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371A - 전주용 근가 - Google Patents

전주용 근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371A
KR20140049371A KR1020120115542A KR20120115542A KR20140049371A KR 20140049371 A KR20140049371 A KR 20140049371A KR 1020120115542 A KR1020120115542 A KR 1020120115542A KR 20120115542 A KR20120115542 A KR 20120115542A KR 20140049371 A KR20140049371 A KR 2014004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outer diameter
electric pole
groun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15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9371A/ko
Publication of KR2014004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3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근가에 관한 것으로, 전주(1)의 외경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전주(1)의 외경 곡률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각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a,13a)이 형성된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와,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가 상기 전주(1)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를 상기 전주(1)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주용 근가는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에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전주의 근입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주용 근가{Anchor block for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근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건주공사시 근입 보강을 위해 사용하는 전주용 근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주를 세우는 공사는 인력 또는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전주 구덩이를 굴착한 후에 굴착된 구덩이에 전주를 삽입한 후, 전주에 근가를 설치하고 구덩이를 되메우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755903호 "전주용 건주공사에 사용되는 반원형 전주근가"가 있다.
그런데, 건주공사시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근입 보강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는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근입을 보강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번거롭고 콘크리트 양생 등 작업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근입 보강용 지상형 근가의 부재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하여 근입을 보강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3)로 전주(1)를 근입 보강하는 경우 작업자마다 시공방법 및 시공형태에 차이가 있어 미관이 좋지 않고, 야간 식별이 어려워 차량 충돌에 취약하며,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파손시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에 근입 보강이 가능하며,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고 규격화로 미관을 개선하며 야간시 차량 충돌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전주용 근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주의 외경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전주의 외경 곡률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각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상기 전주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의 관통공과 제2몸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기 전주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기 전주에 일체로 고정시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가 서로 형합된다.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는 지상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의 지상부와, 지하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지하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상부의 외경에 반사판이 부착된다.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상부면에 걸림고리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전주용 근가는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도 전주의 근입을 보강한다.
이러한 전주용 근가는 콘크리트 타설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콘크리트 양생 등의 작업시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근가의 규격화된 형태를 통해 건주된 전주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주용 근가는 차량 충돌 방지를 위한 반사판을 부착하여 야간시 차량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주용 근가는 두 몸체로 형성하여 조립하므로 파손시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근입 보강용 지상형 근가의 부재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근입을 보강한 경우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주용 근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주용 근가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주용 근가는, 건주공사시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하여 표준 근입이 미달할 경우 전주의 근입 보강을 위해 설치된다. 건주공사는 전주를 세워 매립 설치하는 것이다.
전주용 근가는 전주의 밑둥에 설치되며 일부분은 지하에 배치되고 일부분은 지상에 배치되는 지상형 근가이다. 전주는 전선을 늘여 매기 위해 세우는 지지물이다. 전주는 외경이 둥근 원통 형상이며,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용 근가(10)는 전주(1)의 외경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전주(1)의 외경 곡률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a,13a)이 형성된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와,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가 전주(1)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를 전주(1)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1)를 포함한다.
전주용 근가(10)는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두 몸체로 형성한다.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11b)와 오목부(13b)가 형성되어,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를 전주(1)에 일체로 고정시 돌출부(11b)와 오목부(13b)가 서로 형합된다. 돌출부(11b)와 오목부(13b)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11b)와 오목부(13b)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몸체(11)의 결합면에 나란히 2개의 사각형상 돌출부(11b)가 형성되고, 제2몸체(13)의 결합면에 사각형상 돌출부(11b)가 삽입되는 오목부(13b)가 형성된다.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는 강도 보강을 위해 철근이 매립된 철근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11) 및 제2몸체는 지상(지표면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의 지상부(15)와, 지하(지표면 하부)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지하부(17)를 포함한다.
지상부(15)와 지하부(17)의 형상은 근입 깊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전주(1)의 근입을 보강하여 장기간 세워져 있는 전주(1)를 안정화하기 위한 것이다.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근입 깊이를 증가시키기 어렵고, 어렵게 굴착하더라도 굴착면적이 커져 되메우기 등 건주 시공성이 떨어진다. 근입 깊이는 지표면부터 지하에 배치되는 근가 하단까지의 거리를 지칭한다.
전주용 근가(10)의 지상부(15)는 지표면에 지지되는 힘이 커지도록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이며, 지하부(17)는 토양과의 마찰력을 높여 전주의 기초 강도를 보강하는 근입을 증대시키도록 지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외경이 감소하고 설정위치에서부터는 더 감소하여 단부까지 동일한 외경을 갖는 형상이다.
전주용 근가(10)의 지상부(15)는 전주 표준근입(h)/3의 높이로 형성하고, 지하부(17)는 2×전주 표준근입(h)/3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하부(17)는 지표면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부분을 전주 표준근입(h)/6의 높이로 형성하고, 외경이 더 감소하여 단부까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부분을 전주 표준근입(h)/2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결합된 전주용 근가(10)의 상부면 외경은 전주(1)의 외경에 비해 크며,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의 상부면 외경에서 내경까지의 길이는 전주 표준근입(h)/6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전주용 근가(10)의 규격은 전주의 표준근입에 준하여 설계한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설계변경 가능하다.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은 서로 연통되어 고정부재(21)의 체결이 가능하도록 된다.
고정부재(21)는 고정볼트(21a)와 고정너트(21b)로 이루어진다.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내경이 전주(1)의 밑둥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한 고정볼트(21a)에 고정너트(21b)가 체결됨으로써 전주(1)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전주(1)의 밑둥에도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의 관통공(11a,13a)과 연통되는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전주의 볼트공,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한 고정볼트(21a)에 고정너트(21b)가 체결됨으로써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전주(1)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지상부(15)의 외경을 둘러 반사판(23)이 부착된다. 반사판(23)은 야간에 차량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의 상부면에 걸림고리(25)가 구비된다. 걸림고리(25)는 제1몸체(11)의 상부면에 하나, 제2몸체(13)의 상부면에 하나가 구비되어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운반 및 전주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고리(25)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크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 기재된 수치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기재한 것으로 본 발명이 상기 수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통상,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전주 표준근입의 2/3 정도를 굴착한 후, 지표상 표준근입의 1/3지점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보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주용 근가는 지반이 암반으로 되어 굴착이 곤란한 경우, 콘크리트 타설하지 않고도 전주의 근입을 보강한다.
그 과정은, 암반을 전주 표준근입(h)의 2/3 정도 굴착 후, 굴착한 구덩이에 전주(1)를 세우고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운반하여 전주(1)의 밑둥 양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상부면에 구비된 걸림고리(25)를 파지하고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운반하므로 운반이 용이하다.
이때, 걸림고리(25)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어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운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주(1)의 밑둥 외경 곡률을 따라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내경을 긴밀하게 밀착하여 제1몸체(11)의 돌출부(11b)와 제2몸체(13)의 오목부(13b)를 형합시킨다.
이 후, 고정볼트(21a)를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에 삽입하고, 제1몸체(11)의 관통공(11a)과 제2몸체(13)의 관통공(13a)을 관통한 고정볼트(21a)에 고정너트(21b)를 체결한다. 그러면,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는 전주(1)에 조립되고 단단히 고정된다.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전주(1)에 단단히 고정되면 구덩이를 되메우는 작업을 한다. 구덩이를 되메우는 작업시에는 지반을 충분히 다지면서 지표면까지 복구한다.
구덩이가 되메워지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용 근가(10)는 전주 표준근입의 2/3이 지하에 매설되고 전주 표준근입(h)의 1/3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지상형 근가가 된다.
전주용 근가(10)에서 지상으로 노출되는 부분인 지상부(15)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이므로 안정적으로 전주를 지지하고, 지하에 매설되는 부분인 지하부(17)는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고 설정 위치부터는 더 감소하여 동일한 외경을 갖는 형상이므로 토양과의 마찰력이 커 전주의 근입을 보강하는 효과가 크다.
또한, 전주용 근가(10)는 지상부(15)의 외경에 반사판(23)이 부착되어 야간에 차량 충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주용 근가(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에 비해 시공이 간편하고, 콘크리트 양생 등 작업시간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규격화된 형태를 채용하므로 전주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전주 3:콘크리트 타설
10:전주용 근가 11:제1몸체
13:제2몸체 11a,13a:관통공
11b:돌출부 13b:오목부
15:지상부 17:지하부
21:고정부재 21a:고정볼트
21b:고정너트 23:반사판
25:걸림고리

Claims (5)

  1. 전주의 외경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게 마주하면서 전주의 외경 곡률을 따라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내경이 반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각에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몸체 및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상기 전주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의 관통공과 제2몸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기 전주에 일체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근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를 상기 전주에 일체로 고정시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가 서로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근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는
    지상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는 형상의 지상부와,
    지하에 배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형상의 지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근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상부의 외경에 반사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근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의 상부면에 걸림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근가.
KR1020120115542A 2012-10-17 2012-10-17 전주용 근가 KR201400493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42A KR20140049371A (ko) 2012-10-17 2012-10-17 전주용 근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542A KR20140049371A (ko) 2012-10-17 2012-10-17 전주용 근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371A true KR20140049371A (ko) 2014-04-25

Family

ID=5065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542A KR20140049371A (ko) 2012-10-17 2012-10-17 전주용 근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93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755A (zh) * 2014-12-02 2015-04-08 国家电网公司 电线杆组件
KR102387856B1 (ko) * 2021-10-08 2022-04-18 임은실 타격 매립식 전주용 근가
CN115030594A (zh) * 2022-06-02 2022-09-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伊川县供电公司 一种电线杆埋入支撑装置
KR20230001856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설치를 위한 조립식 근입보강 기초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9755A (zh) * 2014-12-02 2015-04-08 国家电网公司 电线杆组件
KR20230001856A (ko) * 2021-06-29 2023-01-05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설치를 위한 조립식 근입보강 기초대
KR102387856B1 (ko) * 2021-10-08 2022-04-18 임은실 타격 매립식 전주용 근가
CN115030594A (zh) * 2022-06-02 2022-09-09 国网河南省电力公司伊川县供电公司 一种电线杆埋入支撑装置
CN115030594B (zh) * 2022-06-02 2024-01-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伊川县供电公司 一种电线杆埋入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2765B2 (en) Foundations system for towers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foundations system for towers
KR100588445B1 (ko) 환경친화적 전주 설치 공법
KR101105092B1 (ko) 프리캐스트 옹벽패널 및 반건식 뒷채움을 적용한 이 프리캐스트 옹벽패널의 시공방법
KR101394235B1 (ko) 대심도 연약지반용 복합 파일 시공 방법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49371A (ko) 전주용 근가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CN108699794A (zh) 使用销桩的海堤、挡土墙和类似结构的改进
EP3225746B1 (en) A bearing structure
JP5500431B2 (ja) 基礎鋼管沈下防止構造
KR101211469B1 (ko)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이 구비된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CN112018708B (zh) 预制排管及其加工方法
CN112152179B (zh) 预制电缆沟及其施工方法
JP5169638B2 (ja) 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967402B1 (ko)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4684479B2 (ja) 杭と杭頭構造物の接続部の構造
JP7112939B2 (ja) 杭と基礎コンクリート部との接合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及び施工方法
US20030145556A1 (en) Working pole foundation and method
JP2011236666A (ja) 浄化槽保護用コンクリート体の構築方法
KR101039341B1 (ko) 파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구조물 시공방법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KR101003855B1 (ko) 도로 표지판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217325334U (zh) 具有预应力锚固的工法桩系统
KR20190023785A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