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205A -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205A
KR20060034205A KR1020057013361A KR20057013361A KR20060034205A KR 20060034205 A KR20060034205 A KR 20060034205A KR 1020057013361 A KR1020057013361 A KR 1020057013361A KR 20057013361 A KR20057013361 A KR 20057013361A KR 20060034205 A KR20060034205 A KR 20060034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frame
sliding member
fram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카르도 페레소카
로메로 다리오 소토
아우신 기슬레노 알론소
Original Assignee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그루포 안톨린-인제니리아 에스. 에이.
Priority to KR102005701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205A/ko
Publication of KR20060034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 프레임은 전면부(B) 및 트래블러가 이동하는 두 개의 측면부(A)로 이루어진 단일체를 형성하도록 사출에 의해서 제조된다. 상기한 트래블러는 케이블 루트 시스템을 통해서 구동드럼에 연결되는 케이블(2)에 의해 작동된다.
선루프, 자동차, 지지 프레임, 케이블

Description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Supporting Frame for Automobile Sunroof}
본 발명은 자동차용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이 메커니즘에 따라 작동할 때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에 의해서 선루프가 닫혀지거나 열려지도록 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모든 선루프 작동 메커니즘은 케이블을 미는 방식이다.
여러 형태의 밀대형 케이블이 있는바, 이동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는 랙, 치차벨트 등의 웜기어와 같은 치차부재일 수가 있다.
자동차 본체에 대한 메커니즘을 지지하고 이에 결합하기 위한 프레임에 대해서는 현재 여러 제조 방법이 있다.
몇몇 시스템에 있어서는 측면 가이드를 인젝션에 의해 만들어지는 전면 부품과는 독립적으로 압출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가이드는 금속으로서 후가공하여 플라스틱 전면 부품에 부착된다.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는 연속 금속 프레임이 압출된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모서리에 있는 과잉의 금속을 절단하여 모서리가 지지 프레임의 U형태를 이루도록 구부린다.
이러한 방법들은 주로 밀대형 케이블을 사용하여 밀대형 케이블이 가이드되도록 채널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현재의 모든 방법은 필요한 모든 오리피스(orifice)를 제공하고 필요한 형태의 모양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지 프레임의 연속적인 가공이 요구된다.
압출한 후에 벤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내후성 보드로서 작용하는 추가적인 전면 부품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모든 경우에는 측면 및 전면의 내후성 보드가 연속적이지 않고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에 방수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는 항상 내후성 보드의 후면을 계속하여 밀폐하고, 모인 물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채널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이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피봇을 정지시키기 위한 몇 개의 부품이 추가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후속공정이 필요없이 케이블 트랙 시스템에 적합한 것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는 자동차 선루프용의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면의 슬라이딩부재가 성형품에서 안내되도록 한 기하학적 구조를 가진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가이드의 후단부 표면에 홈을 형성시켜서 슬라이딩부재가 수직으로 장치되도록 한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얻기 위해서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출하여 제조됨으로써 프레임이 전면 부품과 측면 슬라이딩부재 가이드 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단일공정에 의해서 제조됨으로써 어떠한 후 가공, 리벳팅, 솔더링, 글루잉 등이 필요하지 않다.
프레임의 전면은 케이블 작동모터와 연결되도록 돌출부와 협동한다. 이 돌출부는 모터와 연결된 케이블 드럼을 덮는 커버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프레임은 케이블에 의한 트랙이 제공되어 프레임에 형성된 몇 개의 루트지점 사이에 직선 라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가이드 채널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단일 부품으로 만들어진 지지 프레임은 전면 부품을 가이드에 결합하거나 또는 내후성 보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방수가 확실히 이루어진다.
측면을 따라 주행하고 선루프의 이동을 유발하는 슬라이딩부재는 수직으로 측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를 위해 측면의 후단부 수평 세그먼트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지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료 또는 금속합금이 편의에 따라 사용된다.
사출 지지 프레임이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조될 경우에는, 배수구 및 드레인 튜브를 메커니즘의 멈춤과 동시에 프레임에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택사양에 있어서는 자동차 본체와 결합되는 부싱 및 필요할 경우의 크로스바를 제외한 어떠한 보조부품도 필요치 않게 된다.
사출 지지 프레임을 금속합금으로 만들 경우에는 경로의 케이블과 프레임 사이에 원하지 않는 마찰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 부품을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된 프레임의 오리피스 내에 있는 프레임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루트는 또한 이들의 정확한 위치에 따라서 배수 덕트와 협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프레임은 상당히 무게가 감소된 조립체를 제공할 수가 있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자동차 패널에 장착하는 공간을 많이 감소시키고 단일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프레임의 순환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방 모서리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전방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측면 단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사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지 프레임의 저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은 선루프를 구성하는 부품과 연계되어 있다. 이들 부품 중에는 한 측면(A)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재(3)가 있다. 이들 측면은 전면(B)과 함께 프레임을 형성한다.
지지 프레임은 일체형으로 만들어지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 부재로서 케이블(2)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블은 전면(B)의 중앙부에 있는 돌출부(C) 하부에 위치한 드럼모터 조립체와 연결되어 있다.
전면(B) 및 측면(A)의 네 단부(4, 6)는 케이블(2)의 대응하는 안내채널과 협동한다. 측면(A) 및 전면(B)에는 본체와 결합하기 위한 오리피스(21)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단지 하나의 오리피스만을 보여주고 있다.
케이블(2)은 세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제 1 세그먼트는 모터드럼으로부터 나와서 모서리(4)에 위치한 안내채널을 지나는 트랙 슬라이딩부재(3)에 연결된다. 이 케이블의 슬라이딩부재(3)와 연결된 단부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어서 케이블의 인장력을 작동범위 내에 유지시킨다.
다른 하나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상기한 슬라이딩부재로부터 모서리(4)에 위치한 안내채널에 연결된다. 슬라이딩부재(3)와 결합된 이 케이블의 단부는 스프링을 또한 구비하고 있어서 케이블의 인장력을 작동범위 내에 유지시킨다.
마지막 하나의 케이블 세그먼트는 상기한 슬라이딩부재로부터 모서리(4)를 돌아서 단부(5)의 안내채널과 연결된다. 이 모서리에서, 상기한 채널과 다른 안내채널을 통과하여 제 2 트랙 슬라이딩부재의 하우징에 위치한 러그에 연결될 때까지 대응하는 루트를 통과하는 모서리(6)에 연결된다. 이 케이블 세그먼트의 어떠한 단부에도 스프링은 구비되지 않는다.
제 3 케이블 세그먼트는 시발점에 스프링이 연결된 마지막 슬라이딩부재를 출발하여 전면 단부(6)를 향하고 있는 측면 단부(7)의 루트를 지나는바, 이 루트는 모터드럼과 연결되어 회로를 완성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의 단부(7)를 안내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를 드럼에 연결하는 제 3 케이블 세그먼트(10)가 전면의 모서리(6)에 구비되어 있다. 이 케이블 세그먼트(10)는 측면에서 루트(8)를 통과한다.
제 2 케이블(11)은 다른 전면 모서리(4)를 나와서 슬라이딩부재를 향하고 모서리(6)에서 루트(9)를 통과한다.
지지 프레임의 모서리(4)에는 다른 두 개의 루트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를 통해 제 1 및 2 세그먼트가 통과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에는 드레인 튜브(12)가 지지 프레임(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오리피스(21)가 본체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오리피스는 프레임에 형성된 부싱 형태의 금속 인서트를 고정하고 있는 스크류를 통과한다.
도 3은 상기한 케이블(10, 11)을 나타내고 있는바, 케이블(10)은 드럼의 위치를 통과하고, 케이블(11)은 반대편의 모서리를 향하고 있다.
드레인 튜브(12)의 위치를 도 3에서 명확히 알 수가 있다.
도 4에 나타낸 금속합금은 지지 프레임의 하나의 측면(A)에 위치한 모서리(7)를 나타내고 있는바, 케이블용 루트(15)와 드레인 튜브(16)가 설명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루트와 드레인 튜브가 일체형으로 제공된 탭(17)에 의해서 프레임에 고정된 하나의 보조부품을 형성하는바, 이는 프레임(ad hoc)으로 만들어진 오리피스와 결합한다. 루트는 단일 또는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하나 또는 두 개의 케이블용 채널이 모서리(4, 6) 또는 단부(5, 7)에 따라서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출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지 프레임의 경우, 사추로서 직접 형성되기 때문에 다른 보조부품은 필요가 없다.
도 4에는 지지 프레임의 채널(19)이 나타나 있는바, 이를 통해 슬라이딩 탭 및 모바일 라이닝이 주행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라이닝과 프레임 개구부 사이에는 가스켓이 주행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리피스(20)가 지지 프레임의 측면에 제공되는바, 특히 채널(21)의 상부에 수평으로 제공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가 수직으로 장착되게 한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한 것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지지 프레임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는바 터렛(18)이 채널 단부의 루트를 한정하고 있어서 케이블(10, 11)이 프레임의 모서리(6)에 있을 경우에 이를 통해 케이블이 주행하게 된다.
다른 형태로 유사한 터렛(18)이 측면(A)의 단부(5, 7)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의 다른 모서리(4)에 제공된다.

Claims (5)

  1. 전면(B)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부재(3)가 주행하는 전면의 각 단부에는 두 측면(A)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체(1)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딩부재는 구동요소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으로 작용하는 케이블에 의해서 구동되며, 프레임의 가이드 채널을 따라 주행하되 지지 프레임에는 배수구로서 전면부품이 구비되어 있고 프레임을 자동차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메커니즘 피봇 및 탭용 정지자가 구비되어 있는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1)은 일체형으로 사출로 제조되며 전면(B), 두 개의 측면(A), 전면 중앙의 연장부(C), 및 자동차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오리피스 및 메커니즘 피봇에 대한 정지자가 포함된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슬라이딩부재(3)의 구동요소는 케이블(2)로 되어 있으며; 전면의 연장부(C)는 구동모터를 수용하고, 영역(13)에 부착되어 케이블 드럼의 커버(14)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케이블(2)은 슬라이딩부재(3)와 전면(B)의 모서리(4, 6) 및 측면의 단부(5, 7) 사이의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자유롭게 주행되도록 되어 있으며, 모서리 및 단부에는 케이블용 루트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의 단부(5, 7)에는 상부의 수평 측벽에 홈(20)이 형성된 측면 채널이 구비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부재(3)가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케이블 루트 및 드레인 튜브가 프레임을 포함한 단일 부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이 금속합금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루트(15) 및 드레인 튜브(16)가 이를 포함하고 탭(17)에 의해서 프레임 내의 오리피스에 고정되는 보조 부품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2)이 세 개의 케이블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고, 드럼으로부터 하나의 슬라이딩부재(3)까지 주행하는 제 1 세그먼트는 전면 모서리(4)를 통과하며 단부에는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면의 루트를 통과하는 슬라이딩부재(3)와 결합된 제 2 세그먼트는 상기한 모서리와 다른 모서리(4)의 다른 루트로 이어진 다음, 대응하는 루트에 의해서 다른 슬라이딩부재와 연결된 다른 전면 모서리(6)에 이르도록 되어 있으며; 스프링을 포함한 슬라이딩부재로부터 주행하는 제 3 세그먼트는 이에 결합하여 있고, 이 측면의 루트(7)를 지나서 상기한 것과 다른 전면 모서리(6)에 위치한 다른 루트로 되돌아 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중간 루트가 필요할 경우에 전면 모서리 및 측면 단부의 루트에 추가하여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KR1020057013361A 2005-07-20 2003-05-20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KR20060034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3361A KR20060034205A (ko) 2005-07-20 2003-05-20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13361A KR20060034205A (ko) 2005-07-20 2003-05-20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205A true KR20060034205A (ko) 2006-04-21

Family

ID=3714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61A KR20060034205A (ko) 2005-07-20 2003-05-20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42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82A (ko) * 2017-01-06 2018-07-16 (주)심원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382A (ko) * 2017-01-06 2018-07-16 (주)심원 일체형 선루프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585A (en) Sliding window regulator
US5114208A (en) Sliding mechanism for sunroof
JPS58105822A (ja) 自動車窓硝子の案内装置
JPH04212623A (ja) 車両のスライドルーフまたはスライドチルトルーフのフレーム
JPH01163387A (ja) テープ駆動パワーウィンドウ・モジュール
JP5598263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US9797177B2 (en) Window assembly with movable pane
EP1634747B1 (en) Sunroof support frame for motor vehicle
JPS59199319A (ja) 高さ調節自在な窓ガラスのための窓構造
US9079475B1 (en) Panoramic sunroof assembly
US6830291B2 (en) Guide rail for a driver
US20050073177A1 (en) Guide rail system for a moveable sunroof system including a sunshade and method of producing a guide rail system for a moveable sunroof system
ATE338649T1 (de) Rahmen für ein fahrzeug-schiebedach oder- schiebehebedach
US20170268272A1 (en) Window assembly with a movable pane and a defrost assembly
KR20060034205A (ko) 자동차 선루프용 지지 프레임
EP0985795A1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window member
JP6383375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US5188420A (en) Guide rail device of sun-roof
KR900005832B1 (ko) 차량의 지붕개폐용 황부재의 배설구조
GB2327644A (en) Drive mechanism for a cover part of a vehicle roof
JP2019172134A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US20080030051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guide frame in sunroof apparatus
WO2019093485A1 (ja) 車両ドアのスライダ構造
EP3168072B1 (en) Frame of a sunroof arrangement and/or of a vehicle shading system
US4883313A (en) Vehicle sunro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