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2113A -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2113A
KR20180082113A KR1020170003400A KR20170003400A KR20180082113A KR 20180082113 A KR20180082113 A KR 20180082113A KR 1020170003400 A KR1020170003400 A KR 1020170003400A KR 20170003400 A KR20170003400 A KR 20170003400A KR 20180082113 A KR20180082113 A KR 20180082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screen
vibration
screen
projector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377B1 (ko
Inventor
김장운
Original Assignee
김장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운 filed Critical 김장운
Priority to KR102017000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3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7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sole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4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protection against contamination, or protection in using body disinfecting wi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7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by thermal bo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위하여, 프로젝션 스크린과,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에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내부의 빈 공간을 외부의 공간과 연결하는 복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포켓을 갖는 연결시트와, 상기 포켓의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된 연결봉과, 상기 포켓의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해 상기 연결봉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축들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축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부들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Vibrating screen for project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를 이용해 이미지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할 시, 시청자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우수한 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프로젝터에서 출사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크린의 휘도 게인이나 콘트라스트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이다. 휘도게인은 시야각을 적절히 조절하여 시청자가 인식하는 밝기를 나타내고, 콘트라스트는 영상의 선명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LW/LB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W는 프로젝터에서 백색 영상이 출사될 시의 반사휘도이고, LB는 프로젝터에서 흑색 영상이 출사될 시의 반사휘도이다.
프로젝터에서 광원으로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게 되면 램프의 수명이 길어지고 색표현력이 우수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레이저 광원에서 방출되는 가간섭광(coherent light)은 스크린 표면의 미세 요철 패턴에 의하여 스페클(speckle)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스페클 현상은 전술한 콘트라스트를 낮춰 이미지의 선명도를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션 스크린과,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에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내부의 빈 공간을 외부의 공간과 연결하는 복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포켓을 갖는 연결시트와, 상기 포켓의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된 연결봉과, 상기 포켓의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해 상기 연결봉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축들과, 상기 복수개의 진동축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부들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이 제공된다.
상기 진동부들은 건물의 벽에 고정될 수 있는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봉은 금속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프로젝션 스크린과,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에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포켓을 갖는 연결시트와, 상기 포켓의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된 복수개의 진동부들과, 일단이 상기 포켓에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들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이 제공된다.
상기 연결시트는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후면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시트는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시트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품질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은 프로젝션 스크린(10), 연결시트(20), 연결봉(30), 복수개의 진동축(40)들 및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을 구비한다.
프로젝션 스크린(10)은 프로젝터로부터 입사한 광을 반사시켜, 시청자가 프로젝션 스크린(10) 상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젝션 스크린(1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시클로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그 표면에서의 광 산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프로젝터로부터 광이 입사하는 표면에 작은 요철을 가질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x 방향에 위치한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x 방향 면 상에 입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션 스크린(10)은 설치 스트랩을 가질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단에 위치한 상부 설치 스트랩(12)과 프로젝션 스크린(10)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 설치 스트랩(14)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젝션 스크린(10)은 상부 설치 스트랩(12)만 구비하거나,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단과 하단이 아닌 양단에도 설치 스트랩들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부 설치 스트랩(12)과 하부 설치 스트랩(14)은 프로젝션 스크린(10)에 대해 단단함 및 두께를 부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 설치 스트랩(12)과 하부 설치 스트랩(14)은 프로젝션 스크린(10)을 관통하는 홀(12a, 14a)들을 갖는바, 이러한 홀(12a, 14a)들에 스트립 또는 스프링 등을 연결하여 프로젝션 스크린(10)이 극장 등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트립 또는 스프링 등의 일단은 이러한 홀(12a, 14a)들에 연결되고 타단은 벽체 또는 프로젝션 스크린(10) 지지용 프레임에 연결되어, 프로젝션 스크린(10)이 극장 등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부 설치 스트랩(12)은 여러 개의 홀(12a)들을 갖고 하부 설치 스트랩(14) 역시 여러 개의 홀(14a)들을 갖기에, 스트립 또는 스프링 등을 이용해 프로젝션 스크린(10)을 설치할 시 프로젝션 스크린(10)에 인가되는 부하를 상부 설치 스트랩(12)과 하부 설치 스트랩(14)을 따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연결시트(20)는 일측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z 방향) 상단에 연결된다. 특히 연결시트(20)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연결시트(20)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x 방향) 후면의 상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시트(20)는 타측에 포켓(24)을 갖는데, 이 포켓(24)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포켓(24)은 복수개의 구멍(24a)들을 가져, 포켓(24) 내부의 빈 공간이 외부의 공간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시트(20)는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시트(2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시클로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의 빈 공간에는 연결봉(30)이 삽입된다. 연결봉(30)은 +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져, 포켓(24) 내부의 빈 공간의 대부분을 채울 수 있다. 이러한 연결봉은 금속봉일 수 있는데,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봉(30)에는, 포켓(24)의 복수개의 구멍(24a)들을 통해 복수개의 진동축(40)들이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이 복수개의 진동축(40)들에 연결된다. 즉, 복수개의 진동축(40)들 각각의 일측은 포켓(24)의 구멍(24a)을 통해 연결봉(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진동부(50)에 연결된다. 진동부(50)는 모터 등을 포함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진동축(40)은 이러한 진동부(50)에서 발생된 진동을 연결봉(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축(40)은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포함하는 금속축일 수 있다. 진동부(50)들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컨대 벽체 등에 고정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진동부(50)들은 건물의 벽체 등에 고정될 수 있는 체결부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진동부(50)는 중앙이 빈 고리 형태의 체결부를 가져, 나사나 봉 등과 같은 형태의 삽입봉이 체결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벽체 또는 지지 프레임 등에 진동부(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 진동부(50)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축(40)에 의해 연결봉(30)으로 전달되며,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의 연결봉(30)의 진동은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프로젝션 스크린(10)이 진동하게 되어,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면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미세한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스페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을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 상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 역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을,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전면(前面)이 아닌 후면(後面)에 직접 장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복수개의 진동부(50)들 각각의 진동 성능의 차이에 의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복수개의 진동부(50)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게 될 경우,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축(40)들을 통해 하나의 연결봉(30)으로 전달되고, 하나의 연결봉(30)에서의 진동이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 각각의 진동 성능에 차이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전면(前面)의 전면(全面)에 걸쳐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균일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진동부(50)들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축(40)들을 통해 하나의 연결봉(30)으로 전달되고, 하나의 연결봉(30)에서의 진동이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진동축(40)들을 통해 하나의 연결봉(30)으로 전달되고, 하나의 연결봉(30)에서의 진동이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이때 연결시트(20)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진동이 발생되어 연결봉(30)이 진동하게 될 시, 연결봉(30)의 진동은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노이즈에 해당하는 진동까지 포함하게 된다. 하지만 연결시트(20)가 플렉서블 특성을 갖기에, 그러한 노이즈에 해당하는 진동은 연결시트(20)에서 감쇄되도록 하여,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만이 연결시트(20) 내에 존재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에도 역시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만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가 프로젝션 스크린(10)을 통해 이미지를 감상할 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진동에 의한 이미지 왜곡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음파와 같은 진동파는 밀도가 큰 물질에서 에너지가 잘 전달된다. 하지만 밀도가 과하게 크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지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전술한 것과 같이 연결봉(30)이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은 프로젝션 스크린(10), 연결시트(20), 복수개의 진동부(50)들 및 복수개의 지지대(60)들을 구비한다.
프로젝션 스크린(10)은 프로젝터로부터 입사한 광을 반사시켜, 시청자가 프로젝션 스크린(10) 상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젝션 스크린(1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시클로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그 표면에서의 광 산란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프로젝터로부터 광이 입사하는 표면에 작은 요철을 가질 수도 있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서는 -x 방향에 위치한 프로젝터로부터의 광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x 방향 면 상에 입사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션 스크린(10)은 설치 스트랩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다.
연결시트(20)는 일측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z 방향) 상단에 연결된다. 특히 연결시트(20)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y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연결시트(20)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x 방향) 후면의 상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시트(20)는 타측에 포켓(24)을 갖는데, 이 포켓(24)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 전체적으로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시트(20)는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며,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시트(2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시클로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의 빈 공간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이 삽입될 수 있다. 이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은 등간격으로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진동부(50)는 모터 등을 포함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복수개의 지지대(60)들 각각은 연결시트(20)의 포켓(24)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건물의 벽체나 지지프레임 등에 연결되어, 연결시트(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60)는 견고한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을 포함하는 금속 지지대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의 진동부(50)의 진동은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프로젝션 스크린(10)이 진동하게 되어,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면에 있어서 상하좌우로 미세한 변위가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스페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을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 상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 역시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을, 프로젝터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하는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전면(前面)이 아닌 후면(後面)에 직접 장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복수개의 진동부(50)들 각각의 진동 성능의 차이에 의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사용 과정에서 복수개의 진동부(50)들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게 될 경우,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이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 각각의 진동 성능에 차이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전면(前面)의 전면(全面)에 걸쳐 스페클 현상 발생 억제 효과가 균일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진동부(50)들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상하좌우에 있어서 발생하는 변위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스크린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동부(50)들이 연결시트(20)의 포켓(24) 내부에 위치하는바, 이에 따라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발생된 진동이 하나의 연결시트(20)를 통해 프로젝션 스크린(10)으로 전달된다. 이때 연결시트(20)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 진동이 발생될 시, 복수개의 진동부(50)들에서의 진동은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노이즈에 해당하는 진동까지 포함하게 된다. 하지만 연결시트(20)가 플렉서블 특성을 갖기에, 그러한 노이즈에 해당하는 진동은 연결시트(20)에서 감쇄되도록 하여,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만이 연결시트(20) 내에 존재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프로젝션 스크린(10)에도 역시 정상파에 해당하는 진동만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청자가 프로젝션 스크린(10)을 통해 이미지를 감상할 시, 프로젝션 스크린(10)의 진동에 의한 이미지 왜곡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로젝션 스크린 20: 연결시트
30: 연결봉 40: 진동축
50: 진동부 60: 지지대

Claims (7)

  1. 프로젝션 스크린;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에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내부의 빈 공간을 외부의 공간과 연결하는 복수개의 구멍들을 갖는 포켓을 갖는, 연결시트;
    상기 포켓의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된 연결봉;
    상기 포켓의 복수개의 구멍들을 통해 상기 연결봉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축들; 및
    상기 복수개의 진동축들에 연결된 복수개의 진동부들;
    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들은 건물의 벽에 고정될 수 있는 체결부를 갖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금속봉인,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4. 프로젝션 스크린;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측이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에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포켓을 갖는, 연결시트;
    상기 포켓의 내부의 빈 공간에 삽입된 복수개의 진동부들; 및
    일단이 상기 포켓에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들;
    을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트는 상기 프로젝션 스크린의 후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트는 플라스틱 시트를 포함하는,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트는 플렉서블한,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KR1020170003400A 2017-01-10 2017-01-10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KR101975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00A KR101975377B1 (ko) 2017-01-10 2017-01-10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00A KR101975377B1 (ko) 2017-01-10 2017-01-10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13A true KR20180082113A (ko) 2018-07-18
KR101975377B1 KR101975377B1 (ko) 2019-05-07

Family

ID=6304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00A KR101975377B1 (ko) 2017-01-10 2017-01-10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3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58U (ko) * 1996-11-15 1998-08-05 김기영 벽걸이용 스크린의 걸이장치
JP2008183085A (ja) * 2007-01-29 2008-08-14 Seiko Epson Corp 遊技機
KR20160008995A (ko) * 2014-07-15 2016-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KR20160017081A (ko) * 2013-06-06 2016-02-15 리얼디 인크. 스페클을 감소하기 위해 스크린들을 진동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406A (ko) * 2014-01-03 2016-08-09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린 작동기
JP2018003085A (ja) * 2016-06-30 2018-01-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ホルダ、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において基板を搬送する搬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358U (ko) * 1996-11-15 1998-08-05 김기영 벽걸이용 스크린의 걸이장치
JP2008183085A (ja) * 2007-01-29 2008-08-14 Seiko Epson Corp 遊技機
KR20160017081A (ko) * 2013-06-06 2016-02-15 리얼디 인크. 스페클을 감소하기 위해 스크린들을 진동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94406A (ko) * 2014-01-03 2016-08-09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린 작동기
KR20160008995A (ko) * 2014-07-15 2016-01-25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JP2018003085A (ja) * 2016-06-30 2018-01-1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ホルダ、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において基板を搬送する搬送システム、および電子デバイス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377B1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0049B2 (ja)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および表示装置
EP2685313B1 (en) Multi-projection system
KR102277617B1 (ko) 스페클을 감소하기 위해 스크린들을 진동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7171658A (ja) 湾曲液晶表示装置及び湾曲液晶表示装置用反射板または反射シートの形成設置方法
JP4757935B2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US10609472B2 (en) Speaker module and projector
JP2015040918A (ja) 表示装置
KR101975377B1 (ko)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JP200702491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7041218A (ja) 画像表示装置
JP2011164627A (ja)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009284157A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4187271A (ja) 表示装置
JP2010055098A (ja) 投影テレビジョンにおけるレーザ光源のシンチレーションを排除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647500B2 (ja) 背面投射型マルチ画面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集合スクリーン
JP2007127924A (ja) 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JP3818289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背面投射型表示装置
JP3332129B2 (ja)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JP2006065039A (ja) 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用スクリーン装置
JP2005128195A (ja) 3次元表示装置
JP6914208B2 (ja) 表示装置
JP2000180970A (ja) 背面投射スクリーン
JPH0354467Y2 (ko)
JP3240704B2 (ja) 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ター
KR100664319B1 (ko) Dmd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