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263A - Article storage facility - Google Patents

Article storage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263A
KR20180083263A KR1020180003273A KR20180003273A KR20180083263A KR 20180083263 A KR20180083263 A KR 20180083263A KR 1020180003273 A KR1020180003273 A KR 1020180003273A KR 20180003273 A KR20180003273 A KR 20180003273A KR 20180083263 A KR20180083263 A KR 20180083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urface portion
positioning member
plane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5796B1 (en
Inventor
다카히로 호리이
다이치 도미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80083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7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rticle storage facility capable of easily storing articles in safety.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comprises: a support face (16A) for selectively supporting a floor surface part (6) of a first article (C1) and a floor surface part of a second article; a first position decision member (21) for deciding position of the first article (C1); and a second position decision member (22) for deciding position of the second article. The first position decision member (21) and the second position decision member (22) are arranged so that the first article (C1) and the second article have different directions from each other. The first position decision member (21) is arranged not to be overlapped with the floor surface part of the second article, and the second position decision member (21) is arranged not to be overlapped with the floor surface part (6) of the first article (C1) of which the position is determined by the first position decision member (21).

Description

물품 보관 설비{ARTICLE STORAGE FACILITY}{ARTICLE STORAGE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storage facility capable of storing articles.

이러한 물품 보관 설비의 종래예가, 일본 공개특허 제2015―17191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제1종 물품(소용기 B1)을 지지하는 제1 지지면[탑재체 측 소용기용 지지부(40)의 탑재면(42)]과, 제2종 물품(대용기 B2)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탑재체 측 대용기용 지지 부재(50)의 탑재면(53)]을 높이가 다르게 구비하고,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같은 위치에 보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는, 대소(大小) 용기용 위치 결정 지지 부재(5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대소 용기용 위치 결정 지지 부재(50)에,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맞닿아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맞닿아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부가 구비되어 있다. A conventional example of such a product storage facility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71919 (Patent Document 1). In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of Patent Document 1, the first supporting surface (the mounting surface 42 of the supporting portion 40 for the small-sized worker) for supporting the first kind of goods (small container B1) (The mounting surface 53 of the supporting member 50 for the mounting unit on the side of the loading unit) are different in height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and second kinds of articles are configured to be stored at the same position . In addition,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of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positioning support member 50 for a large and small container,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type article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second positioning section for positioning the second kind of article by abutting against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일본 공개특허 제2015―171919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1171919

특허문헌 1의 물품 보관 설비에서는, 제2종 물품을 보관했을 때, 제2종 물품이 제1 위치 결정부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지지면은, 제1 지지면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종 물품을 보관했을 때, 제1종 물품이 제2 지지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2 지지면은 제1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지지면의 면적이 작아져, 제2종 물품을 보관할 때 제2 지지면에 의해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second kind article from interfering with the first positioning part when the second kind article is stored, the second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kind article in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of Patent Document 1 is a 1 is located higher than the support surface. When the first kind of article is stored,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is not overlapped with the first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kind articl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Respectively. Therefore, the area of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becomes small, and it may be difficult to support the second kind of article in a stable state by the second supporting surface when storing the second kind article.

그래서,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쉬운 물품 보관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alize an article storage facility which is easy to store the first kind article and the second kind article in a stable state.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품 보관 설비의 특징적 구성은,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角部)를 가지는 제1종 물품과,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is that a first type article having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viewed from a plane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and a first type article having a bottom surface portion A second kind of article having a plurality of legs and an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kind of article can be stored in the same place,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A supporting surface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product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of product, and a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the at least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product A first positioning member disposed on the support surface for positioning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contac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of article,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directions of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when viewed in a pla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overlap when viewed in plan view , remind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longitudinal member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Is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the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side surface.

이들의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se characteristic features, since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re overlapped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 first kind and second kind articles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bottom surface portions do not overlap each other.

그리고,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같은 높이로 할 수 있어, 제1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물품이나 제2종 물품을 지지면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용이해진다.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s arrang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positioned first-class article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can be made the same height, so that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kind of article can be made common . Therefore, the first kind or the second kind of articles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in a large area, and it is easy to store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in a stable state.

도 1은 물품 보관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물품 보관 설비의 정면도
도 3는 제1종 물품의 사시도
도 4는 제2종 물품의 사시도
도 5는 제3종 물품의 사시도
도 6은 지지면의 사시도
도 7은 제1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제2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제3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1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2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 1에서의 제3종 물품을 보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Figure 1 is a side view of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2 is a front view of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surface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kind article is stored in another embodiment 1. Fig.
1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kind article is stored in another embodiment 1. Fig.

1. 실시형태1. Embodiment

물품 보관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Embodiments of a product storage facilit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보관 설비는, 물품(C)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천정 반송차(ceiling transport vehicle)(1)와, 물품(C)을 보관하는 보관 선반(storage rack)(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IC 칩(chip)을 지지한 트레이 등의 판형의 수용물을 복수 개 수용하는 용기를 물품(C)으로 하고 있다. 1 and 2,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comprises a ceiling transport vehicle 1 for transporting the article C, a storage shelf (not shown) for storing the article C, storage rack (3). In this embodiment, the container C houses a plurality of plate-like receptacles such as trays for supporting IC chips.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는, 천정에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물품(C)을 보관하는 보관부(4)를 전후 방향 X로 복수 배열되는 상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주행 레일(2)에 인접하도록 천정에 현수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eiling carriage 1 travels along a running rail 2 suspended and supported on a ceiling. As shown in Fig. 1, the storage shelf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portions 4 for storing the articles C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X. As shown in Fig. 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storage shelf 3 is suspended on the ceiling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unning rail 2. As shown in Fig.

1―1. 물품1-1. article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C)으로서,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이 있다. 이들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의 각각은, 바닥면부(6)와 천정면부(7)와 한 쌍의 측면부(8)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종 물품(C)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지만, 한 쌍의 측면부(8)가 배열되는 방향을 폭 방향 W라고 하고, 높이 방향 H에서 볼 때(이하, 평면에서 볼 때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폭 방향 W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 L이라고 한다. As shown in Fig. 3 to Fig. 5, there are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kind item C2 and the third kind item C3 as the article (C). Each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kind item C2 and the third kind item C3 has a bottom surface portion 6, a top surface portion 7 and a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8 .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various articles C, b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portions 8 are arranged is referred to as the width direction W, and when viewed in the height direction H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W is referred to as a length direction L.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부(6)는, 길이 방향 L 및 폭 방향 W를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닥면부(6)는, 그 외형이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변(長邊)이 길이 방향 L을 따르고, 단변(短邊)이 폭 방향 W를 따르고 있다. 그리고,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6)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면부(6)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10)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부(6)의 외형은 한 쌍의 오목부(10)를 구비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부(6)는,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7 to 9,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s form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As shown in Fig.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nd has a long sid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a short side exten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W. [ A concave portion 10 is formed in each of the two short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portion 6.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1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with the pair of concave portions 10,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s formed into an H shape.

바꾸어 말하면, 바닥면부(6)는, 2개의 측변 부분과, 폭 방향 W로 2개의 측변 부분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다. 중앙 부분의 길이는, 측변 부분의 길이보다도 짧은(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변 부분의 3/4∼4/5 정도의 길이). 또한, 중앙 부분의 폭은, 측변 부분의 폭의 수배[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은 10배, 제2종 물품(C2)은 8배, 제3종 물품(C3)은 3배)]의 폭으로 되어 있다. In other words,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has two side portions and a central portion located between the two side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W. The length of the center por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ide portion (in this embodiment, about 3/4 to 4/5 of the side portion). The width of the central portion is set to be several times the width of the side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kind product C1 is 10 times, the second kind product C2 is 8 times, 3 times)].

바닥면부(6)는, 그 외형이 복수의 각부(11)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닥면부(6)는, 적어도 4개의 각부(11)를 가지고 있고, 이 4개의 각부(11)는, 바닥면부(6)의 4코너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4개의 각부(11)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칭한다. 즉,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측이며 또한 제1 폭 방향 W1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1 각부(11A)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측이며 또한 제2 폭 방향 W2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2 각부(11B)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측이며 또한 제1 폭 방향 W1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3 각부(11C)라고 한다. 바닥면부(6)의 중심(P)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측이며 또한 제2 폭 방향 W2 측에 위치하는 각부(11)를 제4 각부(11D)라고 한다.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has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11).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has at least four corner portions 11 which are loca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 The four corner portions 11 are referred to as follows. That is to say, the corner portions 11 located o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side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corner portions 11A. The corner portions 11 located o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side and the second widthwise side W2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r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rner portions 11B. The corner portions 11 o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side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re referred to as a third corner portion 11C. The corner portions 11 o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side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re referred to as a fourth corner portion 11D.

그리고, 길이 방향 L의 일방향을 제1 길이 방향 L1이라고 하고, 길이 방향 L의 다른 방향을 제2 길이 방향 L2라 하고, 폭 방향 W의 일방향을 제1 폭 방향 W1이라고 하고, 폭 방향 W의 다른 방향을 제2 폭 방향 W2라고 하고 있다. On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referred to as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the other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s referred to as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one direction of the width direction W is referred to as a first width direction W1,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width direction W2.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면부(7)는, 길이 방향 L 및 폭 방향 W를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천정면부(7)의 외형은, 바닥면부(6)의 외형과 같은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8)의 각각은, 길이 방향 L 및 높이 방향 H을 따르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8)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길이 방향 L을 따라 슬릿(slit)(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8A)은, 높이 방향 H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3 to 5, the ceiling surface portion 7 is form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width direction W, and the outer shape of the ceiling surface portion 7 is the same as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Shape and size. Each of the pair of side portions 8 is formed in a plat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height direction H. A slit 8A is formed in the pair of side portions 8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o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A plurality of the slits 8A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H.

물품(C)는, 한 쌍의 측면부(8)에 형성된 슬릿(8A)에 길이 방향 L로 꽂도록 하여 판형의 수용물을 지지하고, 이와 같이 수용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바닥면부(6)와 천정면부(7)와 한 쌍의 측면부(8)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The article C supports the plate-like article in such a manner that the article C is inserted into the slit 8A formed in the pair of side portions 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In this state, The ceiling surface portion 7 and the pair of side surface portions 8, as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면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바닥면부(6)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10)를 가지고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형상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6)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직사각형의 오목부(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 각각은, 복수의 각부(11)를 가지고 있다. 7 to 9,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and the outer shape of the second kind article C1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third kind product C2 and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are retracted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nd has a concave portion 10.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s seen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s seen from the plane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Each of the outer shap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s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longitudinal product C3 is form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seen in a plane is rectangular, Each of the short sides has a rectangular concave portion 10 formed therein.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seen from the plane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C3 each have a plurality of angular portions 11, as shown in Fig.

그리고,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길이 D4는,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길이 D5와 같은 길이이지만,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의 길이 D6보다도 짧다. 또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폭 D1은,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폭 D2보다도 넓고,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폭 D2는,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의 폭 D3보다도 넓다. 이와 같이,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에서는, 바닥면부(6)의 외형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The length D4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is equal to the length D5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Is shorter than the length D6 of the surface portion 6. The width D1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is larger than the width D2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second kind of article C2, 6 is wider than the width D3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type article C1, the second-kind article C2, and the third-type article C3, the outlin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s different.

다음에, 보관 선반(3) 및 천정 반송차(1)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주행 레일(2)이 연신(延伸)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상하 방향 Z에서 볼 때, 전후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 Y라고 하여 설명한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nning rail 2 is stretched is referred to as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X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unning rail 2 is extended is referred to as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X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right-left direction will be described.

1―2. 보관 선반1-2. Storage shelf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 선반(3)은, 물품(C)을 지지하는 판형의 지지체(16)와, 천정에 현수 지지되어 있는 현수체(懸垂體)(17)와, 좌우 방향 Y를 따라 설치된 제1 프레임체(18)와, 전후 방향 X를 따라 설치된 제2 프레임체(19)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프레임체(19)는, 좌우 방향 Y로 배열되는 상태로 한 쌍 구비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프레임체(19)의 각각에서의 전후 방향 X의 양 단부가, 현수체(17)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체(16)는, 1개의 보관부(4)에 대하여 1개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16)의 상면에 의해 지지면(1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16)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은, 제1종 물품(C1), 제2종 물품(C2) 및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체(16)에서의 전후 방향 X의 양 단부가 제1 프레임체(18)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그 제1 프레임체(18)의 좌우 방향 Y의 양 단부가 제2 프레임체(1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torage shelf 3 includes a plate-shaped support 16 for supporting the article C, a suspension 17 suspended from the ceiling, A first frame body 18 provided along the direction Y and a second frame body 19 provid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 The second frame bodies 19 are provided in a pai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 Both ends of the pair of second frame bodies 19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re connected to the pendant body 17, Respectively. One support body 16 is formed with respect to one storage section 4. A support surface 16A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16. [ The outer shape of the support body 16 as seen in the plane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kind product C2 and the third kind product C3 It is a rectangle larger than the external shape. Both ends of the support body 16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are supported by the first frame body 18.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body 18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 are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body 19 As shown in Fi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16)는, 물품(C)의 바닥면부(6)를 지지하는 지지면(16A)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관부(4)에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지지면(16A) 상에 설치되어 있다. 6, the support member 16 has a support surface 16A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article C. As shown in Fig. 6 to 9, the storage section 4 is provided with a first positioning member 21, a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a third positioning member 23.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re provided on the supporting surface 16A.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는,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2종 물품(C2)을 위치결정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에서의 각부(11)와 맞닿아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한다. As shown in Fig. 7,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11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o position the first kind product C1 . 8,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s in contact with the corner portion 11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to position the second kind product C2 . 9,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buts against the corner portion 11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third kind C3 to position the third kind C3 .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평면에서 볼 때의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위치결정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평면에서 볼 때 제1종 물품(C1) 및 제2종 물품(C2)과 방향이 상이하도록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re formed of a first kind of material C1 and a second kind of material C2, Are positioned so as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7 to 9,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s formed so as to have a different orientation from that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and the second kind product C2 when viewed in plan, (C3).

설명을 추가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장변[바닥면부(6)의 제1 변에 상당하는 것이며, 이하, 제1종 물품(C1)의 장변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전후 방향 X를 따르는 변이며, 이하, 지지면(16A)의 변이라고 함]과 평행상(平行狀)으로 되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종 물품(C2)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장변이, 지지면(16A)의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90°미만의 각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4°)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제2 위치 결정 부재(22)가 제2종 물품(C2)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종 물품(C3)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장변이, 지지면(16A)의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90°미만의 각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15°)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제3 위치 결정 부재(23)가 제3종 물품(C3)을 위치결정하고 있다. 7, it corresponds to the first side of the long sid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ong side of the support surface 16A) is a side of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16A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positions the first kind article C1 so as to be in parallel with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 As shown in Fig. 8, th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is curved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16A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positions the second kind article C2 such that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rotated at a set angle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and 14 degrees in the present embodiment). 9, the long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s seen from the plane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is curv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plan view with respect to th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16A.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positions the third kind article C3 such that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kind of the article C3 is rotated by a set angle (an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and 15 degrees in the present embodiment).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는,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또한,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C3)의 바닥면부(6)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 및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7 to 9,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type article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s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s overlapped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determined second kind (C2) when seen in plan view.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positioned by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second kind article C2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n the plan view.

다음에, 각 위치 결정 부재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Next, description will be given to each positioning member.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는, 제1 부재(21A)와 제2 부재(21B)와 제3 부재(21C)와 제4 부재(21D)를 구비하고 있다. 7,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ncludes a first member 21A, a second member 21B, a third member 21C, and a fourth member 21D.

제1 부재(21A)는,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1 각부(11A)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first member 21A is locat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ner part 11A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first angular portion 11A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1.

제2 부재(21B)는,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second member 21B is locat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rner part 11B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angular portion 11B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2.

제3 부재(21C)는,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third member 21C is locat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with respect to the third corner part 11C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first angled portion 11C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lateral direction W1.

제4 부재(21D)는,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1종 물품(C1)의 제4 각부(11D)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fourth member 21D is locat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fourth corner part 11D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first angled portion 11D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2.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는, 제5 부재(22A)와 제6 부재(22B)와 제7 부재(22C)와 제8 부재(22D)를 구비하고 있다. 8,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ncludes a fifth member 22A, a sixth member 22B, a seventh member 22C, and an eighth member 22D.

제5 부재(22A)는,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1 각부(11A)가 제1 길이 방향 L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fifth member 22A is position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ner 11A of the second kind C2 and abuts against the first corner 11A of the second kind C2. Thereby restricting the first angular portion 11A of the second kind article C2 from moving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제6 부재(22B)는,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sixth member 22B is locat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rner part 11B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The second angular portion 11B of the second kind C2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2.

제7 부재(22C)는,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seventh member 22C is locat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with respect to the third corner part 11C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The third corner portion 11C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제8 부재(22D)는,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2종 물품(C2)의 제4 각부(11D)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eighth member 22D is locat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fourth corner portion 11D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and the fourth corner portion 11D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Of the second kind (C2)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2) by abutting against the first corner part (11D).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는, 제9 부재(23A)와 제10 부재(23B)와 제11 부재(23C)와 제12 부재(23D)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ncludes a ninth member 23A, a tenth member 23B, a eleventh member 23C, and a twelfth member 23D.

제9 부재(23A)는,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에 대하여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1 각부(11A)가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ninth member 23A is located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with respect to the first corner portion 11A of the third kind C3 and abuts against the first corner portion 11A of the third kind C3.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corner 11A of the third kind C3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제10 부재(23B)는,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2 각부(11B)가 제1 길이 방향 L1 및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tenth member 23B is locat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rner portion 11B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The second angular portion 11B of the third kind C3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L1 and the second lateral direction W2.

제11 부재(23C)는,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에 대하여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3 각부(11C)가 제2 길이 방향 L2 및 제1 폭 방향 W1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eleventh member 23C is located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width direction W1 with respect to the third corner part 11C of the third kind product C3, The third angular portion 11C of the third kind C3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L2 and the first transverse direction W1.

제12 부재(23D)는,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에 대하여 제2 폭 방향 W2에 위치하고 있고,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와 맞닿음으로써, 제3종 물품(C3)의 제4 각부(11D)가 제2 폭 방향 W2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The twelfth member 23D is located in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with respect to the fourth corner portion 11D of the third kind C3 and abuts on the fourth corner portion 11D of the third kind C3. Thereby restricting the fourth corner portion 11D of the third kind article C3 from moving in the second width direction W2.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재(21A)와 제5 부재(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부재(21A)와 제5 부재(22A)와 제1 블록(B1)이 구성되어 있다. 7, the first member 21A and the fifth member 22A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first member 21A, the fifth member 22A, and the first block B1 are integrally formed, .

제2 부재(21B)와 제10 부재(2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2 부재(21B)와 제10 부재(23B)와 제2 블록(B2)이 구성되어 있다. The second member 21B and the tenth member 23B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econd member 21B, the tenth member 23B and the second block B2 are formed.

제6 부재(22B)와 제9 부재(2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6 부재(22B)와 제9 부재(23A)와 제3 블록(B3)이 구성되어 있다. The sixth member 22B and the ninth member 23A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ixth member 22B, the ninth member 23A and the third block B3 are formed.

제3 부재(21C)와 제11 부재(2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3 부재(21C)와 제11 부재(23C)와 제4 블록(B4)이 구성되어 있다. The third member 21C and the eleventh member 23C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third member 21C, the eleventh member 23C and the fourth block B4 are constituted.

제4 부재(21D)와 제8 부재(2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4 부재(21D)와 제8 부재(22D)와 제5 블록(B5)이 구성되어 있다. The fourth member 21D and the eighth member 22D are integrally formed and constitute the fourth member 21D, the eighth member 22D and the fifth block B5.

제7 부재(22C)와 제12 부재(23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7 부재(22C)와 제12 부재(23D)와 제6 블록(B6)이 구성되어 있다. The seventh member 22C and the twelfth member 23D are integrally formed and constitute the seventh member 22C, the twelfth member 23D and the sixth block B6.

이들 제1 블록(B1), 제2 블록(B2), 제3 블록(B3), 제4 블록(B4), 제5 블록(B5) 및 제6 블록(B6)은, 지지체(16)를 아래쪽으로부터 관통시킨 비스(vis)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The first block B1, the second block B2, the third block B3, the fourth block B4, the fifth block B5 and the sixth block B6 support the support body 16 And is fixed by using a fixture such as a screw which is passed through.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과,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제2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과,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의해 제3 위치에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C3)은, 각각에서의 바닥면부(6)의 중심(P)은 평면에서 볼 때 같은 위치에 있다. As shown in Figs. 7 to 9,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and the first kind article C1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The determined second kind product C2 and the third kind product C3 positioned at the third position by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re arranged such that the center 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in each is flat In the same position.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 부재(22B)의 일부 및 제7 부재(22C)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위치 결정 부재(22)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7, a part of the sixth member 22B and a part of the seventh member 22C are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of the body (6). A part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have.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부재(23A)의 일부 및 제12 부재(23D)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일부가,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C1)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7, a part of the ninth member 23A and a part of the twelfth member 23D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first kind article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of the body (6).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first-type article C1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have.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 부재(23A)의 일부 및 제12 부재(23D)의 일부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일부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C2)의 바닥면부(6)에서의 오목부(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8, a part of the ninth member 23A and a part of the twelfth member 23D ar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second kind article C2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of the body (6).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10 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of the second kind product C2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have.

제1 블록(B1)으로부터 제6 블록(B6)의 각각에는, 안내부(25)가 구비되어 있다. 즉,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와의 각각에 안내부(25)가 구비되어 있다. In each of the first block B1 to the sixth block B6, a guide portion 25 is provided. That is, the guide portion 25 is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그리고, 천정 반송차(1)에 의해 제1종 물품(C1)을 지지면(16A) 상에 내려놓을 때, 제1종 물품(C1)이 제1 위치에 대하여 전후 방향 X나 좌우 방향 Y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 제1 위치 결정 부재(21)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1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1종 물품(C1)에 맞닿아, 제1종 물품(C1)을 제1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 결정 부재(22)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2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2종 물품(C2)에 맞닿아, 제2종 물품(C2)을 제2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또한, 제3 위치 결정 부재(23)에 구비되어 있는 안내부(25)가, 제3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제3종 물품(C3)에 맞닿ㅇ아제3종 물품(C3)을 제3 위치를 향해 안내한다. When the first kind of product C1 is placed on the support surface 16A by the ceiling conveying car 1, the first kind of product C1 is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Y The guiding portion 25 provided o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kind article C1 whose position is displac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Likewise, the guide portion 25 provided on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buts against the second kind article C2 whose position is shifted relative to the second position, 2 position. The guiding portion 25 provided on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buts on the third kind C3 which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third position so that the third kind C3 of the azo three- Guide to the location.

1―3. 천정 반송차1-3. Ceiling conveyor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 반송차(1)는, 주행 레일(2) 상을 주행 레일(2)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1)와, 주행 레일(2)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주행부(31)에 현수 지지된 본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1 and 2, the ceiling-carrying truck 1 is provided with a traveling portion 31 running on the traveling rail 2 along the traveling rail 2, And a main body portion 32 suspended from the running portion 31 to be slidable.

본체부(32)는, 물품(C)을 지지하는 지지 기구(機構)(33)와, 지지 기구(33)를 지지하는 동시에 지지 기구(33)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 기구(34)와, 승강 조작 기구(34)를 주행부(31)의 바로 아래의 퇴피 위치 및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좌우 방향 Y로 이동시킨 돌출 위치(도 2 참조)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와, 지지 기구(33)를 상승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승강 조작 기구(3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지지 기구(33)에 지지된 물품(C)의 위쪽 및 전후 방향 X를 덮는 커버체(36)를 구비하고 있다. The main body portion 32 includes a support mechanism 33 for supporting the article C, a lifting operation mechanism 34 for supporting the support mechanism 33 and moving the support mechanism 33 up and down, A sliding operation mechanism 35 for mov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 to a retracted position immediately below the running portion 31 and a raised position (see Fig. 2)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Y from the retracted position, The cover member 36 which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article C supported by the support mechanism 33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X is moved to the raised position while the elevation operation mechanism 34 is moved to the retreat position Respectively.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기구(33)에는, 승강 조작 기구(34)에 의해 현수 지지된 승강 본체부(38)와, 물품(C)을 지지하는 물품 지지부(39)와,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40)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 기구(33)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물품(C)의 자세를 상하 방향 Z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품 지지부(39)는, 물품(C)에서의 천정면부(7)를 파지(把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지지부(39)에는, 물품(C)에 수용한 수용물에 대하여 길이 방향 L로 배열되는 상태에 위치하는 방지체(39A)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지지부(39)에 의해 물품(C)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방지체(39A)에 의해 물품(C)으로부터 수용물이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2, the supporting mechanism 33 is provided with a lifting main body portion 38 supported in a suspended manner by a lifting operation mechanism 34, an article supporting portion 39 for supporting the article C, And a driving unit 40 that rotates the article support unit 39 about an axis cen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 with respect to the article 38. So that the posture of the article C supported by the support mechanism 33 can be changed around the axial cent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Z by rotating the article support portion 39 with respect to the elevation main body portion 38 by the drive portion 40 . The article support portion 39 is configured to grasp the ceiling surface portion 7 of the article C. [ The article support portion 39 is provided with a preventive member 39A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with respect to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article C. [ In the state in which the article C is supported by the article support portion 39, the protector 39A prevents the article from protruding from the article C.

천정 반송차(1)는, 제1종 물품(C1)을 보관부(4)로 반송(transport)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1종 물품(C1)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1 위치에 내려놓는다. When the first class product C1 is transported to the storage section 4, the top-end conveyance car 1 travels the running section 31 to the s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ection 4 The lifting operation mechanism 34 is projected to the protruded position by the sliding operation mechanism 35 and then the supporting mechanism 33 is lowered to move the first kind product C1 to the supporting surface Lt; RTI ID = 0.0 > 16A. ≪ / RTI >

또한, 천정 반송차(1)는, 제2종 물품(C2)을 보관부(4)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제1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2종 물품(C2)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2 위치에 내려놓는다. When the second sorting product C2 is transported to the storage part 4, the ceiling transporting vehicle 1 moves the traveling part 31 to a s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art 4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 is protruded to the protruded position by the sliding operation mechanism 35 and then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39 is viewed from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main body portion 38 by driving the driving portion 40 And then the supporting mechanism 33 is lowered to lower the second kind article C2 to the second position on the support surface 16A of the supporting body 16. Then,

또한, 천정 반송차(1)는, 제3종 물품(C3)을 보관부(4)로 반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관부(4)에 대응하는 설정 위치까지 주행부(31)를 주행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조작 기구(35)에 의해 승강 조작 기구(34)를 돌출 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승강 본체부(38)에 대하여 물품 지지부(39)를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설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후, 지지 기구(33)를 하강시켜 제3종 물품(C3)을 지지체(16)의 지지면(16A) 상에서의 제3 위치에 내려놓는다. When the third class product C3 is transported to the storage part 4, the ceiling transporting vehicle 1 moves the traveling part 31 to a s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part 4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mechanism 34 is protruded to the protruded position by the sliding operation mechanism 35 and then the product supporting portion 39 is viewed from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lifting main body portion 38 by driving the driving portion 40 The support mechanism 33 is lowered to lower the third kind of article C3 to the third position on the support surface 16A of the support 16. [

2. 그 외의 실시형태2. Other Embodiments

다음에, 물품 보관 설비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will be described.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블록(B1)으로부터 제6 블록(B6)에 의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하였지만, 이들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핀(42)에 의해, 제1 위치 결정 부재(21)와 제2 위치 결정 부재(22)와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도 10에 있어서는, 제1 위치 결정 부재(21)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제2 위치 결정 부재(22)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제3 위치 결정 부재(23)를 구성하는 8개의 핀(42)에 대하여, 다른 핀(42)과 다른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re formed by the first block B1 to the sixth block B6,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may be changed as appropriat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nd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re fixed by a plurality of fins 42 . 10, eight pins 42 constituting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are shown in a state different from the other pins 42. [ 11, the eight pins 42 constituting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22 are shown in a state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pins 42. As shown in Fig. In Fig. 12, eight pins 42 constituting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23 are shown in a state different from the other pins 42. Fig.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제1 변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 결정하였으나,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종 물품(C1)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6)의 제1 변이,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지 않도록, 제1 위치 결정 부재(21)가 제1종 물품(C1)을 위치결정해도 된다. (2)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is parallel to one side of the outer 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16A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has positioned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so that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as viewed in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1 may position the first kind of article C1 so that the first variation does not become parallel to one side of the contour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16A.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2개의 오목부(10)가 형성된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였으나,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오목부(10)가 형성되지 않은 직사각형이나, 오목부(10)가 형성된 사다리꼴로 형성하는 등, 바닥면부(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 바닥면부(6)의 형상을 동일한 형상으로 하였으나,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 바닥면부(6)를 상이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viewed from the plane is a rectangle in which the two concave portions 10 are formed. However,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when viewed from the plane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10 is not formed or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recessed portion 10 is formed. Although the shapes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kind product C2, the third kind product C3 and the bottom part 6 are the same, the first kind product C1 and the second kind The article C2, the third-grade article C3,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6 may be formed in different shapes.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직사각형으로 하였으나,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을 사다리꼴이나 원형상이나 타원 형상 등, 지지면(16A)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4)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16A is rectangular. However,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16A may be a trapezoid, a circular shape, )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과 제3종 물품(C3)과의 3종류의 물품(C)을,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했지만, 2종류의 물품(C)[예를 들면, 제1종 물품(C1)과 제2종 물품(C2)]를,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해도 되고, 4종류 이상의 물품(C)을, 지지면(16A)에 선택적으로 지지하도록 해도 된다. (5) In the above embodiment, three kinds of articles C of the first kind product C1, the second kind goods C2 and the third kind goods C3 ar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support surface 16A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upport the two kinds of articles C (for example, the first kind article C1 and the second kind article C2) on the support surface 16A, The article C may be selectively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16A.

(6)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6)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above-described respective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no inconsistency arises. As for the other configuration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appropriately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3. Outline of the above embodiment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보관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utline of the above-described article storage facility will be described.

물품 보관 설비는,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제1종 물품과,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The article storage fac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type article having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viewed from a plane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and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when viewed from a plane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A second kind of article different from the first kind article can be stored in the same place,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과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A supporting surface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of article, a first posit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ing surface, and a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contacts the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to position the first kind of article,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butting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article to position the second longitudinal article, And a second positioning member which is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so as to b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the second kind of the article and which is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2 species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longitudinal member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s arrang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overlap when viewed in plan view,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additional duplication occurs, the first kind and second kind articles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그리고,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같은 높이로 할 수 있고, 제1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과 제2종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물품이나 제2종 물품을 지지면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안정된 상태로 보관하기 용이해진다.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s arrang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positioned first-class article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can have the same height, and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st kind article and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kind article can be made common . Therefore, the first kind or the second kind of articles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surface in a large area, and it is easy to store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in a stable state.

여기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of product has a concave portion retracted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art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s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is disposed in the concave portion 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determined first kind of article.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가지고 있는 오목부를 이용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를,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모두를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밖에 배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작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by using the concav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product, a part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can be positioned with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n a small spac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ll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s are disposed outside the concave portion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또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의 각각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lin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of product i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each of the opposite two short sides of the rectangular bottom surface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제1종 물품에서의 장변이 따른 방향의 양 단부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이용하여,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를,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오목부 내에 배치함으로써, 제2 위치 결정 부재를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장변에 따른 방향에 있어서 작은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concave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 side of the first type article. The recess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product are used to dispose a part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n the concave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can be provided in a small space in the direction along the long side of the positioned first kind of product.

또한,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3종 물품도,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3 위치 결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모두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에 위치결정된 상기 제3종 물품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 및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2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rd kind of product different from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may also be stored in the same places as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Further comprising a crystal member, wherein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abuts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third kind article to position the third kind article, and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type article and the third type article are all rectangular in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nd the third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overlapping with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species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n the first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positions the second kind of article so as to be in a clockwise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of the article,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positions the third kind of article so that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므로, 이들 바닥면부가 중복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과 제3종 물품을 작은 스페이스에 보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positioned by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Since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third-class article is overlapped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kind article and the third kind article can be stored in a small space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se bottom surface portions are not overlapped.

그리고, 제1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와, 제2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와, 제3종 물품을 지지면 상에 보관하는 경우에, 보관하는 물품에 따라 물품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종 물품, 제2종 물품, 및 제3종 물품의 각각을 적절히 위치결정하여 보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storing the first kind of product on the supporting surface, the case of storing the second kind of product on the supporting surface, and the case of storing the third kind of product on the supporting surface,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kind article and the third kind article can be appropriately positioned and stored.

또한,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으로 되도록,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is a rectangle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kind article, and the third kind article,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surface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longitudinal article is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contour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ing surface, .

이 구성에 의하면,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므로,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전체를 지지면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므로, 이들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을 제1종 물품에 대하여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위치 결정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2종 물품이나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의 전체 또는 바닥면부의 넓은 면적을 지지면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is a rectangle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product, the entir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can do.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is a rectangle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econd kind article or the third kind article, It is possible to support a large area of the entire bottom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kind or third kind of article by the supporting surface when positioning is made so as to b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rticle.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제1종 물품과 제2종 물품을 같은 위치에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The technology related to this disclosure can be used for a product storage facility capable of storing the first kind of product and the second kind of product in the same position.

6: 바닥면부
10: 오목부
11: 각부
16A: 지지면
21: 제1 위치 결정 부재
22: 제2 위치 결정 부재
23: 제3 위치 결정 부재
C1: 제1종 물품
C2: 제2종 물품
C3: 제3종 물품
6:
10:
11: Each part
16A: Support surface
21: first positioning member
22: second positioning member
23: third positioning member
C1: First-class article
C2: The second kind article
C3: Third-class article

Claims (5)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角部)를 가지는 제1종 물품; 및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복수의 각부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2종 물품;을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한 물품 보관 설비로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1 위치 결정 부재; 및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2 위치 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의 상기 제1종 물품과 상기 제2종 물품의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위치결정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A first kind of product in which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in a plane has a plurality of corner portions; And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in a plane is a plurality of angular portions and an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kind article,
A supporting surface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type article;
A first posit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And
A second posit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Lt; / RTI >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buts at least a part of a corner of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to position the first kind of article,
Wherein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buts at least a part of a corner of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article to position the second kind article,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re disposed so as to be positioned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when viewed in a plan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overlap in a plan view,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longitudinal member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when viewed in a plane, Wherein said first kind of article is positioned so as not to overlap with a bottom surface portion of said first kind article,
Goods storage facil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상기 바닥면부의 중심 측으로 퇴피하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상기 오목부 내에 배치되는, 물품 보관 설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uter shape of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product as viewed in a plane has a recessed portion retracted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And a part of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recess at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직사각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의 대향하는 2개의 단변(短邊)의 각각에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물품 보관 설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product has a rectangular outer shape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each of two opposed shor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는 상이한 제3종 물품도, 상기 제1종 물품 및 상기 제2종 물품과 같은 장소에 보관 가능하며,
상기 지지면 상에 설치된 제3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제3종 물품의 바닥면부에서의 적어도 일부의 각부와 맞닿아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이 모두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에 위치결정된 상기 제3종 물품은,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1종 물품의 바닥면부, 및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기 제2종 물품의 바닥면부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고,
상기 제2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2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2종 물품을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제1종 물품의 상기 제1 변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제3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3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물품 보관 설비.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third kind of product different from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can also be stored in the same places as the first kind and the second kind,
And a third posit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support surface,
Wherein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abuts at least a part of the corner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third kind article to position the third kind article,
Wherein the outlin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s of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kind article, and the third kind article as viewed in a plane are all rectangular,
Wherein the third kind of article positioned by the third positioning member has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kind article positioned by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and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type article positioned by the second positioning member, A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second type article,
The first sid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The second kind of material is positioned,
The first sid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with respect to the first sid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Wherein the member locates the third kind of art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이, 상기 제1종 물품, 상기 제2종 물품, 및 상기 제3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외형보다도 큰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1종 물품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바닥면부의 제1 변이, 상기 지지면의 평면에서 볼 때의 외형의 하나의 변과 평행상(平行狀)으로 되도록, 상기 제1 위치 결정 부재가 상기 제1종 물품을 위치결정하는, 물품 보관 설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shape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 surface is a rectangle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article, the second kind article, and the third kind article,
Wherein the first positioning member i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sid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first kind of article is in parallel with one side of the outer 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of the supporting surface, An article storage facility for positioning a first type article.
KR1020180003273A 2017-01-12 2018-01-10 Article storage facility KR10238579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3539 2017-01-12
JP2017003539A JP6686914B2 (en) 2017-01-12 2017-01-12 Goods storage fac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263A true KR20180083263A (en) 2018-07-20
KR102385796B1 KR102385796B1 (en) 2022-04-11

Family

ID=6286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273A KR102385796B1 (en) 2017-01-12 2018-01-10 Article storage facilit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6914B2 (en)
KR (1) KR102385796B1 (en)
CN (1) CN108298238B (en)
TW (1) TWI74221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52865B (en) * 2021-04-16 2022-01-11 迅得機械股份有限公司 Cassette with blocking function and cassette mov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934A (en) * 2011-11-15 2013-05-30 Lintec Corp Supporting device and supporting method
JP2014045013A (en) * 2012-08-24 2014-03-13 Bond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object onto substrate
JP2015171919A (en) 2014-03-11 2015-10-01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conveyance facility
JP2017150056A (en) *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Tray and heat treatmen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8708U (en) * 1986-09-18 1988-04-02
US5246218A (en) * 1992-09-25 1993-09-21 Intel Corporation Apparatus for securing an automatically loaded wafer cassette on a wafer processing equipment
TWI237305B (en) * 1998-02-04 2005-08-01 Nikon Corp Exposure apparatus and positioning apparatus of substrate receiving cassette
US6550619B2 (en) * 2000-05-09 2003-04-22 Entergris, Inc. Shock resistant variable load tolerant wafer shipper
JP4082652B2 (en) * 2001-11-02 2008-04-30 平田機工株式会社 Mounting device
KR100557854B1 (en) * 2004-06-04 2006-03-10 주식회사 테라세미콘 Wafer Casette Stage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WI348988B (en) * 2006-08-04 2011-09-21 Hon Hai Prec Ind Co Ltd Tray locating-device
CN202186633U (en) * 2011-07-29 2012-04-11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Carrying device
JP6191543B2 (en) * 2014-05-22 2017-09-06 株式会社ダイフク Transpor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934A (en) * 2011-11-15 2013-05-30 Lintec Corp Supporting device and supporting method
JP2014045013A (en) * 2012-08-24 2014-03-13 Bond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object onto substrate
JP2015171919A (en) 2014-03-11 2015-10-01 株式会社ダイフク Container conveyance facility
JP2017150056A (en) * 2016-02-26 2017-08-31 株式会社三井ハイテック Tray and heat treat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796B1 (en) 2022-04-11
CN108298238A (en) 2018-07-20
CN108298238B (en) 2021-05-14
JP6686914B2 (en) 2020-04-22
TWI742215B (en) 2021-10-11
TW201829270A (en) 2018-08-16
JP2018111577A (en)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6099B2 (en) Rack-serving unit and order-picking warehouse
JP6924153B2 (en) Storage system
KR102450289B1 (en) Container transport device and container transport facility
JP7043957B2 (en) Goods storage shelf
KR20190061971A (en) Transfer truck of assembly type
KR20180083263A (en) Article storage facility
US9664335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two types of articles on support device
JP7172528B2 (en) carrier
JP2002265054A (en) Wheel stacking apparatus
JP5367481B2 (en) Returnable box
KR102526007B1 (en) transport device
JP6780407B2 (en) Holding device
JP3642557B2 (en) Transport luggage holding device
JP6380451B2 (en) Conveyor device and automatic warehouse
CN114538067A (en) Object carrying device
WO2024042794A1 (en) Transfer system
JP7388225B2 (en) picking equipment
CN208377369U (en) Three-dimensional automatic storehouse specialized package
JP2006219161A (en) Container box and transfer robot therefor
KR20230112068A (en) Elevating device
JP2020083411A (en) tray
JP3964526B2 (en) Carrying container
JP2023056125A (en) Container for automatic warehouse and automatic warehouse
TW202222663A (en) Tray and transport facility
JP2021042060A (en) Convey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