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5943B1 - 지주 고정용 기초틀 - Google Patents

지주 고정용 기초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5943B1
KR102625943B1 KR1020230038540A KR20230038540A KR102625943B1 KR 102625943 B1 KR102625943 B1 KR 102625943B1 KR 1020230038540 A KR1020230038540 A KR 1020230038540A KR 20230038540 A KR20230038540 A KR 20230038540A KR 102625943 B1 KR102625943 B1 KR 10262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ground
strut
fix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현
Original Assignee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 고정용 기초틀에 관한 것으로 지주 고정용 기초틀의 견고한 설치와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와, 상기 지주고정부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 상기 지면지지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와, 상기 쐐기유도관체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로 구성되어 지주 고정용 기초틀을 용이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지주고정부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지지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넓은 면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면 침식을 방지하게 되며, 쐐기유도관체와 쐐기유도관체에 일단이 삽입되는 쐐기삽입유도구가 쐐기유도관체에 삽입되는 등 간격으로 삽입유도함으로써 지중에 삽입된 쐐기가 편중되지 않는 동일하게 지중에서의 지지력을 갖게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지주 고정용 기초틀{Foundation frame for fixing posts}
본 발명은 지주 고정용 기초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와, 상기 지주고정부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 상기 지면지지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와, 상기 쐐기유도관체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로 구성되어 지주 고정용 기초틀의 견고한 설치와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 고정용 기초틀은 하부를 지중에 매설하고 상부는 지주를 삽입하여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지주 고정용 기초틀은 상부에 지주가 삽입되는 지주고정부와, 지주고정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기초철근 등과 체결되는 지중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지주 고정용 기초틀은 지중고정부를 지중에 기 설치한 기초철근에 결속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일정 깊이 판 후 기초철근을 설치한 후 지중고정부와 용접 등을 통해 결속하고 이후 파헤친 땅을 덮어두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 인해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411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주 고정용 쐐기가 지중에 삽입되는 과정에 저항의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지중에 삽입된 후에는 지면으로 향하는 저항이 향상되게 하여 지주를 견고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설하기 위하여,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와, 상기 지주고정부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 상기 지면지지부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와, 상기 쐐기유도관체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주를 설치하기 위한 지주 고정용 기초틀을 용이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주고정부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지지부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넓은 면적으로 하중을 분산시켜 지면 침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유도관체와 쐐기유도관체에 일단이 삽입되는 쐐기삽입유도구가 쐐기유도관체에 삽입되는 등 간격으로 삽입유도함으로써 지중에 삽입된 쐐기가 편중되지 않는 동일하게 지중에서의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삽입유도구는 한 쌍으로 조립구성되어 하단부가 첨단을 갖도록 형성되어 쐐기유도관체를 지중에 삽입시 원할하게 지중삽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입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쐐기 가압삽입부가 구성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10)와, 상기 지주고정부(10)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20), 상기 지면지지부(20)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30)와, 상기 쐐기유도관체(30)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주고정부(10)는 지주가 삽입될 수 있는 관체로 사각 또는 원형의 관체로 형성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면지지부(20)는 지주고정부(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주고정부(10)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면과 접촉되며 중앙은 관통되어 쐐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쐐기유도관체(30)는 지면지지부(20) 하부에 일정 길이 돌출되어 지중으로 삽입되는 관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쐐기삽입유도구(40)는 한 쌍의 메인유도부재(41)와, 상기 메인유도부재(41)의 하부에 체결되는 한 지중삽입유도부재(42) 및 상기 메인유도부재(41)와 지중삽입유도부재(4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유도부재(41)는 쐐기유도관체(30)에 삽입되는 유입유도판(41a))과, 지중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메인유도부재(41)가 화살촉 형태를 갖도록 하는 지중삽입촉(41b)과, 지중삽입촉(41b)의 상측면에 삽입된 쐐기를 지중에서 갈고리 형태로 변형되어 박히도록 유도하는 꺽임유도곡면(41c)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43)는 메인유도부재(41)를 끼움되게 하는 끼움홈(43a)과, 쐐기가 통과하는 쐐기유도홈(43b)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쐐기유도홈(43b)은 사면에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쐐기타설부(50)는 지주고정부(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압고정부(51)와, 상기 가압고정부(51)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승강로드(52), 상기 승강로드(52) 하부에 체결되어 하강하는 승강로드(52)를 통해 가압력을 쐐기에 전달하는 가압판(53) 및 승강로드(52)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54)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가압고정부(51)와 승강로드(52)는 나사체결되어 승강로드(52)가 승강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기 위해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10)와, 상기 지주고정부(10)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20), 상기 지면지지부(20)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30)와, 상기 쐐기유도관체(30)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40)로 구성되어 쐐기삽입유도부를 통해 쐐기유도관체(30)를 지중에 삽입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쐐기(60)는 지중으로 가압되어 박히는 과정에 쐐기삽입유도구(40)에 의해 지면에 직각으로 유도되어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쐐기삽입유도구(40)는 쐐기유도관체(30)를 통해 유입된 쐐기가 쐐기유도홈(43b)에 끼워져 안정적인 직립유도가 되고, 쐐기(60)의 단부가 꺽임유도곡면(41c)에 맞닿으며 상측 방향으로 꺽임유도되어 지중에 박히게 됨으로써 양측 쐐기가 갈고리 형상을 갖게 되어 쐐기의 견고한 지중 삽입이 가능해 지는 것이다.
10 : 지주고정부
20 : 지면지지부
30 : 쐐기유도관체
40 : 쐐기삽입유도구
41 : 메인유도부재 41a : 유입유도판
41b : 지중삽입촉 41c : 꺽임유도곡면
42 : 지중삽입유도부재 43 : 고정부재
43a : 끼움홈 43b : 쐐기유도홈
50 : 쐐기타설부
51 : 가압고정부 52 : 승강로드
53 : 가압판 54 : 손잡이
60 : 쐐기

Claims (4)

  1. 지주가 삽입체결되는 지주고정부(10)와,
    상기 지주고정부(10) 하부에 지면에 지지되며 지주고정부(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된 지면지지부(20),
    상기 지면지지부(20)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쐐기유도관체(30)와,
    상기 쐐기유도관체(30)를 지중에 삽입유도하며 지중에 삽입되는 쐐기의 삽입을 유도는 쐐기삽입유도구(40)로 구성되고,
    상기 쐐기삽입유도구(40)는 한 쌍의 메인유도부재(41)와, 상기 메인유도부재(41)의 하부에 체결되는 지중삽입유도부재(42) 및 상기 메인유도부재(41)와 지중삽입유도부재(4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3)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유도부재(41)는 쐐기유도관체(30)에 삽입되는 유입유도판(41a))과, 지중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 쌍의 메인유도부재(41)가 화살촉 형태를 갖도록 하는 지중삽입촉(41b)과, 지중삽입촉(41b)의 상측면에 삽입된 쐐기를 지중에서 갈고리 형태로 변형되어 박히도록 유도하는 꺽임유도곡면(41c)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고정용 기초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부(10)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쐐기를 삽입한 후 쐐기를 가압하여 지중에 삽입하기 위한 쐐기타설부(50)를 구비하고,
    상기 쐐기타설부(50)는 지주고정부(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압고정부(51)와, 상기 가압고정부(51) 중앙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승강로드(52), 상기 승강로드(52) 하부에 체결되어 하강하는 승강로드(52)를 통해 가압력을 쐐기에 전달하는 가압판(53) 및 승강로드(52)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5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고정용 기초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3)는 메인유도부재(41)를 끼움되게 하는 끼움홈(43a)과, 쐐기가 통과하는 쐐기유도홈(43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 고정용 기초틀.
  4. 삭제
KR1020230038540A 2023-03-24 2023-03-24 지주 고정용 기초틀 KR102625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540A KR102625943B1 (ko) 2023-03-24 2023-03-24 지주 고정용 기초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540A KR102625943B1 (ko) 2023-03-24 2023-03-24 지주 고정용 기초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943B1 true KR102625943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540A KR102625943B1 (ko) 2023-03-24 2023-03-24 지주 고정용 기초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9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39U (ja) * 1992-12-14 1994-10-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化粧枠押え治具
KR20130032654A (ko) * 2011-09-23 2013-04-02 최희선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JP2017131113A (ja) * 2016-01-25 2017-08-03 有限会社浅野木工所 パイプ支柱用先端具
KR101784114B1 (ko) 2016-11-28 2017-10-11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주 기초석 구조
KR102247857B1 (ko) * 2019-10-25 2021-05-04 홍지애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739U (ja) * 1992-12-14 1994-10-21 ナショナル住宅産業株式会社 化粧枠押え治具
KR20130032654A (ko) * 2011-09-23 2013-04-02 최희선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JP2017131113A (ja) * 2016-01-25 2017-08-03 有限会社浅野木工所 パイプ支柱用先端具
KR101784114B1 (ko) 2016-11-28 2017-10-11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주 기초석 구조
KR102247857B1 (ko) * 2019-10-25 2021-05-04 홍지애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52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oring and supporting a building foundation
US74350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tabilizing subsided slabs, flatwork and foundations of buildings
KR101678912B1 (ko) 매립식 기성말뚝의 양방향 재하시험방법, 및 이를 위한 매립식 기성말뚝의 설치구조
US68145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tabilizing subsided slabs, flatwork and foundations of buildings
KR20170065165A (ko) 흙막이 가설 구조체용 버팀보 지지장치
KR101103530B1 (ko) 구조물의 부등 침하 복원 또는 말뚝 선행하중 도입을 위한 장치
KR101519111B1 (ko) 기성파일의 재하시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성파일의 보강방법
KR102625943B1 (ko) 지주 고정용 기초틀
US201302635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raightening and Supporting a Leaning Pole or Post
JPS6319334A (ja) 山止工法における腹起し方法
KR101133771B1 (ko) 구조물 연속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연속 인상공법
CN205558262U (zh) 楼板混凝土模板支撑装置
JP6151337B2 (ja) 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及びブロック積み土留め基礎の施工方法
KR100776964B1 (ko) 압축강관을 이용한 지하 연속벽 흙막이 구조체 및 굴토방법
JP5764631B2 (ja) 鋼管杭の打設装置
KR102151726B1 (ko) 파일 두부 정착구
KR20160057747A (ko) 추가반력 도입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용 프리스트레스 띠장
KR101978500B1 (ko) 타워 구조물을 이용한 슬립 폼 장치 및 수직 구조물 형성 방법
US20070065232A1 (en) Multiple piece bracket assembly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structure
JP3899094B2 (ja) 鋼管杭圧入による既存構造物の基礎補強工法
RU2554364C2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анкера для подъема 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NZ228740A (en) Pile driving apparatus using hydraulic jacks
JP4130393B2 (ja) 杭と柱の接続構造
JP2009203672A (ja) 建物の沈下修復工法
KR101918930B1 (ko) 전방압축 후방인장형 제거식 유턴 앵커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거식 유턴 앵커링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