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21A -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21A
KR20180088021A KR1020170012522A KR20170012522A KR20180088021A KR 20180088021 A KR20180088021 A KR 20180088021A KR 1020170012522 A KR1020170012522 A KR 1020170012522A KR 20170012522 A KR20170012522 A KR 20170012522A KR 20180088021 A KR20180088021 A KR 20180088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ried
base
base plat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789B1 (ko
Inventor
조영휘
Original Assignee
조영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휘 filed Critical 조영휘
Priority to KR102017001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7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원활한 제조작업성 및 우수한 품질을 도모하면서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효율적으로 생산함을 제공하도록, 하단부가 지면에 부분적으로 매립 설치되는 블록형태의 기초PC블록과;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면 접합하여 지주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매립 고정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매설골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공하고, 상부에 기초PC블록을 성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기초PC블록의 외형을 형상화할 수 있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메인금형부와; 상기 메인금형부의 상단에 결합하되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 상부를 폐쇄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향한 콘크리트 양생시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대응하여 매립형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될 수 있게 지지하는 상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중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접합하여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을 향해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매설골재부가 수용되어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일체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omitted}
본 발명은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및 휀스 등의 지주를 지면으로부터 지지 고정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상부에 기초플레이트가 일체로 매립되게 제조하여 제품의 원활한 제조작업성 및 우수한 품질을 도모하면서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deck)나 휀스(fence), 가로등, 신호등, 각종 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의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 아래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설치하여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조함에는 제품형상에 맞게 제작된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은 후 양생하여 제조하며, 이때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상부에는 시설물의 지주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기초플레이트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 기초블록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39571호(2008.04.11.)에는 콘크리트 형상물에 매입 설치된 복수의 앵커볼트 상단부가 외부로 돌출된 기초석에 있어서; 콘크리트 기초석의 상부면과 측면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관통구멍은 지중관체의 외경보다 조금 큰 곡선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작업성이 우수하고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기초석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8868호(2011.07.06.)에는 가로등, 신호등 및 철도 전기탑의 지주를 고정하여 설치하기 위해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석으로서, 상기 지주를 지지하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형성되는 콘크리트몸체와; 상기 상부가 좁은 콘크리트몸체의 상면과 측면에 연통되어 전선의 인입을 안내하는 인입관과; 상기 인입관과 연통되면서 하부가 넓은 콘크리트몸체의 저면으로 관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콘크리트몸체 상단부에 매설되어 지주의 하부판재를 고정시키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와 접지선으로 연결되면서 콘크리트몸체의 하단부 모서리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설치되는 접지동판과; 상기 콘크리트몸체의 측면에 'ㄷ'자의 고리가 결합되도록 요입된 운반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제품의 하역과 시공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초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모두 앵커볼트를 구비한 기초석과 볼트구멍이 형성된 하부판재(이하 기초플레이트라 함)를 별도로 제조한 후 시공현장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기초석의 앵커볼트와 하부판재의 볼트구멍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기 어려우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과정을 거치는 기초석의 경우 앵커볼트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워 현장에서의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앵커볼트가 기초석의 외부로 돌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행인이 걸려 안전사고에 이를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571호(2008.04.1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48868호(2011.07.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초블록의 양생과정에서 기초플레이트가 일괄적으로 설치될 수 있게 일체화하므로 시공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일체형의 일률적인 제품제조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기초플레이트가 기초블록 내 매립 설치된 구조로 구성하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도모하면서 행인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은 상단부에 지주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있어서, 하단부가 지면에 부분적으로 매립 설치되는 블록형태의 기초PC블록과;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면 접합하여 지주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매립 고정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매설골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매설골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되 좌우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골재접합부, 상기 골재접합부의 양단에서 하측 수직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되는 수직골재단과, 상기 수직골재단의 하단에서 상기 골재접합부와 평행을 이루되 횡 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되는 연장골재단을 구성한다.
상기 수직골재단과 상기 연장골재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곡선형의 만곡연결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는 상부에 기초PC블록을 성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기초PC블록의 외형을 형상화할 수 있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메인금형부와; 상기 메인금형부의 상단에 결합하되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 상부를 폐쇄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향한 콘크리트 양생시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대응하여 매립형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될 수 있게 지지하는 상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중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접합하여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을 향해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매설골재부가 수용되어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일체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금형부에는 상하로 승강 구동하되 상기 지지홀 내 위치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이 부착될 수 있게 자력을 생성시키는 전자석부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금형부에는 상기 상부금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센터금형수단과, 상기 센터금형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금형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센터끼움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기초PC블록의 양생과정에서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된 구조로 일체화하므로 현장에서의 원활한 시공을 도모하여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공기가 단축되고 제품의 불량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적용함에 따른 기초PC블록 내 매립구조로 구성하므로 외관상 미려함에 따른 주변환경을 개선하고, 행인의 안전을 확보하여 불필요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의 (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중 베이스플레이트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상단부에 지주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있어서, 하단부가 지면에 부분적으로 매립 설치되는 블록형태의 기초PC블록과;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면 접합하여 지주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매립 고정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매설골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에 기초PC블록을 성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기초PC블록의 외형을 형상화할 수 있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메인금형부와; 상기 메인금형부의 상단에 결합하되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 상부를 폐쇄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향한 콘크리트 양생시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대응하여 매립형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될 수 있게 지지하는 상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중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접합하여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을 향해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매설골재부가 수용되어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일체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에 지주(5)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있어서, 기초PC블록(10)과, 베이스플레이트(21) 및 매설골재부(25)로 구성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PC블록(10)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블록형상으로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시공현장에서의 원활한 시공성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기초PC블록(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형태로 이루어지되, 상/하부의 단면적이 동일한 형태의 정사각형 및 직사각형 등의 단면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그외에도 상기 기초OC블록(10)의 형상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단면적을 크게 형성하여 측면이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구조의 사다리꼴 단면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초PC블록(10)은 다양한 유형의 시설물(예를 들면, 데크 및 휀스 등) 지주(5)를 고정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부에 지주를 설치가능하되 하단부가 지면에 완전히 매립 설치되거나 하단부가 부분적(전체 높이를 기준으로 하부 2/3 영역)으로 매립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기초PC블록(10)에는 내부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을 형성하여 시설물에 필요한 연결선 등을 수용한 채 내설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는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되, 콘크리트재의 기초PC블록(10)과 금속재의 지주를 서로 연결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부에 노출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기초PC블록(10)의 내부에 매립되는 매설골재부(25)로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면에 면 접합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평평한 상면에 지주를 수평상태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지주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 상에 용접 접합시켜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상하 수직으로 관통되어 전선 또는 연결선 등이 지주(5)를 향해 진입될 수 있는 전선유입공(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기초PC블록(10)에 관통공(11)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기초PC블록(10)의 관통공(11)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상기 전선유입공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를 적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표면에 복수의 요철돌기부(22)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은 지주(5)와의 직각상태를 유지토록 평탄한 평면을 이루는 반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서 요철형태의 요철돌기부(22)를 구성하므로, 상기 기초PC블록(10)과의 접합력을 보다 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에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 외곽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마감돌기부(23)를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마감돌기부(23)은 하향 돌출된 하단이 뾰족한 단면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21) 상에 마감돌기부(23)를 구성하게 되면, 기초PC블록(10)과의 경계선상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한 채 제품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불필요한 이물이 끼는 현상을 방지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매설골재부(2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부에 매립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매설골재부(25)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부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도 2에는 2개)를 구비한다.
상기 매설골재부(2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 골재접합부(25a)와, 상기 골재접합부(25a)를 기준으로 수직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형성되는 수직골재단(25b) 및 연장골재단(25c)으로 형성한다.
상기 골재접합부(25a)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와의 면 접합하는 구성으로서, 좌우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골재접합부(25a)의 연장길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길이를 기준으로 1/3 이상의 길이로 충분한 접합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므로, 베이스플레이트(21)와의 충분한 면 접합에 따른 자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골재단(25b)은 상기 기초PC블록(10) 내 일정깊이까지 연장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골재접합부(25a)의 양단에서 하측 수직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되므로,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와 상기 기초PC블록(10) 간에 상호 충분히 일체화된 결합효율이 발휘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연장골재단(25c)은 상기 수직골재단(25b)의 하단에서 상기 골재접합부(25a)와 평행을 이루되 횡 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된다. 즉 상기 연장골재단(25c)은 상기 수직골재단(25b)에 따른 상기 기초PC블록(10)의 내측 깊이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한 횡 방향으로 연장형성됨에 따라 상기 기초PC블록(10)과의 수평방향을 향한 결속력이 발휘되어 상호 일체화된 결합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연장골재단(25c)이 상기 수직골재단(25b)의 위치를 기준으로 외측 수평방향을 향해 연장된 구조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연장골재단(25c)의 경우 상기 수직골재단(25b)을 기준으로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연장골재단(25c)이 상기 수직골재단(25b)을 기준으로 내측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좌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수직골재단(25b)을 하나로 연결토록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직골재단(25b)과 상기 연장골재단(25c)의 사이에는 곡선형의 만곡연결단(25d)을 형성한다. 상기 만곡연결단(25d)은 상기 수직골재단(25b)에서 상기 연장골재단(25c)으로 굽어지는 연결부분에서 곡선형으로 형성하므로, 기초PC블록(10)과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에 가해지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으로부터 힘이 상기 만곡연결단(25d)의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하여 국부적인 힘에 의한 전단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한 제품의 내구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금형부(110)와, 메인금형부(120)와, 상부금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금형부(110) 및 상기 메인금형부(120), 상기 상부금형부(130) 등의 구성들이 개개의 위치에서 각각 구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금형부(110)는 콘크리트 타설시 기초PC블록(10)을 성형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부금형부(110)에는 상기 기초PC블록(10)의 내부를 형상화가능하게 성형하기 위한 구성 즉 상기 하부금형부(110)의 상부에 상기 기초PC블록(10)의 내부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중자금형(115)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중자금형(115)은 상기 기초PC블록(10) 내 관통공 등을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부(110)를 기준으로 상측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메인금형부(120)는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상기 기초PC블록(10)의 외형을 형상화할 수 있게 형성하는 성형공간(121)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금형부(120)는 상기 하부금형부(110)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상기 메인금형부(120) 및 상기 하부금형부(110)는 상호 형합가능한 금형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메인금형부(120) 또는 상기 하부금형부(110)는 상호 대응하여 상하왕복이동가능하게 구성하므로, 콘크리트 타설가능하게 형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메인금형부(120)에는 상부에 상기 상부금형부(130)를 안착지지할 수 있는 금형지지홈(123)을 형성한다. 즉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금형부(130)에 대응하여 금형 간에 정위치로 형합될 수 있는 상기 금형지지홈(123)을 형성하므로, 상기 메인금형부(120)로부터 결합 및 분리되는 상기 상부금형부(130)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잡아주어 제품의 생산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금형부(120)에는 떨림 작용을 일으킬 수 있게 구동하는 바이브레이터(125)를 구비하여 상기 성형공간(121) 내 콘크리트가 고르게 채워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금형부(130)는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상단에 결합가능하게 위치하되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면에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가 위치할 수 있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금형부(130)는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성형공간(121) 상부를 폐쇄가능한 승강 구동구조로 구성한다. 즉 상기 메인금형부(120)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메인금형부(120)를 향해 하강하여 상기 성형공간(121)을 폐쇄하며, 상기 메인금형부(120)로부터 상향이동하여 상기 성형공간(121)을 개방한다.
상기 상부금형부(130)는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성형공간(121)을 향한 콘크리트 양생시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면에 대응하여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가 매설될 수 있게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상부금형부(130)에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 중 기초PC블록(10)의 상부에 접합하여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21)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홀(131)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성형공간(121)을 향해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의 매설골재부(25)가 수용되어 상기 기초PC블록(10)의 상부에 일체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금형부(130)와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사이에는 상기 메인금형부(120)의 성형공간(121)을 향해 일정량의 콘크리트몰탈을 충진시키는 몰탈충진부(128)를 구성한다.
상기 몰탈충진부(128)는 호퍼 및 몰탈이송수단을 구비하여 몰탈을 공급가능한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몰탈공급기의 구조를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기초PC블록의 양생과정에서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된 구조로 일체화하므로 현장에서의 원활한 시공을 도모하여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시공공기가 단축되고 제품의 불량에 따른 피해를 방지하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적용함에 따른 기초PC블록 내 매립구조로 구성하므로 외관상 미려함에 따른 주변환경을 개선하고, 행인의 안전을 확보하여 불필요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부(130)에 설치 구성하여 상하로 승강 구동가능하며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와의 접착력 여부를 설정가능한 전자석부착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전자석부착수단(140)의 승강 구동은 상기 상부금형부(130)와 일괄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상부금형부(130)와는 별도로 독립적인 구동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자석부착수단(140)은 상기 상부금형부(130)의 지지홀(131) 내 위치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의 상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의 상면이 부착될 수 있게 자력을 생성시킨다. 즉 상기 전자석부착수단(140)은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의 위치를 고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류공급상태에서 자기화하여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를 부착 고정한 채 하강하고, 전류차단상태에서 자기화를 해제하여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와 분리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전자석부착수단(140)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항시 고정상태로 유지하여 기초PC블록을 향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매립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일률적으로 제조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양품생산율을 갖게 생산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부(130)와 상기 하부금형부(110) 간에 서로 형합 위치를 항시 일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센터금형수단(151) 및 센터끼움홀(15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금형수단(151)은 상기 하부금형부(110)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금형부(130)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센터금형수단(151)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터끼움홀(155)은 상기 센터금형수단(151)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금형부(130)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의 베이스플레이트(21) 상에 형성된다. 즉 상기 센터끼움홀(155)은 상기 하부금형부(110)의 센터금형수단(151)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부금형부(130)와 상기 하부금형부(110) 간에 위치를 보정한다.
상기에서 센터끼움홀(155)의 형상은 상기 센터금형수단(15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센터금형수단(151) 및 센터끼움홀(155)을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매립형 기초플레이트(20)를 지지한 상부금형부(130)와 하부금형부(110) 간에 상호 형합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보정하여 제조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양품생산율을 갖게 생산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기초PC블록 11 : 관통공
20 :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21 : 베이스플레이트
22 : 요철돌기부 23 : 마감돌기부
25 : 매설골재부 25a : 골재접합부
25b : 수직골재단 25c : 연장골재단
25d : 만곡연결단 110 : 하부금형부
115 : 중자금형 120 : 메인금형부
121 : 성형공간 123 : 금형지지홈
125 : 바이브레이터 128 : 몰탈충진부
130 : 상부금형부 131 : 지지홀
140 : 전자석부착수단 151 : 센터금형수단
155 : 센터끼움홀

Claims (6)

  1. 상단부에 지주를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매설되는 콘크리트 기초블록에 있어서,
    하단부가 지면에 부분적으로 매립 설치되는 블록형태의 기초PC블록과;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면 접합하여 지주를 수평상태로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매립 고정되되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매설골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설골재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되 좌우 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골재접합부, 상기 골재접합부의 양단에서 하측 수직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되는 수직골재단과, 상기 수직골재단의 하단에서 상기 골재접합부와 평행을 이루되 횡 방향으로 굽어져 연장형성되는 연장골재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재단과 상기 연장골재단의 사이에 형성되는 곡선형의 만곡연결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4. 상부에 기초PC블록을 성형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측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내부에 기초PC블록의 외형을 형상화할 수 있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메인금형부와;
    상기 메인금형부의 상단에 결합하되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 상부를 폐쇄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며 상기 성형공간을 향한 콘크리트 양생시 기초PC블록의 상면에 대응하여 매립형 기초플레이트가 매설될 수 있게 지지하는 상부금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금형부는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 중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접합하여 위치하는 베이스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홀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금형부의 성형공간을 향해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매설골재부가 수용되어 상기 기초PC블록의 상부에 일체로 매설될 수 있게 구성하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에는 상하로 승강 구동하되 상기 지지홀 내 위치한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상부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이 부착될 수 있게 자력을 생성시키는 전자석부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부에는 상기 상부금형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센터금형수단과, 상기 센터금형수단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금형부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형 기초플레이트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센터끼움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제조장치.
KR1020170012522A 2017-01-26 2017-01-26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KR10196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22A KR101962789B1 (ko) 2017-01-26 2017-01-26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22A KR101962789B1 (ko) 2017-01-26 2017-01-26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21A true KR20180088021A (ko) 2018-08-03
KR101962789B1 KR101962789B1 (ko) 2019-03-27

Family

ID=6325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22A KR101962789B1 (ko) 2017-01-26 2017-01-26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6A1 (ko) * 2019-08-05 2021-0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조물 시공 장치
KR20210029436A (ko) * 2019-09-06 2021-03-16 조영휘 볼트 또는 너트 매립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블록 성형장치
KR102332718B1 (ko) * 2021-03-25 2021-12-01 토원산업개발(주) 데크로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48A (ja) * 1993-06-25 1995-01-13 Kumagai Gumi Co Ltd コーンブロックとその製作方法および収納容器
JPH07331670A (ja) * 1994-06-14 1995-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埋込ベース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0759647B1 (ko) * 2006-07-20 2007-10-04 민병창 조립식 온돌패널의 제조장치
KR200439571Y1 (ko) 2008-03-25 2008-04-17 이영암 기초석
KR101048868B1 (ko) 2011-02-15 2011-07-13 안종복 콘크리트 기초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200177A (ja) * 2015-07-02 2015-11-12 住友林業株式会社 建築物基礎の形成方法及び仮支持金具
KR101583239B1 (ko) * 2015-07-24 2016-01-07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48A (ja) * 1993-06-25 1995-01-13 Kumagai Gumi Co Ltd コーンブロックとその製作方法および収納容器
JPH07331670A (ja) * 1994-06-14 1995-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埋込ベース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構造体
KR100759647B1 (ko) * 2006-07-20 2007-10-04 민병창 조립식 온돌패널의 제조장치
KR200439571Y1 (ko) 2008-03-25 2008-04-17 이영암 기초석
KR101048868B1 (ko) 2011-02-15 2011-07-13 안종복 콘크리트 기초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5200177A (ja) * 2015-07-02 2015-11-12 住友林業株式会社 建築物基礎の形成方法及び仮支持金具
KR101583239B1 (ko) * 2015-07-24 2016-01-07 주식회사 천지콘텍 울타리용 기초콘크리트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56A1 (ko) * 2019-08-05 2021-0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조물 시공 장치
KR20210029436A (ko) * 2019-09-06 2021-03-16 조영휘 볼트 또는 너트 매립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블록 성형장치
KR102332718B1 (ko) * 2021-03-25 2021-12-01 토원산업개발(주) 데크로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789B1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91512A (zh) 一种分层式环筋扣合锚接混凝土剪力墙模具及其安装方法
KR101962789B1 (ko) 매립형 기초플레이트를 구비한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및 그 제조장치
CN108437158B (zh) 一种预制混凝土箱梁的施工方法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631894B1 (ko) 도로경계석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KR102107939B1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KR101904763B1 (ko) 중공형 프리캐스트 코핑 구조체로 이루어져 교각 기둥과 일체 결합된 코핑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3538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조인트 블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 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보수방법
KR102235250B1 (ko) 볼트 또는 너트 매립이 가능한 콘크리트 기초블록 성형장치
US3844522A (en) Cutout forms for concrete fence construction
KR101784114B1 (ko) 지주 기초석 구조
KR20150020078A (ko) 스키 리프트 구조의 기초들을 위한 앵커링 장치 및 그러한 장치의 제작 방법
KR100597872B1 (ko) 지그대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485868B1 (ko) 결합핀을 이용한 경계석의 연결구조 및 이의 연결방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CN220219021U (zh) 预制建筑构件线盒固定装置及预制建筑构件模台
KR101839746B1 (ko) 기초일체형 폴 구조물
CN111926701B (zh) 一种现浇施工的桥梁道路端头混凝土栏杆立柱
CN215051635U (zh) 轻型化预制道床
CN111827112B (zh) 桥梁道路中间混凝土栏杆立柱施工方法
CN113818489B (zh) 一种沥青混凝土路面预制井圈与井盖一体化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58707Y1 (ko) 도로시설물 지주용 기초
CN216968144U (zh) 一种具有内嵌式吊环的预制盖板模板
JP5647959B2 (ja) 側溝の補修方法
CN211030505U (zh) 一种制作混凝土构件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