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988A -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 Google Patents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988A
KR20180085988A KR1020170009782A KR20170009782A KR20180085988A KR 20180085988 A KR20180085988 A KR 20180085988A KR 1020170009782 A KR1020170009782 A KR 1020170009782A KR 20170009782 A KR20170009782 A KR 20170009782A KR 20180085988 A KR20180085988 A KR 2018008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weight
glycol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387B1 (ko
Inventor
김광연
Original Assignee
(주)노루페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루페인트 filed Critical (주)노루페인트
Priority to KR102017000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3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4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UV-CURABLE COMPOSITION FOR COATING PLYWOOD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PLYWOOD MOLD USING THE SAME AND PLYWOOD MOLD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거푸집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거푸집 공사는 구조체 공사의 품질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 공사비 및 안전도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공사이다.
콘크리트 공사용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가설재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틀 모양의 거푸집을 먼저 만들고, 상기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채운 후, 일정 시간 동안 양생하여 경화한 후, 거푸집을 철거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은 얻는다. 거푸집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경화된 콘트리트와 거푸집이 매끄럽게 떨어져야 견출 작업(콘크리트면 미장 작업)과 같은 추가 공정 없이 수려한 외관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다.
거푸집을 재료별로 분류하면 목재, 강재, 합판, 플라스틱, 섬유 등이 있는데, 현재에는 탈형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된 합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방법에 따르면, 합판 거푸집의 탈형 성능 향상을 위하여, 내수(방수) 합판에 폴리우레탄 및 우레탄 경화제를 혼합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 페놀계 필름을 열압 접착하는 방법,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를 과산화물로 경화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가공 방법들은, 높은 온도, 압력 또는 긴 경화 시간을 필요로하여 합판 거푸집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판 거푸집에 우수한 물성을 부여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제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500 내지 6,5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 내지 3,500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이소부톡시(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마이드, 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1,3-디아크릴옥시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25℃에서 점도가 110 내지 140 KU(Kreb's Unit)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5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하여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의 합은 1:1 내지 2: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거푸집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합판 위에 우레탄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우레탄 하도층 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자외선을 가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합판 거푸집의 상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건조 시간 및 건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합판 거푸집의 제조 편의성을 개선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내수성, 내알칼리성,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 블로킹성, 시멘트 이형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한 합판 거푸집을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상기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0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500 내지 6.500인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5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증가하고 경도가 높아져, 온도 저항성(냉온 반복 시험)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40 중량% 미만인 경우, 내알칼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내알칼리성이 저하되고 시멘트로부터의 탈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20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저하되어 롤코터를 이용한 적정량 도포가 어렵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함량은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2,500 내지 3,500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하게 조정하고, 가교제 역할을 하여, 도막의 경도, 부착성 등과 같은 각종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 중량% 내지 12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 중량% 내지 12 중량% 및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 중량% 내지 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하여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중량)의 합은 1:1 내지 2:1일 수 있다.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한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비가 1:1보다 작을 경우,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한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비가 2:1보다 클 경우, 경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온도 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8 중량% 내지 10 중량%,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3 중량% 내지 5 중량% 및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5 중량%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이소부톡시(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마이드, 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과소한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균일한 도막을 형성하기 어렵고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상기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상기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이 과소한 경우, 도막의 내스크래치성, 블로킹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 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크산톤, 플루오렌, 플루오레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트리페닐아민, 카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미히라케톤, 벤조일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티옥산톤, 디에틸티옥산톤,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25℃에서 KREB'S UNIT 점도계로 측정하였을 때 110 내지 140 KU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충진제, 안료, 중합 금지제, 이형제, 커플링제, 왁스,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자외선 등의 광에 의해 경화됨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도막은 하도막에 대한 부착성, 내수성, 내알칼리성,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 블로킹성, 시멘트 이형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하다. 따라서, 합판 거푸집 코팅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합판(10) 위에 하도층(20)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합판(10)으로는 종래의 합판 기재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내수 합판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도층(20)을 형성하기 전에, 도포면을 정리하고, 하도층 형성 조성물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합판(10)의 상면을 샌딩 등을 이용하여 연마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도층(20)은 2액형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우레탄 하도층일 수 있다. 상기 2액형 우레탄 조성물은, 주제부 및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제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산화철, 탄산칼슘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경화제부는 이소시아이네이트 프리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액형 우레탄 조성물은, 나이프 코팅 등을 통해 도포될 수 있으며, 도포된 후, 오븐 등에 의해 건조되어, 상기 하도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도층(20)은, 상기 2액형 우레탄 조성물의 도포-건조를 수회 반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도층(20) 위에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도층(20)을 형성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도포면을 정리하고,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상기 하도층(20)의 상면을 샌딩 등을 이용하여 연마 가공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기 설명된 자외선 경화 조성물과 동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 조성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상도층(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화 전에 도포면을 고르게 퍼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열 공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합판 거푸집의 상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건조 시간 및 건조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합판 거푸집의 제조 편의성을 개선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내수성, 내알칼리성,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 블로킹성, 시멘트 이형성, 내스크래치성 등이 우수한 합판 거푸집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비교예, 실시예 및 실험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 조성물 및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코팅용 내수 합판의 도포면을 샌딩하여 베이스 합판을 준비하였다. 하도층용 우레탄 조성물(DPI-100, ㈜노루페인트)의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13.5: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50g/㎡로 도포한 후, 오븐 룸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것을 3차례 반복하여 하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도층을 샌딩한 후, 롤코터를 이용하여,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아래의 표 1에 따라 60g/㎡로 도포한 후, 45℃의 IR 라인을 약 2분 통과시킨 후, UV 램프를 조사하여(700mJ/㎠)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비교예 1
코팅용 내수 합판의 도포면을 샌딩하여 베이스 합판을 준비하였다. 하도층용 우레탄 조성물(DPI-100, ㈜노루페인트)의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13.5:1의 중량부로 혼합한 후,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50g/㎡로 도포한 후, 오븐 룸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것을 3차례 반복하여 하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하도층을 샌딩한 후, 중도층용 우레탄 조성물(DPI-200, ㈜노루페인트)의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10: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60g/㎡로 도포한 후, 상도층용 우레탄 조성물(DPI-400, ㈜노루페인트)의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2: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15g/㎡로 도포한 후, 35℃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중도층 및 상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시편에 대하여, JAS(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 규격에 따라, 침지 시험(끓는 물 침지 후 색상 변화 관찰), 부착성 시험(돌리 테스터), 내알칼리 시험(NaOH 용액 적하 후 크랙 발생 관찰), 냉온반복 시험(드라이오븐/냉동실 방치 후 크랙 발생 관찰), 수분함유량 측정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블로킹성 시험(도막면 건조 후, 거즈를 놓고 16kg/㎡의 하중을 12시간 가한 후, 거즈 접착 확인), 내스크래치성 시험(도막면 건조 후, 손톱으로 긁어 스크래치 상태 육안 확인), 시멘트 이형성 시험(콘크리트 제거하여 도막면 상태 육안 확인)을 수행하여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pat00002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합판 거푸집의 제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500 내지 6,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2,500 내지 3,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t-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이소부톡시(메타)아크릴아마이드, 디아세톤(메타)아크릴아마이드, 보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카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디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티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1,3-디아크릴옥시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25℃에서 점도가 110 내지 140 KU(Kreb's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45 중량% 내지 55 중량%, 상기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30 중량%, 상기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25 중량% 및 상기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하여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와 3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함량의 합은 1:1 내지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9. 베이스 합판 위에 우레탄 하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우레탄 하도층 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5 중량% 내지 55 중량%,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중량% 내지 5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15 중량% 내지 30 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 3 중량% 내지 8 중량%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된 자외선 경화 조성물에 자외선을 가하여 상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KR1020170009782A 2017-01-20 2017-01-20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KR101946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82A KR101946387B1 (ko) 2017-01-20 2017-01-20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782A KR101946387B1 (ko) 2017-01-20 2017-01-20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988A true KR20180085988A (ko) 2018-07-30
KR101946387B1 KR101946387B1 (ko) 2019-02-11

Family

ID=6304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782A KR101946387B1 (ko) 2017-01-20 2017-01-20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861A (ko) * 2016-08-26 2018-03-07 황장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광학 기판 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83B1 (ko) * 2019-12-03 2021-04-01 김용학 금속 거푸집 이형층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008B2 (ja) * 1992-01-17 1996-11-27 中国塗料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型枠用木製合板
KR101448249B1 (ko) * 2014-03-28 2014-10-10 (주)아오야마목재산업 표면 강화 마루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면 강화 마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3861A (ko) * 2016-08-26 2018-03-07 황장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광학 기판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387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7138B (zh) 一种uv固化的柔软涂层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AU743304B2 (en) Process for producing scratch resistant coatings and its use, in particular for producing multilayered coats of enamel
JP5763746B2 (ja) 放射線硬化性アミノ(メタ)アクリレート
KR101946387B1 (ko) 합판 거푸집 코팅용 자외선 경화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합판 거푸집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판 거푸집
KR20170084396A (ko) 하드코팅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필름 및 필름의 제조방법
JPH06506971A (ja) Uv硬化可能な配合組成物および適用方法
KR101370054B1 (ko) 판재에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이용한 전처리 후 필름을 접착하는 방법
KR101144534B1 (ko) 바닥재 코팅용 아이소레이터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재 코팅방법
US20100093924A1 (en) Modified Poly(meth)acrylate with Reactive Ethylenic Groups and Use Thereof
JP4948850B2 (ja) 多層塗膜、該多層塗膜を備える基材、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70026143A (ko) 건재의 제조 방법
ES2389846T3 (es) Procedimiento para reducir el cuarteado superficial de un producto de madera
KR102060079B1 (ko) 이중경화형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063599B1 (ko) 데코시트용 코팅 조성물 및 데코시트
KR100929278B1 (ko) 조사 경화성 퍼티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는기재의 리피니싱 방법
KR20090073588A (ko) 자동차 보수용 자외선 경화 퍼티도료 및 퍼티막 형성방법
KR101448249B1 (ko) 표면 강화 마루용 도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표면 강화 마루 및 그 제조방법
JP7133933B2 (ja) 窯業系無機基材の目止め方法および窯業系無機基材化粧板の製造方法
KR20220098420A (ko) 자동차 보수용 엘이디 자외선 경화 상도도료
JPH09221627A (ja) コンクリート塗装型枠合板用無溶剤型ウレタン塗料組成物
KR100769086B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합판용 도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코팅 합판의 제조 방법
JP7478563B2 (ja) 窯業系無機質基材の塗装方法、及び窯業系無機質基材塗装品
KR102359035B1 (ko) 은폐력이 향상되고 황변성이 개선된 판재에의 친환경적 uv 도료 도장 방법
KR101221253B1 (ko) 멜라민 코팅용 광경화형 프라이마 조성물
KR20190097670A (ko) 유브이 경화형 임프린팅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