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329A -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 - Google Patents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329A
KR20180082329A KR1020180000796A KR20180000796A KR20180082329A KR 20180082329 A KR20180082329 A KR 20180082329A KR 1020180000796 A KR1020180000796 A KR 1020180000796A KR 20180000796 A KR20180000796 A KR 20180000796A KR 20180082329 A KR20180082329 A KR 20180082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classification
registered
capabi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562B1 (ko
Inventor
석 영 정
구혜림
Original Assignee
석 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영 정 filed Critical 석 영 정
Publication of KR2018008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06F17/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능력단위의 구체적인 내용을 현재 및 미래형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선택에 대한 인지력을 강화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능력중심의 하도급 거래, 시설장비 거래, 구인·구직, 아이디어 중개 내지 현장발명 판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능력단위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능력단위는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한 지표로 등록하되,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능력단위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능력단위는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한 지표임과 아울러,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분류단위 내지 능력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등을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어느 시기에서나, 어느 누가 어떤 표현을 하더라도 즉시 수용 업데이트되어 직무 자동매칭 플랫폼이 항상 최신 분류체계와 최신 현장용어로 서로 간 통용되며, 능력단위를 미처 익히지 못한 자에게 미래형 능력 지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Job automatic matching services including job capability prediction and computing devices thereof}
본 발명은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팅 시스템에서 매칭의 대상인 사람의 능력을 예측하는 한편 매칭의 기초인 직무 분류를 현재상황에 맞추어 신속히 학습 및 업데이트 되도록 함으로써 과거의 직무 분류체계와 현재의 시장 상황 및 미래의 인적역량 예측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매칭시키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능력중심의 하도급 거래, 시설장비 거래, 구인·구직, 아이디어 중개 내지 현장발명 판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공사·물품구매(물품제조)·용역 등의 도급에서 하도급 대상을 물색함에 있어서는 가격의 흥정보다도 상대방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판단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부실의 우려를 없게 하기 위함이다.
한국표준산업분류(KSIC)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이때 활용될 수 있는 유력한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로서 과거로부터 축적되어온 데이터이다.
예컨대, NCS는 5년 주기로 전 산업분야를 망라하여 각각의 직무 내용이 어떤 수행능력을 포함하는지를 국가가 표준으로 구체화 및 객관화 한 체계로 되어 있다. NCS는 모든 직종을 대분류(24개), 중분류(77개), 소분류(227개)로서 상위개념 및 하위개념으로 순차 분류한 후에 세분류 887개로 세분하고 있으며, 다시금 세분류(887개)를 능력단위(887≒8,870개), 능력단위요소(887≒44,350개), 그리고 수행준거(887≒221,750)까지의 하위계층구조로 세세하게 구분하여 구체화 하고 있다. 따라서 능력단위에까지 이르러 살펴본다면 상대방 회사 또는 사람의 직무능력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NCS에 KSIC를 결합하면 예를 들어 무선통신분야에서 설계를 잘하는 직무능력을 구비하였다는 것은 NCS로 알 수 있고,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사물을 대상으로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인지는 KSIC로 알 수 있어 더욱 더 유익해진다.
본 출원자가 기출원한 발명(출원번호 10-2016-0147990호)은 직무 간을 자동으로 매칭하는 기술로서 NCS와 KSIC를 결합한 발명이지만, NCS 등이 도구, 공구, 계측기에 관한 분류는 반영하지 않고 5년 주기 과거의 데이터를 축적하는 점에서 현재의 데이터를 신속히 반영할 새로운 고도화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현재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구, 공구, 계측기에 관한 상황을 현장용어 클라우드로 담아 상기 NCS 내지 KSIC와 접목하여 현재의 생동하는 정보와 매핑하는 착상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NCS로 분류되는 직무능력은 실무를 통해 완벽해지는 것이지만 학교를 갓 졸업하는 학생들은 학습 내지 훈련만으로 완전한 능력을 갖출 수 없다는 애로가 있다. 이 경우는 기초적 소양이 과연 어떤 적성에 맞추어져 있는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지만 NCS에는 이를 감안해서 직업기초능력이라는 과목을 준비해 놓았음에도 이를 활용하는 기술적 방안은 어디에도 없다. 이 분야 선행기술인 출원번호 10-2014-0101271호는 전공과목이나 수리능력 등 여타 스펙을 이용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이지만 국가기술자격, 외국어 구사능력, 아르바이트, 출신학과 등을 분석하는 간접적이고 추상적인 분석기법 정도에 머무를 뿐 미래를 향해 직무능력을 직접 검증하고 예측하는 기술적 방안은 어떤 선행기술에서도 검토된 적이 없다.
만약, 과거의 시장 정보를 바탕으로 구축된 KSIC, NCS의 분류체제 위에서 기업이나 개인이 게시하는 현재의 현장정보를 함께 반영하여 활용하게 한다면 시장의 유통 기술이 반영되어 살아 움직이는 훨씬 효과적인 직무매칭이 가능하게 된다. 한 예로서 수동적 이용자가 제시하는 자기소개서 혹은 능동적 이용자가 제시하는 구인게시판 정보를 키워드로 선별한 후, 이를 현장용어 클라우드로 만들어 상기 KSIC 내지 NCS의 분류와 연동하는 기술적 방안으로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과거로부터 축적된 직업기초능력을 직무 자동 매칭에 적용하여 미래를 유추하도록 한다면 구직자의 미래 성향을 표준화 된 체제 위에서 분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업기초능력에서 가르치는 지표에 따라 학생들이 미리부터 시장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선제적 교육훈련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바로 이와 같은 과거, 현재, 미래를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착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회사 간, 개인 간 및 회사와 개인 간의 하도급(구매) 중개, 협업(아이디어) 중개, 구인·구직 연계 내지 현장발명 여부의 판별 지원 개념으로 착상된 출원번호 10-2015-7000192호의 개량 내지 확장 발명이다.
- 기업 거래를 중개하는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 1) 출원번호 10-2000-0019291호 2) 출원번호 10-2001-0029022호 3) 출원번호 10-2005-0018560호 4) 출원번호 10-2011-0126290호 5) 출원번호 10-2014-0031572호 6) 출원번호 10-2014-0054807호 - 개인 간을 주선하는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 7) 출원번호 10-2013-0101910호 8) 출원번호 10-2003-0009479호 9) 출원번호 10-2014-0183109호 - 채용 중개를 위한 선행기술 10) 출원번호 10-2001-0013750호 11) 출원번호 10-2013-0108466호 12) 출원번호 10-2014-0101271호 13) 출원번호 10-2015-7000192호 - 하도급, 채용, 아이디어, 시설장비 등 종합 거래 중개를 위한 선행기술 14) 출원번호 10-2016-0147990호(원출원 번호는 생략하였음)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미처 산업적 현장 직무수행능력을 갖추지 못한 예비 직무능력자에게 직업기초능력으로의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직무 자동매칭의 목표가 미래지향적, 예비 직장인으로까지 예측 적용되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이용자의 게시정보(수동적 이용자의 자기소개서 내지 능동적 이용자의 구인게시판에 게시된 정보를 말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게시정보란 이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를 피드백 받아서 표준분류의 내용을 현재의 시장정보에 매핑시키는 구성을 개시하고자 함에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목적은 시장으로부터 최신정보를 수집하여 과거로부터 축적된 데이터를 다이내믹하게 업데이트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편이를 제공하고 예측을 통해 직무능력을 검증하여 자동매칭의 정확성을 기하는 새로운 기술적 사상을 제공코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은,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팅 장치란 상기 매칭부를 통해 이용자에게 서비스하는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평가를 위한 질문 문항은 상기 직업기초능력 교재의 단원으로부터 랜덤하게 자동 생성되고 모범답안은 상기 단원 내의 내용으로부터 유추되며, 평가 결과는 상기 모범답안과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제시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 매핑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고 선별 축력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를 일실시예로 개시한다.
상기 4개로 묘사한 각각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의 학습은 상기 입력창부로 등록되는 직무 분류와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통해서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의 매핑은 상기 학습된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에 소속시키도록 연동 분류되어,
상기 입력창부에서 직무 분류가 변동될 때 그 하위에서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추종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게시정보 중의 키워드는,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있으면 상기 기등록 키워드가 소속된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등록되되, 등록단계에서 길이단위 내지 유사성을 비교하는 자연어 검색 구성을 포함하고;
만약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없는 새로운 키워드일 경우에는 새로운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생성 후 등록하거나 기존 현장용어 클라우드 내에 새로운 키워드로 등록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로 묘사한 각각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거래 중개는 구인, 구직, 하도급, 도급, 시설, 장비, 아이디어, 직무발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업종, 직종 또는 능력단위와 연동 분류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무 능력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등록되도록 상기 컴퓨팅 장치가 NC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직무 분류 단위들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세분류 중 적어도 2개의 분류들을 포함하되, 상기 직무 능력은 업무분류와 직무분류를 결합한 능력단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창부에는 분류 내지 용어 검색창을 더 포함하고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세분류를 위한 입력창에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모든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세분류를 포함하는 소분류, 상기 소분류를 포함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를 포함하는 대분류가 역방향으로 정리되서 표시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는,
제1순위로 직무 분류별 경력자를 매칭시키고,
제2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직업기초능력의 단위를 안내하고,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 수강 결과를 평가받아 소정의 점수 이상으로 통과한 자를 매칭시키며,
제3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한 자 또는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해 관심을 표명한 자를 매칭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실시예를 통합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이고,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의 개념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직무 자동매칭 기술에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존 5년 주기로 정부가 통합하여 시장조사 된 과거형 표준데이터 기본 골격 위에서 최신 상황을 반영한 세부 기술로 키워드 등이 분산방식으로 업데이트되어 수동적 이용자와 능동적 이용자 간 현장용어를 바탕으로 의사를 완전 소통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능동적 이용자란 소위 “갑”을 의미하고 수동적 이용자란 소위 “을”을 의미한다. 예컨대 채용에 활용하는 경우 능동적 이용자란 구인하는 복수의 회사를 의미하고 수동적 이용자란 구직하는 복수의 개인을 의미한다.
2)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여 표준화 된 현장용어 클라우딩을 통해 과거의 데이터는 물론, 새로운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므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이용자나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용자나 모두가 표준화 된 체계적인 틀 내에서 다이내믹한 현장상황으로 자동 업데이트시키고 또한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3) 기존 직무 분류에서는 미흡하였던, 직무 능력을 발휘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서의 도구, 공구, 기계기구, 소프트웨어 툴 등 필요한 연장을 다룰 줄 아는지 여부의 관점까지 감안하여 서로를 매칭시키므로, 이에 따라 매칭된 당사자들은 현장에 투입되어 즉시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4) 상기와 같은 분류 및 그 하위의 키워드가 많아질수록 검색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문제는 역방향 검색을 통해서 해결하므로 기존 검색 기능 그대로 상기와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5) 직무 분류 상 경력을 갖지 못하는 신규직원 지망 또는 학생인 경우에도 미래의 경력 내지 경험을 전제로 적성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과거로부터의 직무분류와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통한 현재상황의 반영과 미래로 예측하는 적성적 판단이 동일한 기초 프레임 위에서 종합적으로 어우러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어느 시기에서나, 어느 누가 어떤 표현을 하더라도 즉시 수용 업데이트되어 직무 자동매칭 플랫폼이 항상 최신 분류체계와 최신 용어로 서로 간 통용되는 다이내믹한 운용환경으로 유지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능력단위를 미처 익히지 못한 미경력 내지 미경험 상태의 예비 전문가들에게 미래형 능력함양의 지표를 제공하는 길잡이로서의 사회 계도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산업표준에 의한 업종분류 사례를 발췌 예시한 표.
도 2a 내지 도 2b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체계를 요약 설명하는 도표.
도 2c 내지 도 2f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통해 구체적인 직종의 내용인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 및 작업내용(수행준거 등)까지 확인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예시한 도표.
도 3은 상기 도 1 내지 도 2f까지의 데이터베이스가 어떤 화면 체계로 검색되고 등록되는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화면 구조.
도 4a, 도 4b, 도 4c, 도 4d는 채용에 활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도 3이 NCS수행능력에 기반하여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직테이블 및 구인테이블에 등록되고, 등록된 테이블에서는 어떤 데이터가 서로 매칭이 될 대상이 되는지를 원리적으로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는 화면 구조도.
도 5는 이용자가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등록할 때 스스로 자신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진단하는 직무능력진단 평가 지표의 예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이 하도급 거래 중개서비스 방법으로 활용되는 경우를 예시한 개략적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이 채용 중개서비스에 활용되는 경우를 예시한 개략적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이 현장발명 판별 서비스에 활용되는 경우를 예시한 개략적 흐름도.
도 9a는 본 발명에서 직무분류단위와 업무분류단위를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검색하는 절차를 예시한 흐름도.
도 9b는 도 9a로 검색된 창에서 해당 직무분류단위 또는 업무분류단위에 시설장비, 인력 내지 아이디어를 등록하면 이를 수요자가 검색하는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 여기서 한 번 등록한 내용 내지 링크는 여러 번 검색해서 활용될 수 있음.
도 10a는 채용의 경우에 있어서, 경력직원으로 구직하는 자 또는 신입직원으로 구직하는 자가 본 발명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직무분류를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신입직원의 경우 교육(평가)을 통하여 NCS 직무분류를 입력한 후 이를 실행시키는 원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10b는 도 11a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구인자가 직무분류를 등록할 때의 절차와 교육(평가) 과정을 적용하는 개념을 표현한 흐름도.
도 10c는 직업기초능력까지 감안하여 직무 자동매칭을 작동시키는 우선순위를 나타낸 흐름도.
도 11a는 필수기초직업능력군을 적용하는 직무분류의 사례를 예시한 표. 이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직무분류는 전체 10개 중 5개만 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도 11b 내지 도 11d는 전체 10개의 직업기초능력을 나타낸 집계표.
도 12은 채용에 활용되는 경우인 도 7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데이터가 어떤 체계로 입력되고 작동되는지를 총괄흐름도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예시 설명한 흐름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현장용어 클라우드 및 키워드의 구성과 등록을 설명하는 흐름도 및 화면 배치 구성도.
도 14은 본 발명의 하드웨어 구조를 비교적 상세히 설명한 블록다이어그램.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하 개시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을 뿐, 이 구성요소들을 제1, 제2 등으로 용어를 붙여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원리로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에서는 각 단계가 예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뿐만 아니라, 시작으로부터 종결까지의 기능이 동일하고 모든 구성요소가 포함되는 한, 세부 순서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명세서를 필독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계 선행기술의 개량발명이므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경우 연계 선행기술의 명세서를 필독 참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원칙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산업표준분류 중의 하나인 한국표준산업분류표 중의 일부를 발췌 한 표이다. 이에 따르면 가장 하위 기술은 소분류로 되어 있는데, 그 중 RFID/USN 중분류에는 RFID기술, USN기술 등이 최종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부품, 소프트웨어, 공구 등의 표현이 전혀 없다. 따라서 이것만으로는 능동적 이용자, 즉 고용주인 회사의 입장에서 자신의 회사에 있는 장비들을 활용하여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인지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도 2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도입 배경과 세부 내용을 나타낸다.
도 2a는 NCS는 산업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을 체계적으로 모아서 그것을 NCS라는 데이터베이스에 담고 이것을 근로자/기업, 교육훈련기관, 자격시험기관에서 공동으로 활용토록 하는 개념으로 착안된 것이다.
전체적으로 24개의 대분류 직종으로 구성되어 있고(중분류 77개, 소분류 227개, 세분류 857개), 가장 하부인 능력단위까지 내려가면 기획, 설계, 유지보수 등으로 세분화 되므로, 그 능력단위에 해당되는 자는 설계를 잘 하는 자인지, 기획을 잘 하는 자인지, 공사를 잘 하는 자인지, 유지보수를 잘 하는 자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도 2c는 실제 NCS사이트에서 대분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캡처한 것이고, 도 2d는 그 하위의 ‘능력단위’를 선택하는 과정을 캡처한 것이며, 도 2e는 하나의 능력단위는 다시금 5개 정도의 ‘능력단위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표준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도면이다. 도 2f는 수행준거를 통해 능력단위요소를 더욱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현장실사하기’라는 능력단위요소는 구체적으로 주변 지형지물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예측할 수 있다.’예측된 서비스 영역에 따른 철탑규격과 안테나의 수량, 지형영향 및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철탑, 장비실, 전원인입선로, 통신인입선로의 배치도를 작성할 수 있다.’접지설비를 위한 토질환경을 분석할 수 있다.’‘접근로, 통신선로, 전원시설, 작업공간, 민원사항 등 공사에 필요한 검토목록을 작성할 수 있다.’라는 다섯 가지 수행준거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2f의 능력단위에서 최고 레벨의 수준을 가진 자라면 이 , 1.2, 1.3, 1.4, 1.5’를 원만히 할 수 있어야 할 것이지만 실제로 회사에서는 이것을 혼자서 하는 것이 아니라 팀 내부에서 협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수행준거는 지식으로만 달성하는 게 아니어서 각 수행준거마다 기술로서 달성할 적정한 도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만 하더라도 ‘아래한글’이 있는가 하면 ‘워드’도 있고, 도면의 경우도 2D캐드, 3D캐드, 파워포인트, 수작업도구(모형자 등), 수작업으로 스케치 등 다양한 도구 내지 소질이 있을 수 있으며, 서비스 영역을 예측하는 데도 특정한 프로파일 도출용 프로그램이 있고, 철탑의 종류와 안테나의 종류에 대한 경험/경력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
즉 이러한 경험/경력을 구체적으로 아는 것이 협업을 하고자 하는 회사에서는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도구, 장비, 부품 등에 대한 정보를 이 분류표에서는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요성은 바로 이러한 도구, 부품, 공구, 시설, 장치 등에 대한 경험/경력을 같은 요령으로 분류하여 수동적 이용자 및 능동적 이용자가 함께 활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가장 바람직한 구성은 능력단위를 선정할 때 그 하위에 상기 '1.1, 1.2, 1.3, 1.4, 1.5'에 해당되는 도구, 공구, 프로그램(툴), 설비, 계측기, 기계장비 등이 자동으로 클로즈업 되고 이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간단히 클릭하는 것만으로 매칭 대상을 선택토록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상기 출원번호 10-2015-7000192호의 선행기술(이하 이를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연계 선행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된 직무 자동매칭 기술에서의 분류표 설정 개념을 발췌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한국표준산업분류 계열의 업종분류를 업무분류 그룹으로 배치하고 NCS 분류를 직무분류 그룹으로 배치하여 이를 적절히 결합함으로써 어떠한 산업에서 어떠한 직무 능력단위를 가진 것인지로 구분해 나간다. 예컨대 앞에서 설명한 USN은 업무분류 그룹에서 선택되고, 무선통신망구축 설계는 직무분류 그룹에서 선택되는 개념이다. 다만 도구, 공구 등에 해당되는 키워드는 여기에서 검색할 수 없음은 앞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어 다시금 언급은 생략한다.
이에 관한 세부적인 구성은 도 4a부터 도 4d까지로 발췌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모두 상기 ‘연계 선행기술’의 핵심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하는바 필요한 경우 상기 ‘연계 선행기술’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참고로 본 발명은 상기 ‘연계 선행기술’을 계량하는 것이어서 이로부터 상당 내용을 발췌 인용하거나 그 원리를 준용하고 있는 바, 보정의 과정에서 상기 ‘연계 선행기술’의 내용이 복사되어 명세서에 추가되거나, 또는 해석의 과정에서 이해가 애매한 경우 상기 ‘연계 선행기술’의 내용이 준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직무분류는 NCS에서의 최하위 단계인 능력단위를 포함하므로, 이하 본 발명에서의 직무분류라는 용어는 편의상 NCS에서의 ‘능력단위’라는 항목명을 이용하여 설명하거나 혼용하기로 한다.
도 4a부터 도 4d까지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연계 선행기술’의 구인 구직 등록 화면의 구성과 작동의 원리를 게시한 도면이다.
먼저, 구직자가 등록 조작하는 도 4a에 있어서, (a1000)은 키워드를 검색하는 검색창인데 이를 공백(null)으로 비워두면 NCS는 대분류(a1001)부터 드롭다운 조작을 통해 (a1004)인 세분류(직무)까지 선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선정된 세분류 직무에서 각 능력단위(a1005)를 확인하면서 각 능력단위 옆(왼쪽 및 오른쪽)에 구비된 ~5까지의 수행능력 수준’과 자신이 수행하였던 경력인 ‘수행 년수( )’를 등록하게 된다. 등록을 할 때 각 능력단위에서 “매우 잘하는 수준(5) ~ 매우 못하는 수준(1)”의 범위로서, 레벨 또는 점수로 표현되는 지표로 등록할 수 있고, 특히 자신과 무관한 능력단위는 공란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4a에서 왼쪽 아래 부분의 ‘예시)’로 표시한 바와 같은 테이블이 만들어진다.
이때 각 능력단위에 포함되는 수행준거, 지식(K), 기술(S), 태도(A)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싶으면 각 능력단위 옆의 내용 버튼을 클릭해서 (도 2f를 통해) 확인을 한 후 자신과 관련되는 해당 능력단위를 선택하여 각 수준을 1부터 5까지로 등록을 하면 된다. 도 4a에서의 ‘직무개요’버튼은 세분류(직무)에 해당하는 직무의 정의를 나타내는 버튼이므로 이를 이용하면 해당되는 직무의 능력단위 전체의 취지(도 2d 참조)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말하자면 직무개요 버튼은 대축적지도에 갈음되고 각 능력단위 옆의 내용 버튼은 소축적지도에 갈음된다.
도 4b는 구인자(회사)가 등록하는 화면이다. 이때 (a3001)로부터 (a3005)까지로 등록하는 원리는 도 4a에서 구직자가 등록하는 조작의 원리와 그대로 같으며, 이로부터 등록되는 ‘예시)’역시 앞에서 설명한 도 4a의 원리와 같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매칭 대상은 도 4a의 d1001-1과 도 4b의 d3001-1 간을 비교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구직테이블에 등록된 것과 구인테이블에 등록된 수행능력이 동일함을 알 수 있으므로, 이 경우는 최우선순위로 리스트업 할 대상이 된다. 또한 도 4a의 d1001-1에서 등록한 직무분류별 수행능력 숫자가 도 4b의 d3001-1의 직무분류별 수행능력 숫자보다 더 많을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될 것이다(포함하는 원리이므로).
도 4b에서 ‘조건으로 등록’은 채용을 원하는 구직자가 필수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할 능력단위를 말하는 것이고, ‘조건으로 등록’은 선택 능력단위를 말하며, ‘조건으로 등록’은 배제되어야 할 능력단위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구소에서 선행기술을 연구할 담당자의 직무를 지정하면서, 오랫동안 관리직에 종사하였던 경력자의 능력단위 코드는 배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4b의 ‘예시)’와 도 4a의 ‘예시)’가 일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구인자가 제시한 NCS능력단위 기준의 수행능력과 구직자가 제시한 NCS능력단위 기준의 수행능력이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매칭부에서는 이러한 일치 및/또는 포함의 범위에서 수행능력 간을 자동 매칭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한편 도 4c와 도 4d는 위에서 설명한 도 4a와 도 4b에서처럼 구직자와 구인자가 등록하는 화면 구조이되, 검색창(a2000, a4000)에 키워드를 입력할 때 작동이 다르게 되는 차이가 있다.
즉 앞에서의 도 4a와 도 4b는 검색창을 키워드 없이 공백으로 비워둔 상태이기 때문에 드롭다운용 메뉴창에 모든 직종이 메뉴로 업로드 되지만, 도 4c와 도 4d에서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세분류(직무)만이 세분류창에 메뉴로 업로드 되고, 이에 따라 이 세분류를 포함하는 소분류, 그리고 소분류를 포함하는 중분류, 대분류 순서의 역방향으로 메뉴가 재정리되어 업로드 된다.
이러한 역방향 메뉴 재정리 구성은 “상위 메뉴창에서 하위 메뉴창으로의 드롭다운 순방향 검색 및 검색창에 키워드를 입력하는 조작을 통해 하위 메뉴창에서 상위 메뉴창으로의 역방향 정리”됨을 의미한다.
요컨대 도 4a와 도 4b는 대분류 메뉴가 예를 들어 24개가 될 수 있지만, 도 4c와 도 4d에서 대분류 메뉴는 오직 하나가 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그 줄어드는 숫자만큼 이용자의 조작은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단번에 쉽게 찾을 수 있게끔 역방향으로도 검색할 수 있도록 착상한 구성에 해당한다. 다만 도 4a와 도 4c 중 어느 곳에서 등록을 하든지 도 4b와 도 4d에서 등록한 것과 서로 호환되어 매치되는 기능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원리는 상기와 같은 직무 명칭에 관한 키워드뿐만 아니라 해당 능력단위에 종속(추종)되는 도구, 공구 등의 현장용어 명칭에 대한 키워드 검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요컨대, 이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통해 실무 용어로서 직무의 내용 및 도구 키워드 등을 검색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즉석에서 만들고, 최종적으로는 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구체적인 직무와 도구 등 연장의 구분까지 세부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22만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수백만 개로 확장되면서도 그 이용의 불편이 해소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업무분야 NCS와 직무분야 NCS, 능력단위 또는 능력단위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난이도, 중요도, 빈도가 부가적 정보로 더 포함되어서 생성하도록 등록될 수 있다. 이때 난이도는 레벨 수준을 나타내는 정도이고, 중요도는 중요한 능력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정도이며, 빈도는 자주 접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난이도, 중요도, 빈도를 포괄하여 “잘 할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상중하 또는 1,2,3,4,5 등의 등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데, 그 경우가 바로 도 4a 내지 도 4d에서 수행능력 등록 시에 등록하는 "1,2,3,4,5"이다(도 4a의 a1005 등 참조). 즉 도 4a의 a1005에서 능력단위(1), 능력단위(2), 능력단위(3)... 능력단위(n)에 대하여 각각 척도 5, 4, 1, 3으로 클릭하여 등록하면 그 결과는 도 4a의 ‘예시)’의 아래쪽에서 각 능력단위 코드와 명칭별로 5, 4, 1, 3에 상당하는 능력별 수준(수행능력 수준)으로 등록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을 통해 쉽게 등록하는 본 발명의 방법발명 조작 방식을 본 발명에서는 “상기 능력단위는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한 지표로 등록”이라고 표현한다.
도 5는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표시하기 위한 스스로의 진단 평가 기준이다. 여기서 매우 미흡은 레벨(1)에 해당하고, 매우 우수는 레벨(5)에 상당한 것으로, 매우 우수의 경우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의 수행준거를 잘 할 수 있는 증빙서류, 근거사진 내지 앞에서 설명한 현장용어 키워드를 도구, 공구 등의 경험/경력 개념에서 설명하는 등으로 입증을 하면 더 좋을 것이다. 이 레벨화 표시는 백분율이나 10단계 정도의 점수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하도급 흐름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역시 ‘연계 선행기술’에서 발췌된 것으로 그 중에서 한 사례를 덤프해서 대표적으로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하도급 중개 서비스에 이용할 때의 절차인 도 6a 및 도 6b는,
1) 위탁자 내지 수탁자로 될 회원사의 기초정보와 기본정보를 입력, 저장 내지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등록단계(110);
2) 전문가에 의하여 상기 회원사의 사업자정보와 기본정보를 실사 평가한 진단정보를 입력, 저장 내지 수정하는 전문가검증단계(120); (단. 전문가검증단계는 배제 가능)
3) 위탁자가 메뉴방식의 개인별 임의의 요구조건 설정과 위탁대상물을 등록하여 하도급 입찰에 부하는 위탁의뢰단계(130);
4) 수탁자가 메뉴방식의 개인별 임의의 희망조건을 제시하는 수탁희망단계(140);
5) 위탁자가 설정한 단기적 검색조건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장기적 및 중기적 정보와 수탁자가 제시한 희망조건을 논리연산으로 분석하여 하도급 대상 업체로 선정할 정보를 생성하는 협상대상연산단계(150);
6) 협상대상연산단계에 의한 선정 결과를 협상우선순위로 자동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협상정보정렬단계(160);
7) 디스플레이 될 수탁자 중에서 정회원이 아닌 경우 익명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정회원에 한하여 실명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협상정보제공단계(170, 180);
8) 상기 협상정보제공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된 협상정보에 의하여 위탁자와 수탁자 간에 협상을 실행하는 협상실행단계(190);
9) 상기 협상실행단계 이후 계약이 체결되면 중개서비스 완료에 따른 정산을 실시하되, 미정산시에는 전자보증을 적용하는 수수료정산단계(200); (단, 정산은 회원가입 등을 통해 미리 선급하는 것도 가능)
로 요약 설명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개인별 요구조건과 희망조건에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능력단위 등이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구성은 그 보다 더 생략된 구성으로서,
a) 위탁자 내지 수탁자로 될 회원사의 정보를 입력, 저장 내지 수정하는 데이터베이스등록단계;
b) 위탁자가 NCS데이터에 링크되는 NCS코드를 포함하여 제시하고 위탁대상물을 등록하는 위탁의뢰단계;
c) 수탁자가 상기 위탁자의 NCS코드 제시에 대응되는 NCS코드를 제시하여 응찰하는 수탁희망단계;
d) 위탁자가 제시한 NCS코드와 수탁자가 응찰한 NCS코드의 부합성을 연산하여 하도급 대상 업체로 선정할 정보를 생성하는 협상대상연산단계;
e) 상기 협상대상연산단계에서 생성된 수탁자의 정보 중에서 협상에 필요한 실명 정보는 이용수수료와 연동하여 익명으로부터 실명까지의 다단계 절차로 진행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협상정보제공단계;
에 포함되는 거래 중개서비스 방법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설명이 필요할 경우는 ‘연계 선행기술’의 명세서를 참조 바란다.
특히 상기 ‘연계 선행기술’들에서는 창의성과 할인율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예를 들면 특허 등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상대방을 우선적으로 정렬하도록 하는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채용 중개 서비스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관한 서비스방법의 흐름도는,
NCS코드를 기준으로 등록한 구직자 및 구인자의 제시 데이터를 테이블로 생성하는 테이블생성단계(S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직자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인자가 등록한 상기 테이블 내의 데이터를 NCS분류의 유사성으로 비교하여 매칭하는 매칭단계(S110);
상기 매칭단계에서 매칭이 이루어진 구직자 및 구인자를 리스트로 표현하는 매칭리스트디스플레이단계(S120);
상기 구직자 또는 구인자의 리스트를 지정하면 당해 구직자 또는 구인자에 해당하는 상세 등록내용이 디스플레이 되는 등록내용열람단계(S130);
상기 등록내용열람단계에서 개인정보의 경우는 별도의 인증단계를 거쳐서 제공되는 개인정보인증제공단계(S140);
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용요금은 일반 검색단계에서 부과될 수도 있고, 자동매칭 단계를 실행시키는 옵션 요금으로서 더 부과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서버와 통신망을 이용한 현장발명 판별 서비스 방법으로서,
현장발명 판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자의 이용조건충족단계(S200);
이용자의 운용에 따라 NCS기반의 현장발명분석프로그램이 개인발명, 업무발명 및 직무발명에 대한 내용과 판단 결과를 안내하는 현장발명판별단계(S210);
를 포함하는 현장발명 판별 서비스 방법을 흐름도로 표시한 개념도이다.
즉, 도 8은 일반적인 종업원들이 현장발명에 대한 정의를 잘 알기 어려운 데 대한 해법으로 회사의 업무와 개인의 직무를 NCS 기반으로 정확히 분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연계 선행기술’에서 업무분류와 NCS 직무분류를 연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 검색(S2002a, S2002b)을 이용하여 업무분류창을 로드(S2003a, S2003b, S2004) 한 후 상기 로드된 당해 업무분류창에 당해 업무와 관련되는 시설장비인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사이트 링크를 개설(S3001a)하거나 당해 업무와 관련되는 시설장비인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내용을 등록(S3001b)하며,
상기 링크 개설 또는 상기 등록된 결과를 정역검색(S3002a, S3002b)으로 로드(S3003a, S3003b, S3004)함으로써 상기 개설된 시설장비인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련 사이트에 링크(S3005a)하거나 상기 등록된 시설장비인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서비스 내용을 검색(S3005b)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순방향 또는 역방향 검색을 통해 업로드 되는 업무분류창은 앞에서 설명한 업무분류에 의한 창이거나 직무분류에 의한 창일 수 있다. 또한 이때 링크를 개설하는 사이트는 시설장비를 제조, 임대, 판매하는 사이트일 수 있고 인력 업체일 수도 있다. 또한 등록된 내용은 시설장비를 제조, 임대, 판매하는 업체의 정보와 수행하는 업무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기업 연구소에서 주로 활용하는 아이디어 마켓일 수 있다.
요컨대 배경기술인 ‘연계 선행기술’들은 직무를 분류하는 직무 분류로서 예를 들어 능력단위와 산업분류를 기초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이 기반 위에서 하도급, 구인구직, 시설, 장비, 인력, 아이디어 등을 효율적으로 중개하고자 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더 나아가 여기에서 부가적으로 키워드를 연동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분류 기능을 직무의 내용으로까지 심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계 선행기술’들로서 본 발명의 배경을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서 이러한 ‘연계 선행기술’들의 내용을 본 발명에서 필수적으로 포함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러한 원리로부터 본 발명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알 수 있도록 소개를 하기 위해 언급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것들과 유사하거나 별개인 서비스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하도급 중개, 구인구직 중개, 현장발명 및 직무발명 판별, 능력단위 시설장비 관리, 아이디어 중개 등의 전문분야별로 위에서 설명한 원리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조작하거나 교육하거나 확산하거나 일선 대행서비스용 인재를 개발하는 교육훈련 착상을 포함하고 있다.
교육훈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교육 또는 훈련은 두 개의 개념으로 적용된다.
그 하나는 본 발명의 직무 자동매칭 프로그램 등을 사용할 수 있는 운용에 관한 교육으로 이는 본 발명의 중개시스템으로 서비스를 하고자하는 일선 운용자(예를 들면 가맹점)에게 해당되는 교육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이용자가 원하는 능력단위를 어떻게 습득할 것인가를 감안하여 도움을 주고자 교육 내지 훈련하는 개념이다. 이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일 특징부를 나타내는 구성이므로 이하 이에 대하여 좀 더 상술한다.
먼저, 운용자 교육은 앞에서 설명한 능력단위의 구인(또는 구직) 등록과 매칭, 그리고 이용자에게 매칭의 결과를 되돌려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복수개의 조건별로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면 복수개로 캡처한 화면)를 이용하여 교육 수강자가 프로그램의 운용방법을 상세히 알 수 있도록 자동 디스플레이 되는 동영상으로 교육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하면 원칙적으로 전문강사가 없어도 교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이용자 교육은 본 발명의 능력단위에서 직접 해당되는 교육용 버튼을 클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해당 능력단위가 적성 내지 관심은 있지만 경력이나 경험이 없을 때는 능력단위와 관련된 교육 자료를 링크하면, 해당 능력단위의 학습모듈 내지는 이러닝 프로그램(사이트)에 링크되어, 한 예로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해당 지식과 기술에 대한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처음으로 직업을 갖고자 하는 신규직원(신입직원)인 경우는 해당 능력단위가 적성을 나타내는 정도이지 경력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므로 이를 뒷받침할 태도, 즉 인성을 가늠하기 위한 직업기초능력의 검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교육용 프로그램은 바로 이 경우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재 자료와 평가를 링크하여 교육 수강 여부를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신입사원의 경우는 직업기초능력의 평가를 통해 일정 이상의 점수를 득했을 때만 해당 능력단위를 등록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평가를 위한 질문 문항은 상기 직업기초능력 교재의 단원명을 기초로 하여 랜덤하게 자동으로 생성되고 그에 대한 모범답안을 상기 단원 내의 내용으로부터 유추하면서 평가 결과는 상기 모범답안과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점수를 매기는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평가점수는 1 내지 5단계 또는 1 내지 10단계의 레벨화로 제시하거나 점수(또는 %)로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랜덤의 범위와 평가점수는 예를 들어 특정한 직무 분류별로 설정된 단원의 범위 및 그 단원별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를 매긴 후 그것을 근거로 당해 직무분류(능력단위)에서 자동으로 레벨 내지 점수를 매기는 인공지능(AI) 처리가 채택될 수 있다.
도 10a는 경력직원으로 구직하는 자 또는 신입직원으로 구직하는 자가 본 발명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능력단위를 등록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특히 신입직원의 경우 상기 설명한 교육(평가)을 통하여 NCS 능력단위에서 능력별 수준을 자동 입력시키는 원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도 10a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구인자가 능력단위를 등록할 때의 절차와 교육(평가) 과정을 적용하는 개념을 표현한 흐름도이며, 도 10c는 직업기초능력까지 감안하여 직무 자동매칭을 작동시키는 우선순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즉, 도 10a, 10b, 10c는 그에 따른 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하기 위한 제반 절차와 교육훈련 서비스 방법 등을 흐름도로 개시한 것에 해당한다.
먼저, 도 10a은 신입직원으로 구직 등록을 하고자 할 때 및 경력직원으로 구직 시의 등록절차를 흐름도로 나타낸다.
경력직원으로 구직을 하고자 등록할 때(E2001) 구직자는 자신이 어떤 일을 잘 하는지를 나타내는 측면(E2002)에서 구직 등록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자신이 지닌 경력에 맞는 능력단위를 검색(E2003)하고, 해당되는 능력단위 칸에 그 능력의 수준을 예를 들어 1~5단계 중 어느 하나로 입력한다. 이때 경력을 증빙할 수 있는 사진이나 자기소개서를 발췌하여 기재(E2005)하는 편이 유리할 것이다.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능력단위 선택 및 이에 관련된 직무 자동매칭의 원리를 참조하면 이해가 용이할 것이다.
이와 달리, 신입직원으로 구직을 하고자 등록할 때(E1001)는 당해 신규직원이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즉 적성에 맞는 일을 찾는 측면(E1002)에서 구직 등록을 하게 된다. 다행히 학교에서 NCS의 해당 능력단위를 익혔을 경우라면 경력(경험)으로 구직을 하면 되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 즉 해당 능력단위에 대한 경력이 없을 때는 NCS에 의한 구직등록 기회가 차단되므로 이를 해결하는 것이 도 10a의 E1001부터 E1010까지의 흐름도 작동이다.
즉, 이때 구직자는 적성에 맞거나 원하는 능력단위를 검색하게 된다(E1003). 능력단위를 검색하여 NCS의 모듈(도 2c에서부터 도 2e까지)을 열면 도 11a에서 보듯이 전체 10개 종류의 직업기초능력 중 필수적인 능력 단위 5개가 나타난다(E1004).
참고로, 도 11a는 ‘무선통신망구축’의 능력단위 중에서 하나를 예로 들어 발췌한 필수직업기초능력군이다. 다시 말하면 전체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개발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 직업윤리로서 전체 10개(도 11b, 도 11c, 도 11d 참조)이지만, 적성에 맞는 능력단위를 수행할 경력을 쌓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상기 5개의 직업기초능력단위를 이수해야 한다라는 의미이다.
요컨대, NCS에서는 5개의 필수기초능력단위를 이수한 자라면 향후 해당되는 능력단위를 용이하게 터득할 기초지식 내지 태도를 갖추고 있다는 뜻이다.
다만, 직업기초능력은 학교에서의 기초 학문과 유사하다 할 수 있으므로 학교에서 학업에 충실한 자라면 직업기초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도 10a로 돌아와서, 구직자는 해당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하기 위한 버튼을 클릭하며(E1005) 이에 따라 본 발명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이러닝 자료와 평가문제를 제공한다(E1006). 평가문제는 직업기초능력 교재 중에서 대, 중, 소, 세 단원 중 설정된 범위에서 랜덤하게 발췌하고 그에 대한 모범답안은 그 단원에 포함된 내용 중의 키워드 등으로 자동 추출할 수 있다. 여하튼 이 수강 및 평가문제에 따라 구직자는 해당 능력단위가 자신의 적성과 부합되는지의 선호도를 알 수 있게 되며(E1007), 평가 수행(E1005)하는 과정을 통해 적성에 맞는 능력단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행평가의 결과는 상기 능력별 수준으로 자동 등록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평가를 통해 등록된 능력단위별(직무분류별) 수준은 객관적인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것은 특히 과거에 축적된 표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의 인적자원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만약, 학교에서 학업을 충실히 한 자라면 이러닝 수강을 할 필요 없이 바로 평가(E1005)를 통과하여 해당 능력별 수준에서 높은 레벨 또는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평가(E1005)를 거쳐서 능력단위에 대한 선호도를 판단(E1007) 하게 되면 본 발명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해당 능력단위별로 직업기초능력의 개수와 평가 결과가 매칭되는지를 검사(E1008)하게 된다. 즉 위에서 예시한 경우는 5개의 필수직업기초능력을 충족하는지 여부와 전체 평가점수가 예를 들면 평균점수 60점( 또는 80점 등)을 초과하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그 결과 조건 충족으로 매칭이 확인되면(E1009) 구직자가 능력단위를 선정한 것에 대한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본 발명 구직 프로그램에 수행능력 등록(E1010)을 하게 되고 이러한 등록에 따라 비로소 직무 자동매칭 프로세스(연계 선행기술에서의 직무 자동매칭 프로세스 포함)가 실행될 여건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모든 직업기초능력에서 60점을 충족하지 못하고 일부 과목에서 점수가 저하되었거나, 과목 평가를 누락하였다면 매칭 검사(E1008)에서는 그에 부합되도록 점수를 감산하여 매기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인 점수 부여에서의 가중치 적용과 문제 제공과 평가점수 종합 및 능력별 수준 레벨 점수 등의 등록은 인공지능(AI)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요컨대, 직무 자동매칭 프로세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선결 과제로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이 활용되는 것으로, 신입직원이 등록하고자 하는 능력단위와 연동되어 필수직업기초능력단위를 바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이러닝으로 해당 교재를 다운받아 수강하는 한편 인공지능 등을 접목하는 평가를 통해서 검증하고 그 결과를 신뢰성 있는 데이터로 점수화 또는 레벨화 하는 절차로 개별적 능력단위, 즉 직무분류로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필수직업기초능력단위는 NCS표준에서 요구하는 숫자일 수도 있지만 해당 능력단위에 대하여 특정한 구인자가 지정 요구하는 숫자일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인공지능은 해당 구인자가 검색을 실행할 때마다 검색대상의 구직자에 대하여 해당 구인자의 조건으로 상기 능력별 수준을 재등록하게 할 수 있다.
도 10b는 구인자 즉, 채용을 원하는 회사가 경력직원과 신입직원을 채용할 때 본 발명 시스템에 등록하는 절차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먼저, 경력직원을 채용할 때(E4001)는 어떤 일을 잘하는 자를 찾느냐(E4002)의 측면에서 등록을 하는데, 예를 들면 경력에 맞는 능력단위를 검색(E4003)하여 지정하고, 그 능력단위의 수준을 원하는 레벨 조건으로 입력(E4004)하며, 필요한 증빙서류 등 조건을 부가(E4005)하여 구인등록을 완료하는 절차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신입직원을 채용할 때(E3001)는 앞에서 설명한 신입직원의 환경을 감안하여, 어떤 일을 시키고 싶은지(E3002)의 측면에서 등록한다.
원하는 능력단위를 검색하여 지정하고(E3003), 해당 직무능력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직업기초능력을 검색(E3004)한 후, 필수직업기초능력 중 회사가 요구하는 개수로 조정(즉 앞에서 예로 들은 5개 중에서 회사가 다시금 조정 가능)하며 평가의 기준도 조정하는 등의 설정 조건으로 제시(E3005)함으로써 이를 해당 능력단위의 설정조건으로 하여 구인 등록을 하게 된다. (즉, 필수직업기초능력 개수를 3개로 축소 조정하고 평가점수 커트라인을 평균 70점으로 하는 등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 경우 앞에서 언급한대로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적응하여 해당 구인자가 검색할 때 그 능력단위에 해당하는 구직자의 능력별 수준을 자동으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을 요지 정리한 문장이 청구범위에 다음과 같이 개시된다.
즉, 직업기초능력을 직무 자동매칭에 적용한 청구항으로서,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또한 상기의 구성을 시뮬레이션 교육용으로 정리한 청구항으로서,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0c는 상기 신입직원 구직 등록 및 구인 등록을 한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최적화시킨 직무 자동매칭 프로세스이다.
매칭 프로세스에서는 능력단위별 경력자를 제1순위로 하여 우선적으로 매칭시킬 수 있다(E5001).
다음으로, 비록 경력 수준에는 미달되지만 능력단위를 선택한 자 중에서 해당 능력단위의 직무를 수행할 태도에 해당하는 필수직업기초능력을 평가받아 소정의 점수 이상으로 통과한 자를 제2순위로 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E5002). 즉 제2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직업기초능력의 단위를 안내하고,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 수강 결과를 평가받아 소정의 점수 이상으로 통과한 자를 매칭시킨다.
그 다음으로, 비록 소정의 점수로 평가받지는 못하였지만 해당 능력단위의 직무를 수행할 태도에 해당하는 필수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한 자를 제3순위로 하여 매칭시킬 수 있다(E5003). 그 외 제4순위는 해당 능력단위를 지정한 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E5004). 즉 제3순위 내지 제3~4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한 자 또는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해 관심을 표명한 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순위 부여에 따라 자연스럽게 직무를 수행할 교육과 훈련을 받는 환경을 이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공익적 측면의 자발적 교육 수강을 인도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채용 중개 서비스 외에도 하도급, 아이디어 중개, 직무발명판별, 시설장비 중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검색창을 통해서는 자연어를 변환하여 유사한 용어로 찾을 수 있도록 구성도 가능하며, 특히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미처 수용하지 못한 실무용어 혹은 현장발명 용어와 판단과정에서 직무의 정의 등이 불명확할 때는 이용자가 의견을 제시하여 이를 수정하는 쌍방소통의 연동 구성으로 진화 발전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을 통해서 본 발명은 NCS의 범위에 그치지 않고 능력단위를 확대발전시킬 수 있으면서도 산업분류와 연계되어 이용자 쌍방 간의 이해소통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계 선행기술’로부터 발췌 제시한 도 12에서 자기소개서 및 채용공고문으로 어필한 부분은, 본 발명의 능력단위 분류에서는 미흡하였던 키워드 분류를 채용 중개를 일례로 하여 보강한 것을 나타낸다. 즉 직무 자동매칭 프로세스에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기소개서 및 채용공고문에 게시된 게시정보 중의 키워드를 종류별 묶음 단위인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정리한 후 해당 능력단위에 매핑하는 개념적 위치를 흐름도 상에 나타낸 것이다.
이를 청구범위 표현 방법으로 먼저 기술의 내용을 요지 정리하면,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로 된다.
도 13a는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K101, K102);는 업무분류(업종분류)와 직무분류를 검색하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앞에서 KSIC와 NCS를 일례로 들어서 설명한 바 있다.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K103, K104, K105, K106);는 이제까지 설명한 능력단위를 레벨수준 또는 점수지표로 등록한 후 자기소개서 내지 채용공고문으로부터 검색하여 용어 클라우드에 축적된 도구, 공구, 설비, 기계, 계측기, 기능, 프로그램(툴), 형상, 재질, 부품 등의 키워드를 찾아서 등록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이때 키워드는 이미 등록된 키워드를 활용하되, 새로운 키워드를 만들고 싶을 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대로 진행된다.
상기의 절차로 등록한 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직무 자동매칭은 상기 능력단위를 능력별 수준으로 레벨화 또는 점수화한 지표 간을 참조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시키려 하는 키워드가 기존에 있던 키워드일 경우 현장용어 클라우드에서 찾아서 선택하면 되지만, 기존에 없는 신규의 키워드일 경우에는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 중 적정한 분류를 찾아서 연동되거나 아예 새로운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만들어서 여기에 키워드를 저장하게 된다.
즉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있으면 상기 기등록 키워드가 소속된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등록되되, 이때의 길이단위 내지 유사성을 비교하는 자연어 검색으로 기등록 여부를 검색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만약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없는 새로운 키워드일 경우에는 새로운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생성 후 등록하거나 기존 현장용어 클라우드 내에 새로운 키워드로 등록하게 된다. 즉 상기 입력창부로 등록되는 직무 분류와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통해서 현장용어 클라우드로 새롭게 학습되는 되는 것으로서, 이때의 학습된 결과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에 소속시키도록 연동 분류되는 원리로서 업데이트 된다. 또한 상기 입력창부에서 직무 분류가 변동되면 그 하위에 소속되었던 현장용어 클라우드도 추종되어 검색 시의 라이브러리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자동 분류되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수많은 키워드가 있더라도 해당되는 세분류 혹은 해당되는 능력단위(직무분류)에만 한정하여 클로우즈 업 되게 된다. 즉 쉽게 선택되도록 정리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학습절차는 도 13a에서 신규 키워드 생성으로 인식(K107)하면 그에 대한 자연어 검색으로 가장 유사한 키워드를 제시(K109, K110)하여 가장 최신의 용어로 업데이트하지만, 선택과정에서 판단한 결과 일치 내지는 유사한 자연어가 없다면 현장용어 클라우드 분류를 종류별로 지정하고(K111, K112) 신규 키워드로 등록을 요구한다(K113). 이때 종류별이라 함은 형상/기능, 도구/공구, 시설/장비, 기계/기구, 계측/설비, 소프트웨어 컴포넌트/패키지, 자동/수동제어 등의 종류별 분류를 말한다.
이때 등록 요구가 타당하다고 인정되면(K114, K115) 신규 키워드로 등록하고(K117, K118) 이를 게시정보의 내용에 실린 능력단위 혹은 업직종 분류에 따라 현장용어 클라우드와 신규 키워드를 매핑시키게 되며(K119, K120), 이후부터 새롭게 만들어진 라이브러리(K121)를 이용하여 다른 이용자들이 앞에서 설명한대로 기등록된 현장용어 클라우드로서 또는 그 하위의 키워드로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어느 능력단위의 하위 구조로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링크되도록 만들어지고, 다시 현장용어 클라우드의 하위에 종속 키워드가 링크되도록 매핑하는 것이다. 매핑된 후에는 상위 단위가 선택되는데 연동되어서 하위 매핑 구성이 클로즈업되고 평상시에는 숨은 상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 도 13b이다.
즉, 도 13b에서 K5인 전기전자는 업종 대분류에 해당하고, K50인 전자장치개발은 직무 소분류에 해당하며, K503은 능력단위에 해당하는데, 그 밑에 소프트웨어 툴(K5030)이라는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만들어진 후 그 현장용어 클라우드 속에 K50301, K50302, K50303, K05304, K50305가 매핑되어 있음이 나타나 있다. 그 중에서 K50301, K50302, K50303, K05304까지는 기등록을 의미하여 실선으로 나타내었고, K50305인 하둡은 새로운 빅데이터 분석 엔진이라는 의미로서 어떤 이용자가 새로운 키워드로 등록하여 그 후부터 모두가 공개 사용할 수 있음을 묘사하기 위해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즉, 상기의 구성에서 상기 학습 결과의 매핑은, 상기 분류 입력창부에서 능력단위가 변동될 때 그 하위의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선별 디스플레이 되도록 연동 분류되는 구성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분류 입력창부에서 소프트웨어 툴(K5030)이 소프트웨어 설계(K503) 뿐만 아니라 만약 시스템 구축으로 새롭게 추가 분류하고 싶다고 등록을 하면 그 다음부터는 해당 능력단위의 검색에서도 동일한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연동 변경되는 것이다.
요컨대, 상기 게시정보 중의 키워드는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있으면 상기 기등록 키워드로부터 찾아서 등록을 하면 되고, 만약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없는 새로운 키워드일 경우에는 별도의 검증 단계를 거쳐서 새로운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생성 후 등록하거나 기존 현장용어 클라우드 내에서 유사성 분석을 통해 새로운 키워드를 확장하는 업데이트로 등록함으로써 상기 과거로부터의 직무 분류를 생동하는 정보로 보강하는 학습화 및 연동 매핑 기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 구성도 시뮬레이션 교육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의 일례를 청구범위 기재 형식으로 묘사하면,
로 되고, 그 교육용 장치는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고 선별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로 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일측면이 있어서 더 이상 생략하고 만약 필요한 경우 보정으로 보충하기로 하며, 도 14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중 현장용어 클라우드라는 명칭은 가상의 공간에 복수의 키워드를 연결함과 동시에 복수의 능력단위 내지 복수의 분류단위에 연동되는 구성으로서, 어느 하나의 이용자가 매핑 등록을 하면 여러 다른 이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즉 본 발명의 현장용어 클라우드 하나에 복수의 키워드와 복수의 능력단위 등이 매핑될 수 있으며, 그와 반대로 하나의 키워드라 하더라도 복수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매핑됨에 따라 그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매핑된 복수의 능력단위 등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서로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특징을 지닌다.
여기서,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형상, 기능, 도구, 공구, 시설, 장비, 계측, 기계기구, 전동기구, 전동공구, 패키지형 전문프로그램 등등 다양한 용어로 현장에서 통용되는 종류를 중간 취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그 활용의 예로서 네트워크적인 매핑의 일례를 들자면 ‘라디오벤치’는 공구로 매핑됨과 동시에 기구로도 매핑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공구 또는 기구로 명명된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전자 부분 능력단위 및 전기 부분 능력단위에 동시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의 가상공간인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통하여 단 하나의 ‘라디오벤치’가 다양한 능력단위 달성을 위한 하위 수단으로 연동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결국 데이터베이스의 용량과 처리가 효율적으로 됨과 아울러 가상공간의 종류별 분류에 따라 이용자의 선택적 지정 조작에 편이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더 나아가 과거의 축적데이터인 직무분류 표준 등이 현재 살아 움직이는 현장용어로 링크되고 업데이트되는 과거와 현재의 접목 효과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직업기초능력을 학습하고 평가하는 구성 및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는 구성을 해당 직무 분류에 매핑시키는 기술은 과거로부터의 축적 데이터를 현재 및 미래로 확장토록 연동시키는 개념으로 통합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 청구범위에 게시되는 구성은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이고,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로 된다.
본 발명에서 산업기술분류에 기반한 업무분류는 장치와 서비스 방법별로 구분해서 각각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공통적으로 NCS와 상호 보완적으로 연동된다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어서 설명에서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장 상위의 메뉴에 해당 국가와 해당 국가의 언어의 선택 메뉴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상술한 일실시예들은 각각의 예시에 한정적인 것이 아니며, 특히 특허청구범위의 용어가 직접적으로 지정하는 문리적 의미와 범위는 물론이고 그 등가의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데이터베이스등록단계 120 : 전문가검증단계
130 : 위탁의뢰단계 140 : 수탁희망단계
150 : 협상대상연산단계 160 : 협상정보정렬단계
170 : 협상정보제공단계 180 : 협상정보제공단계
190 : 협상실행단계 200 : 수수료정산단계
S100 : 테이블생성단계
S110 : 매칭단계 S120 : 매칭리스트디스플레이단계
S130 : 등록내용열람단계 S140 : 개인정보인증제공단계
S200 : 이용조건충족단계 S210 : 현장발명판별단계
S240 : 애로등록단계 S250 : 현장발명카운슬링단계
S260 : 현장발명카운슬링증명단계
a1000, a2000, a3000, a4000, a8000, a9000 : 검색창
a1001~a1005, a2001~2005, a3001~3005, a4001~4005, a8001~a8005 : 각 NCS분류 메뉴창
a9001~a9003 : 각 산업기술분류 메뉴창
S100a : 회원가입절차
S100b-1 및 S100b-2, S100c-1 및 S100c-2): (구직 또는 구인)테이블 등록절차
S101 : 구직테이블 생성 조작 예시 S102 : 구인테이블 생성 조작 예시
S110 : 자동매칭절차 S120a : 매칭리스트 디스플레이절차
S120b : 자동통보 알림절차 S130 : (구직, 구인) 등록정보제공절차
S140a : 상세정보제공절차
E2001 ~ E2005 : 경력직원으로 구직 시의 등록 절차
E2001 ~ E2005 : 경력직원으로 구직 시의 등록 절차
E1001 ~ E1010 : 신입직원으로 구직 시의 등록 절차 (직업기초능력 연동)
E4001 ~ E4005 : 경력직원으로 채용 시의 등록 절차
E3001 ~ E3005 : 신입직원으로 채용 시의 등록 절차 (직업기초능력 연동)
E5001 ~ E5005 : 직업기초능력을 감안한 직무 자동매칭 순위
K101 ~ K121 : 현장용어 클라우드와 키워드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K501 ~ K503, K5030 ~ K5035 : 해당 능력단위에 현장용어 클라우드와 그 하위의 키워드가 매핑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구조도.

Claims (11)

  1.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2.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를 위한 질문 문항은 상기 직업기초능력 교재의 단원으로부터 랜덤하게 자동 생성되고 모범답안은 상기 단원 내의 내용으로부터 유추되며, 평가 결과는 상기 모범답안과의 유사성을 비교하여 제시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4.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5. 거래 중개 교육을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체계로서,
    상기 능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와 상기 수동 이용자가 등록한 데이터가 입력으로부터 매칭되고 선별 출력되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용으로 시뮬레이션 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의 학습은 상기 입력창부로 등록되는 직무 분류와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또는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통해서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의 매핑은 상기 학습된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에 소속시키도록 연동 분류되어,
    상기 입력창부에서 직무 분류가 변동될 때 그 하위에서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추종 디스플레이 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정보 중의 키워드는,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있으면 상기 기등록 키워드가 소속된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등록되되, 등록단계에서 길이단위 내지 유사성을 비교하는 자연어 검색 구성을 포함하고;
    만약 선행 이용자의 기등록 키워드가 없는 새로운 키워드일 경우에는 새로운 현장용어 클라우드를 생성 후 등록하거나 기존 현장용어 클라우드 내에 새로운 키워드로 등록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8.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능력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하여 등록되도록 상기 컴퓨팅 장치가 NCS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직무 분류 단위들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및 세분류 중 적어도 2개의 분류들을 포함하되,
    상기 직무 능력은 업무분류와 직무분류를 결합한 직무 분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9.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창부에는 분류 내지 용어 검색창을 더 포함하고 검색창에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세분류를 위한 입력창에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모든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키워드와 관련된 세분류를 포함하는 소분류, 상기 소분류를 포함하는 중분류 및 상기 중분류를 포함하는 대분류가 역방향으로 정리되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는,
    제1순위로 직무 분류별 경력자를 매칭시키고,
    제2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직업기초능력의 단위를 안내하고,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 수강 결과를 평가받아 소정의 점수 이상으로 통과한 자를 매칭시키며,
    제3순위로,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을 수강한 자 또는 해당 직무 분류에서 상기 안내된 직업기초능력 단위에 대해 관심을 표명한 자를 매칭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11. 거래 중개를 위한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분류 단위들을 제시하는 직무 분류 단위부;
    상기 분류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직무 분류에서 능력별 수준을 레벨화 또는 점수화 한 지표로서 직무 능력이 등록 가능하도록 입력창을 제시하는 입력창부; 및
    상기 등록된 직무 능력을 기초로 능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 및 수동적 이용자의 게시정보를 반영하여 매칭되는 대상을 선별 출력하는 매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는 상기 레벨화 또는 점수화에 대응되는 수강 또는 평가 결과로 자동 대체 등록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면서, 상기 수강 또는 평가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직업기초능력 데이터베이스의 교육훈련 체계와 연계되는 구성이고,
    상기 이용자의 게시정보 중에 포함된 키워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현장용어 클라우드에 연동되면서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가 학습되며, 상기 현장용어 클라우드는 상기 등록된 직무 분류단위에 매핑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장치.
KR1020180000796A 2017-01-10 2018-01-03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 KR102508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3584 2017-01-10
KR1020170003584 2017-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329A true KR20180082329A (ko) 2018-07-18
KR102508562B1 KR102508562B1 (ko) 2023-03-10

Family

ID=6304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796A KR102508562B1 (ko) 2017-01-10 2018-01-03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87943A1 (en) * 2019-06-07 2020-12-10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KR20230047543A (ko) * 2021-10-01 2023-04-10 (주)아리오씨오에스 맞춤형 직무교육을 통한 구인구직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구인구직 매칭시스템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291A (ko) 1998-09-10 2000-04-06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장치
KR20010013750A (ko) 1997-06-18 2001-02-26 플레믹 크리스티안 3-벤질피페리딘
KR20010029022A (ko) 1999-09-28 2001-04-06 서평원 유사 클로즈 네트워크에서의 가상컨테이너 신호들의 복합경로 탐색방법
KR20030009479A (ko) 2002-11-07 2003-01-29 나가노 다키치 자동차의 차체수정장치
KR20050018560A (ko) 2003-08-09 2005-02-23 주식회사 모노세라피아 금속박판의 접합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52925A (ja) * 2004-06-11 2005-12-22 P A:Kk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求人・求職情報およびそれに関連した情報の提供における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10126290A (ko)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파워라이텍 리드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패키지
KR20130101910A (ko) 2012-03-06 2013-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08466A (ko) 2011-02-18 2013-10-02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변속 쇼크 평가 장치 및 그 평가 방법
KR20140031572A (ko) 2012-09-05 2014-03-13 문성수 반영구 화장미용 수동 시술기
KR20140054807A (ko) 2012-10-29 2014-05-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웹 기반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한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20140101271A (ko) 2013-02-08 2014-08-19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83109A (ja) 2013-03-18 2014-09-29 Nichia Chem Ind Ltd 発光素子保持構造体
KR20160025486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KR20160147990A (ko) 2014-07-11 2016-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부재 및 다층 배선 기판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3750A (ko) 1997-06-18 2001-02-26 플레믹 크리스티안 3-벤질피페리딘
KR20000019291A (ko) 1998-09-10 2000-04-06 윤종용 반도체소자의 제조장치
KR20010029022A (ko) 1999-09-28 2001-04-06 서평원 유사 클로즈 네트워크에서의 가상컨테이너 신호들의 복합경로 탐색방법
KR20030009479A (ko) 2002-11-07 2003-01-29 나가노 다키치 자동차의 차체수정장치
KR20050018560A (ko) 2003-08-09 2005-02-23 주식회사 모노세라피아 금속박판의 접합 장치 및 그 방법
JP2005352925A (ja) * 2004-06-11 2005-12-22 P A:Kk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求人・求職情報およびそれに関連した情報の提供における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10126290A (ko)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파워라이텍 리드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패키지
KR20130108466A (ko) 2011-02-18 2013-10-02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변속 쇼크 평가 장치 및 그 평가 방법
KR20130101910A (ko) 2012-03-06 2013-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31572A (ko) 2012-09-05 2014-03-13 문성수 반영구 화장미용 수동 시술기
KR20140054807A (ko) 2012-10-29 2014-05-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웹 기반 프로세스 모델을 이용한 에너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방법
KR20140101271A (ko) 2013-02-08 2014-08-19 이치아 테크놀로지즈, 아이엔씨. 플렉시블 회로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83109A (ja) 2013-03-18 2014-09-29 Nichia Chem Ind Ltd 発光素子保持構造体
KR20160147990A (ko) 2014-07-11 2016-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이방 도전성 부재 및 다층 배선 기판
KR20160025486A (ko) * 2014-08-27 2016-03-08 주식회사 한국직업개발원 네트워크 기반의 진로 탐색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 개인 간을 주선하는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
- 기업 거래를 중개하는 기술과 관련된 선행기술
- 채용 중개를 위한 선행기술
- 하도급, 채용, 아이디어, 시설장비 등 종합 거래 중개를 위한 선행기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87943A1 (en) * 2019-06-07 2020-12-10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US11574348B2 (en) * 2019-06-07 2023-02-07 Mitel Networks Corporation Job-specific contact center generation
KR20230047543A (ko) * 2021-10-01 2023-04-10 (주)아리오씨오에스 맞춤형 직무교육을 통한 구인구직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구인구직 매칭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562B1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lmer et al. Occupational outcomes for Bachelor of Science graduates in Australia and implications for undergraduate science curricula
CN110866850A (zh) 一种企业精准在线教育系统
KR102073054B1 (ko) 글로벌 건설인적자원 정보인프라 제공방법
Hok et al. Determinants of student satisfaction on continuing education intention: a case study of private university in Cambodia
KR102521561B1 (ko) 직무역량 기반의 직업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서비스 시스템
KR102508562B1 (ko) 직무능력 예측을 포함하는 직무 자동매칭 서비스 및 그를 이용하는 컴퓨팅 장치
KR102260591B1 (ko)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210025433A (ko) 장애인 직무 교육을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잡매칭 시스템 및 그 방법
Yawson et al. Towards a framework for the promotion of business management graduate employability: an extended CareerEDGE model
Çınar Thematic content analysis of postgraduate dissertations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ase of Turkey
Kim Thi Ninh et al. Systematic performance measurement for university libraries in Vietnam
KR102275986B1 (ko) 솔루션 기반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장치 및 동작 방법
Friedman Statistic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A primer for using open source R software for accessibility and visualization
KR102044219B1 (ko) 학과 맞춤형 직무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서비스 방법
Muchaku et al. Factors determining the ability of rural-based universities to nurture positive entrepreneurial behaviour among university students
US201801896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innovation intelligence
Asadi et al. Bibliometrics in practice in developing nation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tometrics and bibliometrics careers in Iran
CN111937018A (zh) 利用了教学大纲的匹配装置
Misnevs et al. Learning analytics and software engineering competences
Han et al. Latent Dirichlet Allocation-Based Topic Mining Analysis of Educational Scientific Research Projects Based on 2360 NSF Education Projects.
KR102666653B1 (ko) 개인역량에 기반한 학과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loyhart Air Force Personnel Center best practices guide: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model development
Takcı et al. A matching model to measure compliance between department and student
Zhang et al. Research on the Intelligent Evaluation Method of Integrating Teaching Quality of “Post Course Competition Certificate” in Higher Vocational English
Riul et al.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in Sociology Bachel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