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895A -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895A
KR20180081895A KR1020170002767A KR20170002767A KR20180081895A KR 20180081895 A KR20180081895 A KR 20180081895A KR 1020170002767 A KR1020170002767 A KR 1020170002767A KR 20170002767 A KR20170002767 A KR 20170002767A KR 20180081895 A KR20180081895 A KR 20180081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direction
ball
support
connec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70002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895A/ko
Publication of KR20180081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륜과,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30)을 구비한 볼베어링에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서 구비되며 상기 볼(30)의 원주 방향 간격이 유지되도록 볼(30)이 삽입되는 복수의 수용부(110)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Retainer for ball bearing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볼의 착탈이 용이하며, 윤활 성능이 향상되고, 볼과 볼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베어링에 이용될 수 있는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프링이 이용된 볼베어링(1)은 축(6)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는 샤프트(2), 샤프트(2)에 대해 편심인 베어링 링(3) 및,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링 갭(4)의 상이한 너비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베어링 링(3)과 샤프트(2) 사이의 볼(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5) 사이에는 중공체인 롤링 바디 케이지(7)가 구비된다. 상기 롤링 바디 케이지(7) 내측에는 스프링 부재(9)가 구비된다. 스프링 부재(9)는 볼(5)을 지지한다.
종래의 스프링이 이용된 볼베어링은 베어링 조립단계가 복잡하며, 그리스의 윤활이 원활하지 않고 베어링 회전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케이지가 손상될 수 있으며, 전동체 사이의 간격이 커 구비되는 볼(5)의 수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0647호(2014.01.0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베어링 회전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그리스의 윤활이 용이하며, 볼과 볼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베어링에도 이용될 수 있는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내륜과,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을 구비한 볼베어링에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서 구비되며 상기 볼의 원주 방향 간격이 유지되도록 볼이 삽입되는 복수의 수용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원호형이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2개의 지지부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용부를 이루는 2개의 지지부 일측 단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지지부와 함께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이웃하는 수용부는 제2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이웃하는 수용부의 지지부의 타측 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부의 길이는 제1 연결부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베어링 회전시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윤활유 유동이 개선되어 윤활성이 향상되며, 볼과 볼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베어링에도 이용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와 원주 방향 양측의 지지부에 의해서도 제1 연결부에 의해서 형성된 수용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또 하나의 수용부인 제2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길이를 다르므로 볼 지름에 따라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선택하여 삽입시켜 조립할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이 이용된 볼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수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수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수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100)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수용부(110)와, 이웃하는 수용부(110)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연결부(117)를 가진다. 상기 수용부(110)에는 볼(30)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100)는 와이어가 소성 변형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재질의 예로 철과 같은 금속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용부(110)는 2개의 지지부(113)와, 제1 연결부(111)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수용부(110)는 제2 연결부(117)로 연결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반경 방향 내향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부(110)는 2개의 지지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13)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원호 형상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면이 원주 방향을 따라 마주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마주하도록 구비된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은 반경 방향 내측이 반경 방향 외측보다 작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은 반경 방향 내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원주 방향 길이가 길어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 사이의 간격은 수용부(110)에 삽입될 볼(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수용부(110)에 삽입된 볼(30)을 원주 방향 양측에서 감싸 상기 지지부(113)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볼(30)의 원주 방향 양측 단부는 상기 지지부(113)를 지나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양단부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원호각이 180°〈θ〈360°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양단부는 그 지지부(113)의 원호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양단부는 리테이너(1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어긋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3)는 원호각이 360°≤θ범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3)의 양단부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어긋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나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원호각은 360°보다 10° 정도 크게 되어 양단의 일부가 오버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113)의 일측 단부는 제1 연결부(111)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연결부(117)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13)의 단부 중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인 일측 단부는 제1 연결부(111)에 연결되고, 지지부(113)의 단부 중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인 타측 단부는 제2 연결부(117)에 연결된다. 반대로 수용부를 형성하는 양 지지부(113)의 일측 단부는 제2 연결부(117)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제1 연결부(1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1)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1)는 상기 마주하는 지지부(11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1)의 양단부는 마주하는 2개의 지지부(113)의 일측 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113) 사이에 제1 연결부(111)가 연결되어 볼(30)이 삽입 가능한 포켓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1)의 길이는 볼(30)의 직경보다 짧게 구비된다. 상기 제1 연결부(111)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수용부(110)에 수용된 볼(30)을 반경 방향 내측에서 외측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연결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부(117)의 양단은 이웃하는 수용부(110)의 지지부(113)의 타측 단부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제2 연결부(117)는 이웃하는 수용부(1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연결부(117)의 길이는 상기 제1 연결부(11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상기 제2 연결부(117)와 양측의 지지부(113)에 의해서도 상기 수용부(110)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용부를 선택하여 볼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연결부(111)와 제2 연결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있어서, 상대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1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일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일측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1)의 단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117)가 형성되며, 제2 연결부(117)의 단부에서 다시 일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113)가 형성되는 공정이 반복되며 지지부(113)의 타측 단부에 제1 연결부(113)의 자유단부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제조의 시작되는 부분이 반드시 지지부(113)일 필요는 없으며 제1 연결부(111)나, 제2 연결부(117)에서 제조가 시작되어도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110 : 수용부 111 : 제1 연결부
113 : 지지부 115 : 포켓부
117 : 제2 연결부 130 : 스프링부

Claims (2)

  1. 내륜과,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볼(30)을 구비한 볼베어링에서,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서 구비되며 상기 볼(30)의 원주 방향 간격이 유지되도록 볼(30)이 삽입되는 복수의 수용부(110)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와이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110)는 원호형이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 2개의 지지부(113)와,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수용부(110)를 이루는 2개의 지지부(113) 일측 단부에 양단이 연결되어 지지부(113)와 함께 수용부(110)를 형성하는 제1 연결부(1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연결부(111)의 길이는 수용부(110)에 수용된 볼(30)의 직경보다 짧아 수용부(110)에 삽입된 볼(30)이 원주 방향 양측에서 감싸져 지지부(113)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웃하는 수용부(110)는 제2 연결부(117)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117)는 이웃하는 수용부(110)의 지지부(113)의 타측 단부에 양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117)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연결부(117)의 길이는 제1 연결부(111)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2. 제1 항에 기재된 볼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일측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111)가 형성되고, 제1 연결부(111)의 단부에서 반대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결부(117)가 형성되며, 제2 연결부(117)의 단부에서 다시 일 방향으로 코일링되어 지지부(113)가 형성되고, 지지부(113)의 단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113)가 형성되는 공정이 반복되며; 지지부(113)의 타측 단부에 제1 연결부(113)의 자유단부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제조 방법.
KR1020170002767A 2017-01-09 2017-01-09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81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67A KR20180081895A (ko) 2017-01-09 2017-01-09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67A KR20180081895A (ko) 2017-01-09 2017-01-09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895A true KR20180081895A (ko) 2018-07-18

Family

ID=6304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67A KR20180081895A (ko) 2017-01-09 2017-01-09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8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3818B1 (en) Bearing with electrical shunt
US8814438B2 (en) Rolling bearing cage, and rolling bearing including the same
EP2541086A1 (en) Retainer for tapered rollers
WO2010066293A1 (en) Cage for rolling bearing, in particular for rolling bearing used in a wind turbine generator.
CN101120185A (zh) 旋转轴装置
KR20150078455A (ko) 볼 베어링 케이지
JP6146013B2 (ja) 転がり軸受用保持器、及びこれを備えた転がり軸受
JP2020528984A (ja) 接続スリーブを有するキャリアハブおよび軸受アセンブリ
CN111164318A (zh) 带有缩短的凸缘的推力轴承保持架
WO2017047506A1 (ja) 複列自動調心ころ軸受
CN106257070B (zh) 滚子轴承,尤其是用于车辆转向系统或车辆轮毂部件的滚子轴承
JP2011007288A (ja) 深みぞ玉軸受およびギヤ支持装置
CN100430618C (zh) 组合轴承组件
KR20180081895A (ko)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24292A (ja) 回転支持部
KR20170010920A (ko)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70093031A (ko)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테이퍼 롤러 베어링
CN214617523U (zh) 对称式滚动球轴承保持架
JP2012189112A (ja) 玉軸受用保持器および玉軸受
US7488114B2 (en) Rolling bearing retainer
JP5376310B2 (ja) 深みぞ玉軸受用の合成樹脂製保持器および深みぞ玉軸受
JP6554831B2 (ja) 円すいころ軸受
JP6914712B2 (ja) 円錐ころ軸受
JP2008286319A (ja) クリーナモータ軸受用合成樹脂製冠型保持器、クリーナモータ用転がり軸受
KR20170023927A (ko) 볼베어링용 리테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