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257A -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 - Google Patents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257A
KR20180088257A KR1020170104558A KR20170104558A KR20180088257A KR 20180088257 A KR20180088257 A KR 20180088257A KR 1020170104558 A KR1020170104558 A KR 1020170104558A KR 20170104558 A KR20170104558 A KR 20170104558A KR 20180088257 A KR20180088257 A KR 20180088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ntainer
sealing
opening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욱
Original Assignee
임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욱 filed Critical 임성욱
Priority to CN201810038799.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8190231B/zh
Priority to CN201820066293.7U priority patent/CN208842924U/zh
Publication of KR2018008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65D43/165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키고, 또한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알루미늄 및 합성수지 재질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로서 밀봉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링으로서 가압하여 패킹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밀봉력을 월등히 향상시키며, 사용시에는 밀봉부재를 간편하게 절취하여 개봉토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뚜껑(20)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10)와, 이의 내부에 체결되고 내부뚜껑(40)에 의해 개폐되면서 중심부에 체결공(51)을 가지는 홀더(50)와, 이 홀더(50)의 체결공(51)에 리필이 가능토록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저장용기(30)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30)는 상부가 개구되는 이중의 용기체로 구비되면서 외측벽의 외주면에는 결합테(31)와 내측벽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2)를 각각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커버(61)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체형의 개봉판(62)이 적층되게 일체로 구비되는 밀봉부재(60)가 저장용기(30)의 개구부를 덮어 씌우는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개봉판(62)은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폭만큼 밀봉커버(61)와 일체로 접합되는 접합면(63)을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손잡이(64)가 구비됨과 동시에, 가장자리의 원주방향과 손잡이(64)를 따라 절취선(65)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용기(30)의 내측용기의 개구부에는 내측면에 결합홈(71)을 가지는 체결링(70)이 밀봉부재(60)를 가압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저장용기를 밀봉토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Storage container sealing structure of compact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시키고, 또한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알루미늄 및 합성수지 재질의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밀봉부재로서 밀봉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링으로서 가압하여 패킹의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밀봉력을 월등히 향상시키며, 사용시에는 밀봉부재를 간편하게 절취하여 개봉토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그 내부에 주로 분말 또는 고형 상태의 파우더와 같은 화장품을 주로 수납하여 별도의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화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비교적 부피가 적고 휴대하기가 용이하도록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얇은 몸체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고형화 내지는 파우더 형태의 화장품은 물론이고, 스펀지나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패드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함침부재에 액체 상태의 화장품을 함침시킨 상태로 수납함으로써 액체 상태의 화장품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퍼프라는 화장도구를 이용하여 화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 제안된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대체적인 구성들은 내부의 저장용기에 화장품을 저장함과 동시에 화장도구인 퍼프를 함께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종래에 제안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구성은 하나의 화장품용기내에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와, 이의 저장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덮개에 별도의 화장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서, 이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66854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등록 특허들의 개략적인 구성은 상,하 관통되는 결합공을 가지면서 본체의 기능을 가지는 하부케이스와, 이 하부케이스에 제1힌지핀으로 연결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개폐되면서 뚜껑의 기능을 가지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결합공에 착탈 가능토록 구비되고, 내부에는 다공성 패드로서 액상 화장료가 함침됨과 동시에 최초 화장시 제거되는 실링부재로 실링되어지는 리필용도의 캡슐 화장품과, 상기 캡슐 화장품을 커버하기 위하여 이의 외측으로 구비되도록 하부 케이스에 걸림 장착됨과 동시에 결합요구를 형성하기 위한 내벽 및 외벽이 형성되어진 내부용기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내부용기에는 제2힌지핀으로 연결되어 개폐되면서 상부에는 퍼프가 수납되는 퍼프받침이 구비되며, 하부로는 상기 내부용기의 결합요구에 끼워지는 감합리브가 돌출 형성된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에 대한 캡슐 화장품의 리필에 따른 교체 분리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액상 화장료가 함침된 다공성 패드를 캡슐에 수납하는 구조를 통해 캡슐 화장품이 구성됨에 따라 캡슐 화장품의 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면서도 하부 케이스에 장착시 안정된 밀폐력을 제공하여 다공성 패드에 함침된 액상 화장료의 수분 증발이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은 캡슐 화장품의 내부에 스펀지나 발포 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패드가 액상 화장료를 함침한 상태에서 저장됨과 동시에, 캡슐의 상면으로는 별로의 얇고도 유연한 합성수지 재질의 실링부재로 실링되어 있는 타입임으로써 최초로 개봉시 쉽게 개봉되지 않아 찌져지거나 또는 내용물이 외부로 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엇보다도 실링부재가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필름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의 자극에 민감함은 물론이고, 자외선이 쉽게 투과되어져 내용물이 쉽게 변질되거나 오염되는 등의 중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외에도 종래에 제안된 다른 구조로서는 국내 특허등록 제10-1584512호 및 공개특허 제10-2013-0048518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 발명들의 기본적인 구성은 내,외용기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의 뚜껑에 의해 개폐되면서도 내부용기에는 화장품이 저장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내부뚜껑에는 별도의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편리성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용기를 리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내부용기(리필용기)는 외부용기(케이스)의 내부에 삽탈이 가능토록 구비되면서도 그 내부에 화장품이 저장되고, 이의 상부는 일측에서 힌지축으로 결합되어지는 내부뚜껑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시에는 내,외부뚜껑을 순차적으로 개폐하여 내부용기내에 저장되는 화장품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내부용기를 외부용기로부터 분리한 후, 새로운 내부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선발명에 있어서는 내부용기를 교체사용함으로써 리필이 가능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내부용기를 교체시 이에 힌지축으로 결합된 내부뚜껑과 함께 그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임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내부용기에는 힌지축으로 내부뚜껑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져 구성되는 것임으로써 교체 사용시 이들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며, 이와 같이 리필이 가능한 내부용기체는 그 내부용기마다 뚜껑이 설치되어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도 많아서 제조성도 좋지 못하고 제조원가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사용된 내부용기체는 버려지게 되어 낭비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종래의 구조로서는 내용물이 수납되는 저장용기의 상면에 별도의 밀봉 필름지를 접착하여 밀봉토록 구성한 것이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구조는 밀봉 필름지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임으로써 주로 식품용기에 많이 적용되는 것이며, 일예를 들어 종래의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45951호(2011년 5월 4일 공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밀봉 필름지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임에 따라 밀봉력은 좋은 반면에 개봉이 불편한 단점과 더불어 밀봉 필름지가 부착된 부분에 접착제가 남게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화장품용기에는 적용하기가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밀봉 필름지는 접착제나 융착 부분이 강한 접착력을 가질 경우에는 밀봉력이 좋은 반면에 개봉시 쉽게 분리되지 않아 내용물을 쏟을 염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밀봉 필름지 및 접착제가 부분적으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접착력을 약하게 하는 경우에는 밀봉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중용기체로 이루어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이 저장되는 저장용기를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밀봉커버와, 이를 개봉토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개봉판을 일체로 적층시켜 밀봉토록 구성함과 동시에, 이들을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별도의 체결링으로서 원터치방식에 의해 간편하게 체결고정토록 함으로써 최초 내용물의 충진에 따른 제조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커버와 개봉판이 저장용기에 체결되는 체결링의 사이에서 밀폐에 따른 패킹의 기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저장용기의 밀봉력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됨으로써 자외선의 침투를 원초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내용물을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보관하여 변질 및 오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저장용기를 밀봉토록 하는 밀봉커버의 상면에는 밀봉커버의 개봉을 위한 별도의 개봉판을 일체로 적층되게 구비하면서도 외주연으로는 절취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시에는 개봉판만을 간단히 당겨주는 것만으로 절취선을 따라 밀봉커버가 절취되어져 저장용기를 간편하고도 손쉽게 개봉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콤팩트 화장품용기로서,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내용기에 해당되면서 화장품이 수납되는 저장용기를 리필에 따른 교체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콤팩트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내,외용기의 이중용기체로 구비되면서도 외용기에 해당되는 케이스에는 힌지로 개폐되는 뚜껑을 구비함과 동시에, 케이스 내부에는 별도의 내부뚜껑을 힌지로 결합한 홀더를 결합하고, 상기 홀더에는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저장용기의 화장품을 모두 사용한 후, 새로운 저장용기로 손쉽게 리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저장용기만을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토록 하는 구조를 새로운 개념으로 개선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저장용기의 개구부를 밀봉토록 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밀봉커버와, 이 밀봉커버의 상면에 특정 부분이 일체로 접착되면서도 손잡이 및 절단을 위한 절취선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개봉판과, 상기 밀봉커버와 개봉판을 원터치식으로 저장용기에 체결토록 하는 체결링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시 개봉판만을 당겨서 밀봉커버를 절취선을 따라 손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뚜껑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별도의 홀더를 체결함과 동시에, 이 홀더에는 화장품을 저장하는 저장용기를 별도의 독립된 부품으로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이의 저장용기만을 교체 사용할 수가 있음에 따라 리필이 가능하면서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즉,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를 매우 간단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이의 제조에 따른 작업성의 향상과 더불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운반 및 보관시에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자외선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됨은 물론이고, 산소와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변성이나 변색 또는 경화를 방지하면서도 화장품의 수분 증발이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저장용기를 밀봉시키는 방식을 종래와 같은 접착방식이 아니라 밀봉커버와 개봉판을 이중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링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방식임으로써 최초 저장용기에 내용물의 충진시 내용물을 충진한 후, 체결링을 이용하여 밀봉커버를 저장용기에 원터치식으로 가압하여 체결할 수가 있음에 따라 이러한 작업이 손쉽고도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를 월등히 줄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저장용기를 밀봉시 밀봉커버와 개봉판이 패킹의 기능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저장용기의 밀봉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용기를 개방하는 방식은 개봉판을 당겨서 절취선을 따라 밀봉커버를 간편하게 절취하여 개봉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과 더불어 안전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밀봉커버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개봉판을 하나의 단일 물품으로 접합한 후, 체결링을 이용하여 저장용기에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이의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손쉬워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개봉판을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모양으로 제조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도1의 정단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저장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4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도6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사용상태도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 저장용기의 개방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12 내지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8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2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의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콤팩트 화장품용기(100)는 내부용기 및 외부용기의 이중용기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외부용기에 해당되면서 외형을 유지토록 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뚜껑(40)이 구비되는 홀더(50)가 설치되며, 이 홀더(50)에는 내부용기에 해당되면서 화장품이 수납되는 저장용기(30)가 독립된 물품으로서 리필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케이스(10)와 뚜껑(20)은 본체의 외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상하 분할되는 형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케이스(10)의 일측면에는 제1힌지(11)에 의해 뚜껑(20)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작동됨으로써 케이스(10)의 내부를 개폐토록 구성되며, 그 전단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버튼(12)의 누름작동에 의해 뚜껑(20)을 케이스(10)로 부터 잠금 및 해제시키도록 하는 잠금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하 개구되는 크다란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의 결합공에는 저장용기(30)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50)가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홀더(50)는 내부 중심부에 리필용기인 저장용기(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 개구되는 체결공(51)이 구비됨과 동시에, 이 체결공(51)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52)가 구비되어 저장용기(30)가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홀더(50)의 체결공(51)은 별도의 저장용기(30)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되는 크다란 구멍을 가지는 링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내주면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52)가 원주면을 따라 내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저장용기(30)가 억지끼움식으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홀더(50)는 케이스(10)내에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별도의 저장용기(30)를 체결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일측에는 체결공(51)에 체결되는 저장용기(30)를 개폐하기 위한 내부뚜껑(40)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뚜껑(40)은 홀더(50)의 상면 소정에서 제2힌지(53)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회전되어 저장용기(30)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내부뚜껑(40)은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30)에 설치되지 않고, 홀더(50)의 상면 소정위치에 제2힌지(53)에 의해 축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물품으로 구성되어 홀더(50)내에 착탈되는 저장용기(30)의 구성을 매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뚜껑(40)의 저면에는 저장용기(30)를 긴밀하게 밀폐시키기 위한 결합테(41)가 원주방향으로 구비되어 저장용기(30)와 결합시 저장용기(30)의 상단 개구부를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되고, 그 반대편의 상면에는 퍼프와 같은 별도의 화장도구가 수납될 수 있는 화장도구수납실(42)이 형성되며, 제2힌지(53)의 반대측 위치에는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43)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30)는 내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모두 사용후에는 별도의 새로운 저장용기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독립된 물품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리필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30)는 콤팩트 화장품용기(100)에 장착하기 전의 리필용기의 구성으로서, 이는 첨부된 도면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저장용기(30)는 상부로 개구되면서 외측벽과 내측벽이 약간 이격되는 이중구조의 원형용기체로 구성되므로써 그 내부에는 겔 상태, 고체 상태의 화장품이나 또는 스폰지 등과 같은 패드에 액체상태의 화장품이 함침된 상태의 각종 화장품이 일정량으로 용이하게 충진된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30)는 외측벽과 내측벽이 약간 이격되는 형태의 이중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들 사이의 공간이 에어포켓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그 내부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보다 안정되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저장용기(30)의 구조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외측벽의 외주면에는 홀더(50)의 결합돌기(52)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테(31)가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벽의 외주면 상단부에는 후술할 체결링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기(32)가 역시 원주방향을 따라 외향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는 별도의 밀봉부재(60)가 체결링(70)에 의해 체결되어 개구부를 완전히 밀봉토록 함으로써 그 내부에 충진되는 화장품을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커버(61)가 저장용기(30)의 개구부를 덮어 씌우는 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이 밀봉커버(61)의 상면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체형의 개봉판(62)이 적층되어 일부만이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이중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밀봉커버(61)는 저장되는 화장품을 안전하게 밀봉하거나 또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화장품을 안전하게 보호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자외선이 투과되지 않는 얇은 박판의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밀봉커버(61)는 얇은 시트지로서 라미네이0트(laminate)로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수증기 및 산소 투과율이 극히 낮은 배리어 층(barrier layer)을 포함함으로써 변색, 또는 산소나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변성이나, 변색, 또는 경화 등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밀봉부재(60)는 밀봉커버(61)와 개봉판(62)이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하 적층되게 일체형으로 구비되면서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폭만큼 일체로 접합되는 접합면(63)을 갖추어 구성되고, 개봉판(62)의 중심부로는 손잡이(64)가 밀봉커버(61)와는 접합되지 않은 분리된 상태로 구비됨과 동시에, 가장자리의 원주방향과 손잡이(64)의 일부분을 따라서 절취선(65)이 구비된다.
상기 개봉판(62)은 약간의 쿠션이나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면서도 얇은 판체형으로 구성되고, 일정간격의 접합면(63)으로서 밀봉커버(61)와 열융착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면서 이를 제외한 내부의 공간과 손잡이(64) 부분은 접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시 손잡이(64)를 용이하게 절곡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64)는 밀봉커버(61)와는 접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써 사용시에는 상부로 절곡하여 개봉판(62)을 당길 수 있는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원형 또는 타원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1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64a)의 모양을 고리형이 아닌 스틱형과 같이 달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외관을 다양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회사의 로고와 같이 그 형태를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고, 또한 밀봉부재(60)의 상부 개봉판(62)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다양한 무늬모양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절취선(65)은 개봉판(62)의 원주방향과 더불어 내부 손잡이(64) 부분을 연결하는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개봉판(62)을 당김에 의해 밀봉커버(61)가 절취선(65)을 따라 절취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임으로써 개봉판(62)의 절취선(65) 부분은 칼날 등으로 이미 절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64)를 잡고 원주방향을 따라서 당기게 되면, 개봉판(62)은 이미 절취된 절취선(65)을 따라 분리됨과 동시에, 이와 일체로 접합된 밀봉커버(61)는 당기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절취선(65)을 따라 절취됨으로써 원형의 절취선(65)을 기준으로 그 내부가 완전히 개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취선(65)의 모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원으로 구비되는 것이나 이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예로서 개봉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절취선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체결링(70)은 상기 밀봉부재(60)를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링 형태로 형성되면서 밀봉부재(60)의 외주연을 감싸아 가압할 수 있도록 상면과 측면이 절곡되는 구조를 갖추어 구성되고, 측면의 내주면에는 저장용기(30)의 상부 외주면과 언더컷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홈(71)을 가진다.
즉,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 밀봉부재(60)를 덮어씌운 상태에서 체결링(70)을 원터치식으로 저장용기(30)에 가압하여 체결하게 되면, 체결링(70)의 측면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71)이 저장용기(3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32)와 언더컷 방식에 의해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밀봉부재(60)는 밀봉커버(61) 및 개봉판(62)의 재질이 가지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저장용기(30)와 체결링(70) 사이에서 긴밀히 밀착되어 패킹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저장용기(30)의 상단 개구부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밀봉부재(60)의 결합방식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결링(70)의 하부에서 저장용기(30)와 결합되는 방식이나, 이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14 및 도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링(70)의 상부면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이 결합홈을 통하여 밀봉부재(60), 즉 밀봉커버(61)와 개봉판(62)이 일체형으로 접합된 것을 별도의 강력한 접착제나 또는 고주파 열융착으로서 접합하는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의 경우는 체결링(70)와 밀봉부재(60)가 고주파 또는 강력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임에 따라 체결링(70)과 밀봉부재(60)를 먼저 결합한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음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도면에서도 참조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 결합공에 별도의 홀더(50)가 결합되고, 이 홀더(50)의 어느 일측에는 내부뚜껑(40)이 제2힌지(53)에 의해 축결합됨과 동시에, 그 중심의 체결공(51)에는 화장품이 충진된 별도의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30)가 결합된다.
상기 저장용기(30)는 최초 내용물을 충진시 저장용기(30)의 내부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그 개구부에 밀봉부재(60)로 덮어씌우고, 이의 상부에서 체결링(70)을 원터치식으로 가압하여 체결하게 되면, 상기 체결링(70)의 내측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71)이 저장용기(3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32)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져 개구부를 긴밀히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30)에 충진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뚜껑(20)과 내부뚜껑(40)을 차례로 개방하고, 내부뚜껑(40)의 화장도구수납실(42)에 수납되는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를 사용하여 통상에서와 같이 화장을 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저장용기(30)의 화장품을 모두 사용하여 새로운 저장용기로 리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저면에서 결합공을 통하여 저장용기(30)를 강제적으로 밀어올려서 분리한 다음, 새로운 저장용기(30)를 결합함으로써 리필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새로운 저장용기(30)를 홀더(50)의 체결공(51)에 억지끼움식으로 눌러서 삽입하게 되면, 저장용기(30)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테(31)가 홀더(50)의 체결공(51)의 내주면에 다수로 형성된 결합돌기(52)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간편하게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조립된 리필용기 즉, 저장용기(30)의 개구부를 개방하게 되는데, 도면의 도9 내지 도11에서 보듯이 밀봉부재(60)의 개봉판(62)의 손잡이(64)를 잡고 절곡하여 세운 다음, 시계방향을 따라 물리적으로 강하게 당기게 되면, 이의 당기는 힘에 의해 개봉판(62)은 이미 절취된 절취선(65)을 따라 분리되어져 밀봉커버(61)를 절취시켜 저장용기(30)를 개봉하게 된다.
즉, 개봉판(62)을 당김에 의해 이와 접합면(63)으로서 일체로 접합된 밀봉커버(61)는 절취선(65)을 따라 절취됨으로써 밀봉하고 있던 저장용기(30)의 상부를 완전히 개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용기(30)내의 화장품을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고, 또한 저장용기(30)만을 교체하여 리필할 수 있음으로써 저장용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부품들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장품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12 및 도13 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경우는 밀봉부재(60)의 밀봉커버(61) 저면에 별도의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망체(66)를 적층되게 더 구비하되, 밀봉커버(61)와는 분리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가장자리는 체결링(70)에 의해 저장용기(30)에 고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밀봉부재(60)를 개봉시에도 망체(66)는 저장용기(3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구부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유지된다.
이는 저장용기(30)내에 저장되는 화장품이 액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함침된 스폰지 등의 함침부재가 저장되는 경우, 밀봉부재(60)를 최초 개봉시에나 또는 화장품을 사용시 내용물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는 첨부된 도면의 도17에서 보듯이 밀봉커버(61)의 저면에 상,하부 망체(66)(67) 및 이들 사이에 별도의 스폰지(68)를 더 구비하여 저장용기(30)내에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수납시 안전하고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하부 망체(66)(67)의 사이에 밀도가 조밀한 스폰지(68)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되, 이들은 저장장용기(30)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씌우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저장용기(30)의 내부에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안정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사용시에는 퍼프 등과 화장도구로 눌러주면 자체가 가지는 탄성력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저장용기 내부에 수납된 액체상태가 상부로 스며나와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하부 망체(66)(67)의 사이에 스폰지(68) 층을 형성하는 것이나, 이와는 달리 그 밀도가 서로 다른 스폰지(68)를 다수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도18 및 도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용기(30)의 상부에 밀봉부재(60)를 구비하지 않고 직접 상,하부 망체(66)(67)와 스폰지(68)를 별도의 체결링(69)으로 체결고정함으로써 저장용기(30)내에 액체상태의 내용물을 안정되고도 용이하게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20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상기 도면에서 참조되듯이 저장용기(30)를 개폐토록 하는 내부뚜껑(40)을 홀더(50)상에 구비하지 않고, 저장용기(30)의 어느 일측에서 제2힌지(53)로 축결합하여 개폐토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저장용기(30)의 어느 일측에 제2힌지(53)로서 내부뚜껑(40)을 직접 축결합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저장용기(30)를 닫은 상태에서 보관 및 유통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로 독립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리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사용시에는 케이스(10)에 조립된 상태에서 내부뚜껑(40)을 열고 전술한 방법으로 밀봉부재(60)를 개봉한 후,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0:콤팩트 화장품용기 10:케이스
11:제1힌지 12:버튼
20:뚜껑 30:저장용기
31,41:결합테 32:결합돌기
40:내부뚜껑 41:결합테
42:화장도구수납실 43,64:손잡이
50:홀더 51:체결공
52:결합돌기 53:제2힌지
60:밀봉부재 61:밀봉커버
62:개봉판 63:접합면
65:절취선 66,67:망체
68:스폰지 69,70:체결링
71:결합홈

Claims (5)

  1. 뚜껑(20)에 의해 개폐되는 케이스(10)와, 이의 내부에 체결되고 내부뚜껑(40)에 의해 개폐되면서 중심부에 체결공(51)을 가지는 홀더(50)와, 이 홀더(50)의 체결공(51)에 리필이 가능토록 교체사용할 수 있도록 체결되는 저장용기(30)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30)는 상부가 개구되는 이중의 용기체로 구비되면서 외측벽의 외주면에는 결합테(31)와 내측벽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32)를 각각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얇은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커버(61)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얇은 판체형의 개봉판(62)이 적층되게 일체형으로 접합 구비되는 밀봉부재(60)가 저장용기(30)의 개구부를 덮어 씌우는 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개봉판(62)은 외주연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폭만큼 밀봉커버(61)와 일체로 접합되는 접합면(63)을 가지면서 중심부에는 손잡이(64)가 구비됨과 동시에, 가장자리의 원주방향과 손잡이(64)를 따라 절취선(65)이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30)의 개구부에는 체결링(70)이 체결되어 그 내측면의 결합홈(71)과 걸림돌기(32)가 언더컷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밀봉부재(60)를 가압하여 저장용기(30)를 밀봉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60)는 밀봉커버(61)의 하부에 별도의 망체(66)를 더 구비함으로써 개봉시나 사용시 내용물이 외부로 튀거나 유출되는 것을 억제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66)는 또다른 망체(67)와 상,하부 다층으로 구비하되, 이들 상,하부 망체(66)(67)의 사이에 밀도가 다른 별도의 스폰지(68)를 적층되게 구비하여 저장용기(30)에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60)는 체결링(70)의 상부면에 일체형으로 접합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30)는 어느 일측에서 제2힌지(53)로 내부뚜껑(40)을 직접 축결합하여 저장용기를 개폐토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리필용기 밀봉구조.
KR1020170104558A 2017-01-26 2017-08-18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 KR20180088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038799.1A CN108190231B (zh) 2017-08-18 2018-01-16 粉饼化妆品容器的存储容器密封结构
CN201820066293.7U CN208842924U (zh) 2017-01-26 2018-01-16 粉饼化妆品容器的存储容器密封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2482 2017-01-26
KR1020170012482 2017-0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257A true KR20180088257A (ko) 2018-08-03

Family

ID=6325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58A KR20180088257A (ko) 2017-01-26 2017-08-18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88257A (ko)
CN (1) CN208842924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199B1 (ko) * 2019-02-01 2020-05-11 (주)톨리코리아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102136482B1 (ko) 2019-01-16 2020-07-21 정용교 자외선 살균 콤팩트
KR20200113365A (ko) * 2019-03-25 2020-10-07 (주)원플라텍 화장품 용기
US11498725B1 (en) * 2018-07-27 2022-11-15 Elemental Scientific, Inc. Fluoropolymer septum cap assembly
CN115969153A (zh) * 2022-08-22 2023-04-18 株式会社Ctk 生态化妆品容器
KR102636216B1 (ko) * 2022-10-28 2024-02-14 주식회사 씨티케이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6356A1 (ko) * 2019-06-17 2020-12-24 이대규 공기저장공간이 형성된 도포수단이 내장된 화장품용기
TWI732406B (zh) * 2019-12-30 2021-07-01 淨斯人間志業股份有限公司 具有卡合結構之容器組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8725B1 (en) * 2018-07-27 2022-11-15 Elemental Scientific, Inc. Fluoropolymer septum cap assembly
KR102136482B1 (ko) 2019-01-16 2020-07-21 정용교 자외선 살균 콤팩트
KR102109199B1 (ko) * 2019-02-01 2020-05-11 (주)톨리코리아 리필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KR20200113365A (ko) * 2019-03-25 2020-10-07 (주)원플라텍 화장품 용기
CN115969153A (zh) * 2022-08-22 2023-04-18 株式会社Ctk 生态化妆品容器
EP4327692A1 (en) * 2022-08-22 2024-02-28 CTK Co., Ltd. Eco-friendly cosmetic container
CN115969153B (zh) * 2022-08-22 2024-03-29 株式会社Ctk 生态化妆品容器
KR102636216B1 (ko) * 2022-10-28 2024-02-14 주식회사 씨티케이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842924U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257A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저장용기 밀봉구조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4804053B2 (ja) 化粧料容器
JP5041585B2 (ja) 化粧料用容器
US6508604B1 (en) Article comprising a cell system
AU4846093A (en) Replaceable stick deodorant package
JP2001278292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CN108190231B (zh) 粉饼化妆品容器的存储容器密封结构
JPS63152547A (ja) 二つの成分を包装する容器
JPH1158775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22420A (ko) 내용물 용기
JPH09156676A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JPH11255250A (ja) 注出管付き包装袋
JP2006206156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05313990A (ja) ポンプ付液体供給容器及びそれに供する液体詰め替え用容器
JP4200730B2 (ja) 吸収能力付与容器
JP4531171B2 (ja) 容器
JP2004161323A (ja) 吸収能力付与容器
KR20180081896A (ko) 리필이 가능한 저장용기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JP5380517B2 (ja) 密封容器
KR20110105309A (ko) 화장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5280734A (ja) 振出用又は揮散用の蓋材
JP7299600B2 (ja) 取替式スライドケース
WO2021095438A1 (ja) 塗布具包装体とその製法
JP2572579B2 (ja) 化粧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