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14B1 - 지주 기초석 구조 - Google Patents

지주 기초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14B1
KR101784114B1 KR1020160158951A KR20160158951A KR101784114B1 KR 101784114 B1 KR101784114 B1 KR 101784114B1 KR 1020160158951 A KR1020160158951 A KR 1020160158951A KR 20160158951 A KR20160158951 A KR 20160158951A KR 101784114 B1 KR101784114 B1 KR 10178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sertion hole
support
bol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용락
Original Assignee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9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in a socke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양생 및 몰탈 작업 없이 볼트로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지주 기초석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주를 삽입하기 위한 지주삽입홀을 구비한 본체부; 본체부의 일측에서 지주삽입홀까지 관통 고정 형성되고,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본체너트부; 및 본체너트부에서 제공하는 체결력으로 본체너트부를 관통 체결됨과 동시에 지주삽입홀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주 기초석 구조{Holding the founding stone structur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지주 기초석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석에 지주를 볼트로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지주 기초석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주는, 도로 또는 인도에 설치되는 데크, 팬스, 가로등, 신호등, 안내표지판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기둥으로, 지반에 매립되는 콘크리트 기초석과 체결하여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3317호(2003.05.01 등록)는 지주설치용 콘크리트 기초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지주설치용 콘크리트 기초물과, 기초물에 고정되는 지주를 별도 구성 후 끼움 조립 후 콘크리트에 의해 경화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기초물 중앙에는 결합공 상에 다단의 요입형 걸림환홈을 갖는 결합관이 매입되고, 기초물 내부에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보강철선이 매입되고, 상부로 보강철선과 연결된 운반용 고리가 외부로 노출되게 매입 고정되며, 지주에는 횡방향으로 수개의 앵커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이며, 기초물 제작 시에 요입형 걸림환홈을 갖는 결합관과 보강철선을 내입하여 콘크리트 기초물을 성형 구성함으로써 내구성 및 내충격성 등을 극대화할 수 있어 운반 중 파손 등과 같은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으며, 기초물을 다단 적층하여 운반이 가능하고, 운반용 고리를 활용하여 승강작업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초물의 결합공에 지주를 결합하여 콘크리트만 채우면 작업이 종료되므로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8048호(2016.02.15 공개)는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다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과 고정홈 내에서 다면체 형상의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부가 형성된 기초석을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공부의 일단으로 삽입하여 타단으로 인출시켜지반으로 충입시키는 고정대와 고정대가 중공부로 완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대의 일단에서 절곡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고정홈에 위치하는 걸림대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기초석을 고정장치로 지반에 고정시켜 지주 설치 지역이 연약지반이라도 지주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 지주의 위치가 가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장치는 이탈 방지턱을 형성하거나 고정핀 또는 고정편을 구비하여 고정장치를 기초석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오랜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고정력이 지속되어 지주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주 기초석 구조는, 기초석에 홀을 형성시키고 그 홀에 지주를 삽입한 후에 홀과 지주 사이 틈새에 시멘트를 부어 메꾸거나, 플라스틱 쐐기를 박아 고정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이나 시멘트 양생 및 몰탈 작업이 필요하여 시공이 복잡하며, 재료비와 인건비 같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적이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331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9804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초석에 지주를 볼트로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지주 기초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지주를 삽입하기 위한 지주삽입홀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삽입홀까지 관통 고정 형성되고,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본체너트부; 및 상기 본체너트부에서 제공하는 체결력으로 상기 본체너트부를 관통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주삽입홀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를 포함하는 지주 기초석 구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주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의 하부에 상기 지주삽입홀의 지름보다 작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주삽입홀로 스며드는 물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너트부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여, 상기 볼트부의 체결 시에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측면에 형성되어, 땅에 고정할 시에 흙을 받기 위한 복수 개의 흙받이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과 지주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삽입홀과 지주의 사이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주의 일측에 관통 고정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에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지주너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주너트부와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지주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주너트부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볼트부를 상기 지주너트부에 체결했을 때에 체결 완료를 알려주기 위한 체결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결알림부는, 상기 지주너트부의 내측 말단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를 상기 지주너트부에 체결했을 때에 온되어 전기를 스위칭시켜 주기 위한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전기를 상기 스위치로 공급하기 위한 전지; 및 상기 스위치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로부터 스위칭되는 전기로 발광하기 위한 발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초석에 지주를 볼트로만 고정할 수 있도록 구현한 지주 기초석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지주를 기초석에 삽입한 후 그 틈새에 시멘트를 부어 메꾸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고, 시멘트 양생 및 몰탈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이 간단하며, 재료비와 인건비 같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볼트와 너트로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체결을 해제할시에는 기초석과 지주가 분리 되어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기초석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주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주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걸림턱 및 지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기초석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주 기초석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주 기초석 구조(10)은, 본체부(100), 본체너트부(200), 볼트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에 지주를 삽입하기 위한 지주삽입홀(110)을 구비하고, 일측에서부터 지주삽입홀(110)까지 본체너트부가 관통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원기둥 모양, 사각 모양, 오각 모양, 사다리꼴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하부면이 상부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걸림턱(120), 배수홀(130), 복수 개의 흙받이홈(140), 밀봉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20)은, 지주삽입홀(110)의 하부에 형성되고, 지주를 걸리게 하여, 지주가 본체부(100)의 외부 중 하부로 나오지 않도록 해준다.
배수홀(130)은, 지주삽입홀(110)의 하부에 지주삽입홀(110)의 지름보다 작게 관통 형성되어, 지주삽입홀(110)로 스며드는 물을 배수시켜 준다.
흙받이홈(14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0)가 땅에 고정할 시에 흙을 받아줌으로써, 본체부(100)가 땅 속에서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흙받이홈(140)은, 사다리꼴 모양 또는 사각 모양으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흙받이홈(140)은, 본체부(100)의 측면을 깎아서, 측면과 상측이 모두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흙받이홈(140)은, 본체부(100)의 측면을 깎아서, 상측만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흙을 담을 수 있다.
밀봉재는, 지주삽입홀(110)과 지주의 사이에 삽입 되어, 지주삽입홀(110)과 지주의 사이 공간을 밀봉해준다.
본체너트부(200)는,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지주삽입홀(110)까지 관통하여 고정 형성되고, 볼트부와 체결 시에 체결력을 제공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너트부(200)는, 오각 모양, 육각 모양 등과 같이 다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볼트부(300)와 체결 시에 회전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너트부(200)는, 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10)는, 본체너트부(20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본체부(100)에 고정하며, 본체너트부(200)와 볼트부(300)의 체결 시에 회전을 방지해준다.
볼트부(300)는, 본체너트부(200)에서 제공하는 체결력으로 본체너트부(200)를 관통하여 체결됨과 동시에, 지주삽입홀(110)에 삽입된 지주를 고정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볼트부(300)는, 본체너트부(200)와의 체결 시에, 지주가 볼트부(300)가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끝까지 밀린 후, 지주의 반발력으로 인해 지주와 볼트부(300)의 접촉 부분에 요철이 생기며,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지주 기초석 구조는, 지주를 본체부(100)에 삽입한 후 그 틈새에 시멘트를 부어 메꾸는 등의 작업이 필요 없고, 시멘트 양생 및 몰탈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시공이 간단하며, 재료비와 인건비 같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볼트부(300)와 본체너트부(200)로 체결함으로써,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며, 체결을 해제할시에는 본체부(100)와 지주가 분리 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지주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주는, 지주너트부(400), 표시부(500)를 더 포함한다.
지주너트부(400)는, 지주의 일측에 관통 고정 형성되고, 본체너트부(200)(도 1에 도시됨)를 관통한 볼트부(300)(도 1에 도시됨)와 체결되어, 볼트부(300)(도 1에 도시됨)에 체결력을 제공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주너트부(400)는, 지주를 지주삽입홀(110)(도 1에 도시됨)에 삽입했을 때, 본체너트부(200)(도 1에 도시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너트부(200)(도 1에 도시됨)를 관통한 볼트부(300)(도 1에 도시됨)와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주너트부(400)는, 본체너트부(200)(도 1에 도시됨)를 관통한 볼트부(300)(도 1에 도시됨)와 체결됨으로써, 지주와 볼트부(300)(도 1에 도시됨)가 더 단단하게 체결될 수 있다.
표시부(500)는, 지주너트부(400)와 일직선상에 수직으로 지주의 측면에 형성되어, 지주너트부(400)의 위치를 표시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500)는, 지주를 지주삽입홀(110)(도 1에 도시됨)에 삽입했을 때, 본체부(100)(도 1에 도시됨)의 상부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본체부(100)(도 1에 도시됨)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지주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주는, 도 2의 구성요소에 체결알림부(6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은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체결알림부(600)는, 볼트부(300)를 지주너트부(400)에 체결했을 때에 체결 완료를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알림부(600)는, 스위치(610), 전지(620), 발광체(630)를 포함한다.
스위치(610)는, 지주너트부(400)의 내측 말단에 고정 형성되고, 전지(620)와 연결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 발광체(630)와 연결 형성되어, 볼트부(300)를 지주너트부(400)에 체결했을 때에 온되어 전기를 스위칭시켜 준다.
전지(620)는, 스위치(61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전기를 스위치(610)로 공급해준다.
발광체(630)는, 스위치(610)의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고, 지주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위치(610)로부터 스위칭되는 전기로 발광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걸림턱 및 지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턱(120)(도 1에 도시됨)은, 복수 개의 끼움돌기(121)를 더 포함하며, 지주는 끼움홈(122)을 더 포함한다.
끼움돌기(121)는, 걸림턱(120)(도 1에 도시됨)의 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홈(122)에 삽입되고, 지주의 회전을 방지해준다.
끼움홈(122)은, 지주의 측면 하단에 끼움돌기(121)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끼움돌기(121)를 끼울 수 있게 하며, 지주의 회전을 방지해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지주 기초석 구조
100: 본체부
110: 지주삽입홀
120: 걸림턱
121: 끼움돌기
122: 끼움홈
130: 배수홀
140: 흙받이홈
200: 본체너트부
210: 돌기
300: 볼트부
400: 지주너트부
500: 표시부
600: 체결알림부
610: 스위치
620: 전지
630: 발광체

Claims (10)

  1. 지주를 삽입하기 위한 지주삽입홀을 구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상기 지주삽입홀까지 관통 고정 형성되고, 체결력을 제공하기 위한 본체너트부; 및
    상기 본체너트부에서 제공하는 체결력으로 상기 본체너트부를 관통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지주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의 하부에 형성되어, 지주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를 땅에 고정할 시에 흙을 받기 위한 복수 개의 흙받이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걸림턱은, 측면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끼움돌기; 및 지주의 측면 하단에 상기 끼움돌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를 삽입하기 위한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흙받이홈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깎아서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기초석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의 하부에 상기 지주삽입홀의 지름보다 작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주삽입홀로 스며드는 물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배수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기초석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너트부는,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고정하여, 상기 볼트부의 체결 시에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기초석 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주삽입홀과 지주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삽입홀과 지주의 사이 공간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기초석 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58951A 2016-11-28 2016-11-28 지주 기초석 구조 KR10178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1A KR101784114B1 (ko) 2016-11-28 2016-11-28 지주 기초석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51A KR101784114B1 (ko) 2016-11-28 2016-11-28 지주 기초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114B1 true KR101784114B1 (ko) 2017-10-11

Family

ID=6013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51A KR101784114B1 (ko) 2016-11-28 2016-11-28 지주 기초석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69A (ko) 2020-08-20 2022-03-02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102625943B1 (ko) 2023-03-24 2024-01-17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지주 고정용 기초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03B1 (ko) * 2006-11-14 2007-09-0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03B1 (ko) * 2006-11-14 2007-09-0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069A (ko) 2020-08-20 2022-03-02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휀스 기초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휀스 기초석
KR102625943B1 (ko) 2023-03-24 2024-01-17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지주 고정용 기초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4710B2 (en) Prefabricated concrete pole base and adjustable connector
KR102108417B1 (ko) 시설물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앵커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596884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KR101229250B1 (ko)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US20130036678A1 (en) Prefabricated concrete pole base and adjustable connector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KR101784114B1 (ko) 지주 기초석 구조
KR101569865B1 (ko)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1707170B1 (ko) 지주 연결 구조물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1066388B1 (ko)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10129900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직 전단 연결재
KR20190010947A (ko)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매립 일체형 콘크리트 기초블록
KR101658531B1 (ko) 차선 분리대
KR20110137644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420697B2 (ja) 鋼管柱の立設構造
KR101624706B1 (ko) 지주용 기초구조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70472B1 (ko) 지주용 기초석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 시공방법
KR101772938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매입형 프리캐스트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980152B1 (ko) 지주의 파일기초 합성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KR101085796B1 (ko) 콘크리트 기초 일체형 기둥 정착구조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