경의 제조 분야에서 유용하다.

Claims (12)

  1. 렌즈 기재와,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과,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서,
    청색광 흡수율이 10.0% 이상이고,
    상기 렌즈 기재는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20.0%의 범위이고, 또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2.0% 미만인 안경 렌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청색광 커트율이 30.0% 이상인 안경 렌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청색광 커트율이 36.0% 이상인 안경 렌즈.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시감 반사율은 1.8% 이하인 안경 렌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5.0~20.0%의 범위인 안경 렌즈.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 중 적어도 한쪽에서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인 안경 렌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물체측 표면 및 안구측 표면에서 각각 측정되는 400~500㎚의 파장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은 10.0% 초과이고 또한 16.0% 이하인 안경 렌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광 흡수성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인 안경 렌즈.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 및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은, 무기 재료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을 복수 가지는 다층막인 안경 렌즈.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기재의 물체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 및 상기 렌즈 기재의 안구측 표면 상에 위치하는 다층막은, 규소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과 지르코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막이 인접하는 적층 구조를 적어도 하나 가지는 안경 렌즈.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감 투과율이 90.0% 이상인 안경 렌즈.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경 렌즈와 이 안경 렌즈를 장착한 프레임을 가지는 안경.
KR1020187018017A 2016-03-31 2017-03-31 안경 렌즈 및 안경 KR102148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2764 2016-03-31
JP2016072764 2016-03-31
PCT/JP2017/013803 WO2017171075A1 (ja) 2016-03-31 2017-03-31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683A true KR20180088683A (ko) 2018-08-06
KR102148582B1 KR102148582B1 (ko) 2020-08-27

Family

ID=5996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8017A KR102148582B1 (ko) 2016-03-31 2017-03-31 안경 렌즈 및 안경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2991B2 (ko)
EP (1) EP3438729B1 (ko)
JP (1) JP6974305B2 (ko)
KR (1) KR102148582B1 (ko)
CN (1) CN108474966A (ko)
ES (1) ES2964693T3 (ko)
WO (1) WO20171710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5983B2 (ja) * 2017-11-24 2023-04-2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JP7306396B2 (ja) * 2018-08-10 2023-07-11 株式会社ニデック 機能樹脂体の製造方法
CN109143600A (zh) * 2018-09-04 2019-01-04 长春理工大学光电信息学院 一种3d镜片及其制备方法
JP2020052135A (ja) * 2018-09-25 2020-04-02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眼鏡
WO2020067408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WO2020067407A1 (ja) * 2018-09-28 2020-04-02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眼鏡レンズ
CN109298545A (zh) * 2018-11-20 2019-02-01 江苏淘镜有限公司 一种适于夜晚驾驶用镜片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9327A (ja) * 2013-03-29 2014-10-23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
JP2015118122A (ja) * 2013-12-16 2015-06-25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15203856A (ja) * 2014-04-16 2015-11-16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5059A (ja) * 1996-03-28 1997-10-07 Asahi Optical Co Ltd 眼鏡レンズ
CN101321505B (zh) * 2005-09-08 2015-12-02 卡尔豪恩视觉公司 具有增强紫外保护的新型可调节光学元件
EP3168675B1 (en) * 2006-06-12 2018-03-14 High Performance Optics, Inc. Color balanced ophthalmic system with selective light inhibition
US7691918B2 (en) * 2006-10-13 2010-04-06 Alcon, Inc. Intraocular lenses with unique blue-violet cutoff and blue light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CN104360495B (zh) * 2009-03-25 2016-09-14 高效光学技术有限公司 选择性过滤特定的蓝光波长的光色眼科系统
JP5173076B2 (ja) 2010-09-29 2013-03-27 株式会社ニコン・エシロール 光学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24218B2 (ja) * 2011-02-24 2015-11-25 伊藤光学工業株式会社 防眩光学要素
JP5749683B2 (ja) * 2012-05-11 2015-07-15 伊藤光学工業株式会社 防眩光学要素
IN2014DN09596A (ko) * 2012-05-16 2015-07-31 Essilor Int
AU2013321051B9 (en) * 2012-09-28 2017-03-30 Nikon-Essilor Co., Ltd. Optica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4903760B (zh) 2012-12-27 2017-10-27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Ir截止滤光片以及具备该ir截止滤光片的拍摄装置
BR112016006703A2 (pt) * 2013-09-30 2017-08-01 Hoya Lens Thailand Ltd substrato de plástico transparente e lente de plástico
JP6195194B2 (ja) 2013-12-16 2017-09-13 東海光学株式会社 レンズの評価方法
EP2887129B1 (en) * 2013-12-23 2020-04-22 Essilor International Transparent optical article having a colorless appearance
CN103984120B (zh) * 2014-05-30 2015-06-10 奥特路(漳州)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防蓝光光学镜片的制造方法
CN104327230A (zh) * 2014-10-16 2015-02-04 浙江海洋学院 一种折射率为1.60的防蓝光树脂镜片及其制造方法
CN107430291A (zh) * 2015-03-11 2017-12-01 豪雅镜片泰国有限公司 塑料光学构件
US20170097521A1 (en) * 2015-10-01 2017-04-06 Tokai Optical Co., Ltd. Optical product and spectacle le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9327A (ja) * 2013-03-29 2014-10-23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
JP2015118122A (ja) * 2013-12-16 2015-06-25 東海光学株式会社 眼鏡レンズ及び眼鏡
JP2015203856A (ja) * 2014-04-16 2015-11-16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製品及び眼鏡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8729B1 (en) 2023-11-22
JP6974305B2 (ja) 2021-12-01
KR102148582B1 (ko) 2020-08-27
WO2017171075A1 (ja) 2017-10-05
CN108474966A (zh) 2018-08-31
EP3438729A4 (en) 2019-11-13
EP3438729C0 (en) 2023-11-22
US20180373062A1 (en) 2018-12-27
JPWO2017171075A1 (ja) 2018-08-30
EP3438729A1 (en) 2019-02-06
ES2964693T3 (es) 2024-04-09
US11002991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765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KR102148582B1 (ko) 안경 렌즈 및 안경
JP7274874B2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CN110140079B (zh) 眼镜镜片及眼镜
US11137623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US11262601B2 (en) Spectacle lens and spectacles
EP3690521B1 (en) Spectacles lens, and spectacles
JP6473282B1 (ja) 眼鏡レンズおよび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