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903B1 -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 Google Patents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903B1
KR100755903B1 KR1020060112100A KR20060112100A KR100755903B1 KR 100755903 B1 KR100755903 B1 KR 100755903B1 KR 1020060112100 A KR1020060112100 A KR 1020060112100A KR 20060112100 A KR20060112100 A KR 20060112100A KR 100755903 B1 KR100755903 B1 KR 10075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electric pole
poles
constructio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2012/006Structures with truss-like sections combined with tubular-lik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를 세워 매립설치하는 건주공사 시에 전주의 매립부에 전주의 견고한 근착을 위해 전주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주근가에 관한 것으로,
전주근가의 몸체를 내면에 전주밀착면를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바깥면에는 마찰력증대용 요홈를 형성하고. 그 전주밀착면과 바깥면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공을 형성하여 이에 반원형 전주근가 1개를 설치할 때는 U볼트를 사용하고, 전주근가 2개를 설치할 때는 M-bolt(700~800mm)를 삽입하여 그 몸체가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결합 되게 구성하므로서,
그 표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크기와 무게를 줄여 취급이 용이함과 함께 굴착공간의 감소로 토사의 굴착량이 대폭 감소되어, 인력굴착 또는 오가크레인 확장기를 이용한 굴착과 백호우 굴착 모두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마찰력증대용 요홈의 형성으로 토양에 대한 결속력이 높고 반원형 근가의 전주 밀착면이 규격별 다단계 곡면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전주의 곡률마다 각기 일치되게 하여 전주와 근가의 밀착력을 증대하여 전주의 경사를 더욱 강력히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주용 건주공사, 반원형, 전주근가

Description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Semicircle under-bracing for construction of electricpole}
도 1은 종래 막대형 전주근가의 장착상태 설명도로서,
도1a는 단독 결합상태, 도1b는 겹 결합상태, 도1c는 L자결합상태이다
도 2는 종래 막대형 전주근가의 장착시 방향성설명도로서,
도 2a는 정상상태, 도2b는 비정상 상태 설명도이다.
도 3은 종래 막대형 전주근가의 전주직경 규격에 따른 변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 반원형 전주근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반원형 전주근가의 장착상태 설명도로써
도5a는 단독결합상태, 도5b는 겹결합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 반원형 전주근가의 전주 규격별 다단계 밀착면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 반원형 전주근가의 전주 규격별 장착시 개략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몸체 2. 전주 밀착면
3. 바깥면 4, 4'. 마찰력증대용 요홈
5,5'. 볼트삽입공 6, U 볼트
6‘. M볼트 7. 전주
본 발명은 전주를 세워 매립설치하는 건주공사 시에 전주의 매립부에 전주의 견고한 근착을 위해 전주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주근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곽을 반원형으로 하고 그 내주면이 C형의 곡면으로된 전주밀착면으로 형성하여 그 굴착과 장착이 용이하고 여러 규격에 적용 사용될 수 있게 한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에 관한 것이다.
현행 건주공사를 살펴보면, 우선 보통의 경우 오거크레인을 사용하여 전주 구덩이를 굴착하고 굴착된 구덩이에 전주를 삽입한 후 1.2m 장방형의 막대형 근가를 장착하기 위하여 백호우등의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여 근가 설치가 가능하도록 충분한 면적을 추가 굴착한 후 전주근가를 설치하고 되메우기 작업을 시행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오거크레인을 비롯한 차량진입이 어려운 장소에 건주공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백호우 또는 순수 인력만으로도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장착되는 1.2m의 장방형 막대형 근가 시공 시 야기되는 근가 자체의 문제점 및 시공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 장방형 근가의 형태로 인하여 시공 시 많은 양의 토양을 굴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의 경우 전주를 삽입하기 위해 오거크레인으로 굴착된 전주 구덩이는 직경이 약 0.5m 정도이지만, 도1의 도시와 같이 1.2m의 길이로 형성된 장방형 막대형 전주근가(10)를 장착하기 위해서 그 크기 이상으로 전주(7) 주변의 많은 면적의 토양의 별도의 백호우 장비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해서 굴착을 해야 하는 것이다.
더불어 근입 보강을 위해 복결합이나 L자형 결합을 위해 전주근가 2개를 장착할 경우에는 더욱 많은 면적을 굴착해야 한다.
그로 인하여 공량도 많아지고 작업시간도 오래 걸리며, 당연히 시공비도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둘째, 장방형 막대형 전주근가 시공 시 정확한 방향성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의 경우 도2a의 도시와 같이 전주근가는 전주가 장력을 받는 수직방향으로 장착하여야 정상적인 장착력이 유지 되는데, 장착 구조상 도2b의 도시와 같이 구덩이와 장력방향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전주근가를 전주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한 U-볼트(6)에 무리하게 힘이 가해져서 U-볼트(6)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생기게 되고, 결국은 장착된 전주근가가 전주를 받쳐주지 못하고 전주에 경사가 발생되어 전주근가의 근본적인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
셋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방형 막대형 전주근가는 1.2m 길이의 규격화된 하나의 제품이 시공되고 있다.
여기서 장방형 전주근가는 장착 시 전주와 밀착되는 중앙 부분에 그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 V자 모양의 홈이 파여져 있다.
하지만 이 홈을 가진 전주근가는 하나의 규격으로 모든 전주에 사용되기 때문에 전주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근가가 장착되는 지점의 전주의 직경의 변화에 만족스런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즉, 전주근가가 장착되는 지점이 도3의 도시와 같이 전주의 직경이 커질수록, 전주와 밀착되어 좌?우 측방으로의 버팀 역할을 하는 양쪽의 힘의 작용점이 중앙으로 몰리게 되어 길이가 길어 근가가 장착되는 지점의 직경이 큰 전주일수록 장착된 전주근가가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주공사용 전주근가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발명한 것으로서, 전주근가의 형상을 외곽을 반원형으로 하고 그 내주면이 C형의 곡면으로된 전주밀착면으로 형성하여 그 외곽의 지름을 0.8m 정도로 하여 기존의 막대형 전주근가와 그 형태는 다르지만 장착 후 토양과 닿는 표면적은 거의 비슷하게 하고 그 체적은 줄어 들게하여 기존의 장방형 근가보다 무게를 줄임으로써, 건주공사 시에 전주를 매립하기 위한 구덩이 굴착시에도 그 굴착량이 기존에 비해 훨씬 감소하고 그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효율과 작업성이 향상되게하고,
또한, 반원형 전주근가의 바깥 면에는 근가 장착 시 사용되는 U-bolt 삽입구 와 지표 속에서 토양과의 응집력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마찰력증대용 홈이 형성하고, 안쪽 면은 전주 규격별 곡률에 따른 다단계 특성 곡면(Special multi-step curved surface by electric pole)을 형성하여 전주근가의 장착성과 작용하는 힘을 크게 한 건주공사용 전주근가를 제공함에 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 반원형 전주근가의 분리 사시도로서,
전주근가의 몸체(1)를 전체적으로 반원형 형태로 하고 그 내주면을 C형의 곡면으로 된 전주밀착면(2)를 갖게 형성하되, 바깥면(3)에는 마찰력증대용 요홈(4)(4')를 형성하고. 그 전주밀착면(2)과 바깥면(3)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공(5)(5')을 형성하여 이에 U볼트(6) 또는 M볼트(6‘)를 삽입하여 결합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5는 몸체(1)의 전주밀착면(2)을 그 밀착면에 밀착되는 전주의 규격에 따라 각기 곡률이 다르게 한 다단계의 곡면으로 형성한 설명도이다.
예컨데, 10M, 12M, 14M, 16M 의 길이로 구분되는 전주의 굵기에 따라 중앙부(2a)는 10M용, 그 좌우의 2b, 2c, 2d는 점차 곡률이 커진 곡면을 갖게끔 구분 형성하여 각기12M, 14M, 16M 전주의 곡률과 일치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주근가는 전주의 건주공사 시에 전주가 땅속에 매립되는 근가부에 결합하여 그 결속력을 높이는 것인데, 우선 일정 위치에 파고 전주(7)를 세운 후 그 장착 위치에 1개의 몸체(1)를 전주(7)를 중심으로 반원형으로 감싸듯이 볼트삽입공(5)(5')에 U볼트(6)를 삽입하여 일반적인 개소에 전주근가 1개를 장착하거나,
또는, 장력개소나 추가의 근입보강이 필요한 개소의 경우에, 2개의 몸체(1)(1)를 전주(7)를 중심으로 감싸듯이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볼트삽입공(5)(5')에 M볼트(6') 를 삽입하여 이에 의해 결속함으로써 서로 도넛츠형으로 결합됨과 함께 전주밀착면(2)이 전주와 밀착되면서 전주근가가 전주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전주근가가 전주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시 구덩이를 되메우기 하므로써 건주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전주근가는 장착시 그 직경이 0.8m 정도로 1.2m 정도인 기존의 막대형 전주근가와 그 형태는 다르지만 장착 후 토양과 닿는 표면적은 거의 비슷하여 지지력은 거의 같으면서도 체적과 무게가 줄어들어 그 취급이 용이하며 이를 매립키 위한 토사 굴착량도 대폭 감소되는 것이며 바깥면(3)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용 요홈(4)(4')는 지표 속에서 토양과의 응집력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시공 효율도 향상되었는데, 기존의 막대형 전주근가와 달리 전주 매립 용 구덩이에서 모자른 전주근가의 길이 만큼 더 파내야되는 추가작업의 번거로움 없음으로 확장형 굴착 유니트가 장착된 오거크레인의 경우에는 매립용 구덩이를 형성하는 한 공정에 의해 가능함으로 그 공정이 매우 단순해지므로 별도의 장비나 인력투입 없이 간단하게 전주근가 장착이 가능하고, 확장형 굴착유니트가 오거크레인에 장착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천공 후 굴착지점 주변을 약간만 가심을 하면 근가가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백호우 등의 장비나 인력시공으로도 전주근가를 장착할 수 있는데, 반원형의 전주근가를 사용할 경우에는 굴착할 면적이 감소되므로 그에 따른 작업 효율이 월등히 높아지게 된다.
특히, 장력개소나 추가로 근입 보강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원형 전주근가 2개를 전주를 감싸듯이 장착해야 하므로 전주 주변을 굴착하지만 단 1개의 반원형 전주근가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2개를 설치할 때에 비해 반원모양으로 1/2의 면적만 굴착해도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작업효율이 극대화된다.
이때, 확장형 굴착유니트가 장착된 오거크레인을 이용할 경우 오거크레인의 스크류를 좌우로 가시는 형태로만 굴착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 장방형 근가를 장착할 때에 비해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해 진다.
기존 장방형 근가는 전주의 끝부분에 장착되기 때문에 전주에 경사가 발생되는 방향에 맞추어 시공해야하는, 장착 시 정확한 방향성을 요구하는 반면에, 반원형 전주근가는 전주를 감싸듯이 장착이 되기 때문에 시공법 상 전주근가의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한 시공이 가능하므로 전주에 경사가 발생되는 방향과 근가의 장착 방향이 약간은 일치되지 않게 되더라도 전주근가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반원형 전주근가 2개를 전주를 감싸듯이 장착할 경우에는 전주근가 장착 시 요구되는 전주에 경사가 발생되는 방향으로의 방향성 문제가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반원형 전주근가의 전주 밀착면을 구성하고 있는 전주 규격별 곡률에 따른 다단계 곡면(Special multi-step curved surface by electric pole)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건주공사(배전공사의 경우 주로 10M~16M 전주가 사용됨) 시 전주를 땅속에 삽입하는 근입의 깊이는 전주 길이의 1/6(최대 2.5m)로 전주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전주근가가 장착되는 위치는 지표면 이하 0.5m 정도로 그 위치가 일정하다.
때문에 전주의 길이에 따라 전주근가가 장착되는 지점의 전주 직경은 전주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전주 규격별 곡률에 따른 다단계 곡면은 한 가지 규격의 전주근가로 다양한 규격의 전주에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된 특수한 곡면으로 기존 장방형 전주근가에 형성되어 있는 V자 홈의 기능을 대체 하는 것이다.
이 V자 홈이 전기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반면, 반원형 전구근가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전주 규격별 곡률에 따른 다단계 곡면은 길이가 큰 전주를 건주하게 되어 전주근가가 장착되는 지점의 전주의 직경이 큰 전주일수록 전주와 전주근가가 밀착되는 면이 전주가 받는 전주에 경사가 발생되는 방향과는 직교방향으로 좌?우 버팀 역할을 하는 작용점이 이동하기 때문에 기존 장방형 근가에 비해 안정적으로 전주의 경사를 방지하는 전주근가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주를 세워 매립설치하는 건주공사 시에 전주의 매립부에 전주의 견고한 근착을 위해 전주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전주근가를 반원형으로 함으로써 그 표면적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크기와 무게를 줄여 취급이 용이함과 함께 굴착공간의 감소로 토사의 굴착량이 대폭 감소되어,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등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마찰력증대용 요홈의 형성으로 토양에 대한 결속력이 높고 전주근가 안쪽에 규격별 다단계 전주 밀착곡면의 형성으로 다양한 규격의 전주의 곡률이 커지는 것에 따라 전주 밀착점을 넓게 지지하여 밀착력의 증대로 전주의 경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주근가의 몸체(1)를 전체적으로 반원형 형태로 하고 그 내주면을 C형의 곡면으로 된 전주밀착면(2)를 갖게 내면에 전주밀착면(2)를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하되, 바깥면(3)에는 마찰력증대용 요홈(4)(4')를 형성하고. 그 전주밀착면(2)과 바깥면(3)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공(5)(5')을 형성하여 이에 U볼트(6)를 삽입하여 결합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2.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를 전주(7)를 중심으로 대향설치하되, 볼트삽입공(5)(5')에 M볼트(6')를 삽입하여 서로 대향된 상태에서 원형으로 결합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3. 제 1항에 있어서, 몸체(1)의 전주밀착면(2)을 그밀착면에 밀착되는 전주의 규격에 따라 각기 곡률이 다르게 한 다단계의 곡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KR1020060112100A 2006-11-14 2006-11-14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KR10075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00A KR100755903B1 (ko) 2006-11-14 2006-11-14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100A KR100755903B1 (ko) 2006-11-14 2006-11-14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903B1 true KR100755903B1 (ko) 2007-09-06

Family

ID=3873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100A KR100755903B1 (ko) 2006-11-14 2006-11-14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9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65B1 (ko) 2006-11-17 2009-06-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KR100923067B1 (ko) 2009-02-13 2009-10-2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근가용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주근가의 설치 시공법
WO2011159041A2 (ko) * 2010-06-16 2011-12-22 대원전기 주식회사 바닥면에 도전성 콘크리트층의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
KR101784114B1 (ko) * 2016-11-28 2017-10-11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주 기초석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547U (ja) * 1983-02-15 1984-08-23 近畿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柱体の根枷
JP2000282714A (ja) * 1999-03-29 2000-10-10 Hiraki Tanimoto 柱状構造物
KR200288537Y1 (ko) * 2002-06-19 2002-09-11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완철 밴드
KR100550605B1 (ko) * 2005-10-20 2006-02-0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전주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근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5547U (ja) * 1983-02-15 1984-08-23 近畿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柱体の根枷
JP2000282714A (ja) * 1999-03-29 2000-10-10 Hiraki Tanimoto 柱状構造物
KR200288537Y1 (ko) * 2002-06-19 2002-09-11 주식회사 건화 이앤아이 완철 밴드
KR100550605B1 (ko) * 2005-10-20 2006-02-09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전주용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근가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65B1 (ko) 2006-11-17 2009-06-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KR100923067B1 (ko) 2009-02-13 2009-10-2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근가용 고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주근가의 설치 시공법
WO2011159041A2 (ko) * 2010-06-16 2011-12-22 대원전기 주식회사 바닥면에 도전성 콘크리트층의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
WO2011159041A3 (ko) * 2010-06-16 2012-04-19 대원전기 주식회사 바닥면에 도전성 콘크리트층의 접지기능을 갖는 아치형 전주근가
KR101784114B1 (ko) * 2016-11-28 2017-10-11 세원콘크리트 주식회사 지주 기초석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4269B2 (ja) オーガークレーン用拡張型掘削ユニットを利用した架空線路用円弧状電柱根枷の施工法
KR100755903B1 (ko)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
CN2878511Y (zh) 拉压组合自锚型岩石锚杆
CN105822311A (zh) 内部开口增加作业面的特大断面隧道原位扩建施工结构及施工方法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N103219597B (zh) 接地线装置
KR100772919B1 (ko) 양끝 올림부를 갖는 건주공사용 c형 전주근가
CN201112589Y (zh) 一种接地极
CN205778882U (zh) 内部开口增加作业面的特大断面隧道原位扩建施工结构
KR100650147B1 (ko) 건축물 지중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CN203277665U (zh) 接地线装置
KR100740013B1 (ko) 오거크레인용 확장형 굴착유니트를 이용한 가공선로건주공사 시공법
CN215977290U (zh) 一种用于基坑的钢支撑结构
KR100901765B1 (ko) 접지판 일체식 접지근가
JP4463867B2 (ja) 支線根枷の機械化施工法及びこのためのオーガークレーン用拡張型掘削ユニット
KR20140049371A (ko) 전주용 근가
CN102926766A (zh) 一种能够壁后充填的u型棚
CN202900284U (zh) 能够壁后充填的u型棚
KR200203646Y1 (ko)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보강재 정착구
CN218148411U (zh) 一种深基坑窄道支护装置
CN208183843U (zh) 一种市政道路施工用沟槽开挖设备
CN214194710U (zh) 一种电缆沟现场作业应用工具
CN214613809U (zh) 一种快速抢险分体空心护墩
CN213233474U (zh) 一种基坑支护结构
CN218152931U (zh) 一种顶进施工法用钢筋混凝土排水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