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396A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396A
KR20180086396A KR1020180084083A KR20180084083A KR20180086396A KR 20180086396 A KR20180086396 A KR 20180086396A KR 1020180084083 A KR1020180084083 A KR 1020180084083A KR 20180084083 A KR20180084083 A KR 20180084083A KR 20180086396 A KR20180086396 A KR 2018008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anel
housing
cover member
suc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5135B9 (ko
KR102335135B1 (ko
Inventor
이동윤
심재형
김도연
김도훈
소병열
윤준호
이정대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8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396A/ko
Priority to KR102021016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135B1/ko
Publication of KR10233513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13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63Means for active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20Shape of filtering material
    • B01D2275/202Disc-shaped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2Details of the casing o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하우징 내측으로 흡입되는 흡입구를 포함하는 흡입 판넬을 포함하고, 흡입 판넬은 송풍팬의 축방향 또는 송풍팬의 축방향과 수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하우징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흡입판넬을 분리할 수 있으며 흡입 판넬에 배치되는 지지유닛을 통해 흡입 판넬의 분리 시 발생할 수 있는 흡입 판넬의 추락 문제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하측의 외곽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하우징 측으로 가압되는 방법으로 하우징과 커버부재가 결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판넬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판넬을 지지하는 내측 프레임과 보강리브가 교차되는 각도를 다양하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AIR CONDITIONER AND CO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흡입구를 형상하는 흡입판넬과 커버부재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과, 하나의 하우징 안에 실내기와 실외기가 모두 배치되는 일체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 후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키는데 쾌적한 공기를 토출 흡입하고 토출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흡입구가 마련되는 흡입판넬을 분리하여 필터를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천장 매립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흡입판넬을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판넬을 분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결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원형으로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배치되는 드레인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외곽측을 커버하고 원형의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레인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레인 트레이는 각각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 배치되는 제 1조립부와 제 2조립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1조립부 또는 상기 제 2조립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와 후크 결합이 가능한 결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결합 후크의 폭포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리세스부와 상기 결합 후크의 폭의 차이만큼 회전되어 유격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원형의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를 가지는 결합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 후 상기 길이부의 길이만큼 회전되어 유격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의 내주면 측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제 1,2 조립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될 시 상기 리세스부의 일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보조결합돌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커버부재들로부터 선택 가능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선택된 커버부재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커버부재는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는 결합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유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후크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진다.
또한 상기 선택된 커버부재는 상기 제 1,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커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리세스부에 결합되는 보조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원형의 개구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결합 후크가 전진 또는 후퇴하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결합 슬릿을 커버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와 분리가능한 보조커버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보조커버부재가 분리될 경우 상기 보조커버부재를 이격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보조커버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결속되는 와이어 결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결속부는 상기 커버부재와 일체로 사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 측으로 가압된 후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레인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공기를 ?g입하고 토출시키는 메인팬과, 상기 메인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흡입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마련되는 보조팬과, 상기 보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안내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메인팬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와, 상기 안내 유로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안내 유로의 공기가 토출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팬은 상기 토출 기류를 상기 유입구 측으로 끌어 당기도록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배치되는 드레인 트레이와 상기 하우징의 외곽측을 커버하고 원형의 개구를 포함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 측으로 가압된 후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레인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드레인 트레이는 각각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중첩 배치되는 제 1조립부와 제 2조립부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 또는 상기 제 2조립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제 1조립부 또는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 1조립부 또는 상기 제 2조립부에 대해 상기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리세스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와 후크 결합이 가능한 결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결합 후크의 폭포다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리세스부와 상기 결합 후크의 폭의 차이만큼 회전되어 유격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키는 보조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보조 결합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원형의 개구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를 가지는 결합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조립부와 상기 제 2조립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 후 상기 길이부의 길이만큼 상기 보조 결합부재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은 하우징에 대해 측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리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판넬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은 하우징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분리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흡입판넬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커버부재는 하우징측으로 가압하여 커버부재를 결합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필터는 원형으로 마련되고 다양한 형상의 필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I-I선에 따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판넬을 제거한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재에 필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부 하우징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하우징에 결합 상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결합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공기조화기에서 분리될 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일부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평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일부 확대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상측', '상방', '하측', '하방'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하방향, 즉 도 1에서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가 마련되는 측이 하측 그 위를 상측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를 조화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공기조화기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환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이다. 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I-I선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 2하부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천장(L)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장(L)에 매립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흡입구(110)와 토출구(33)를 갖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80)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상하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은 천장(L)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 하우징(20)과, 상부 하우징(20)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부 하우징(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0)의 중앙부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0)를 포함하는 흡입판넬(100)이 마련되고, 흡입구(11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3)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33)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 하우징(30)은 상부 하우징(20)과 결합되고 토출구(33)를 형성하는 제 1하부 하우징(31)과 제 1하부 하우징(31)의 하측면을 커버하는 제 2하부 하우징(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하부 하우징(31)은 3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공정상 조립의 용이성에 의해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단일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 및 난방시킨 후에 다시 하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흡입판넬(100)의 상측면에는 흡입구(110)로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필터(120)가 결합될 수 있다.
열교환기(80)는 수직 방향으로 바라볼 때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열교환기(80)는 드레인 트레이(90)에 놓여져서 열교환기(8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 트레이(90)에 집수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열교환기(8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4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에는 송풍팬(40)의 구동을 위한 송풍 모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키거나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난방시킨 후에 실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기류 제어 장치(50)를 더 포함한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력를 변화시킴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의 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토출 기류의 방향을 제어한다는 것은 토출 기류의 각도를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를 흡입할 시에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가 작동하지 않을 때의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이 A1 방향이라면, 기류 제어 장치(50)가 작동하여 A1 방향의 일 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을 A2 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량에 따라 전환되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흡입량을 작게 하면 작은 각도로 전환이 되고, 흡입량을 크게 하면 큰 각도로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기류 제어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가 토출구(33)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공기를 흡입하므로 토출 기류는 토출구(33)의 반경 방향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와이드하게 퍼져나갈 수 있다.
기류 제어 장치(5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기류 제어팬(60)과, 기류 제어팬(60)을 구동시키기 위한 기류 제어 모터(61)와, 기류 제어팬(6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70)를 포함한다.
기류 제어팬(60)은 하부 하우징(3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기류 제어팬(60)은 제 1하부 하우징(31)과 제 2하부 하우징(32)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 하우징(3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팬(60)은 120도의 각도로 3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류 제어팬(60)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류 제어팬(60)으로 원심팬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계 사양에 따라 축류팬, 횡류팬, 사류팬 등 다양한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안내 유로(70)는 토출구(33)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71)와, 흡입한 공기를 토출시키는 유출구(72)를 연결한다.
유입구(71)는 토출구(33)의 외주면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출구는 유입구(71)의 반대측인 토출구(33)의 내주면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입구(71)와 유출구(72)는 토출구(33)를 형성하는 하부 하우징(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류 제어 장치(50)는 흡입한 공기를 토출 기류의 진행 방향(A1)의 반대 측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토출 기류의 각도를 더 크게 할 수 있고, 기류 제어를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안내 유로(70)는 하부 하우징(30)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유입구(71)에 연통되는 제1유로(70a)와, 제1유로(70a)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2유로(70b)와, 기류 제어팬(60)이 안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3유로(70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7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유로(70a)와 제2유로(70b)와 제3유로(70c)를 거쳐 유출구(7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내 유로(70)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안내 유로(70)는 유입구(71)와 유출구(72)를 연결하기만 하면 충분하고 그 구조, 형상, 배치에는 한정이 없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토출구에 블레이드가 마련되고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토출 기류를 제어하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블레이드 구조 없이도 토출 기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방해가 없으므로 토출량이 증대되고 유동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블레이드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선 형상을 가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토출구는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 및 열교환기 등도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어서, 차별화된 디자인으로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송풍팬의 형태가 원형인 점을 감안하면 기류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압력 손실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입 판넬(100) 및 흡입 판넬(100)이 하부 하우징(30)과 결합 및 분리되는 것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되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판넬을 제거한 상태의 공기조화기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재에 필터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하부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100)은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회전 되어 하부 하우징(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을 송풍팬(40)의 축방향 또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의 상하 방향을 축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가압할 시 흡입 판넬(100)이 가압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부 하우징(30)과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사용자가 천장(L)에 설치된 공기조화기(1)를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송풍팬(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흡입 판넬(100)은 하부 하우징(30)과 결합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흡입 판낼(100)은 하부 하우징(30)과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100)의 상측에는 하부 하우징(30)과 결합하는 결합부재(130)이 마련되고 하우 하우징(30)에는 결합부재(130)와 대응되는 측에 마련되는 결합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130)와 이에 대응되는 결합부(35)는 2개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결합부재(130)는 흡입 판넬(100)의 테두리와 인접한 내측면에서 흡입 판넬(100)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결합부재(130)와 결합부(35)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결합부재(130) 및 결합부(35)는 모두 동일한 형태로 마련되는 바 복수개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재(130)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결합부재(130)는 결합부(35)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 1후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후크(131)는 제 1후크(131)가 결합부(35)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라운드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면(132)과 가이드면(132)에서 측면으로 연장되고 결합부(35)에 삽입되어 후크결합되는 삽입돌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5)는 제 1후크(131)가 하부 하우징(3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30)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결합부(35)는 제 1후크(131)가 결합될 시 삽입돌기(133)와 가이드면(132)과 접하면서 삽입돌기(133)가 결합부(35)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홈(36)과 가이드된 삽입돌기(133)가 삽입되는 삽입 홈(37)과 삽입 홈(37)에 삽입된 삽입돌기(133)가 후크결합되어 지지되는 지지 턱(38)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36)은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을 하부 하우징(30)에 결합할 시 결합부재(130)가 용이하게 결합부(35)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홈(36)은 가이드 면(132)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오목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홈(36)은 삽입 돌기(133)와 가이드 면(132)이 접한 상태로 삽입 홈(37)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을 포함하여 삽입 홈(37)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흡입 판넬(100)은 삽입돌기(133)가 가이드 홈(36)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 홈(37)에 삽입되고 지지턱(38)에 후크 결합되어 하우 하우징(30)과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삽입돌기(133)는 지지 턱(38)과 분리되어 삽입 홈(37)과 가이드 홈(36)에서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흡입 판넬(100)이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흡입 판넬(100)이 원형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 사용자는 원형 판넬을 회전시켜 하우징(10)에 대해 흡입 판넬(100)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원형 형상에 대해 직관적인 방법으로 흡입 판넬(100)을 탈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원형의 흡입 판넬(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환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열교환기(8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80)가 사각형상으로 마련되거나 혹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하더라도 적용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을 통해 하우징(10)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다시 회전을 통해 하우징(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37)과 지지 턱(38)은 제 1하부 하우징(31)에 마련되며 가이드 홈(36)은 제 2하부 하우징(32)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판넬(100)이 장기간 후크 결합되어 있어 삽입 홈(37)과 지지 턱(38)에 장기 스트레스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 1하부 하우징(3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3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제 1하부 하우징(31) 중 상측에 배치되는 제 1하부 하우징(31)만을 도시하고 이 외 2개의 제 1하부 하우징(31)은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하부 하우징(31)은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제 1하부 하우징(31) 중 도 12에 도시된 상측에 배치되는 단일개의 제 1하부 하우징(31)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복수의 제 1하부 하우징(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개로 사출될 수 있다.
제 1하부 하우징(31)은 상부 하우징(20) 내측에서 드레인 트레이(90)와 결합하여 중력측에 대한 강성이 확보될 수 있으나 제 2하부 하우징(32)은 제 1하부 하우징(31)을 하측에서 커버하는 구성으로 제 1하부 하우징(31)에 지지되어 제 1하부 하우징(31)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강성이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하부 하우징(32)에는 가이드 홈(36)이 마련되고 삽입 홈(37) 및 지지 턱(38)이 하부 하우징(30)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공(32a)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2하부 하우징(32)에 일정한 강성이 확보될 경우 삽입 홈(37) 및 지지턱(38)은 제 2하부 하우징(32)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관통공(32a) 구성은 하부 하우징(3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부재(130)는 흡입 판넬(1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제 2후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결합부재(130)에 있어서 가이드 면(132)으로 연장되는 측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 판넬(100)의 반경 중심부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20)는 흡입 판넬(100)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는데 필터(120)의 외주면이 제 2후크(135)와 후크 결합되어 흡입 판넬(100)에 지지될 수 있다.
제 2후크(135)가 결합부재(130)의 일측에 마련됨에 따라 흡입 판넬(100)은 필터를 지지하는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 없어 공정이 줄어들고 재조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입 판넬(100)을 회전하여 하우징(10)에서 분리한 후 제 2후크(135)에 결합된 필터(120)를 가압하여 필터(120)를 흡입 판넬(10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을 분리할 시 공기조화기 실내기(1)가 천장에 매립되어 있어 천장 측에서 흡입 판넬(100) 분리할 시 사용자의 실수로 흡입 판넬(100)이 추락하는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흡입 판넬(100)에는 하우징(10)에서 분리 시에서 흡입 판넬(100)이 하우징(10)에 지지될 수 있게 마련되는 지지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유닛(140)은 흡입 판넬(100)이 하부 하우징(30)에서 분리된 후에도 하부 하우징(30)과 소정의 이격을 두고 하부 하우징(30)에 지지될 수 있도록 흡입 판넬(100)의 상측과 하부 하우징(30)의 하측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40)은 흡입 판넬(100)과 하부 하우징(30)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141)와 흡입 판넬(100) 상에 마련되는 제 1연결홈(142)과 하부 하우징(30) 상에 마련되는 제 2연결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1)는 와이어 등과 같이 유연성을 포함하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 판넬(100)이 하부 하우징(30)에 결합될 시 흡입 판넬(100)과 하부 하우징(30) 사이에서 절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1)는 흡입 판넬(100)이 분리 시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1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흡입 판넬(100)이 하부 하우징(30)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연결 부재(141)는 흡입 판넬(100)의 중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연결홈(142)은 흡입 판넬(100)에 형성되어 연결 부재(141)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결합부재(130)의 가이드면(13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 판넬(100)의 상측면의 일측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연결홈(143)은 하부 하우징(30)의 하측에 형성되어 연결 부재(141)의 타측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연결홈(14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홈(37) 및 걸림 턱(38)과 같이 제 1하부 하우징(31)에서부터 연장되어 제 2하부 하우징(32)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하부 하우징(3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유닛(24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흡입 판넬(200) 및 지지유닛(2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하우징에 결합 상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240)은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200)을 연결하는 링크부재(241)와 흡입 판넬(200)에 배치되는 제 1슬라이딩 슬롯(242)과 하우 하우징(30)에 배치되는 제 2슬라이딩 슬롯(243)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41)는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200) 각각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241)의 양단측에는 제 1,2슬라이딩 슬롯(242,24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24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244)는 흡입 판넬(200)이 회전될 시 제 1,2슬라이등 슬롯(242,243)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흡입 판넬(200)이 분리될 경우 제 1,2슬라이딩 슬롯(242,243)에 대하여 회전 운동하여 링크부재(241)가 회동될 수 있게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200)이 하부 하우징(30)과 결합되어 있을 시 링크부재(241)는 상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 판넬(200)과 하부 하우징(3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 후 흡입 판넬(200)이 회전될 경우 가압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돌기(244)가 제 1,2슬라이딩 슬롯(242,243) 사이에서 슬라이딩되어 흡입 판넬(200)의 회전과 함께 슬라이딩 운동될 수 있다.
흡입 판넬(200)의 회전이 종료되는 경우 결합부재(130)가 결합부(35)에서 인출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링크부재(241)는 흡입 판넬(200)을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이격을 두고 지지하기 위하여 상하 방향을 향하게 배치되어 흡입 판넬(200)을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244)는 제 1,2슬라이딩 슬롯(242,24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링크부재(241)가 상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슬라이딩 돌기(244)는 흡입 판넬(200)이 분리될 시 회전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제 1,2슬라이딩 슬롯(242,243) 내측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
흡입 판넬(200)은 링크부재(241)의 길이 만큼 이격되어 하부 하우징(30)에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판넬(3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흡입 판넬(300)과 결합부재(330) 및 지지유닛(3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결합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300)은 송풍팬(4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우징(10)과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 실내기(1)의 하측 방향으로 흡입 판넬(300)을 가압하면 가압되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흡입 판넬(300)이 회전하면서 하부 하우징(30)과 분리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흡입 판넬(100)의 원주 방향으로 흡입 판넬(100)을 가압하는 방식과 달리 도 17 내지 도 19 및 후술할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흡입 판넬(300)은 흡입 판넬(300)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흡입 판넬(300)과 하부 하우징(30)을 분리하고 다시 흡입 판넬(300)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흡입 판넬(300)과 하부 하우징(3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흡입 판넬(300)과 하부 하우징(30) 사이에는 흡입 판넬(300)과 하부 하우징(30)을 연결하면서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결합부재(33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330)는 흡입 판넬(300)상에 마련되는 후크부(331)과 후크부(331)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부 하우징(30)상에 마련되는 후크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33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일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크부(331)는 흡입 판넬(300)이 하부 하우징(30)에 결합 시 후크 지지부(미도시)에 삽입되어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 판넬(300)을 하측으로 가압할 경우 후크부(331)는 후크 지지부(미도시)에서 이탈되면서 후크 결합이 해제되고 흡입 판넬(300)이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유닛(340)은 흡입 판넬(300)이 하부 하우징(3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흡입 판넬(300)을 하부 하우징(3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하는 링크부재(341)와 흡입 판넬(300)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도록 마련되는 회전 결합부(342)와 링크부재(341)가 하부 하우징(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부(344)와 링크부재(341)가 일정한 이격을 유지하면서 흡입 판넬(300)을 지지하도록 링크부재(341)의 이동을 제한하는 힌지부재(343)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41)은 흡입 판넬(300)의 테두리측과 대응되는 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링크부재(341)는 흡입 판넬(300)의 반원 형상의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341)의 반원 형상의 환형의 양단에는 링크부재(341)가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부 하우징(30)에 결합되는 회전부(344)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341)의 중심측에는 흡입 판넬(300)과 결합되고 흡입 판넬(300)이 링크부재(3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결합부(34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링크부재(341)는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300)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흡입 판넬(300)을 하측으로 가압할 시, 링크부재(341)는 흡입 판넬(300)과 연동되어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회전하면서 흡입 판넬(300)과 함께 하부 하우징(30)의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링크부재(341)는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된 거리만큼 흡입 판넬(300)을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이격 지지할 수 있다.
흡입 판넬(300)은 링크부재(341)에 의해 일정 거리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회전 결합부(342)에 의해 링크부재(34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흡입 판넬(300)은 회전 결합부(342)를 회전축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힌지부재(343)는 하부 하우징(30)과 링크부재(341)의 중심측 즉, 회전 결합부(342)와 인접한 측을 연결하여 링크부재(34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힌지부재(343)는 흡입 판넬(300)이 하부 하우징(30)에 결합될 시 접힌 상태로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300) 사이에 마련되고 흡입 판넬(300)이 하측으로 가압될 시 링크부재(341)와 연동되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힌지부재(343)는 링크부재(341)의 회전을 제한하여 링크부재(341)가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를 유지하면서 흡입 판넬(300)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 때, 힌지부재(343)에 의해 유지되는 회전 결합부(342)와 하부 하우징(30) 사이의 이격거리를 L1이라고 하고 흡입 판넬(300)의 외주면에서부터 회전 결합부(342)가 배치되는 사이의 거리를 L2라고 할 때, 흡입 판넬(300)이 회전 운동할 때 하부 하우징(30)에 의해 회전의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L1의 길이가 L2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힌지부재(343)는 L1의 길이가 L2의 길이보다 길도록 링크부재(341)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힌지부재(343)가 최대길이로 하측으로 연장될 때의 회전 결합부(342)와 하부 하우징(30) 사이의 이격거리는 L2 거리와 적어도 동일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130)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330)는 제 2후크(135)를 포함하지 않는 바 결합부재(330) 이 외의 결합 구성을 구비하여 필터(120)를 흡입 판넬(300) 상측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부재(330)는 제 2후크(135)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결합부재(330)는 필터(120)의 외측면이 배치되는 측에 접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부재(330)를 구비하여 필터(120)의 외주면을 구속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판넬(4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흡입 판넬(400) 및 지지유닛(4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의 측단면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400)은 송풍팬(4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우징(10)과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 실내기(1)의 하측 방향으로 흡입 판넬(400)을 가압하면 가압되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 하우징(30)과 분리될 수 있다.
흡입 판넬(400)이 하부 하우징(3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기 위해 지지유닛(44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440)은 하부 하우징(30)과 흡입 판넬(400)을 연결하는 힌지부재(441)와 힌지부재(441)가 하부 하우징(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회전부(442)와 흡입 판넬(400)이 힌지부재(44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회전 결합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재(441)는 흡입 판넬(400)과 하부 하우징(30)이 결합될 시 접힌 상태로 흡입 판넬(400)과 하우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 판넬(400)이 하측으로 가압될 시 흡입 판넬(400)과 연동하여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힌지부재(441)는 하측으로 연장되어 흡입 판넬(400)을 이격 지지하게 되는데 힌지부재(441)가 연장되어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30)과 회전 결합부(443) 사이의 거리를 L1이라하고 흡입 판넬(400)의 외주면에서부터 회전 결합부(443)가 배치되는 사이의 거리를 L2라고 할 때, 흡입 판넬(400)이 회전 운동할 때 하부 하우징(30)에 의해 회전의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L1의 길이가 L2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따라서 힌지부재(441)는 L1의 길이가 L2의 길이보다 길도록 흡입 판넬(40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힌지부재(441)가 최대길이로 하측으로 연장될 때의 회전 결합부(443)와 하부 하우징(30) 사이의 이격거리는 L2 거리와 적어도 동일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 판넬(5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흡입 판넬(500) 및 지지유닛(5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흡입판넬이 분리될 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판넬(500)은 송풍팬(4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우징(10)과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 실내기(1)의 하측 방향으로 흡입 판넬(500)을 가압하면 가압되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 하우징(30)과 분리될 수 있다.
흡입 판넬(500)이 하부 하우징(30)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되기 위해 지지유닛(540)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유닛(540)은 외주면의 일측과 하부 하우징(3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흡입 판넬(500)과 하부 하우징(30)이 힌지부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 판넬(500)을 하측으로 가압할 경우 흡입 판넬(500)은 지지유닛(540)의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부재(600)와 커버부재(600)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결합되는 특징에 대하여 자세히 서술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할 때,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최하단측에는 하부 하우징(30)의 외곽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600)의 4각의 모서리에는 커버부재(600)와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커버부재(65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커버부재(650)는 후술하겠지만 커버부재(600)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자세하게는 드레인 트레이(90)에 후크 결합되고, 결합보조부재(610)와 커버부재(600)가 나사 결합된 후 결합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커버부재(60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600)의 4각 모서리측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천장에 시공될 때 사용자가 커버부재(600)를 관통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관통부(620)를 포함하며, 보조커버부재(650)는 커버부재(600)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와 결합되는 부분 및 관통부(620)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600)를 결합하는 작업 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를 장착하는 작업 시 보조커버부재(65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이 종료되는 경우 보조커버부재(650)가 커버부재(600)의 4측의 모서리를 커버할 수 있게 보조커버부재(650)는 커버부재(600)와 결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하측에서부터 커버부재(600), 하부 하우징(30), 드레인 트레이(90) 및 상부 하우징(20)이 레이어드되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자세하게는 일반적인 블레이드를 통해 토출기류를 제어하는 타입의 경우 하측에서부터 커버부재, 드레인 트레이, 하우징이 레이어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블레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대신 드레인 트레이 하측에 기류 제어 장치가 마련되어 종래의 공기조화기보다 복수로 마련되는 하부 하우징(30)과 같은 추가 레이어드 되는 구성이 많아 각 구성들간의 결합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레이어드되는 구성들을 구성끼리 조립하는 경우 레이어드되는 구성이 많아 조립이 어렵고 각각의 구성은 주로 플라스틱 성질을 포함하는 사출물로 형성되는 바 구성끼리 조립이 이뤄질 경우 작은 충격에도 각각의 구성의 접촉에 의해 쉽게 파손이 발생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들은 각각에 대해 결합을 하지 않고 결합보조부재(610)에 각 구성을 결합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합보조부재(610)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외주면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틸과 같은 높은 강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30)과 드레인 트레이(90)는 각각 외곽측에서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조립부(39)와 제 2조립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조립부(39)와 제 2조립부(95)는 레이어드되어 결합보조부재(6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600)의 4각 모서리 측에는 제 1조립부(39)와 제 2조립부(95)와 대응되는 측에 제 1조립부(39)와 제 2조립부(95)와 같이 나사 결합될 수 있게 결합 슬릿(63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또한 상부 하우징(20)은 결합보조부재(610)가 상부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보조부재(61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600)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측으로 가압되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와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커버 부재(600)는 상측으로 가압되어 제 2조립부(95)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600)는 드레인 트레이(90) 측으로 돌출되는 결합 후크(640)를 포함하고 제 2조립부(95)에는 결합 후크(640)가 결합되는 리세스부(96)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조립부(95)는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제 1조립부(39)와 결합보조부재(610)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면(95a)과 결합면(95a)의 외곽부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면(95b)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95a)의 하측면에는 제 1조립부(39)가 배치되고 상측면에는 결합보조부재(610)가 배치되어 레이어드된 상태에서 나사결합 될 수 있다. 리세스부(96)는 연장면(95b)의 일측에 마련되어 결합 후크(640)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리세스부(96)는 제 1조립부(39)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조립부(39)는 결합면과 연장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조립부(95)는 제 1조립부(39)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제 1조립부(39) 상측에 배치되는 결합보조부재(6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60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결합 후크(64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연장면(95a)의 상측을 따라 가이드되어 리세스부(96)에 도달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후크(640)에 의해 사용자는 커버 부재(64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동작만을 통해 커버 부재(600)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와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커버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한명의 사용자가 커버 부재가 낙하되지 않고록 지지하고 다른 사용자가 커버 부재를 결합하는 불편한 결합 공정이 문제되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부재(600)는 단순하게 상측으로 가압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커버 부재(640)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커버 부재(60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보조커버부재(650)가 분리된 상태의 커버 부재(600)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측으로 가압하여 결합 후크(640)가 리세스부(96)에 후크결합하게 한다.
이 후 사용자는 커버 부재(600)에 마련되는 결합 슬릿(630)에 나사를 삽입하여 커버 부재(640)와 제 1,2 조립부(39,95) 및 결합보조부재(610)가 레이어드된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결합 슬릿(630)은 나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여 커버 부재(600)를 회전하여 커버 부재(600)가 결합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결합이 완료된 후에는 보조커버부재(650)를 커버 부재(600)에 결합하여 커버 부재(600)의 결합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커버 부재(600)를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조커버부재(650)를 분리한 후 결합 슬릿(630)에서 나사를 제거하고, 관통부(620)를 통해 결합 후크(640)가 후크 결합된 상태를 분해하여 커버 부재(6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결합 슬릿(630)에서 나사를 제거한 후에도 커버 부재(600)는 드레인 트레이(90)와 후크 결합되어 있어 커버 부재(600)가 급작스럽게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후크(64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후크 결합 상태를 분해하도록 사용자가 후크(64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는 분해 리브(647)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해 리브(647)는 결합 후크(64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사용자가 관통부(620)를 관통하여 분해 리브(647)를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으로 당겨 용이하게 후크 결합을 분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 되지는 않았으나 후크 결합을 용이하게 분해하도록 결합 후크(640)의 일측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걸림부와 대응되는 커버 부재(600)의 일측에는 드라이버 등의 얇은 샤프트가 커버 부재(600)를 관통하여 걸림부까지 도달 할 수 있도록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샤프트를 절개부에 삽입하고 커버 부재(600)를 관통한 샤프트가 걸림부에 걸리도록 하고, 샤프트를 드레인 트레이의 반경 방향으로 ?힐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후크(640)는 샤프트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결합 후크(640)가 리세스부(96)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젖혀지게 되어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600)은 보조커버부재(65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상에 결합 슬릿(630)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슬릿(630)에는 나사가 삽입되어 커버 부재(600)가 보조 결합부재(610)와 나사 결합이 될 수 있으며 나사가 결합된 후 결합 슬릿(630)이 나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도록 길이부(631)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600)가 결합보조부재(610)과 나사 결합을 한 후, 사용자는 커버 부재(600)가 결합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커버 부재(600)를 송풍팬(4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버 부재(600)를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설치되는 천장면과 커버 부재(60)의 수직 수평을 보정하도록 커버 부재(600)를 회전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커버 부재(600)를 가압할 경우 결합 슬릿(630)은 나사에 대해 길이부(631)의 일단과 양단 사이의 거리까지 슬라이딩 왕복 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부(631)의 길이만큼 커버 부재(600)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600)가 회전될 때 리세스부(96)에 결합된 결합 후크(640)도 커버 부재(600)와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60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리세스부(96)의 폭은 결합 후크(640)의 폭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96)와 결합 후크(640)의 폭의 차이 값은 결합 슬릿(630)이 슬라이딩 운동하여 커버 부재(600)가 회전하는 길이와 적어도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커버부재(600)는 결합 슬릿(630)에 나사가 조립되기 전에도 결합 후크(640)가 리세스부(96)에 후크 결합되며, 리세스부(96)의 폭이 결합 후크(640)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커버부재(600)는 리세스부(96)와 결합 후크(640)의 폭 차이만큼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결합 슬릿(630)에 나사가 삽입되는 지 여부를 떠나 커버부재(600)는 하우징(10)에 대해 소정의 간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600)는 보조커버부재(650)가 분리될 때 보조커버부재(65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를 통해 보조커버부재(650)를 이격지지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600)의 일측에는 와이어가 결속될 수 있는 와이어 결속부(621)가 마련되어 와이어의 일측이 와이어 결속부(621)에 결속되고 와이어의 타측은 보조커버부재(650)의 일측에 연결되어 보조커버부재(650)가 분리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자세하게는 와이어 결속부(621)는 관통부(62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620) 상에 후크 형상으로 와이어 결속부(62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와이어를 결속하여 커버부재(600)와 보조커버부재(650)를 와이어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결속부(621)는 커버부재(600)의 일측에서 관통부(620)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커버부재(60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커버부재(650)의 낙하 방지를 위한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없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를 구성하는 부품이 축소되고 공정의 단축 및 생산비 절감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후크(64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결합 후크(64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공기조화기에서 분리될 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후크(640')는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으로 전진 후퇴 가능한 스프링 홀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 홀더의 홀더(641)가 리세스부(96)와 후크 결합되어 커버 부재(600)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후크(640')는 리세스부(96)와 후크 결합하는 홀더(641)와 홀더(641)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홀더(641)가 제 1,2 조립부(39,95)와 접할 시 홀더(641)의 왕복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사면(642)과 홀더(641)를 왕복운동하게 하는 스프링부재(643)과 스프링부재(643)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판넬(64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후크(6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후크(640)와 같이 커버 부재(600)를 상측으로 가압할 때 리세스부(96)와 후크 결합되어 용이하게 커버 부재(600)가 드레인 트레이(90)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커버 부재(600)가 상측으로 가압될 경우 결합 후크(640')는 상측으로 이동하는 중 제 1,2조립부(39,95)의 일측과 접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사면(642)이 제 1,2 조립부(39,95)의 일측과 접하게 되는데, 1,2 조립부(39,95)의 일측과 접한 상태에서 커버 부재(600)가 지속적으로 상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1,2 조립부(39,95)의 일측은 가이드 사면(642)를 따라 홀더(641)를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643) 수축되어 홀더(641)는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으로 후퇴하게 된다.
이 후 지속적인 상측으로의 가압으로 홀더(641)가 리세스부(96) 측에 배치될 때 가이드 사면(642)를 가압하는 제 1,2 조립부(39,95)와 이격을 두고 배치되어 스프링부재(643)는 다시 연장되게 되고 이에 따라 홀더(641)은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홀더(641)가 전진함에 따라 홀더(641)의 하측면과 리세스부(96)가 후크 결합하게 되어 커버 부재(600)와 드레인 트레이(9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후크(640')를 드레인 트레이(90)와 분리할 경우 홀더(641)의 하측면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후퇴 돌기(645)가 마련되는데 사용자는 후퇴 돌기(645)를 드레인 트레이(90)의 반경 방향으로 당겨 결합 후크(640')와 리세스부(96)와의 후크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후퇴 돌기(645)는 관통부(62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관통부(620)를 통해 용이하게 후퇴 돌기(645)를 파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부재(7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커버 부재(700)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과 도 3 및 도 23 내지 도 2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부재(600)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청장에 매립될 경우, 매립 홀과 하우징(10) 사이에 발생되는 이격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이격 공간을 커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0)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어 매립 홀이 종래에 많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하우징(10)의 외주면과 4각의 매립 홀의 모서리 부분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커버 부재(600)는 4각의 모서리를 가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4각의 매립 홀 모서리 측에 발생하는 이격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근래에는 천장 설치 타입의 공기조화기가 매립 홀에 설치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전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방법이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형태로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하우징(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바 커버 부재(600)가 4각의 형태로 형성될 필요성이 없고, 나아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디자인과 통일성이 없어 오히려 심미감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8 내지 도 3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 부재(700)는 노출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설치되는 경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우징(1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반경을 포함하는 환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환형 형상의 커버 부재(700)는 노출된 상태로 천장에 배치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천장의 매립 홀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 측으로 가압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700)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하부 하우징(30) 또는 드레인 트레이(90)의 일측과 접할 경우 커버 부재(700)를 회전시켜 하부 하우징(30) 또는 드레인 트레이(90)에 고정 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재(700)의 내주면 상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게 돌출되는 결합돌기(710)가 마련되는데 결합돌기(710)가 드레인 트레이(90)의 외주면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다가 리세스부(96)가 배치되는 연장면(95b) 즉, 드레인 트레이(9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측에 배치되는 연장면(95b)(이하에서는 이 연장면을 제 1연장면(95b')이라 정의하고 제 1연장면의 양측에서 드레인 트레이(90)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의 연장면(95b)을 제 2연장면(95b")이라고 정의한다.)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 결합돌기(710)는 제 1연장면(95b')의 상측에 지지되어 커버 부재(70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2a를 참고할 때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의 상측에 지지되지 않을 경우 드레인 트레이(9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고정되지 않지만, 도 3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을 통해 결합돌기(710)가 드레인 트레이(9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제 1연장면(95b') 상에 배치되는 경우 결합돌기(710)의 하측이 제 1연장면(95b_에 지지되어 커버 부재(700)가 드레인 트레이(90)에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부(96)는 드레인 트레이(90)가 아닌 조립부를 포함하는 하부 하우징(30)과 같은 다른 구성에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부재(700)가 환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결합돌기(710)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커버 부재(700)를 회전시키면서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 상에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커버 부재(700)를 결합시킬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제공하며 커버 부재(700)를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추가 부재를 필요없게 하여 생산비를 저감시키고 공정을 줄이는 효과를 발생하게 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710)의 일측에는 스톱퍼(7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700)는 회전에 의해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 상에 배치되어 드레인 트레이(90)에 지지된다. 또한 커버 부재(700)를 분리할 때에도 역시 사용자가 회전 가압하여 결합돌기(710)를 제 1연장면(95b') 상에서 이탈시켜 커버 부재(70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때, 커버 부재(700)를 분리하는 상황이 아니더라도 커버 부재(700)가 외부의 가압등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경우 회전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회전에 의해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 상에서 이탈할 경우 원하지 않게 커버 부재(700)의 결합이 헤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결합돌기(710)의 일측에는 스톱퍼(720)가 마련되어 커버 부재(700)가 임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톱퍼(720)는 결합돌기(710)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커버 부재(70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톱퍼(720)는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에 상에 배치될 경우 제 2연장면(95b")의 일측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700)에 회전력이 가해져도 스톱퍼(720)가 제 2연장면(95b")이 접하게 되어 커버 부재(7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결합돌기(710)의 하측에는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 상측에 배치될 경우 리세스부(96)의 일측과 접하는 보조결합돌기(730)가 마련될 수 있다.
보조결합돌기(730)는 커버부재(7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제 1연장면(95b')의 두께와 대락 대응되는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보조결합돌기(730)는 스톱퍼(720)와 제 2연장면(95b")가 접하는 측의 리세스부(96) 측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부재(700)는 스톱퍼(7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 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이를 제한할 수 없어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710)가 제 1연장면(95b') 상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조결합돌기(730)는 리세스부(96)의 일측과 접하여 커버 부재(700)가 스톱퍼(720)측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 부재(700)를 분리할 경우에만 보조결합돌기(730)가 리세스부(96)에서 이탈될 수 있을 만큼의 힘을 가압하여 커버 부재(700)를 분리할 수 있다.
보조결합돌기(730)는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되어 삼격형을 이루는 사선 방향의 면은 리세스부(96)측으로 삽입되고 이탈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11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평면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120)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판넬(100)이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며, 특히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기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고 흡입구가 마련되는 판넬도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었다. 사각형의 판넬에 배치되는 필터의 경우 판넬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흡입구를 통해 송풍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유로는 주로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원형형상으로 마련되어 필터의 4각 모서리 측으로는 공기가 흡입되지 않아 필터에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필터(12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필터(120)의 반경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의 흡입유로의 반경과 대응되게 마련되어 필터(120)에 불필요한 부분없이 필터(120)를 100%로 활용할 수 있다.
필터(120)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외주면 프레임(121)과 외주면 프레임(121) 내측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122)과 내부 프레임(122)과 교차되어 필터(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내부 프레임(122)사이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메쉬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부재(124)는 산(124a)과 골(124b)을 포함하는 주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주름 형상으로 마련되어 복수의 절곡부를 형성할 경우 메쉬부재(124)의 단면적이 증가하여 많은 양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메쉬부재(124)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 프레임(122)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22)의 양측에는 메쉬부재(124)의 주름형상과 동일한 산(124a)과 골(124b) 형상을 포함하는 절곡돌기(122a)가 마련되어 메쉬부재(124)가 내부 프레임(122) 양측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게 한다.
메쉬부재(124) 상에는 내부 프레임(122)을 교차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23)가 교차될 수 있다. 이 때 보강리브(123)는 메쉬부재(124)를 지지하면서 내부 프레임(122)를 교차할 수 있도록 메쉬부재(124)의 주름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123)는 메쉬부재(124)의 산(124a)과 골(124b) 형상을 주름형상과 대응되는 산(123a)과 골(123b)을 포함하는 절곡부(123c)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122)을 교차할 수 있다.
절곡부(123c)의 산(123a)과 골(123b)은 메쉬부재(124)의 산(124a)과 골(124b)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메쉬부재(124)는 주름형상을 유지하면서 보강리브(123)에 지지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교차되는 각도는 0도에서 180도 사이가 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필터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공기가 흡입될 때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내부 프레임과 보강리브는 90도로 교차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20)는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교차되는 각도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하게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교차될 수 있다.
흡입 판넬(100)은 흡입구(110)를 형성하는 흡입그릴(10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의 교차되는 각도는 0도 에서 180도 사이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어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는 흡입그릴(101)이 배치되는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로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노출되지 않아 심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는 다양한 각도로 교차될 수 있지만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122)에 접하는 보강리브의 산(123a) 또는 골(123b)은 내부 프레임(122)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의 배치는 0도 에서 180도 사이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으나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접하는 부분에서의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의 각도는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123)는 복수의 절곡부(123c)를 포함하는바 내부 프레임(122)과 수직으로 접하여도 절곡부(123c)가 사선으로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보강리브(123)와 내부 프레임(122) 사선 방향으로 교차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가 수직으로 접하는 이유는 메쉬부재(124)의 전체적인 주름형상을 유지한 체 내부 프레임(122)에 지지되기 위함이다. 내부 프레임(122)과 보강 리브(123)의 일측이 수직이 아닌 각도로 접할 경우 이에 해당하는 구간의 메쉬부재(124)에는 구김이 발생하여 일부 구간에서 주름형상이 유지될 수 없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며, 내부 프레임(122) 또는 보강 리브(123)와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메쉬부재(124)는 내부 프레임(122)과 접하는 모든 영역에서 주름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20 : 상부 하우징 30 : 하부 하우징
31 : 제 1하부 하우징 32 : 제 2하부 하우징
33 : 토출구 35 : 결합부
36 : 가이드 홈 37 : 삽입 홈
38 : 지지 턱 40 : 송풍팬
60 : 기류 제어팬 61 : 기류 제어 모터
70 : 안내 유로 70a,70b,70c : 제1,2,3유로
71 : 유입구 72 : 유출구
80 : 열교환기 90 : 드레인 트레이
95 : 제2 조립부 95a : 결합면
95b : 연장면 96 : 리세스부
100 : 흡입 판넬 101 : 흡입 그릴
110 : 흡입구 120 : 필터
121 : 외주면 프레임 122 : 내부 프레임
122a : 절곡 돌기 123 : 보강리브
123a : 산 123b : 골
123c : 절곡부 124 : 메쉬부재
130 : 결합부재 131 : 제 1후크
132 : 가이드 면 133 : 삽입 돌기
140 : 지지유닛 141 : 와이어 부재(141)
142 : 제 1연결홈 143 : 제 2연결홈
600,700 : 커버 부재 610 : 결합보조부재
620 : 관통부 621 : 와이어 결속구
630 : 결합 슬릿 631 : 길이부
640 : 결합후크 641 : 홀더
642 : 가이드사면 643 : 스프링부재
644 : 지지판넬 645 : 후퇴돌기
647 : 분해 리브 650 : 보조커버부재
710 : 결합돌기 720 : 스톱퍼
730 : 보조결합돌기

Claims (20)

  1. 원형 단면을 가지는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흡입 유로의 원형 단면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의 외주면 프레임과, 상기 외주면 프레임의 내측에서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과 교차되고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은 90도 내지 180도 사이의 각도로 교차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각각 상기 제 2방향으로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리브는 각각 상기 흡입 유로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산부와 상대적으로 상기 복수의 산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골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산부와 상기 복수의 골부 중 일부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과 직교로 접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 사이 및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메쉬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복수의 리브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재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는 상기 복수의 리브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와 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로 외부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형의 흡입 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 판넬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판넬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흡입 판넬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 1후크와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측을 지지하는 제 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 2후크와 후크 결합되는 공기조화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판넬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복수의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복수의 흡입구와 상기 흡입유로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형 단면을 가지는 흡입 유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흡입 유로의 원형 단면과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필터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외주면 프레임과,
    상기 외주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산부와 하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골부가 교대로 배치되도록 연장되는 리브와,
    상기 외주면 프레임의 반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리브와 교차되는 내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리브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리브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를 가지는 주름형상으로 마련되는 메쉬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리브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를 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부재는 상기 절곡 돌기와 적층되어 상기 절곡 돌기에 지지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돌기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쉬부재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절곡 돌기에 각각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리브의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산부와 복수의 골부를 가지도록 절곡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내부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절곡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부재는 상기 절곡 돌기와 적층되어 상기 절곡 돌기에 지지되는 공기조화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절곡 돌기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과 교차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절곡 돌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상기 리브의 복수의 산과 복수의 골과 상기 내부 프레임의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는 대략 직각인 공기조화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절곡 돌기 상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과 교차되고,
    상기 리브와 상기 절곡 돌기가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상기 리브의 연장 방향과 상기 내부 프레임의 연장 방향 사이의 각도는 대략 90도 내지 180도 사이인 공기조화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유로로 외부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흡입 유로의 하측에서 상기 흡입유로를 커버하는 원형의 흡입 판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 판넬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판넬은 상기 하우징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복수의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 유로와 상기 흡입 판넬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과 상기 리브는 상기 복수의 흡입구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판넬은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삽입되고, 상기 흡입 판넬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부재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 1후크와 상기 외주면 프레임과 후크 겹합되는 제 2후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84083A 2015-10-23 2018-07-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5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641A KR102457224B1 (ko) 2015-10-23 2021-11-30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0 2015-10-23
KR20150148300 2015-10-23
KR1020160036357A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57A Division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8641A Division KR102457224B1 (ko) 2015-10-23 2021-11-30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396A true KR20180086396A (ko) 2018-07-31
KR102335135B1 KR102335135B1 (ko) 2021-12-07
KR102335135B9 KR102335135B9 (ko) 2022-07-25

Family

ID=559135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57A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84083A KR102335135B1 (ko) 2015-10-23 2018-07-19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357A KR101881907B1 (ko) 2015-10-23 2016-03-25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5) US9714773B2 (ko)
EP (4) EP4235042A2 (ko)
KR (2) KR101881907B1 (ko)
CN (5) CN111664510B (ko)
AU (1) AU2016340532B2 (ko)
DE (2) DE202016008933U1 (ko)
PL (1) PL3715731T3 (ko)
RU (2) RU2702217C1 (ko)
WO (1) WO2017069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907B1 (ko) *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8885B1 (ko) * 2016-03-02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KR102632051B1 (ko) * 2016-11-16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US10516924B2 (en) * 2017-03-23 2019-12-24 Mitek Corp., Inc. Torsion spring ceiling grill
KR102407570B1 (ko) * 2017-09-01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CN109737510B (zh) * 2017-10-30 2021-11-09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换热组件和空调器
WO2019125045A1 (ko) * 2017-12-21 2019-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235273B1 (ko) * 2017-12-21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GB2569943B (en) * 2017-12-22 2020-07-22 Ove Arup Ventures Ltd A fan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the same
CN108775631A (zh) * 2018-05-15 2018-11-09 青岛易图令科技有限公司 空调室外机、空调及除雪方法
US10792600B2 (en) * 2018-06-22 2020-10-06 Dongguan Hesheng Machinery & Electric Co., Ltd. Air filter device
KR102108954B1 (ko) * 2018-07-19 202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200061507A1 (en) * 2018-08-22 2020-02-27 Miguel Ceja Hvac filter frame assembly
KR102600958B1 (ko) 2018-09-21 2023-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219791B (zh) * 2018-11-27 2021-06-0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壳体装配结构、空调器以及壳体装配方法
CN111219787B (zh) * 2018-11-27 2021-06-01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吸风板安装结构及空调
CN111219786B (zh) * 2018-11-27 2021-07-0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天花机吸风板安装结构以及使用该结构的空调
KR102173656B1 (ko) * 2018-11-28 2020-11-03 황순민 차량용 공기 정화 장치
US11280515B2 (en) * 2019-01-09 2022-03-22 Ascent Holdings, Llc Ventilation fan trim ring mounting assembly
KR102658782B1 (ko) * 2019-02-20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기장치
CN109959075B (zh) * 2019-04-30 2024-04-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10488584B (zh) * 2019-09-19 2022-05-17 珠海市源呈数码科技有限公司 显影盒壳体和显影盒
JP7348500B2 (ja) * 2019-09-30 2023-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ターボファン
CN210861635U (zh) * 2019-10-31 2020-06-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天花机的面板组件及具有其的天花机
US11614257B2 (en) * 2019-11-29 2023-03-28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Housing assembly for air handling apparatus and air handling apparatus
USD987807S1 (en) * 2019-12-02 2023-05-30 Qingdao Hisense Hitachi Air-conditioning Systems Co., Ltd. Air conditioner panel
CN111365792A (zh) * 2020-04-17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空气处理装置
US11708997B2 (en) * 2020-06-02 2023-07-2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12161334B (zh) * 2020-09-30 2021-1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12272465A (zh) * 2020-10-13 2021-01-26 康舒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快拆式滤网的电源供应模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20Y1 (ko) * 2009-03-11 2009-09-28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JP2011050962A (ja) * 2005-10-12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WO2011137367A1 (en) * 2010-04-30 2011-11-03 Diversitech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ilter
JP2016147250A (ja) * 2015-02-13 2016-08-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エア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8372A (en) * 1985-04-23 1987-03-10 Michaud Jocelyn P Fuel pre-heater
JP3267461B2 (ja) * 1994-12-22 2002-03-1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KR100213539B1 (ko) * 1997-07-31 1999-08-02 전주범 분리형 에어컨의 브로우팬 고정장치
JPH11201494A (ja) * 1998-01-20 1999-07-30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052942B2 (ja) 1998-09-30 2000-06-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ユニット
JP3950268B2 (ja) * 1999-08-30 2007-07-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US6248147B1 (en) * 1999-11-10 2001-06-19 Jen-Kuan Liao Air filter for a ceiling fan
KR100402195B1 (ko) * 2000-01-28 2003-10-22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 가이샤 천장에 장착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
US6389832B1 (en) * 2001-03-30 2002-05-21 Li Shen Wu Grille for room air-conditioner
JP4205891B2 (ja) * 2002-05-22 2009-01-0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US6955702B2 (en) * 2002-06-14 2005-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frame
KR100910726B1 (ko) 2002-11-26 2009-08-05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리 배관과 벤트리 스크러버 코팅 방지장치
CN1754070A (zh) * 2003-03-04 2006-03-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有附带空气过滤器自动清扫功能的室内单元的空气调和机
KR20040104772A (ko) * 2003-06-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3700718B2 (ja) * 2003-11-27 2005-09-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972894B2 (ja) * 2003-11-27 2007-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5257142A (ja) * 2004-03-10 2005-09-22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US7905936B2 (en) * 2004-04-30 2011-03-15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rrangements; housing; assemblies; and, methods
US7261756B2 (en) * 2004-11-02 2007-08-28 Baldwin Filters, Inc. Safety filter element
JP4757730B2 (ja) * 2005-10-12 2011-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1086351B (zh) * 2006-06-08 2010-12-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JP2008022933A (ja) * 2006-07-19 2008-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そのフィルターユニット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8453721B2 (en) * 2007-01-31 2013-06-04 Tranter, Inc. Seals for a stacked-plate heat exchanger
KR20080110109A (ko) * 2007-06-14 2008-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281847B1 (ja) * 2007-10-25 2009-06-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2206988B1 (en) * 2007-10-25 2019-04-24 Toshiba Carrier Corporatio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JP4325722B2 (ja) * 2007-12-17 2009-09-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113639B2 (ja) * 2008-06-17 2013-01-09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気体流れ調整機構及び空調装置
KR101632884B1 (ko) * 2008-12-23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2008-12-2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00081845A (ko)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98626B1 (ko) * 2009-01-09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KR101515238B1 (ko) 2009-02-05 2015-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
CN101852482A (zh) * 2009-04-03 2010-10-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低静压式空调器室内机的过滤网结构
FI122961B (fi) * 2009-07-03 2012-09-14 Halton Oy Tuloilmalaite
CN102141266A (zh) * 2010-02-01 2011-08-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顶式空调室内机
DE202012102638U1 (de) * 2012-06-21 2012-08-13 Dorstener Drahtwerke H.W. Brune & Co. Gmbh Siebanordnung für lufttechnische Anlagen
KR20140037985A (ko) * 2012-09-12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9592464B2 (en) * 2012-12-04 2017-03-14 Xavier Rex Prax HVAC filtration system
CN103388895B (zh) 2013-06-25 2015-12-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出风口开闭结构
CN203379675U (zh) * 2013-07-01 2014-01-08 广州市花都华辰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浸渍器上的过滤装置
KR102053223B1 (ko) 2013-07-02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KR102199376B1 (ko) 2013-07-12 2021-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 송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PL2829737T3 (pl) * 2013-07-23 2017-10-31 Alfa Laval Corp Ab Powietrzny wymiennik ciepła wyposażony w osłonę wentylatora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03935B1 (ko) * 2014-01-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N103752106A (zh) * 2014-01-26 2014-04-30 苏州新区枫桥净化设备厂 一种纸框板式过滤器
CN204923247U (zh) * 2014-01-28 2015-12-30 系统空调有限公司 空气净化器
US20160178295A1 (en) * 2014-12-19 2016-06-23 Icejet, S.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ling liquids in portable containers
CN204395629U (zh) * 2014-12-24 2015-06-17 温州亚光机械制造有限公司 带加强筋的过滤装置
US9557070B2 (en) * 2015-05-0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707617B1 (ko) *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81907B1 (ko) * 2015-10-23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422567B2 (en) * 2015-12-30 2019-09-24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ndensate collection device
KR102249321B1 (ko) * 2017-09-05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0962A (ja) * 2005-10-12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0446120Y1 (ko) * 2009-03-11 2009-09-28 거성전자산업(주) 천장 매립형 하우징
WO2011137367A1 (en) * 2010-04-30 2011-11-03 Diversitech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filter
JP2016147250A (ja) * 2015-02-13 2016-08-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エア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エア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715731T3 (pl) 2023-05-08
EP3163177B1 (en) 2023-06-28
CN107990415A (zh) 2018-05-04
KR101881907B1 (ko) 2018-07-27
US20200363097A1 (en) 2020-11-19
RU2019104763A (ru) 2019-04-03
US20200217556A1 (en) 2020-07-09
US9714773B2 (en) 2017-07-25
CN111664510A (zh) 2020-09-15
EP3715731B1 (en) 2022-11-30
EP3715731A2 (en) 2020-09-30
US20210310693A1 (en) 2021-10-07
KR20170048123A (ko) 2017-05-08
US10760818B2 (en) 2020-09-01
CN108592373B (zh) 2021-03-09
DE202016008934U1 (de) 2020-10-29
US11079135B2 (en) 2021-08-03
WO2017069359A1 (en) 2017-04-27
AU2016340532B2 (en) 2019-04-11
EP3388749B1 (en) 2023-07-19
CN106610102A (zh) 2017-05-03
CN106610102B (zh) 2021-12-28
RU2019104763A3 (ko) 2019-10-24
US20170115028A1 (en) 2017-04-27
EP3715731A3 (en) 2021-01-06
EP3163177A1 (en) 2017-05-03
CN108592373A (zh) 2018-09-28
RU2702217C1 (ru) 2019-10-04
CN114136001B (zh) 2023-11-28
KR102335135B9 (ko) 2022-07-25
EP3388749C0 (en) 2023-07-19
US10612814B2 (en) 2020-04-07
CN114136001A (zh) 2022-03-04
KR102335135B1 (ko) 2021-12-07
US20170284697A1 (en) 2017-10-05
AU2016340532A1 (en) 2018-03-29
EP3388749A2 (en) 2018-10-17
DE202016008933U1 (de) 2020-10-29
EP3388749A3 (en) 2018-12-19
CN111664510B (zh) 2022-11-01
RU2710510C2 (ru) 2019-12-26
US11639812B2 (en) 2023-05-02
EP4235042A2 (en) 202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0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0990B1 (ko) 공기 조화기
EP28994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KR20170120548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148;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1222

Effective date: 20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