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525A -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525A
KR20180087525A KR1020170011105A KR20170011105A KR20180087525A KR 20180087525 A KR20180087525 A KR 20180087525A KR 1020170011105 A KR1020170011105 A KR 1020170011105A KR 20170011105 A KR20170011105 A KR 20170011105A KR 20180087525 A KR20180087525 A KR 2018008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mber
support
photoconductor
cleaning
photo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390B1 (ko
Inventor
최상필
이종권
남기호
최상기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1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3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 G03G2215/0805Cleaning blade adjacent to the donor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와 접하는 클리닝부재와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장치를 100℃ 내지 200℃ 예열하는 단계, 상기 성형장치의 하형에 지지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형에 상기 지지대의 일측과 마주하는 부분에 성형부가 형성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일치하는 상기 지지대 부분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마주하는 상기 성형장치의 상형 부분에 클리닝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형과 상기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를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성형부의 성형으로 상기 클리닝부재의 단부는 감광체와 선 접촉한다.

Description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Cleaning blade for photosensitiv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와 같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미세 토너 입자(이하, '현상제' 라함)들을 현상롤러에 부착한 후 현상제를 적절한 전압 바이어스(bias)를 사용하여 광도전성 물질로 구성되는 감광체(Organic Photo Conductor; OPC)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정전기적인 힘에 의하여 선별적으로 부착시켜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고, 현상제 화상을 감광체보다 높게 대전된 용지로 이동시킨 후, 열과 압력에 의해 정착시킴으로써 영구적 화상을 얻는다.
도면 도 5를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0)는 일정한 주속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감광체(11), 감광체(11)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유니트(12),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체(11)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니트(도시하지 않음),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를 포함하고 감광체(14a)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 유니트(14) 및 감광체(11)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15)를 포함한다.
고품질 화상을 얻기 위해 소입경(약 5~6 ㎛) 현상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상제의 소입경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광체 표면에 잔류하는 현상제, 외첨제 및 기타 첨가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15) 기술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상제의 입경이 작아질수록 클리닝이 어려워져서 화상 불량으로 연결되기 쉽기 때문이다.
클리닝 블레이드(15)는 감광체(11)와 떨어져 있으며 일측이 화성 형성 장치의 내부면에 고정된 지지대(15a) 및 고무로 이루어져 있고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지지대(15a) 타측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고 타측은 감광체(11)와 접하여 감광체(11)를 닦는 클리닝부재(15b)를 포함한다.
클리닝부재(15b)의 기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지지대(15a)로부터 벗어나 있다. 지지대(15a)를 벗어나 있는 클리닝부재(15b) 부분(L)의 탄성력에 의해 클리닝부재(15b)에 선압이 발생하여 클리닝부재(15)의 타측은 감광체(11)에 탄력적으로 접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15b)의 선압 만으로 타측이 감광체(11)에 접하므로 클리닝부재(15) 타측이 탄력적으로 감광체(11)에 접하지 못하여 현상제 제거 효율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아울러, 클리닝 블레이드(15) 제조 시 지지대(15a)와 클리닝부재(15b)를 별도의 공정에서 각각 제조한 후 서로 결합하므로 클리닝 블레이드(15) 제조 공정이 증가하였다. 특히 클리닝부재(15b)는 지지대(15a)와 감광체(11)에 맞게 제단을 해야 하므로 클리닝부재(15b)의 정밀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클리닝부재(15)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감광체(11)에 접하도록 지지대(15a)가 기울여져야 했으며 이로 기울여진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지지대(15a)의 상부측을 일방향으로 구부려야 했다. 이에 지지대(15a) 제작 후 규격에 맞게 구부리는 후속 공정이 발생하였다.
등록특허 제10-0622402호. (2006.09.04.) 공개특허 제10-2007-0025636호. (2007.03.08.)
본 발명은 감광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전체적으로 선압이 감광체를 향해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조립공정과 결합성을 높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장치를 100℃ 내지 200℃ 예열하는 단계, 상기 성형장치의 하형에 지지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형에 상기 지지대의 일측과 마주하는 부분에 성형부가 형성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일치하는 상기 지지대 부분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마주하는 상기 성형장치의 상형 부분에 클리닝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형과 상기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를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성형부의 성형으로 상기 클리닝부재의 단부는 감광체와 선 접촉한다.
상기 지지대의 두께는 0.7mm 내지 1mm 일 수 있으며,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면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일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재의 높이는 상기 지지대의 높이 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클리닝부재는,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클리닝부재에 관한 것으로, 0.7mm 내지 1mm 두께로 이루어진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일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재 하면은 상기 지지대의 하면과 일치하고,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면은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일면과 수직 하며,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면은 상기 지지대의 하면을 벗어나지 않다.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은 상기 감광체와 선접촉하며 상기 타면과 상기 일면을 연결하는 상면은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부분은 상기 감광체와 마주하는 프레임과 접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프레임을 벗어나 있고,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이 상기 감광체에 접하면서 상기 일부분에는 상기 감광체 방향으로 선압이 발생하며, 상기 선압에 의해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은 상기 감광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유니트,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니트,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 유니트 및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리닝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의 지지대와 고무의 클리닝부재를 사출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화 함으로써 후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를 정밀사출방법으로 가공하므로 클리닝부재의 절단, 외형가공 등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금속의 지지대와 고무의 클리닝부재 조립 공정을 일체화하여 따로 만들어 조립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량요인을 원천 제거하고 클리닝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닝부재가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지대를 경사지게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종래와 같이 클리닝부재가 사각 형태로 형성되면 사각의 클리닝부재 모서리 부분이 감광체와 선접촉하기 위해 지지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한다. 지지대를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대의 상부를 구부리는 후 가공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클리닝부재가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를 구부리기 위한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지지대의 제조가 간편하며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아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 조립시간 절약, 조립비용 감소, 조립 불량 감소 및 고무 사용 최소화로 고무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된 화상 성형 장치 계략도.
도 4는 도 3의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화상 성형 장치 계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가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 단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설치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감광체(110), 감광체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유니트(120),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체(110)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니트(도시하지 않음),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141)를 포함하고 감광체(1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 유니트(140) 및 감광체(110)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이하, '클리닝 블레이드'(150)라 칭함)를 포함한다.
감광체(110), 대전 유니트(120), 노광 유니트 및 현상 유니트(140)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화상성형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클리닝 블레이드(150)는 0.7mm 내지 1mm 두께로 이루어진 지지대(151) 및 지지대(151) 일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는 클리닝부재(152)를 포함한다.
지지대(151)는 기설정된 길이와 높이를 가진다. 지지대(151)의 상부는 감광체(110)와 이웃한 프레임(101)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대(151)의 상부 일부분(이하, '제1 부분(151a)'이라 칭함)만 프레임(101)과 접하고 일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하, '제2 부분(151b)'이라 칭함)은 프레임(101)을 벗어나 있다. 지지대(151)가 프레임(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클리닝부재(152)는 감광체(110)의 외부 둘레와 접할 수 있다. 이때 클리닝부재(152)의 폭(W1) 보다 지지대(151) 하부와 감광체(110) 사이 간격(G1)이 더 좁으므로 제1 부분(151a)이 프레임(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클리닝부재(152)가 감광체(110)에 접하면 제2 부분(151b)은 감광체(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휘어진 제2 부분(151b)은 원 상태로 복귀하려는 성질이 발생한다. 다른 부분의 복귀하려는 성질에 제2 부분(151b)에는 감광체(110)를 향해 전체적으로 선압((감광체에 기설정된 힘으로 엣지면(클리닝부재의 단부(타면))이 접촉하는지 결정하는 압력으로 현상제의 종류, 감광체의 구동속도, 분단 출력 매수 등 조건을 맞춰서 결정함), (선압은 화상 형성 장치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이 발생한다. 선압에 의해 클리닝부재(152)가 결합된 하부에도 발생한다. 제2 부분(151b)에서 발생하는 선압에 의해 클리닝부재(152)의 단부는 감광체(1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선압을 위해 지지대(151)의 두께가 중요하다. 지지대(151)의 두께가 0.7mm 미만인 경우 지지대(151)가 쉽게 휘어지고 기설정된 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클리닝부재(152)가 감광체(110)를 닦는 효율이 저하된다. 그리고 지지대(151)의 두께가 1mm를 초과할 경우 지지대(151)가 원활하게 휘어지지 않는다. 지지대(151)가 휘어지지 않으면 선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선압에 의해 감광체(110)의 닦는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더하여 클리닝부재(152)가 설정된 압 보다 큰 압력으로 감광체(110)와 접하므로 클리닝부재(152)와 감광체(110)에 큰 저항이 발생하고 저항에 의하여 감광체(110)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게 된다. 감광체(110)의 원하지 않은 회전에 의해 화상 형성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대(151)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 Galvanized Coil; EGI)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녹이 쉽게 생기지 않고 가열해도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이 생기지 않는다. 이러한 스테인리스 스틸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내구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다. 전기아연도금강판은 철보다 이온화 경향이 큰 아연이 탄산 아연의 화합물로 되어 철의 표면을 보호하며, 아연 표면이 파괴되어도 아연이 이온화 경향이 크므로 아연은 녹고 철은 녹지 않는 아연의 희생 방식에 의하여 수명이 길다. 그리고 아연의 부착성이 뛰어나고, 취약한 철-아연 합금층이 아주 얇으므로 드로잉 가공을 받아도 도금층이 거의 박리되지 않음 냉연강판과 같은 수준으로 가공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지지대(151)를 스테인리스 스틸, 전기아연도금강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대(151)의 상부에는 프레임(101)과 결합하기 위해 결합수단이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은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클리닝부재(152)는 지지대(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부재(152)는 지지대(151)와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로 결합되어 있다. 클리닝부재(152)와 지지대(151)는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다.
클리닝부재(152)는 제2 부분(151b)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클리닝부재(152) 하면(152b)은 지지대(151)의 하면(151c)과 일치하고, 클리닝부재(152)의 하면(152b)은 지지대(151)와 접하는 일면(152a)과 수직 하다. 클리닝부재(152)의 일면(152a)과 지지대(151) 부분에는 접촉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요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클리닝부재(152)의 하면(152b)은 지지대(151)의 하면(151c)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클리닝부재(152) 하면(152b)과 지지대(151)의 하면(151c)은 동일 선상에 위치한다. 클리닝부재(152)의 단부인 타면(153c)은 감광체(110)의 외부 둘레와 접한다. 지지대(151)의 선압에 의해 클리닝부재(152)의 타면(153c)은 감광체(110)의 외부 둘레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감광체(110)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152)의 일면(152a)은 기설정된 높이를 갖는다. 클리닝부재(152)의 전체적은 높이(h1)는 일면(152a)의 높이에 의해 결정되며 클리닝부재(152)의 높이(h1)는 지지대(151)의 높이(h2) 1/5이다. 클리닝부재(152)와 지지대(151)의 높이 차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규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클리닝부재(152)의 하면(152b)은 일면(152a)과 수직 하며 일면(152a)의 상부와 타면(153c)을 연결하는 상면(153d)은 경사져 있다. 따라서, 클리닝부재(152)는 일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이에 클리닝부재(152)를 정면에서 보면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타면(153c)은 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선 형태의 타면(153c)이 감광체(110)의 외부 둘레와 선 접촉한다.
한편, 클리닝부재(152)가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지지대(151)를 경사지게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종래와 같이 클리닝부재(152)가 사각 형태로 형성되면 사각의 클리닝부재 모서리 부분이 감광체와 선접촉하기 위해 지지대가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한다. 지지대를 경사지게 배치하기 위해서는 지지대의 상부를 구부리는 후 가공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클리닝부재(152)가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를 구부리기 위한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지지대(151)의 제조가 간편하며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아 제조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152)는 고무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경도 65 내지 80이다. 경도 65 미만인 경우 현상제 제거 성능이 저하되며 경도 80을 초과할 경우 감광체를 손상시킬 있어 현상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151b)에 선압이 전체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클리닝부재(152)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클리닝부재의 하면 까지)도 클리닝부재(152)를 감광체(110)로 밀착시키는 선압이 발생하므로 클리닝부재(152)는 감광체(110) 외부 둘레에 정밀하게 밀착되어 현상제 제거 효율이 향상되며 화상 형성 품질도 높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리닝부재(152)를 정면에서 본 모양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타면(단부)이 클리닝부재(152)와 선 접촉하므로 지지대(151)를 평판 형태로 형성할 수 있어 지지대(151)를 구부리거나 하는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클리닝 블레이드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방법은 성형장치 예열단계(S10), 지지대 배치단계(S20), 성형틀 배치단계(S30), 접착제 공급단계(S40), 클리닝부재 배치단계(S50) 및 클리닝부재와 지지대 결합단계(S60)를 포함하며, 지지대(151)와 클리닝부재(152)를 사출공정으로 일체로 제조한다.
성형장치는 하형, 성형틀, 상형, 가열부 및 구동부를 포함하며 예열단계(S10)에서 하형, 성형틀, 상형 등을 100℃ 내지 200℃로 예열한다. 예열 온도가 100℃ 미만인 경우 사출 성형이 원활하지 않는다. 이에 성형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예열 온도가 200℃를 초과할 경우 성형장치의 가열될 수 있고,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에너지 소비가 높이질 수 있다.
하형, 성형틀, 상형이 분리된 상태에서 0.7mm 내지 1mm 두께로서, 평판 형태의 지지대(151)를 예열된 하형의 배치부에 놓는다(S20). 이때 지지대(151)의 움직임을 예방하고 정 위치에 위치하도록 지지대(151)를 지그로 하형에 고정할 수 있다.
성형부가 형성된 성형틀을 하형에 배치한다(S30). 성형부는 지지대(151)의 하부와 일치하도록 하며, 지지대(151)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다. 성형부는 클리닝부재를 기설정된 모양으로 성형한다.
성형부를 통해 지지대(151)의 하부에 접착제를 기설정된 두께로 도포한다(S40). 접착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폭시계, 폴리초산비닐계 등일 수 있다.
성형장치의 상형에 클리닝부재(152)를 배치한다(S50). 클리닝부재(152)는 성형부와 마주하는 부분에 배치한다. 이때 클리닝부재(152)는 지지대(151)를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클리닝부재(152)는 성형부에 놓여 접착제 위에 놓을 수 있다.
구동부 구동으로 상형과 하형을 합형한다(S60). 합형 상태에서 기설정된 압력, 온도 및 시간 등을 유지한다. 이때 지지대(151)와 클리닝부재(152)는 서로 결합된다. 상형, 성형틀 및 합형을 분리하여 지지대(151)와 클리닝부재(152)가 서로 결합된 클리닝 클리닝부재(152)를 성형장치에서 인출한다.
이와 같은 클리닝 블레이드(150)의 클리닝부재(152)는 지지대(151)의 단부를 벗어나지 않으며 성형부의 성형으로 클리닝부재(152)의 단부가 선 형태로 형성되어 감광체(110)와 선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의 지지대와 고무의 클리닝부재를 사출방식으로 결합하여 일체화 함으로써 후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조립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를 정밀사출방법으로 가공하므로 클리닝부재의 절단, 외형가공 등 후 가공이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금속의 지지대와 고무의 클리닝부재 조립 공정을 일체화하여 따로 만들어 조립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량요인을 원천 제거하고 클리닝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와 고무로 이루어진 클리닝부재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 조립시간 절약, 조립비용 감소, 조립 불량 감소 및 고무 사용 최소화로 고무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의 단면이 직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에 후 가공 없이 사용 가능하며 설계 및 개발단계에서 선압 유지가 용이하다.
클리닝부재가 직삼각형으로 형성하므로 클리닝부재의 클리닝 기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지지대가 클리닝부재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클리닝부재가 지지대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클리닝부재 하면 부분까지 지지대가 선압을 유지함으로써 선압 유지가 용이하다.
그리고 클리닝 기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선압을 금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가 유지해줌으로 감광체의 구동속도, 분당 출력 매수 조절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화상 형성 장치 101: 프레임
110: 감광체 120: 대전 유니트
140: 현상 유니트 150: 클리닝 블레이드
151: 지지대 151a: 제1 부분
151b: 제2 부분 151c: 하면
152: 클리닝부재 152a: 일면
152b: 하면 153c: 타면(단부)
153d: 상면

Claims (7)

  1. 감광체와 접하는 클리닝부재와 클리닝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성형장치를 100℃ 내지 200℃ 예열하는 단계,
    상기 성형장치의 하형에 지지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형에 상기 지지대의 일측과 마주하는 부분에 성형부가 형성된 성형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일치하는 상기 지지대 부분에 접착제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성형부와 마주하는 상기 성형장치의 상형 부분에 클리닝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하형과 상기 상형을 합형하여 상기 클리닝부재와 상기 지지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를 벗어나지 않으며 상기 성형부의 성형으로 상기 클리닝부재의 단부는 감광체와 선 접촉하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대의 두께는 0.7mm 내지 1mm 이며,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면은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일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의 높이는 상기 지지대의 높이 1/5인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제조방법.
  4.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것으로,
    0.7mm 내지 1mm 두께로 이루어진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일면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어 있는 클리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부재 하면은 상기 지지대의 하면과 일치하고,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면은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일면과 수직 하며, 상기 클리닝부재의 하면은 상기 지지대의 하면을 벗어나지 않은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5. 제4항에서,
    상기 클리닝부재의 정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직각삼각형이고,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은 상기 감광체와 선접촉하며 상기 타면과 상기 일면을 연결하는 상면은 경사져 있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6. 제5항에서,
    상기 지지대의 상부 일부분은 상기 감광체와 이웃한 프레임과 접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프레임을 벗어나 있고,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이 상기 감광체에 접하면서 상기 일부분에는 상기 감광체 방향으로 선압이 발생하며, 상기 선압에 의해 상기 클리닝부재의 타면은 상기 감광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7.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표면을 일정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 유니트,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니트,
    현상제 규제 블레이드(Doctor blade)를 포함하고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현상하는 현상 유니트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 되어 있는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는 상기 감광체의 표면에 잔류된 현상제를 제거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011105A 2017-01-24 2017-01-24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05A KR101978390B1 (ko) 2017-01-24 2017-01-24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05A KR101978390B1 (ko) 2017-01-24 2017-01-24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525A true KR20180087525A (ko) 2018-08-02
KR101978390B1 KR101978390B1 (ko) 2019-05-16

Family

ID=6325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105A KR101978390B1 (ko) 2017-01-24 2017-01-24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3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4993A (ja) * 2001-01-17 2002-07-31 Bando Chem Ind Ltd 電子写真装置用ブレード
JP3602898B2 (ja) * 1995-11-06 2004-12-1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用ブレード体
KR100622402B1 (ko) 2003-12-29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대전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070025636A (ko)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리닝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50106183A (ko) * 2014-03-11 2015-09-2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프린터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898B2 (ja) * 1995-11-06 2004-12-15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用ブレード体
JP2002214993A (ja) * 2001-01-17 2002-07-31 Bando Chem Ind Ltd 電子写真装置用ブレード
KR100622402B1 (ko) 2003-12-29 2006-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대전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20070025636A (ko) 2005-09-03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리닝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50106183A (ko) * 2014-03-11 2015-09-2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 프린터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390B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22489A (ja)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JP3967194B2 (ja) 光学式ヘッド及び画像形成装置
US8929795B2 (en)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812827B1 (en) Developer-controlling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eveloping machine using the developer-controlling member, image forming apparatus or printer using the developing machine, and jointed plate
KR101978390B1 (ko) 감광체용 클리닝 블레이드 및 그 제조방법
US912845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10158707A1 (en) Restricting blade and developing device
US100486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rame body and detachable cartridge with integrated photosensitive drum
JP4217676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327395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及びこの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7323026A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
JP2961926B2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の製法
JP6702676B2 (ja) 現像装置、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28838B2 (ja) 光走査装置の製造方法
JP659403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並び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6370335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04252086A (ja) 転写搬送装置
JPH08185098A (ja) クリ−ニング装置
JP2003107901A (ja) 現像剤規制手段及びクリーニング手段及び現像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76151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09729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367292A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JP3940427B2 (ja) ドラムユニット及びドラム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アース板
JP5047647B2 (ja) 導電性部材の製造方法
JPH10319784A (ja) ドラムユニット及びドラムユニットに用いられるアース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