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375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375A
KR20180086375A KR1020170009975A KR20170009975A KR20180086375A KR 20180086375 A KR20180086375 A KR 20180086375A KR 1020170009975 A KR1020170009975 A KR 1020170009975A KR 20170009975 A KR20170009975 A KR 20170009975A KR 20180086375 A KR20180086375 A KR 20180086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wiring
cell
film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훈
신광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375A/ko
Priority to US15/696,144 priority patent/US10504959B2/en
Publication of KR2018008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31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 H10B12/312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having a storage electrode stacked over the transistor with a bit line higher than the capacitor
    • H01L27/1081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2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 H10B61/22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of the field-effect transistor [FET] type
    • H01L27/10855
    • H01L27/10885
    • H01L27/2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2Manufacture or treatment for one transistor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0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 H10B12/033Making the capacitor or connections thereto the capacitor extending over the transistor
    • H10B12/0335Making a connection between the transistor and the capacitor, e.g. plu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 H10B12/482Bit lin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10B61/1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comprising components having two electrodes, e.g. diodes or MIM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07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 H01L21/76813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for dual damascene structures involving a partial via e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01L21/76816Aspects relating to the layout of the pattern or to the size of vias or trench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Abstract

자기 터널 접합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셀 하부 배선;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주변 하부 배선; 상기 셀 하부 배선 및 주변 하부 배선을 덮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하부 콘택 플러그;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에 접속되는 데이터 저장 패턴;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을 덮는 몰드막; 상기 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에 접속되는 비트 라인;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주변 상부 배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Semiconductor memory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자기 터널 접합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가능한 컴퓨팅 장치들 및 무선 통신 장치들이 광범위하게 채용됨에 따라, 고밀도, 저전력 및 비휘발성의 특성들을 갖는 메모리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자기 메모리 소자는 이러한 기술적 요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에서 나타나는 터널자기저항(tunnel magnetoresistance; TMR) 효과는 자기 메모리 소자에서의 데이터 저장 메커니즘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수백% 내지 수천%의 TMR을 보이는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이 보고되면서, 상기 자기터널접합을 구비하는 자기 메모리 소자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적 특성이 보다 향상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셀 하부 배선;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주변 하부 배선; 상기 셀 하부 배선 및 주변 하부 배선을 덮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하부 콘택 플러그;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에 접속되는 데이터 저장 패턴;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을 덮는 몰드막; 상기 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에 접속되는 비트 라인;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주변 상부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는 제 1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라인 및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은 상기 제 1 금속 물질보다 작은 비저항을 갖는 제 2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적층된 셀 하부 배선들;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적층된 주변 하부 배선들; 상기 셀 하부 배선들 및 주변 하부 배선들을 덮는 층간 절연막; 상기 셀 영역의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배치되는 데이터 저장 패턴들;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과 상기 셀 하부 배선들을 연결하는 하부 콘택 플러그들;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을 덮는 몰드막; 상기 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에 접속되는 비트 라인으로서, 상기 비트 라인은 제 1 두께를 갖는 것;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배선들에 접속되는 주변 상부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은 상기 몰드막의 하부 부분을 관통하는 비아 부분들 및 상기 몰드막의 상부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비아 부분들을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따르면, 셀 어레이 영역에서 자기 터널 접합에 접속되는 하부 콘택 플러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주변 회로 영역에서 주변 하부 배선들 및 주변 상부 배선들은 하부 콘택 플러그들보다 비저항이 작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변 회로 영역은 하부 콘택 플러그들보다 비저항이 작은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배선들로 이루어지므로, 주변 회로 영역에서 하부 및 상부 배선들을 통한 전기적 신호들의 지연(RC delay)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셀 어레이 영역의 비트 라인과 동시에 형성되며 비트 라인보다 두꺼운 주변 상부 배선을 형성시, 주변 회로 영역에서 주변 비아 홀들의 종횡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얼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주변 상부 배선을 형성시 비아 홀들 및 주변 트렌치 내에 금속 물질을 채우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선, 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을 나타낸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정보 저장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선, 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단위 메모리 셀들(MC)이 2차원적으로 또는 3차원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단위 메모리 셀들(MC) 각각은 서로 교차하는 워드 라인(WL)과 비트 라인(BL)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단위 메모리 셀들(MC)은 메모리 소자(ME, memory element) 및 선택 소자(SE, select element)를 포함한다. 선택 소자(SE) 및 메모리 소자(ME)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소자(ME)는 비트 라인(BL)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연결되며, 선택 소자(SE)는 메모리 소자(ME)와 소스 라인(SL)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워드 라인(WL)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 소자(ME)는 인가되는 전기적 펄스에 의해 두 가지 저항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가변 저항 소자일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 소자(ME)는 그것을 통과하는 전류에 의한 스핀 전달 과정을 이용하여 그것의 전기적 저항이 변화될 수 있는 박막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모리 소자(ME)는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특성을 보이도록 구성되는 박막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 물질들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반강자성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소자(SE)는 워드 라인들(WL)의 전압에 따라 메모리 소자(ME)로의 전류 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소자(SE)는 다이오드, 피엔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엔피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엔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및 피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소자(SE)가 3단자 소자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경우, 메모리 어레이는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전극과 연결되는 소오스 라인(S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오스 라인(SL)은 인접하는 워드 라인들(WL)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이 하나의 소오스 라인(SL)을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위 메모리 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메모리 셀(MC)은 메모리 소자(ME) 및 선택 소자(S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선택 소자(SE)는 모스 전계효과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메모리 소자는 자기터널 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터널 접합(MTJ)은 비트 라인(BL)과 선택 소자(SE) 사이에 연결되며, 선택 소자(SE)는 자기 터널 접합(MTJ)과 소스 라인(SL) 사이에 연결되며 워드 라인(WL)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기 터널 접합(MTJ)은 복수의 자성층들(FL, RL)과, 자성층들(FL, RL) 사이의 터널 배리어층(TBL)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성층들 중의 하나(RL)는 통상적인 사용 환경 아래에서, 외부 자계(external magnetic field) 혹은 스핀 전달 토크(Spin Transfer Torque)에 상관없이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는 기준층일 수 있다. 자성층들 중 다른 하나(FL)는 외부 자계에 의해 자화 방향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자유층(free layer)일 수 있다.
자기 터널 접합(MTJ)은 자성층들의 자화 방향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차이를 이용하여 단위 메모리 셀(MC)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기 터널 접합(MTJ)의 전기적 저항은 자유층(FL)의 자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터널 접합(MTJ)의 전기적 저항은 기준층(RL) 및 자유층(FL)의 자화 방향들이 평행한 경우에 비해 이들이 반평행한(antiparallel) 경우에 훨씬 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선, 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을 나타낸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정보 저장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6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은 셀 영역(CAR) 및 주변 영역(PCR)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영역(CAR)은 메모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은 주변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에 셀 활성 패턴들(CA)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 패턴들(102)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은 실리콘 기판, 게르마늄 기판, 및/또는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등일 수 있다. 셀 활성 패턴들(CA) 각각은 서로 인접하는 소자 분리 패턴들(10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셀 활성 패턴들(CA)은 제 1 방향(D1)으로 장축을 갖는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셀 활성 패턴들(CA) 각각은 인접하는 소자 분리 패턴들(102) 사이에 정의될 수 있으며, 소자 분리 패턴들(102)과 나란하게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셀 활성 패턴들(CA)은 제 1 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100) 상에 셀 활성 패턴들(CA) 및 소자 분리 패턴들(102)을 가로지르는 셀 게이트 전극들(CG) 및 더미 게이트 전극들(DG)이 형성될 수 있다.
셀 게이트 전극들(CG) 및 더미 게이트 전극들(DG)은 셀 활성 패턴(CA)을 가로지르는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된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이 셀 및 더미 게이트 전극들(DG, IG)의 각각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셀 게이트 전극들(CG) 및 더미 게이트 전극들(DG)은, 예를 들어, 도펀트로 도핑된 반도체 물질(ex, 도핑된 실리콘 등), 금속(ex, 텅스텐, 알루미늄, 티타늄 및/또는 탄탈륨), 도전성 금속 질화물(ex,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또는 텅스텐 질화물) 및 금속-반도체 화합물(ex, 금속 실리사이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이 셀 게이트 전극(CG)과 반도체 기판(100) 사이 및 더미 게이트 전극(DG)과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 및/또는 고유전물(ex,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등과 같은 절연성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게이트 전극(PG)이 셀 게이트 전극들(CG)과 함께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주변 게이트 전극(PG)은 주변 활성 패턴(PA)을 가로지를 수 있으며, 셀 게이트 전극들(CG)과 동일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 게이트 절연막(PGI)이 주변 게이트 전극(PG)과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주변 게이트 절연막(PGI)은 게이트 절연막(GI)과 동일한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게이트 하드 마스크 패턴이 주변 게이트 전극(PG)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스페이서들(123)이 셀 게이트 전극(CG), 더미 게이트 전극(DG), 및 주변 게이트 전극(PG)의 양 측벽들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불순물 영역들(100a)이 각 셀 게이트 전극(CG)의 일 측의 셀 활성 패턴들(C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불순물 영역들(100b)이 각 셀 게이트 전극(CG)의 타측의 셀 활성 패턴들(C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0a, 100b)은 셀 활성 패턴들(CA)의 제 1 도전형과 다른 제 2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제 1 도전형의 도펀트 및 제 2 도전형의 도펀트 중에 하나는 N형 도펀트이고, 다른 하나는 P형 도펀트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0a, 100b)은 선택 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들에 해당한다. 즉,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셀 게이트 전극들(CG) 및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0a, 100b)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선택 트랜지스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불순물 영역들(100a)은 한 쌍의 셀 게이트 전극들(CG) 사이의 각 셀 활성부(C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 2 불순물 영역들(100b)이 한 쌍의 셀 게이트 전극들(CG)을 사이에 두고 각 셀 활성부(CA)의 양 가장자리 영역들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셀 트랜지스터들이 제 1 불순물 영역(100a)을 공유할 수 있다.
주변 불순물 영역들(100c)이 주변 게이트 전극(PG) 양측의 주변 활성 패턴(P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주변 불순물 영역들(100c)은 주변 활성 패턴(PA)의 도펀트들의 도전형과 다른 도전형의 도펀트들로 도핑될 수 있다. 주변 트랜지스터는 피모스(PMOS) 트랜지스터 또는 엔모스(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 1 층간 절연막(101)이 반도체 기판(100)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오스 라인들(SL)이 제 1 층간 절연막(101)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방향(D2)으로 나란히 연장될 수 있다. 소오스 라인들(SL)은 셀 영역(CAR)의 제 1 층간 절연막(101)을 패터닝하여 제 1 불순물 영역들(100a)을 노출시키는 소오스 트렌치들을 형성한 후, 소오스 트렌치들 내에 도전 물질을 매립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각 소오스 라인은 평면적 관점에서, 서로 인접하는 셀 게이트 전극들(CG)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소오스 라인(SL)은 제 2 방향(D2)을 따라 배열된 제 1 불순물 영역들(100a)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소오스 라인(SL)의 상면은 제 1 층간 절연막(101)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03)이 제 1 층간 절연막(101)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03)은 소오스 라인들(SL)의 상부면들을 덮을 수 있다. 제 2 층간 절연막(103)은 제 1 층간 절연막(101)에 대하여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소오스 라인들(SL)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제 2 층간 절연막(103)은 소오스 라인들(SL) 내 금속 원자들이 제 2 층간 절연막(103)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층간 절연막(101)은 산화물(ex, 실리콘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층간 절연막(103)은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이 셀 영역(CAR)에서 제 2 층간 절연막(103) 및 제 1 층간 절연막(101)을 연속적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이 주변 영역(PCR)에서 제 2 층간 절연막(103) 및 제 1 층간 절연막(101)을 연속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각 매립 콘택 플러그(BCP)는 제 2 불순물 영역(10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은 주변 불순물 영역들(100c)(100c)에 접속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소오스 라인,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 및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은 제 1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금속 물질은, 예를 들어,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 텅스텐, 티타늄, 및 탄탈륨과 같은 금속 및/또는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 텅스텐 질화물과 같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캡핑 층간 절연막(105)이 제 2 층간 절연막(103) 상에서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 및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의 상면들을 덮을 수 있다.
캡핑 층간 절연막(105)은 제 2 층간 절연막(103)에 대하여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핑 층간 절연막(105)()은 질화물(ex, 실리콘 질화물) 및/또는 산화질화물(ex, 실리콘 산화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셀 영역(CAR)의 캡핑 층간 절연막(105) 상에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이 수직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의 캡핑 층간 절연막(105) 상에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이 수직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셀 영역(CAR) 및 주변 영역(PCR)의 캡핑 층간 절연막(105) 상에 복수 개의 하부 유전막들(110)이 적층될 수 있으며,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이 셀 영역(CAR)의 하부 유전막들(110)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이 주변 영역(PCR)의 하부 유전막들(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유전막들(110)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유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유전막들(110)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막(fluorine-doped oxide 또는 FSG), 탄소가 도핑된 산화막, 실리콘 산화막, HSQ(hydrogen silsesquioxane; SiO:H), MSQ(methyl silsesquioxane; SiO:CH3) 또는 a-SiOC(SiOC:H)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방지막들(111)이 하부 유전막들(11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최상층의 확산 방지막은 최상층의 셀 하부 배선(120c) 및 주변 하부 배선(125c)의 상면들 및 최상층의 하부 유전막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확산 방지막들(111)은,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 카본 질화막(SiCN)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은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 또는 소오스 라인들(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은 선택 트랜지스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내지 제 3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이 적층될 수 있으며, 최하층의 제 1 셀 하부 배선(120a)은 매립 콘택 플러그(BCP)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셀 하부 배선들(120b, 120c)은 비아 부분 및 배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은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을 통해 주변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은 셀 영역(CAR)의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내지 제 3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이 수직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최하층의 제 1 주변 하부 배선(125a)은 주변 콘택 플러그(PCP)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주변 하부 배선들(125b, 125c)은 비아 부분 및 배선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주변 하부 배선들(125c)의 상면들은 제 3 셀 하부 배선들(120c)의 상면들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 및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은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 및 주변 콘택 플러그들(PCP)의 제 1 금속 물질과 다른 제 2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금속 물질은 제 1 금속 물질보다 비저항이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금속 물질은 구리 또는 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리 합금이란 구리 내에 미량의 C, Ag, Co, Ta, In, Sn, Zn, Mn, Ti, Mg, Cr, Ge, Sr, Pt, Mg, Al 또는 Zr이 혼합된 것을 말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최상층의 확산 방지막(111) 상에 상부 유전막(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유전막(130)은 HDP 산화막, TEOS막, PE-TEOS막, USG막, BSG막, PSG막, BPSG막, SOG막, TOSZ막 또는 일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부 유전막(130)은 실리콘 산화막보다 유전 상수가 낮은 유전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이 셀 영역(CAR)의 상부 유전막(130)을 관통할 수 있다. 각 하부 콘택 플러그(135)(는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 및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을 통해 제 2 불순물 영역(100b)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은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의 제 2 금속 물질과 다른 제 3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금속 물질은 제 2 금속 물질보다 비저항이 클 수 있다. 제 3 금속 물질은 예를 들어, 텅스텐, 티타늄, 및 탄탈륨과 같은 금속 및/또는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 텅스텐 질화물과 같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은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이 셀 영역(CAR)의 상부 유전막(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은, 평면적 관점에서, 제 1 방향(D1) 및 제 2 방향(D2)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으며,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은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 및 매립 콘택 플러그들(BCP)을 통해 제 2 불순물 영역들(100b)에 각각 접속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은 선택 트랜지스터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형성하는 것은, 상부 유전막(130) 상에 하부 전극(BE)층, 하부 자성층, 터널 배리어층, 상부 자성층, 및 상부 전극(TE)층을 차례로 적층하는 것, 식각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이용하여, 상부 유전막(130)의 일부분들이 노출되도록 하부 전극(BE)층, 하부 자성층, 터널 배리어층, 상부 자성층, 및 상부 전극(TE)층을 차례로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형성하는 식각 공정 동안, 과식각에 의해 상부 유전막(130)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 때, 로딩 효과(loading effect)에 의하여, 주변 영역(PCR) 내 상부 유전막(130)이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 주변의 상부 유전막(130)보다 더 리세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형성한 후, 셀 영역(CAR)과 주변 영역(PCR)에서 상부 유전막(130)의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부 유전막(130)의 두께는 주변 영역(PCR)보다 셀 영역(CAR)에서 클 수 있으며, 셀 영역(CAR)에서 상부 유전막(130)의 상면은 주변 영역(PCR)에서 상부 유전막(130)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나아가,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형성시, 상부 유전막(130)이 리세스되어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 사이에서 상부 유전막(130)의 상면은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의 상면들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유전막(130)이 리세스되어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의 측벽들 일부분들이 노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 각각은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전극(BE), 상부 전극(TE), 및 하부 및 상부 전극들(BE, TE) 사이의 자기 터널 접합 패턴(MTJ)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전극(BE)은 하부 콘택 플러그(135)의 상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부 전극(TE)은 하부 전극(BE)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전극(BE)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전극(BE)은 질화티타늄(TiN), 질화탄탈륨(TaN), 질화 텅스텐(WN), 또는 질화티타늄알루미늄(TiAlN)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전극(TE)은 배리어 금속 패턴(51) 및 금속 패턴(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리어 금속 패턴(51)은 예를 들어, Ta, TaN, TaSiN, Ti, TiN, TiSiN, W, W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패턴(53)은 텅스텐, 티타늄, 탄탈륨, 루테늄, 및/또는 백금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에 대해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자기 터널 접합 패턴(MTJ)은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 및 이들 사이의 터널 배리어 패턴(TBL)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자성 패턴(RPL)은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갖는 고정층일 수 있으며, 상부 자성 패턴(FPL)은 고정층의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 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방향을 갖는 자유층일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부 자성 패턴(RPL)이 자유층이고, 상부 자성 패턴(FPL)이 고정층일 수도 있다.
자기터널접합 패턴(MTJ)의 전기적 저항은 자유층의 자화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자유층의 자화방향은 쓰기 전류 내 전자들의 스핀 토크(spin torque)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터널접합 패턴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자화 방향에 따른 전기적 저항의 차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 패턴(DSP)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고정층으로 사용되는 하부 또는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은 고정층 내 강자성 물질의 자화방향을 고정시키는(pinning) 반강자성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널 배리어층(TBL)은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산화티타늄(titanium oxide),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 산화마그네슘아연(magnesium-zinc oxide) 또는 산화마그네슘붕소(magnesium-boron oxide)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의 자화 방향들은 터널 배리어 패턴(TBL)의 상면과 평행할 수 있다.
도 1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의 자화 방향들은 터널 배리어층(TBL)의 상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은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자성층들 및 비자성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및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은 (Co/Pt)n, (CoFe/Pt)n, (CoFe/Pd)n, (Co/Pd)n, (Co/Ni)n, (CoNi/Pt)n, (CoCr/Pt)n 또는 (CoCr/Pd)n (n은 적층 횟수)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층으로 사용되는 하부 또는 상부 자성 패턴들(RPL, FPL)은 자유층에 비해 두꺼울 수 있으며, 및/또는 고정층의 보자력이 자유층의 보자력보다 클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 패턴(DSP)은 차례로 적층된 제 1 고정 자성층(RPL1), 제 1 터널 배리어층(TBL1), 자유 자성층(FPL), 제 2 터널 배리어층(TBL2) 및 제 2 고정 자성층(RPL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터널 배리어층(TBL1)과 제 2 터널 배리어층(TBL2)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 패턴(DSP)에서, 제 1 고정 자성층(RPL1), 제 1 터널 배리어층(TBL1), 및 자유 자성층(FPL)은 제 1 자기 터널 접합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유 자성층(FPL), 제 2 터널 배리어층(TBL2) 및 제 2 고정 자성층(RPL2)은 제 2 자기 터널 접합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자성층들(RPL1, RPL2)는 일 방향으로 고정된 자화방향을 갖되, 제 1 고정 자성층(RPL1)의 자화방향은 제 2 고정 자성층(RPL2)의 자화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자유 자성층(FPL)은 제 1 및 제 2 고정 자성층들(RPL1, RPL2)의 고정된 자화방향에 평행 또는 반-평행하게 변경 가능한 자화방향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고정 자성층들(RPL1, RPL2)과 자유 자성층(FPL)의 자화방향들은 제 1 및 제 2 터널 배리어층들(TB1, TB2)의 상면들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수직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호 절연막(140)이 상부 유전막(130) 상에서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컨포말하게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절연막(140)은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의 측벽들 및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의 측벽 일부분들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보호 절연막(140)은 상부 유전막(13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 절연막(140)은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 카본 질화막(SiCN)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절연막(140)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의 전면에 몰드막(ML)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몰드막(ML)은 보호 절연막(140)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 1 몰드막(151), 식각 정지막(153), 및 제 2 몰드막(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몰드막들(151, 155)은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보다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저유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식각 정지막(153)은 제 1 및 제 2 몰드막(155)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절연 물질, 예를 들어,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SiON),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 카본 질화막(SiCN) 및 이들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몰드막(151)은 셀 영역(CAR)에서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제 1 몰드막(151)의 상면은 셀 영역(CAR)에서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의 상부 전극들(TE)의 상면들과 하면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셀 영역(CAR)에서 제 1 몰드막(151)의 두께(T1)는 주변 영역(PCR)에서 제 1 몰드막(151)의 두께(T2)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셀 영역(CAR)에서 제 1 몰드막(151)의 상면은 주변 영역(PCR)에서 제 1 몰드막(151)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식각 정지막(153)이 제 1 몰드막(15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식각 정지막(153)의 상면은 보호 절연막(140)의 최상면과 실질적으로 공면을 이룰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식각 정지막(153)이 보호 절연막(140)의 최상면을 덮을 수도 있다.
식각 정지막(153)은 셀 영역(CAR)과 주변 영역(PCR)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셀 영역(CAR)에서 식각 정지막(153)의 상면은 주변 영역(PCR)에서 식각 정지막(153)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제 2 몰드막(155)이 식각 정지막(15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몰드막(155)은 셀 영역(CAR)과 주변 영역(PCR)에서 단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셀 영역(CAR)에서 제 2 몰드막(155)의 상면이 주변 영역(PCR)에서 제 2 몰드막(155)의 상면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 2 몰드막(155)의 두께는 제 1 몰드막(15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2 몰드막(155)이 제 1 몰드막(151)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몰드막(155) 상에 오프닝들을 갖는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의 오프닝들은 주변 영역(PCR)에서 제 2 몰드막(155)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을 형성하는 것은, 제 2 몰드막(155)의 전면에 제 1 하드 마스크막을 형성하는 것, 제 1 하드 마스크막 상에 주변 영역(PCR)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1 마스크 패턴(MP1)을 형성하는 것, 제 1 마스크 패턴(MP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2 몰드막(155)이 노출되도록 제 1 하드 마스크막을 이방성 식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은, 예를 들어, 에스오에이치막(SOH; spin on hardmask) 또는 비정질 탄소막(ACL; amorphous carbon layer)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스오에이치막은 탄소 함유 에스오에이치막(carbon-based SOH layer) 또는 실리콘 함유 에스오에이치막(silicon-based SOH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은 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을 형성하는 동안 제 1 마스크 패턴(MP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으며,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을 형성한 후, 제 1 마스크 패턴(MP1)은 제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주변 영역(PCR)의 몰드막(ML), 보호 절연막(140), 및 상부 유전막(130)을 패터닝함으로써 주변 비아 홀들(150H)이 형성될 수 있다. 주변 비아 홀들(150H)은 주변 영역(PCR)의 제 1 몰드막(151), 식각 정지막(153), 제 2 몰드막(155), 보호 절연막(140) 및 상부 유전막(130)을 관통하여, 주변 영역(PCR)에 확산 방지막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주변 비아 홀들(150H)을 형성시,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주변 비아 홀들(150H)을 형성 시, 셀 영역(CAR)의 제 2 몰드막(155) 전면은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셀 영역(CAR)에서 제 2 몰드막(155)의 두께는 유지될 수 있다.
주변 비아 홀들(150H)을 형성한 후, 제 2 몰드막(155) 상의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은 제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 2 몰드막(155)의 전면에 주변 비아 홀들(150H)을 채우는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은 몰드막(ML), 보호 절연막(140), 및 상부 유전막(130)에 대해 식각 선택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잇다.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은, 예를 들어, 에스오에이치막(SOH; spin on hardmask) 또는 비정질 탄소막(ACL; amorphous carbon layer)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스오에이치막은 탄소 함유 에스오에이치막(carbon-based SOH layer) 또는 실리콘 함유 에스오에이치막(silicon-based SOH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은 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막(170) 상에 셀 영역(CAR)의 일부분들 및 주변 영역(PCR)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2 마스크 패턴(M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마스크 패턴(MP2)은 셀 영역(CAR)에서 셀 게이트 전극들(CG)을 가로질러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제 1 예비 오프닝들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에서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되며 주변 비아 홀들(150H)과 중첩되는 바 형태 또는 라인 형태의 제 2 예비 오프닝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 2 마스크 패턴(MP2)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의 일부분들을 식각함으로써 제 2 몰드막(155)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은 셀 영역(CAR)에서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의 제 1 오프닝들(173a)을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에서 서로 인접하는 주변 비아 홀들(150H)을 노출시키는 제 2 오프닝을 가질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의 제 2 오프닝(173b)은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의 제 2 몰드막(155)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형성시 주변 비아 홀들(150H) 내에 채워진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의 일부분들이 리세스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형성시 과식각에 의해 제 1 및 제 2 오프닝들(173a, 173b)에 의해 노출된 제 2 몰드막(155)의 일부분들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주변 영역(PCR)에서 주변 비아 홀들(150H) 내에 채워진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의 일부분들이 리세스되어, 주변 비아 홀들(150H)의 내벽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이 제거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상부 부분들의 폭이 하부 부분들에 비해 증가될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형성한 후, 제 2 마스크 패턴(MP2)은 제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제 2 몰드막(155)이 패터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 영역(CAR)의 제 2 몰드막(155)에 셀 트렌치들(CT)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의 제 2 몰드막(155)에 주변 트렌치(PT)가 형성될 수 있다.
셀 트렌치들(CT)은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 상의 보호 절연막(140)의 상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주변 트렌치(PT)는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의 제 2 몰드막(155)이 식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변 트렌치(PT)를 형성하는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 잔류하는 제 2 몰드막(155)의 폭 및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주변 트렌치(PT)를 형성시,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서 식각 정지막(153)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변 트렌치(PT)를 형성시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 리세스된 제 2 몰드막(155)의 일부가 잔류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주변 트렌치(PT)를 형성시 주변 비아 홀들(150H) 내에 잔류하는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에 의해 노출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측벽들이 식각되어 주변 비아 홀들(150H)은 경사진 측벽들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주변 비아 홀들(150H) 각각은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이 채워진 하부 부분(150a)과,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에 의해 노출된 상부 부분(150b)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 부분(150b)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셀 트렌치들(CT) 및 주변 트렌치(PT)를 형성한 후, 제 2 몰드막(155) 상에 그리고 주변 비아 홀들(150H) 내에 잔류하는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이 제거될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제거함에 따라, 주변 트렌치(PT) 및 주변 비아 홀들(150H)에 의해 확산 방지막(111)의 일부분이 노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셀 트렌치들(CT)에 노출된 보호 절연막(140)을 이방성 식각하여 상부 전극(TE)을 노출시키고, 주변 비아 홀들(150H)에 노출된 확산 방지막(111)을 이방성 식각하여 주변 하부 배선(125c)을 노출시킬 수 있다.
보호 절연막(140)을 이방성 식각할 때, 과식각에 의해 상부 전극(TE)의 상면이 리세스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서 주변 트렌치(PT)에 노출된 식각 정지막(153)의 일부 및 제 1 몰드막(151)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서 제 1 몰드막(151)의 두께(도 16의 T3)가 감소되므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종횡비가 감소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주변 하부 배선(125c)을 노출시키는 주변 비아 홀들(150H) 각각은 제 1 폭(W1)을 갖는 하부 부분(150a)과 제 1 폭(W1)보다 큰 제 2 폭(W2)을 갖는 상부 부분(15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서로 인접하는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상부 부분들(150b) 간의 거리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셀 트렌치들(CT), 주변 비아 홀들(150H), 및 주변 트렌치(PT)를 매립하는 도전막을 증착하고, 제 2 몰드막(155)이 노출되도록 도전막들을 평탄화하여 비트 라인들(BL) 및 주변 상부 배선(180)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 및 주변 상부 배선(180)을 형성하는 것은, 셀 트렌치들(CT), 주변 비아 홀들(150H), 및 주변 트렌치(PT)의 내벽을 컨포말하게 덮는 배리어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 배리어 금속막이 형성된 셀 트렌치들(CT), 주변 비아 홀들(150H), 및 주변 트렌치(PT)를 완전히 채우는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 및 배리어 금속막 및 금속막을 평탄화하여 제 2 몰드막(155)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트 라인들(BL)은 도 17a,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리어 금속 패턴(160a) 및 금속 패턴(160b)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변 트렌치(PT)와 인접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상부 부분(150b)의 폭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므로, 주변 비아 홀들(150H) 및 주변 트렌치(PT) 내에 보이드 없이 금속막을 채우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과 주변 상부 배선(180)은 동시에 형성되되, 비트 라인들(BL)은 제 1 두께(Ta)를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상부 배선(180)의 배선부(183)는 제 1 두께(Ta)보다 큰 제 2 두께(Tb)를 가질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은 셀 게이트 전극들(CG)을 가로질러 제 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주변 상부 배선(180)은 제 1 몰드막(151)을 관통하여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에 접속하는 비아 부분들(181) 및 비아 부분들(181)을 연결하는 배선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아 부분들(181) 각각은 제 1 폭을 갖는 하부 부분과 제 1 폭보다 큰 제 2 폭을 갖는 상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분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비아 부분들(181) 사이에 개재된 제 1 몰드막(151) 패턴의 상면은 비트 라인들(BL)의 바닥면들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비트 라인들(BL) 및 주변 상부 배선(180)은 제 4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4 금속 물질은 하부 콘택 플러그들(135)의 제 3 금속 물질과 다를 수 있다. 여기서, 제 4 금속 물질은 제 3 금속 물질보다 비저항이 작을 수 있다. 제 4 금속 물질은, 예를 들어, 텅스텐, 티타늄, 및 탄탈륨과 같은 금속 및/또는 티타늄 질화물, 탄탈륨 질화물, 및 텅스텐 질화물과 같은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비트 라인들(BL) 및 주변 상부 배선(180)은 셀 하부 배선들(120a, 120b, 120c) 및 주변 하부 배선들(125a, 125b, 125c)과 동일한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서, 도 3의 I-I'선, II-II'선, 및 III-III'선을 따라 자른 단면들을 나타낸다. 설명의 간략함을 위해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18을 참조하면, 셀 영역(CAR)에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을 형성한 후,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보호 절연막(140)이 컨포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보호 절연막(140)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 1 몰드막(151), 식각 정지막(153), 및 제 2 몰드막(155)을 포함하는 몰드막(ML)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1 몰드막(151)의 두께(T4)가 제 2 몰드막(155)의 두께(T5)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몰드막(151)의 상면은 셀 영역(CAR)에서보다 주변 영역(PCR)에서 낮을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역(PCR)에서 제 1 몰드막(151)의 상면은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의 상면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몰드막(ML)을 형성 후, 몰드막(ML) 상에 형성된 제 1 하드 마스크 패턴(16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몰드막(ML), 보호 절연막(140), 및 상부 유전막(130)을 식각함으로써 주변 비아 홀들(150H)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19를 참조하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제 2 몰드막(155) 상에 제 2 몰드막(155)의 일부분들을 노출시키는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은 셀 영역(CAR)의 제 1 오프닝들(173a)과 주변 영역(PCR)의 제 2 오프닝(173b)을 가질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형성시 주변 비아 홀들(150H) 내에 채워진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의 일부분들이 리세스되어, 주변 비아 홀들(150H)의 하부 부분에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의 일부가 잔류할 수 있다. 제 2 하드 마스크막(170)이 리세스되어 노출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상부 부분들(150a)은 하부 부분들(150b)에 비해 폭이 증가될 수 있다.
도 3 및 도 20을 참조하면,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셀 영역(CAR)의 제 2 몰드막(155)에 셀 트렌치들(CT)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 영역(PCR)의 제 2 몰드막(155)에 주변 트렌치(PT)가 형성될 수 있다.
셀 트렌치들(CT) 및 주변 트렌치(PT)는 제 2 하드 마스크 패턴(171)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 패턴들(DSP)의 상부 전극들(TE)이 노출되도록 제 2 몰드막(155)을 이방성 식각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변 트렌치(PT)를 형성하는 동안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서 제 1 몰드막의 상면이 리세스될 수 있으며,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상부 부분들의 폭이 증가될 수 있다.
주변 트렌치(PT)를 형성하는 동안 제 1 몰드막의 상면 일부가 리세스되므로, 주변 비아 홀들(150H)의 종횡비를 줄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주변 트렌치(PT) 둘레의 제 1 몰드막의 두께보다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 제 1 몰드막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주변 비아 홀들(150H) 사이에서 제 1 몰드막의 상면은 하부 콘택 플러그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셀 트렌치들(CT) 내에 상부 전극들(TE)과 접속되는 비트 라인들(BL)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변 비아 홀들(150H) 및 주변 트렌치(PT) 내에 주변 상부 배선(180)이 형성될 수 있다.
비트 라인들(BL)과 주변 상부 배선(180)은 동시에 형성되되, 비트 라인들(BL)은 제 1 두께(Ta)를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상부 배선(180)의 배선부(183)는 제 1 두께(Ta)보다 큰 제 2 두께(Tb)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주변 상부 배선(180)의 배선부(183)의 바닥면은 비트 라인(BL)의 바닥면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 콘택 플러그(135)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셀 영역 및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기 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셀 하부 배선;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배치되는 주변 하부 배선;
    상기 셀 하부 배선 및 주변 하부 배선을 덮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하부 콘택 플러그;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에 접속되는 데이터 저장 패턴;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서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을 덮는 몰드막;
    상기 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에 접속되는 비트 라인; 및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몰드막을 관통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배선에 접속되는 주변 상부 배선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는 제 1 금속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라인 및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은 상기 제 1 금속 물질보다 작은 비저항을 갖는 제 2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하부 배선 및 상기 주변 하부 배선은 상기 제 2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은 비아 부분들 및 비아 부분들을 연결하는 배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아 부분들 각각은 상기 주변 하부 배선과 접촉하며 제 1 상부 폭을 갖는 하부 부분 및 상기 하부 부분과 상기 배선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 1 상부 폭보다 큰 제 2 상부 폭을 갖는 상부 부분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라인은 제 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의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큰 제 2 두께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의 상기 배선부의 바닥면은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의 상면 아래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상부 배선에서, 상기 비아 부분들의 상기 상부 부분들 간의 거리는 상기 제 1 몰드막의 하면에서 상면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막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 1 몰드막, 식각 정지막, 및 제 3 몰드막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의 상기 비아 부분들 사이에서 상기 제 1 몰드막의 두께는 상기 주변 상부 배선 주위의 상기 제 1 몰드막의 두께보다 작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절연막의 상면은 상기 주변 영역보다 상기 셀 영역에서 더 높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패턴들 사이에서 상기 층간 절연막의 상면은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들의 상면과 상기 주변 영역의 상기 층간 절연막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하부 배선과 접촉하는 상기 주변 상부 배선의 바닥면은 상기 하부 콘택 플러그들의 상면들 아래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70009975A 2017-01-20 2017-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80086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75A KR20180086375A (ko) 2017-01-20 2017-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5/696,144 US10504959B2 (en) 2017-01-20 2017-09-05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975A KR20180086375A (ko) 2017-01-20 2017-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375A true KR20180086375A (ko) 2018-07-31

Family

ID=62906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975A KR20180086375A (ko) 2017-01-20 2017-01-20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04959B2 (ko)
KR (1) KR201800863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7272B2 (en) * 2017-11-24 2020-07-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12655101A (zh) * 2018-08-22 2021-04-13 艾沃思宾技术公司 制造磁阻堆叠设备的方法
US10559493B1 (en) * 2018-09-10 2020-0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function single via patterning
CN112201746A (zh) * 2019-07-08 2021-01-08 联华电子股份有限公司 半导体元件及其制作方法
KR20210024390A (ko) 2019-08-23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50428B1 (ko) * 2019-11-06 2024-03-2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210093085A (ko) 2020-01-17 2021-07-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1024A (ko) * 2020-05-15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억 소자
US11672180B2 (en) 2020-08-11 2023-06-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US11705384B2 (en) * 2021-03-31 2023-07-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Through vias of semiconductor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8266B2 (en) * 2004-03-01 2006-05-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al-insulator-metal (MIM) capacitor structure formed with dual damascene structure
US7148089B2 (en) * 2004-03-01 2006-12-1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copper fuse links
JP4439341B2 (ja) 2004-06-30 2010-03-24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80124372A1 (en) * 2006-06-06 2008-05-29 Hossainy Syed F A Morphology profiles for control of agent release rates from polymer matrices
US7692230B2 (en) 2006-12-06 2010-04-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RAM cell structure
US8542524B2 (en) 2007-02-12 2013-09-24 Avalanche Technology, Inc.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manufacturing process for a small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design with a low programming current requirement
US9159910B2 (en) * 2008-04-21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One-mask MTJ integration for STT MRAM
US8138562B2 (en) * 2009-10-20 2012-03-20 Magic Technologies, Inc. Bit line preparation method in MRAM fabrication
US8399359B2 (en) * 2011-06-01 2013-03-19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for dual damascene structure
KR101919040B1 (ko) 2012-08-13 2018-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기억 소자
KR102063808B1 (ko) * 2013-07-15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저장 소자의 제조 방법
US9373663B2 (en) 2013-09-20 2016-06-21 Avalanche Technology, Inc. Landing pad in peripheral circuit for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KR102264601B1 (ko) 2014-07-21 2021-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72775B2 (en) 2015-03-12 2018-05-15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Integrated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with logic device having low-k interconnects
KR102338319B1 (ko) * 2015-09-25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1995A1 (en) 2018-07-26
US10504959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637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779410B2 (en) Resistance change memo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457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305974B1 (en) High density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RAM)
CN116322275A (zh) Mram器件及其形成方法
US9647033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magnetic memory device having a magnetic tunnel junction pattern
US1035520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395979B2 (en) Semiconductor devices
CN109560191B (zh) 磁阻随机存取存储器件
US20230397438A1 (en) Magnetic memory devices
US9087871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40299831A1 (en) 3d variable resistanc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64790B1 (ko)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6671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220344582A1 (en) Memory cell,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4783B1 (ko) 상변화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98579A (ko) 자기 기억 소자
US11158671B2 (en) Semiconductor devices
US11683992B2 (en) Magnetic memory device
KR20220141382A (ko) 자기 기억 소자
CN113299685A (zh) 具有低单元泄露的高密度存储器器件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