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382A -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382A
KR20180081382A KR1020170002531A KR20170002531A KR20180081382A KR 20180081382 A KR20180081382 A KR 20180081382A KR 1020170002531 A KR1020170002531 A KR 1020170002531A KR 20170002531 A KR20170002531 A KR 20170002531A KR 20180081382 A KR20180081382 A KR 20180081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nroof
main frame
midframe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오
신광식
김문수
백동수
문정민
서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원 filed Critical (주)심원
Priority to KR1020170002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382A/ko
Publication of KR20180081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84Water draining for non-fixed roofs or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은, 미드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을, 상기 미드 프레임에 오버몰드 사출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INTERGRATED SUNROOF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아래의 실시예는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인의 삶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계장치이다. 기존의 자동차에는 차량의 문에 형성되는 창문을 통해서만, 자동차 내부와 외부를 환기할 수 있었다.
최근, 자동차의 고급화와 대중화에 따라,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가 대중화되고 있다. 선루프는 차량의 내부 환기 및 쾌적한 개방감을 사용자에게 느끼게 해주기 위해 자동차에 마련되는 보조 창문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되는데,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 전체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선루프는 자동차의 지붕에 형성되는 오프닝에 배치되는 글라스의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오프닝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선루프는 오프닝의 형상에 대응하는 선루프 프레임을 통해 오프닝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루프 프레임은 오프닝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오프닝의 양측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론트 프레임 및 사이드 프레임은 서로 체결됨으로써, 오프닝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사이드 프레임에는 글라스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설치된다.
또한, 선루프 프레임에는 모터 및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장치가 장착되고, 구동장치의 동력은 와이어와 같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글라스에 전달됨으로써, 글라스를 통한 오프닝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선루프에는 동력전달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부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부를 제조하여 선루프 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공정의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기존의 선루프 프레임은, 각각의 구성을 별도로 제조하고, 각 구성을 결합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는, 구성의 제조 및 연결이 개별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오조립의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각 구성간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선루프 프레임을 제조하는 공정을 최소화 하면서도, 오조립의 문제 또는 누수의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는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82892호는 자동차용 선루프 구동장치에 대한 발명을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선루프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제조 및 연결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선루프 프레임의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조립을 위한 제조 기기가 없이도,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되는 선루프 프레임은, 상기 오프닝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오프닝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미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인서트(insert) 사출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은 스틸(steel)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은 상기 선루프의 구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지지부에는, 상기 구동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구동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선루프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의 제조 방법은,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단계는, 양측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가이드 레일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측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상하면이 교대로 개방되는 구동 삽입구를 포함하는 구동 삽입부가 프론트 프레임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은, 선루프 프레임의 각 구성을 제조하는 동시에 연결함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은, 각 구성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의 상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지지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따른 구동 지지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의 상면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루프 프레임의 저면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지지부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따른 구동 지지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1)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 과정에서 소요되는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루프 프레임(1)은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됨으로써, 선루프를 지탱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선루프 프레임은, 메인 프레임(10),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오프닝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프레임(10)은 오프닝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프론트 프레임(110), 사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110)은, 오프닝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오프닝의 전방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20)은 프론트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프레임(120)은 오프닝의 양 측에,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11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프레임(11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은 한번에 사출성형 됨으로써, 별도의 연결 과정 없이도 하나의 메인 프레임(1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프레임(11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의 연결부위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실런트 도포가 없이도 연결 부위를 통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구동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지지부(130)에는, 선루프를 작동 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지지부(130)는 프론트 프레임(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지지부(130)는, 프론트 프레임(110)의 선단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지지부(130)의 하측에는, 선루프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구동 지지부(130)는 구동 장치를 자동차의 내부 쪽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오프닝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구동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 지지부(130)는, 프론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동 삽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튜브(40)는, 구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와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가이드 튜브 삽임홈(131)은 내부에 가이드 튜브(40)가 삽입됨으로써, 구동 와이어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 지지부(130)는, 구동 삽입구(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개방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개방홈(132)은, 구동 지지부(130)의 상하면, 다시 말해, 구동 삽입구(131)의 상하면에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개방홈(132) 사이에는, 구동 삽입구(13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 부재(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지지부(13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 부재(133)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 지지부(130)에 형성되는 각각의 고정 부재(133)는 각각의 개방홈(132)과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선루프로부터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루프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선루프 프레임(1)의 개구부와 선루프 패널 사이에는 빗물등의 수분이 고일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부(140)는 선루프 프레임(1)으로부터 물을 외부로 드레인(drain)시킴으로써, 물이 차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부(140)에는 드레인 호스(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140)는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부(140)는 사이드 프레임(110)에 사출됨으로써, 사이드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배수부(140)가 사이드 프레임(110)의 후방에 구비되는 경우, 배수부(140)가 사이드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의 방식과 달리 가이드 레일(120)에 배수부(140)를 조립하고, 실런트(silent)를 도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립에 따라 발생하는 별도의 방수 처리를 생략하고, 조립 및 실런트 도포에 따른 공정 소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배수부(14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butylene terephtalate)등일 수 있다.
정리하면, 프론트 프레임(110), 사이드 프레임(120) 및 배수부(140)는 한번의 사출 공정을 통해 하나의 메인 프레임(10)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을 별도로 제조하고, 각 구성을 결합하는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의 제조 과정시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론트 프레임(110), 사이드 프레임(120) 및 배수부(140)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누수 발생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오조립을 예방할 수 있다.
미드 프레임(20)은,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120)을 연결할 수 있다. 미드 프레임(20)은, 예를 들어, 오프닝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양 측이 각각 사이드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드 프레임(20)은 프론트 프레임(110)과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미드 프레임(20)은, 선루프 프레임(1)에 글라스가 설치되는 경우에, 글라스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 및 미드 프레임(20)은 오버몰드(overmould) 사출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드 프레임(20)은 메인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20)에 인서트 사출 성형 됨으로써,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메인 프레임(10) 및 미드 프레임(20)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과, 조립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SPC 장치가 없이도, 메인 프레임(10) 및 미드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레임(10) 및 미드 프레임(20)은 서로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0)은 플라스틱(plastic),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ly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0)은 폴리프로필렌 GF(glass fiber) 45%일 수 있다. 미드 프레임(20)은 선루프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스틸(steel)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드 프레임(120)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20)에는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0)은, 글라스가 오프닝을 개폐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글라스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의 내측 선단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의 내측 선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에 인서트 사출성형(insert molding)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0)은 미드 프레임(20)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10)에 인서트 사출성형 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루프 프레임(1)은 메인 프레임(10)에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이 인서트 사출 됨으로써, 메인 프레임(10),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문제 또는 연결 불량 등의 문제가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을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선루프 프레임(1)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일체형 선루프 제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기재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은, 메인 프레임(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메인 프레임(10)에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은, 메인 프레임(10)을 제조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프론트 프레임(110) 및 프론트 프레임(1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레임(10)은 경량성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프레임(11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은 제조 과정에서 함께 사출 형성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 프레임(11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 또는, 방수 처리를 위한 실런트 도포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에는 선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구동 지지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지지부(130)는 메인 프레임(10)의 제조 과정에서, 사출 성형 됨으로써, 프론트 프레임(10)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반면, 구동 지지부(130)는 메인 프레임과 별도로 제조되고, 프론트 프레임(110)과 조립될 수 도 있다.
구동 지지부(130)는 프론트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구동 삽입구(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삽입구(131)의 상하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삽입구(131)의 개방면의 대향면에는 고정 부재(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삽입구(13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에는 선루프에 유입된 빗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140)는 사이드 프레임(110)의 일측에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배수부(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부(140)가 메인 프레임(10)에 일체로 사출되는 경우, 기존의 배수부(140)의 형성 후 조립과정을 제외함으로써, 공정을 축소하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단계 220은,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을 메인 프레임(10)에 연결할 수 있다. 단계 220은, 메인 프레임(10)에 미드 프레임(20)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221) 및 메인 프레임(10)에 가이드 레일(30)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21은, 미드 프레임(20)을 메인 프레임(10)에 인서트 사출 성형 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드 프레임(20)의 양측은 메인 프레임(10)의 사이드 프레임(12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미드 프레임(20)을 사출 성형 하는 동시에, 미드 프레임(20) 및 사이드 프레임(120)의 연결 공정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드 프레임(20)은 강성이 높은 재질, 예를 들어, 스틸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단계 222는, 가이드 레일(30)을 사이드 프레임(120)의 내측에 인서트 사출 성형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0)은 사이드 프레임(120)에 인서트 사출 성형 됨으로써, 제조와 동시에 메인 프레임(1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레일(30)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3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221 및 단계 222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10)에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이 동시에 사출 성형 됨으로써, 선루프 프레임(1)의 제조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정리하면,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은 메인 프레임(10)에 사출 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조됨으로써, 제조 및 연결 과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레임, 미드 프레임, 가이드 레일을 별도로 제조하는 기존의 공정과 달리, 각 구성들을 지그에 안착 시키기 위한 공정이나, 조립을 위한 공정 또는 기기들, 예를 들어, 미드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을 지그에 안착시키기 위한 로봇, clinching 설비, Self-Piercing Rivet등의 조립 설비등을 생략함으로써, 공정에 소요되는 장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선루프 프레임(1)이 일체로 제조되기 ?문에, 조립을 위한 실런트 도포의 공정이 없이도, 방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은, 메인 프레임(10) 및 미드 프레임(20), 가이드 레일(30)을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각 구성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이 일체로 형성되고, 미드 프레임(20) 및 가이드 레일(30)을 제조와 동시에 메인 프레임(10)에 연결함으로써, 별도 조립을 위한 공정 및 기기를 생략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선루프 프레임
10: 메인 프레임
110: 프론트 프레임
120: 사이드 프레임
130: 구동 지지부
20: 미드 프레임
30: 가이드 레일

Claims (10)

  1. 자동차 지붕에 형성된 오프닝에 설치되는 선루프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오프닝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
    상기 각각의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미드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연결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인서트(insert) 사출되는, 선루프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선루프 프레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은 스틸(steel)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플라스틱(plastic)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선루프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일체로 연결되는, 선루프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루프의 구동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지지부에는, 상기 구동 지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구동 삽입구가 형성되는, 선루프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선루프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일체로 사출되는, 선루프 프레임.
  7. 선루프 프레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양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 및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단계는,
    양측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미드 프레임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가이드 레일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 프레임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을 인서트 사출 성형 하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상하면이 교대로 개방되는 구동 삽입구를 포함하는 구동 삽입부가 프론트 프레임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루프 프레임 제조 방법.
KR1020170002531A 2017-01-06 2017-01-06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1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1A KR20180081382A (ko) 2017-01-06 2017-01-06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531A KR20180081382A (ko) 2017-01-06 2017-01-06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82A true KR20180081382A (ko) 2018-07-16

Family

ID=6304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531A KR20180081382A (ko) 2017-01-06 2017-01-06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3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05A (ko) 2020-05-26 2021-12-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선루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622A (ja) * 1990-04-20 1992-08-04 Daikyo Webasto Co Ltd 車両ルーフのフレーム装置
JP2003011672A (ja) * 2001-07-05 2003-01-15 Nissan Shatai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KR20060034205A (ko) * 2005-07-20 2006-04-21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KR20070049723A (ko) * 2005-11-09 2007-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
KR20140075941A (ko) * 2012-12-11 2014-06-20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선루프용 하이브리드 프레임 차체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2622A (ja) * 1990-04-20 1992-08-04 Daikyo Webasto Co Ltd 車両ルーフのフレーム装置
JP2003011672A (ja) * 2001-07-05 2003-01-15 Nissan Shatai Co Ltd サンルーフ装置
KR20060034205A (ko) * 2005-07-20 2006-04-21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KR20070049723A (ko) * 2005-11-09 2007-05-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
KR20140075941A (ko) * 2012-12-11 2014-06-20 (주)베바스토동희 홀딩스 선루프용 하이브리드 프레임 차체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905A (ko) 2020-05-26 2021-12-03 (주)대한솔루션 자동차용 선루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4601C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US9340096B2 (en) Vehicle and a method of attaching a sunroof assembly to the vehicle
US9878599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including a drain hole
US20100122495A1 (en) Sliding window assembly including a drain hole
EP1486366A2 (en) Automobile door structure
US8882185B2 (en)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roof module
US20090051193A1 (en) Window regula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assembly
US20090064594A1 (en) Structure of Window Opening of Car Door
CN102348564A (zh) 用于安装在机动车辆门中的门模块
US20180354349A1 (en) Door assembly with split carrier module
WO2020216273A1 (en) Vehicle window glass, vehicle window glass assembl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KR20180081382A (ko)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US11772464B2 (en)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door
US10322623B2 (en) Roof closure assembly
US20040183341A1 (en) Open roof assembly for a vehicle, and frame part for application therein
US20230391175A1 (en) Assembly and cover system for a vehicle roof,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assembly for a vehicle roof
US20080030051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guide frame in sunroof apparatus
JP2009262617A (ja) 車両用ドア構造
ITMI20062335A1 (it) Profilato per pannelli di box doccia cabine sauna e simili serramento comprendente tale profilato e metodo per realizzare tale profilato
KR20200088387A (ko) 차량에 대한 도어 부착 방법
KR101619397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US2019029154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roof, modular roof for a vehicle roof, and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KR101877632B1 (ko) 선루프용 실링 조립체
US10787066B2 (en) Vehicle opening part with a projecting trim element
JP4704096B2 (ja) 車両用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