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426A -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426A
KR20180086426A KR1020187015242A KR20187015242A KR20180086426A KR 20180086426 A KR20180086426 A KR 20180086426A KR 1020187015242 A KR1020187015242 A KR 1020187015242A KR 20187015242 A KR20187015242 A KR 20187015242A KR 20180086426 A KR20180086426 A KR 2018008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product
component
color
region
floor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오 크뢰거
디에터 리스커
Original Assignee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노라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8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8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with consecutive mixers, e.g. with premixing some of th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rollers or the like, e.g. cale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76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 B29B7/7495Systems, i.e. flow charts or diagrams; Plants for mixin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4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24Calen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2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3/3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7/0021
    • B29C47/6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565Screws having projections other than the thread, e.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5Screws
    • B29C48/625Screws characterised by the ratio of the threaded length of the screw to its outside diameter [L/D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Abstract

본 발명은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아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 제 1 성분(1), 제 2 성분(2) 및 제 3 성분(3)을 제공하는 단계,
- 혼합 장치(5)에서 제 1 성분(1)과 제 2 성분(2)을 혼합하여 중간 생성물(6)을 제조하는 단계,
- 중간 생성물(9)을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13)로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중간 생성물(9)이 재 형성되는 가공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바닥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DE 195 07 113 C1은 고무로 모아레 패턴의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 공지된 방법은 바닥 피복재가 2개 또는 3개의 기본 색상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이 경우, 단축 스크루 압출기에는 가황성 탄성 중합체 재료의 2개 또는 3개의 상이한 색상의 스트립이 로딩된다. 이에 따라 탄성 중합체 재료는 색의 혼합 없이 압출기를 통해 운반되고, 천공된 디스크를 통해 압출되고, 각각 1 내지 2mm의 성형된 조각으로 분해된다. 다음으로, 성형된 조각을 2-롤러 캘린더에서 재료 웹으로 압축하고 이어서 가황시킨다.
EP 2 759 636 A2 호에는 마블링된(marbled) 리놀륨 기반 바닥 피복재가 개시되어 있다. 제조 중에 처음에는 상이한 색상의 리놀륨 과립(granulate)으로 제조된다. 과립은 열가소성 결합제로 함침되어 마블링된 바닥 피복재를 얻도록 압축된다.
DE 1 479 605 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의 마블링된 웹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이한 색상의 플라스틱 재료 혼합물이 6 롤러 캘린더의 상부 및 하부 흡입 갭에 공급된다. 이어서, 상기 재료는 추가의 롤러 갭을 통과한다. 롤러에 가로막힘(damming up)으로써 서로 다른 색상의 웹이 함께 혼합된다.
이들 공지된 방법은 아직 바닥 피복재의 이상적인 시각적 외관을 이끌어내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이 있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특히 매력적인 표면 형상을 갖는 마블링된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매력적인 표면 형상을 갖는 내구성 있는 바닥 피복재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방법을 통해 달성된다. 따라서,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은 혼합 가능하며, 제 1 성분은 제 1 기본 색상을 가지며 제 2 성분은 제 2 기본 색상을 가지는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 제공 단계;
- 혼합 장치에서 제 1 성분 및 제 2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중간 생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중간 생성물이 제 1 기본 색상을 가지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가지는 제 2 영역, 제 1 혼합 색상을 가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상기 혼합이 이루어지는, 중간 생성물 제조 단계;
- 상기 중간 생성물을 웹 형상 바닥 피복재로 더 처리하는 단계.
이 방법은 특히 매력적인 표면 형상을 갖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마블링된 외관 또는 모아레 외관을 갖는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이는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이 다른 경우에 향상된다. 특히,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의 색조 및/또는 명도(brightness)는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오염 및 마모가 거의 보이지 않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혼합은 성분들이 완전히 혼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상이한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의 상이한 색상 그라데이션(gradation)이 완성된 바닥 피복재에서 식별 가능하다. 대조적으로, 성분의 일부는 혼합된 색상이 또한 발생하는 방식으로 혼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바닥 피복재에서 제한된 수의 기본 색상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미세한 색상 그라데이션을 갖는 다수의 영역이 발생한다. 이 방법은 특히 탄성 중합체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제 1 성분의 양 A 및 제 2 성분의 양 B가 첨가되고, 양 A는 양 B의 50 부피% 내지 150 부피%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양 A가 양 B의 80 부피% 내지 120 부피%를 구성한다. 이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바닥 피복재 패턴,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marbling)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중간 생성물에서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이 30 부피%와 50 부피% 사이를 구성한다. 이것은 특히 마블링(marbling)과 같은 바닥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턴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중간 생성물이 혼합 후에 과립기에서 과립화되는 것을 제공한다. 과립화된 중간 생성물은 추가의 가공 동안, 특히 후술된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사용된다. 이것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과립을 사용하는 결과,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이 특히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과립은 추가로 쉽게 가공되거나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중간 생성물은 예를 들어 초기에 스트립으로서 압출될 수 있고, 스트립은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분쇄되고 이어서 체(sieve)에 통과될 수 있다. 체의 메쉬 너비는 원하는 크기의 과립만이 체를 떠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과립의 평균 체 직경은 10mm 미만이다. 추가의 개선점은 후술된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 동안 과립으로서의 중간 생성물 및 스트립으로서의 제 3 성분이 제 2 혼합 장치에 공급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단들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3 성분이 제공된다는 것과,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의 추가 처리 동안, 초기에 제 2 중간 생성물이 제 2 혼합 장치에서 중간 생성물을 제 3 성분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는 것을 제공하며, 상기 제 2 중간 산물은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2 영역,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 및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중간 생성물은 이어서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 추가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들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중간 생성물 및 제 2 중간 생성물을 사용하는 다단계 제조의 결과로서, 기본 색상뿐만 아니라 특히 미세한 분포의 복수의 혼합된 색상을 또한 포함하는 바닥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3 성분이 제 3 기본 색상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기본 색상은 이 경우의 제 1 기본 색상과 동일하다. 이는 유리한 시각적 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 3 성분이 제 1 성분과 동일한 조성을 가질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는,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제 3 성분의 양 C가 중간 생성물의 양 D와 함께 첨가되고, 양 C는 양 D의 150 부피% 내지 250 부피%를 구성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양 C는 양 D의 180 부피% 내지 220 부피%를 구성한다. 이는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중간 생성물에서,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이 30 부피% 내지 70 부피% 사이를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바닥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중간 생성물에서,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은 20 부피% 내지 40 부피%를 구성한다. 이것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본 색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이 제공되며, 추가 성분은 혼합에 의한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및/또는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추가로 첨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간 생성물 또는 제 2 중간 생성물에서 추가 기본 색상(또는 추가 기본 색상들)을 갖는 영역이 얻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성분이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첨가된다. 특히, 추가 기본 색상은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과 다르다. 이 구성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 구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결과적으로 특히 미세한 색상 그라데이션이 가능해져 매력적인 마블링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 성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 및 추가 기본 색상으로, 총 3개의 기본 색상이 있으며, 이들은 혼합 색상 또는 혼합 색상들과 함께 외관의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구성, 특히 미세한 마블링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2 기본 색상이 제 1 기본 색상보다 더 어둡다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성분이 사용되는 경우, 추가의 기본 색상은 제 1 기본 색상보다 밝다. 이는 바닥 피복재의 유리한 시각적 외관을 향상시키고, 특히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기본 색상과 제 2 혼합 색상 사이의 색상 거리 dE(델타 E)가 1.0 내지 5.0인 경우, 시각적 외관의 추가 개선이 달성된다. 색상 거리 dE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3.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2.5이다. 색상 거리는 2015년 9월 1일에 유효하게 되는 DIN 6176의 버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성분이 스트립으로서 혼합 장치 내로 통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추가 성분(들)도 또한 스트립으로서 혼합 장치 내로 통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는 혼합 장치 및/또는 제 2 혼합 장치가 압출기로서 형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압출기는 유리하게는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키는 바람직한 부분적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혼합 장치와 제 2 혼합 장치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불연속적인 제조를 위해, 동일한 장치가 한번은 혼합 장치로서 그리고 한번은 제 2 혼합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혼합 장치와 제 2 혼합 장치가 별개의 장치라면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압출기가 핀 압출기로서 형성된다. 핀 압출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부분 혼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얻게 한다. 핀 압출기의 핀은 압출기 스크루에 의해 형성된 환형 공간 내로 돌출하여, 성분이 압출기를 통과할 때 원하는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혼합되게 한다. 압출기는 특히 짧은 스크루 압출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4:1 내지 10:1의 길이/직경 비율을 가질 수 있다.
제 2 중간 생성물이 칩 형태인 경우, 추가의 개선이 달성된다. 칩은 제 2 혼합 장치에서 하류로 분리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 2 중간 생성물은 천공된 디스크를 통해 압출될 수 있고, 이어서 짧은 간격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것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의 추가 처리가 캘린더링 시스템에서의 캘린더링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또한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캘린더링의 결과로서, 외관의 마블링을 향상시키는 재료의 변형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패터닝의 방향성 배향을 초래한다. 또한, 캘린더링에 의해, (제 2) 중간 생성물은 기포의 수를 작게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재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캘린더링 시스템이 제 1 및 제 2 캘린더 롤러를 갖는 한 쌍의 캘린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 1 캘린더 롤러는 제 1 원주 속도(V1)로 이동되고 상기 제 2 캘린더 롤러는 제 2 원주 속도(V2)로 이동되며, 제 1 원주 속도(V1)는 제 2 원주 속도(V2)의 110%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원주 속도(V1)는 제 2 원주 속도(V2)의 130%보다 크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원주 속도(V1)가 제 2 원주 속도(V2)의 17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의 원주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재료는 길이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것은 바닥 피복재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향상시킨다. 특히, 방향적으로 배향된 패터닝이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웹 형상 바닥 피복재의 표면이 구조화되는 것을 제공한다. 구조화는 예를 들어 캘린더링 중에 구조화된 롤러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표면을 구조화하면 마블링된 표면의 인상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생성물 및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가 별개의 시간에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생성물은 제 2 중간 생성물이 제조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바닥 피복재가 하나 이상의 탄성 중합체 및/또는 하나의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제 2 및 제 3 성분 각각은 가교 결합성 탄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존재하는 추가 성분(또는 추가 성분들)도 또한 가교 결합성 탄성 중합체 및/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매력적인 패터닝의 바닥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중합체 바닥 피복재는 특히 내구성이 있고 내마모성이 있다. 엘라스토머는 제 2 중간 생성물이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 재형성(reshape)된 후에 가교 결합된다. 가교 결합은, 예를 들어 연속 가황 시스템(AUMA) 상에서, 열을 공급하면서 가황으로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중합체가 NR(천연 고무), BR(폴리부타디엔),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N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EPM(에틸렌-프로필렌 고무),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IIR(부틸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IR(폴리이소프렌)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SBR, NBR, NR 및 EPDM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 및 제 3 성분이, 선택적으로 상이한 색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성분도, 색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는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닥 피복재는 압연 제품 또는 바닥 피복 타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 생성물 및/또는 제 2 중간 생성물이 열을 공급하면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결합 가능한 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성분이 사용되는 경우, 이 점에서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60℃ 내지 100℃이다. 이 온도 범위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패터닝, 특히 마블링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그리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제 3 및 추가 성분이 소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에 의해 추가적으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피복재는 가시적인 표면, 특히 상부 표면상에 마블링 패턴을 갖는다. 마블링 패턴은 제 1 및 제 2 기본 색상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혼합 색상에 의해 형성된다. 추가 성분이 사용되면 마블링 패턴이 추가 기본 색상에 의해 추가로 형성된다. 그 결과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을 갖는 매력적인 패터닝이 나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웹 형상 바닥 피복재가 1mm와 10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mm 내지 5mm이다.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는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재형성된 제 2 중간 생성물에 의해 하나 이상의 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 및 가능한 응용 가능성은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설명된 모든 특징 및/또는 도면에 도시된 모든 특징은, 그 자체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또한 이 특징들이 각각의 청구항 또는 그 종속 청구항에서 결합된 방식과 관계없이, 본 발명의 주제 내용을 형성한다.
도 1은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의 제 1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의 제 2 부분을 도시한다.
도 1은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 순서의 제 1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1 성분(1) 및 제 2 성분(2)이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기술된 방법의 제 2 부분에서 사용되는 제 3 성분(3)이 제공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 성분(4)가 제공되는 것을 도 1로부터 알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및 추가 성분(1-4)은 혼합 가능한 물질이다. 제 1 성분(1)은 제 1 기본 색상을 갖고 제 2 성분(2)은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다. 제 3 성분(3)은 제 1 기본 색상과 동일한 제 3 기본 색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3)의 기본 색상뿐만 아니라 그 조성물의 나머지도 또한 제 1 성분(1)과 동일한 경우가 바람직하다. 추가 성분(4)은 추가 기본 색상을 가진다. 제 1, 제 2 및 추가 기본 색상은 각각 다르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 2 기본 색상이 제 1 기본 색상보다 더 어두운 반면, 추가 기본 색상은 제 1 기본 색상보다 밝다는 것을 제공한다.
성분이 혼합 가능하기 때문에 성분을 혼합하면 혼합 색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각각 가교 결합 가능한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다. 이들은 특히 탄성 중합체 화합물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중간 생성물의 제조 중에 제 1 성분의 양 A, 제 2 성분의 양 B 및 추가 성분의 양 E가 첨가되는 것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양 A는 양 B의 80 부피% 내지 120 부피%를 구성한다. 특히, 양 A, B 및 E가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제 2 및 추가 성분(1, 2, 4)은 동일한 비율로 혼합 장치(5) 내로 공급된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추가 성분(1, 2, 4)은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되고 이러한 형태로 혼합 장치(5)에 공급된다. 혼합 장치(5)에서, 성분들은 혼합되어 중간 생성물(6)을 형성한다. 혼합은 중간 생성물(6)에서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2 영역,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 및 추가의 기본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이 얻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혼합 장치의 각각의 조정의 결과로서, 중간 생성물(6)에서,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은 30 내지 50 부피%를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혼합 색상은 중간 생성물(6)의 40 부피%를 구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4 영역은 각각 중간 생성물(6)의 20 부피%를 구성할 수 있다.
중간 생성물(6)은 예를 들어 스트립으로서 혼합 장치(5)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스트립은 과립기(7)에서 분쇄될 수 있다. 과립기(7)는 특히 스트립을 분쇄하기 위한 블레이드, 그리고 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체를 사용함으로써 이렇게 생성된 과립의 직경이 체의 메쉬 폭보다 작게 된다.
도 2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 2 부분을 도시한다. 제 2 부분은 중간 생성물의 제조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중간 생성물을 저장하고 나중에 제 2 중간 생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진행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2로부터 제 2 혼합 장치(8)에는 제 3 성분(3) 및 중간 생성물(6)이 로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 2 중간 생성물의 제조 동안, 제 3 성분(3)의 양 C는 중간 생성물의 양 D와 함께 제 2 혼합 장치(8)로 공급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양 C는 양 D의 150 내지 250 부피%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양 C는 양 D의 200%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성분(3)이 스트립으로서 제 2 혼합 장치(8)에 공급되고 중간 생성물(6)은 과립으로서 공급된다.
제 2 혼합 장치(8)에서, 제 2 중간 생성물(9)을 생성하도록 다시 혼합이 일어난다. 제 2 혼합 장치(8)는 제 2 중간 생성물(9)이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2 영역,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 및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을 가지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더욱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중간 생성물은 또한 추가 기본 색상을 갖는 제 5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 2 중간 생성물에서,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영역은 30 부피% 내지 70 부피%, 예를 들어 50 부피%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생성물에서,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은 20 부피% 내지 40 부피%, 예를 들어 30 부피%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중간 생성물의 나머지 영역은 제 2 기본 색상, 추가 기본 색상 및 제 1 혼합 색상 사이에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제 2 및 추가 기본 색상을 갖는 영역은 각각 5%를 구성할 수 있고,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영역은 1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된 디스크를 통해 제 2 혼합 장치(8)로부터 제 2 중간 생성물을 방출하고, 나오는 물질을 짧은 간격으로 분해함으로써, 제 2 중간 생성물로부터 칩이 제조될 수 있다.
제 2 중간 생성물(9)은 이어서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13)로 추가 가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중간 생성물(9)이 재형성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 2 중간 생성물(9)은 분쇄 장치(10)에서 칩으로 분쇄된다. 분쇄 장치(10)는 예를 들어 커팅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중간 생성물의 칩은 이어서 캘린더링 시스템(11)에서의 캘린더링에 의해 재형성된다. 캘린더링 시스템(11)은 제 1 캘린더 롤러(12) 및 제 2 캘린더 롤러(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캘린더 롤러를 포함한다. 캘린더 롤러(12, 12')는 제 2 중간 생성물(9)을 압축하여 웹(13)으로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웹을 제조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캘린더 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2 중간 생성물(9)은 혼합 후에 캘린더링 시스템(11)에서 처리된다. 그러나, 일시적으로 제 2 중간 생성물(9)을 저장하고 나중에 더 처리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기재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이는 가교 결합 가능한 탄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웹을 생성한다. 가교 결합 가능한 탄성 중합체를 가교 결합시킴으로써, 내구성 있는 바닥 피복재를 얻을 수 있다. 가교 결합은 예를 들어 열 및 압력을 공급하면서 가황 시스템(예를 들어, AUMA)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 1 캘린더 롤러(12)는 제 1 원주 속도(V1)로 이동되고 제 2 캘린더 롤러(12')는 제 2 원주 속도(V2)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원주 속도(V1)는 원주 속도(V2)보다 높다. 롤러(12, 12')의 상이한 원주 속도의 결과로서, 재료는 길이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미세하게 그라데이션된 마블링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제 2 중간 생성물(9)에 함유된 상이한 색상의 영역이 비틀림(distort)될 수 있다.
혼합 장치 및 제 2 혼합 장치는 각각 압출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른바 핀 압출기가 적합하다. 핀을 사용함으로써, 압출기(5, 8)의 형태의 혼합 장치를 통과할 때 재료의 혼합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원하는 시각적 외관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13)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 제 1 성분(1) 및 제 2 성분(2)이 혼합 가능하고 제 1 성분(1)이 제 1 기본 색상을 가지며 제 2 성분(2)이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성분(1) 및 제 2 성분(2)을 제공하는 단계;
    - 혼합 장치(5)에서 제 1 성분(1)과 제 2 성분(2)을 혼합하여 중간 생성물(6)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혼합은 중간 생성물(6)이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2 영역 및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을 포함하도록 이루어지는, 중간 생성물 제조 단계;
    - 상기 중간 생성물(9)을 웹 형상 바닥 피복재(13)로 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생성물(6)의 제조 중에, 제 1 성분(1)의 양 A 및 제 2 성분(2)의 양 B가 혼합 장치(5)로 공급되고, 양 A는 양 B의 50 부피% 내지 150 부피% 사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생성물(6)에서,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은 30 부피% 내지 50 부피%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생성물(6)은 혼합 후에 과립기(7)에서 과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성분(3)이 제공되고,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의 추가 가공 동안, 제 2 중간 생성물(9)이 제 2 혼합 장치(8)에서 제 3 성분(3)과 중간 생성물(6)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제 2 중간 생성물(9)은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 제 2 기본 색상을 갖는 제 2 영역, 제 1 혼합 색상을 갖는 제 3 영역 및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DIN 6176에 따라 결정된 제 1 기본 색상과 제 2 혼합 색상 사이의 색상 거리 dE가 1.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성분(3)은 제 3 기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중간 생성물(9)의 제조 중에, 제 3 성분(3)의 양 C 및 중간 생성물(6)의 양 D가 첨가되고, 양 C는 양 D의 150 부피% 내지 250 부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중간 생성물(9)에서, 제 2 혼합 색상을 갖는 제 4 영역은 30 부피% 내지 70 부피%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중간 생성물(9)에서, 제 1 기본 색상을 갖는 제 1 영역은 20 부피% 내지 40 부피%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기본 색상을 갖는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4)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 성분(4)은 중간 생성물(6)의 제조 동안 및/또는 제 2 중간 생성물(9)의 제조 동안 혼합 장치(5) 또는 제 2 혼합 장치(8)에 추가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장치(5) 및/또는 상기 제 2 혼합 장치(8)는 압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웹 형상의 바닥 피복재로의 추가 처리는 캘린더링 시스템(11)에서의 캘린더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린더링 시스템(11)은 제 1 및 제 2 캘린더 롤러(12, 12')를 갖는 한 쌍의 캘린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캘린더 롤러(12)는 제 1 원주 속도(V1)에서 이동되고 제 2 캘린더 롤러(12')는 제 2 원주 속도(V2)에서 이동되며, 제 1 원주 속도(V1)는 제 2 원주 속도(V2)의 110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제조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피복재(13)는 가시 표면상에 마블링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KR1020187015242A 2015-10-30 2016-10-18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KR20180086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8618.7 2015-10-30
DE102015118618.7A DE102015118618A1 (de) 2015-10-30 2015-10-30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musterten Bodenbelages und gemusterter Bodenbelag
PCT/EP2016/074939 WO2017071987A1 (de) 2015-10-30 2016-10-18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musterten bodenbelags und gemusterter bodenbel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426A true KR20180086426A (ko) 2018-07-31

Family

ID=5718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5242A KR20180086426A (ko) 2015-10-30 2016-10-18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345537A1 (ko)
EP (1) EP3368265B1 (ko)
KR (1) KR20180086426A (ko)
CN (1) CN108602216A (ko)
CA (1) CA3003507C (ko)
DE (1) DE102015118618A1 (ko)
RU (1) RU2705353C1 (ko)
WO (1) WO2017071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4555A1 (de) * 2016-12-15 2018-06-21 Nora Systems Gmbh Bodenbela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9605B2 (de) 1965-12-28 1971-06-16 Pegulan Werke AG, 6710 Franken thai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armorierten bahne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insbesondere von fussbodenbelaegen
SU642202A1 (ru) * 1977-07-14 1979-01-18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синтетических смол Плоскощелева экструзионна головк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цветных изделий
DE3743297A1 (de) * 1987-12-19 1989-06-29 Huels Trois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farbig strukturierten, homogenen kunststoffbahnen oder -platten
DE3843482A1 (de) * 1988-12-23 1990-06-28 Huels Trois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aechengebilden wie boden- oder wandbelaegen, insbesondere aus naturoelen
DE4405589C1 (de) * 1994-02-22 1995-01-12 Freudenberg Carl Fa Mehrfarbig gemustert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4407989C2 (de) * 1994-03-10 1998-10-08 Dlw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noleum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Linoleum
DE19507113C1 (de) 1995-03-02 1996-02-15 Freudenberg Carl Fa Moirierter Bodenbela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645406A1 (de) * 1996-11-04 1998-05-07 Dlw Ag Flächengebilde aus Natur- und/oder Kunststoffen mit vorbestimmter, dauerhafter Musterung
EP1176246A1 (en) * 2000-07-27 2002-01-30 DLW Aktiengesellschaft Linoleum-based planar structure,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uch a planar structure as well as the use of the planar structure
CN1657259A (zh) * 2004-02-16 2005-08-24 环球公开有限公司 制造弹性材料覆盖物的方法及其中间体产品
EP1616923A1 (en) * 2004-07-13 2006-01-18 Tarkett SAS Rubber-polyolefin surface covering
DE102010036121A1 (de) * 2010-09-01 2012-03-01 Nora Systems Gmbh Bodenbelag
DE102013001477A1 (de) 2013-01-29 2014-07-31 Armstrong DLW GmbH Marmorierter Bodenbelag auf Linoleum-Basis
US9492332B2 (en) * 2014-05-13 2016-11-15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and microporous thin thermoplastic film
DE102015118055A1 (de) * 2015-10-22 2017-04-27 Fritz Egger Gmbh & Co. Og Kantenprofil für einen plattenförmigen Werkstoff und plattenförmiger Werk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5537A1 (en) 2018-12-06
WO2017071987A1 (de) 2017-05-04
CA3003507A1 (en) 2017-05-04
DE102015118618A1 (de) 2017-05-04
EP3368265B1 (de) 2021-04-28
CN108602216A (zh) 2018-09-28
CA3003507C (en) 2021-05-25
RU2705353C1 (ru) 2019-11-06
EP3368265A1 (de) 201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7050C (en) Multi-coloured, patterned floor covering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8234736B2 (en) Shoe outsole made using composite sheet material
KR20180086426A (ko)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 및 패턴화된 바닥 피복재의 제조 방법
CA2441154C (en) Floor covering
US11653713B2 (en) Method for making composite shoe outsole component
US1053801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astic mat with successive mixed color type
CA2293990C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coverings and a covering produced thereby
CA2170791C (en) Moire flooring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CA2103990C (en) Multi-coloured, patterned flooring and process of manufacture thereof
JP3091748B2 (ja) エラストマー製床ライニング及びその製造法
US20230232937A1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material
US20150033580A1 (en) Shoe with Fibers Embedded into the Surface of Its Outsole
KR100831573B1 (ko) 사이드 압출칩에 의한 스포트 효과를 갖는 바닥재 및 이의제조방법
JPH04161651A (ja) 大理石模様を有するゴムタイル及びその製造法
TW200505657A (en) A continuous method for producing a broadloom composite siloxane rubber
JPH1053968A (ja) 床被覆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23970A (ja) 1台の押出機を使用して大理石模様を有するシートを製造する方法、シート、および床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