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348A -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348A
KR20180081348A KR1020170002482A KR20170002482A KR20180081348A KR 20180081348 A KR20180081348 A KR 20180081348A KR 1020170002482 A KR1020170002482 A KR 1020170002482A KR 20170002482 A KR20170002482 A KR 20170002482A KR 20180081348 A KR20180081348 A KR 20180081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dry ice
hopper
air flow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상철
김하섭
Original Assignee
(주)위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비즈 filed Critical (주)위비즈
Priority to KR1020170002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1348A/ko
Publication of KR20180081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1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liquid gases or supercritical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4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 combination of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수납하는 호퍼, 일단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유동관, 호퍼와 압축공기 유동관 사이에 배치되어 호퍼로부터 압축공기 유동관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 및 압축공기 유동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압축공기 유동관 상에는 벤투리가 형성되고, 펠릿 공급부는 벤투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펠릿 공급부에는 막힘방지수단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DRY ICE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와 함께 분사하여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는 압축공기를 통해 드라이아이스 입자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각종 기계장치, 설비물 등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주는 장비이다.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통해 드라이아이스 입자가 고속으로 분사되어 피세척물의 표면에 충돌하면,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면서 수백배 가까이 팽창하여 오염물질을 분리하게 된다. 또한, 승화열에 의해 오염물질이 수축되는 열충격과, 압축공기에 의해 고속으로 충돌하면서 인가되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서도 오염물질이 분리, 세척되게 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아이스 세척 방식에 의하면, 여타의 세척 방식과 달리 세척면에 아무런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이물질만 제거하고 제2차 오염물이나 수분 등을 남기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피세척물, 즉 세척되는 장비 또는 설비의 수명이 연장되고, 세척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재래식 세척에서 발생했던 2차 오염물을 수집, 처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운영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분사식 세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라이아이스 펠릿(P)이 호퍼(30) 내에 투입되면 배출구(31)를 통해 드라이아이스 펠릿(P)이 하강하면서 배출되고, 배출구(31)를 통해 분배블록(40)의 펠릿 공급구(41)로 하강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P)은 펠릿 공급구(41)에 대향하는 분배 디스크(45)의 관통공(45a)에 공급된다. 이후, 분배 디스크(45)의 관통공(45a)에 수용된 드라이아이스 펠릿(P)은 분배 디스크(45)가 회전 샤프트(5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면서 중심축(45b)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타측의 압축공기 공급구(42)와 압출공기 유출구(43) 사이의 위치로 이송되며, 압축공기 공급구(42)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분배 디스크(45)의 관통공(45a)을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강한 압력으로 통과함에 따라 압축공기 유출구(43)로 드라이아이스 펠릿(P)을 밀어낸다.
이처럼,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서는 드라이아이스 펠릿(P)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분배 디스크(45)를 구비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해 구동 모터(51), 감속기(52), 그 밖의 기어 장치 등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 감속기 등은 그 부피와 중량이 크기 때문에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가 필연적으로 대형화될 수 밖에 없고, 구동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원활히 분사시키기 위해 대용량의 컴프레서가 필요하여 소규모 작업장에서는 사용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동 모터, 감속기를 구비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전력의 공급이 불필요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용량의 컴프레서로도 구동이 가능하여 가정이나 작은 규모의 작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와 함께 피세척물에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는 장치로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수납하는 호퍼, 일단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유동관, 호퍼와 압축공기 유동관 사이에 배치되어 호퍼로부터 압축공기 유동관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 및 압축공기 유동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압축공기 유동관 상에는 벤투리가 형성되고, 펠릿 공급부는 벤투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펠릿 공급부에는 막힘방지수단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막힘방지수단은 호퍼에서 압축공기 유동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다 넓어지는 넥(neck)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는 일단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컴프레서로부터 막힘방지수단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막힘방지수단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펠릿 공급부에는 통로의 개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단부재는 에어 실린더 또는 수동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의 일면에는 2단 경사부가 형성되되, 하단 경사부는 45도 이상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호퍼는 적어도 일부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호퍼의 외측면에 진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펠릿 공급부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동관에 벤투리를 형성함으로써 펠릿 공급부로부터의 펠릿 공급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역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펠릿 공급부에 넥부 또는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막힘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막힘을 방지하고 펠릿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구동 모터, 감속기 등을 구비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로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전력의 공급이 불필요한 무전원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며, 제조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는 작은 용량의 컴프레서로도 구동이 가능하여 가정이나 작은 규모의 작업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은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100)는 호퍼(110), 펠릿 공급부(120), 압축공기 유동관(130) 및 노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퍼(110)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수용하기 위해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호퍼(110)의 일면과 타면은 각기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퍼(110)의 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그에 대향하는 호퍼(110)의 타면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호퍼(110)의 경사진 일면은 2단의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단 경사부는 큰 경사도,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자중에 의해 펠릿 공급부(120)로 원활히 낙하,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단 경사부는 이보다 작은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보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110)의 일면에 2단 경사부를 둠으로써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보관 용량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중 낙하에 의한 원활한 펠릿 공급을 실현시킬 수 있다.
호퍼(110)는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가 낮은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호퍼(110) 전체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미끄러져 낙하하는 호퍼(110)의 경사부만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호퍼(110)가 플라스틱 등의 열전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호퍼(1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해 수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엉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호퍼(110)의 외부에는 진동수단(111)이 설치될 수 있다. 진동수단(111)은 호퍼(110)로 진동을 전달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 상호 간의 엉킴을 방지하고,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하방으로 진행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을 촉진시킨다. 이를 위해, 진동수단(111)은 저온에서도 안정되게 작동되는 전동 바이브레이터(vibrato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퍼(110)의 하단에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엉킴이 발생하는 경우가 주로 문제가 되는 점을 고려하여, 호퍼(110)의 하단의 외측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진동수단(111)으로는 바이브레이터 이외에 에어 해머(air hammer)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펠릿 공급부(120)는 호퍼(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호퍼(110)에서 낙하, 공급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 공급부(120)는 넥(neck)부(121)를 구비하여 호퍼(110)의 하단에서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다 다시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상용화되어 있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두께가 통상 3mm인 점을 고려하여, 넥부(121)의 단면 직경은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예를 들어 4mm 내지 5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호퍼(110)에서부터 자중에 의해 낙하하는 형태로 펠릿 공급부(120)를 거쳐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공급되는데,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공급 도중 엉겨붙거나, 펠릿 공급부(120) 내부 또는 압축공기 유동관(130)과의 연결부 중 통로가 좁아지는 곳에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에 의해 통로가 막히는 등의 이유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막힌 부분을 찾아 수동으로 막힘을 제거하거나, 막힘이 제거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세척장치를 구동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는 모두 작업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 연속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펠릿 공급부(120)의 중간에 넥부(121)를 형성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막힘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호퍼(110)의 하단에서 펠릿 공급부(120)의 넥부(121)에 이르기까지 펠릿 통로의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다가 이후로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넥부(121)를 통과한 드라이아이스 펠릿은 병목 현상 등에 따른 막힘 없이 원활히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만약, 넥부(121)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진동장치(111)를 통해 넥부(121)와 가까이 배치된 호퍼(110)의 하단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넥부(121)에서 막힘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장치(111)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막힘을 제거하기 위해 넥부(121)를 호퍼(110)의 하단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 유동관(130)은 압축공기를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함께 노즐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의 기능을 한다.
압축공기 유동관(130)의 일단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1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압축공기와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분사하는 노즐(150)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공기 유동관(130)에 연결되는 컴프레서(140)로 소용량의 컴프레서, 예를 들어 10마력 이하의 컴프레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유동관(130)에는 벤투리(venturi)(131)가 형성되고, 벤투리(131)에 인접하여, 바람직하게는 벤투리(131)의 후단부에 펠릿 공급부(120)가 연결된다.
압축공기 유동관(130) 상에 형성된 벤투리(131)에서는 단면적이 작아지는 중앙부에서 압축공기의 유동 속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내부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이에 의해 펠릿 공급부(120)에서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흡입력이 발생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압축공기 유동관(130) 내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벤투리(131)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역류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 공급부(120)에 단면적이 작아지다 넓어지는 넥부(121)를 형성하고, 압축공기 유동관(130)에 벤투리(131)를 형성하여 펠릿 공급부(120)와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구동 모터 등이 없는 간단한 구조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를 전원이 불필요한 무전원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규모 작업장 등에서 사용하는 소용량의 컴프레서와 연결하여도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100')는 도 2의 세척장치(100)와 기본 구조가 동일하되 펠릿 공급부(120)에 차단부재(123)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펠릿 공급부(120)의 차단부재(123)는 펠릿 공급부(120)의 하단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넥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펠릿 공급부(120)에서 압축공기 유동관(130)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단부재(123)는 에어 실린더 또는 수동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펠릿 공급부(120)의 차단부재(123)에 의해, 펠릿 공급부(120)와 압축공기 유동관(130)의 연결 부위에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엉겨 붙는 등의 이유로 막힘이 발생할 때 차단부재(123)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을 차단한 후 컴프레서(140)에서 압축공기만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막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23)의 개구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세척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200)는 호퍼(210), 펠릿 공급부(220), 압축공기 유동관(230), 노즐(250) 및 압축공기 공급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호퍼(2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호퍼(110)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호퍼(210)의 일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그에 대향하는 호퍼(210)의 타면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진 호퍼(210)의 일면은 2단의 경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호퍼(210)는 적어도 일부가 열전도가 낮은 소재,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호퍼(210)의 외부에는 진동수단(21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 공급부(220)는 넥부(121)를 두고 자중에 의한 낙하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제1 실시예의 펠릿 공급부(120)와 달리 별도의 흡입수단(221)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호퍼(210)에서 인입되는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 유동관(230)으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펠릿 공급부(220)의 흡입수단(221)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안다 효과란 유체가 만곡면을 흐를 때 그 표면에 밀착하여 흐르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수단(221)에서는 컴프레서(240)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관(260)을 통해 흡입수단(221)의 일측에 공급되는 소량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호퍼(210)의 하단부에서 압축공기 유동관(230)을 향하는 방향으로 고속의 압축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수단(221)은 상부쪽(호퍼쪽)이 하부쪽(압축공기 유동관쪽)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압축공기 공급관(260)과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흡입수단(221)의 내부는 관통공을 통해 인입되는 압축공기가 코안다 효과에 의해 하부쪽으로 내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 유동관(230)으로 원활히 공급하고 그 과정에서 통로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흡입수단(221)의 내부 구조는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며, 이는 공지의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는 바, 내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펠릿 공급부(220)의 흡입수단(221)이 압축공기 유동관(23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펠릿 공급부(220)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호퍼(210)의 하단과 압축공기 유동관(230)을 수직으로 연결하고, 흡입수단(221) 역시 압축공기 유동관(230)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공기 유동관(23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의 압축공기 유동관(130)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압축공기 유동관(230)의 일단은 컴프레서(240)에, 타단은 노즐(250)과 연결되고, 펠릿 공급부(22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벤투리(2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유동관(230)에 형성된 벤투리(231)의 중앙부에서는 압축공기의 유동 속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내부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흡입력이 발생하여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압축공기 유동관(230) 내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고, 이로 의해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압축공기 유동관(23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역류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200)에서도 도 3에서와 같은 차단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펠릿 공급부(220)에서 압축공기 유동관(230)과 인접한 부분에 차단부재를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통로에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엉겨 붙는 등의 이유로 막힘이 발생할 때 차단부재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을 차단한 후 압축공기를 통해 막힘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의 개구 정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세척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보관되는 펠릿과 컴프레서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는 압축공기 유동관 사이에 펠릿 공급부를 형성하되, 펠릿 공급부에는 넥부 또는 흡입수단과 같은 막힘방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압축공기 유동관과의 연결부에서 펠릿의 막힘을 방지하고 펠릿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유동관에서 펠릿 공급부와의 연결부에 벤투리를 형성함으로써 압력의 차이에 의해 드라이아이스 펠릿이 원활히 공급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역류를 방지하고 원활한 공급을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별도의 분배 디스크, 구동 모터, 감속기 등을 필요로 하지 않아 무전원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규모 작업장이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용량의 컴프레서와 연결하여도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100', 200: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110, 210: 호퍼
111, 211: 진동수단
120, 220: 펠릿 공급부
121: 넥부
123: 차단부재
130, 230: 압축공기 유동관
131, 231: 벤투리
140, 240: 컴프레서
150, 250: 노즐
221: 흡입수단
260: 압축공기 공급관

Claims (8)

  1.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압축공기와 함께 피세척물에 분사하여 세척할 수 있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로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수납하는 호퍼,
    일단이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유동관,
    상기 호퍼와 상기 압축공기 유동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압축공기 유동관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을 공급하는 펠릿 공급부 및
    상기 압축공기 유동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드라이아이스 펠릿과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유동관 상에는 벤투리가 형성되고, 상기 펠릿 공급부는 상기 벤투리의 후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펠릿 공급부에는 막힘방지수단이 형성되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방지수단은 상기 호퍼에서 상기 압축공기 유동관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다 넓어지는 넥(neck)부를 포함하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컴프레서에 연결되어 상기 컴프레서로부터 상기 막힘방지수단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막힘방지수단은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는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릿 공급부에는 통로의 개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드라이아이스 펠릿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에어 실린더 또는 수동밸브로 이루어지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일면에는 2단 경사부가 형성되되며, 하단 경사부는 45도 이상의 경사를 갖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적어도 일부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외측면에 진동수단이 설치되는,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1020170002482A 2017-01-06 2017-01-06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20180081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82A KR20180081348A (ko) 2017-01-06 2017-01-06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482A KR20180081348A (ko) 2017-01-06 2017-01-06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348A true KR20180081348A (ko) 2018-07-16

Family

ID=6304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482A KR20180081348A (ko) 2017-01-06 2017-01-06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134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575A (ko) * 2006-05-25 2007-11-29 (주)빅텍스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CN102841182A (zh) * 2012-09-24 2012-12-26 重庆大学 干冰清洗试验机
KR20130044128A (ko) * 2011-10-21 2013-05-02 쇼와덴코가쓰푸로다쿠쓰 가부시키가이샤 숏블라스트 장치
JP2013224852A (ja) * 2012-04-20 2013-10-31 Toyo Union:Kk 汚染物質除去装置
KR101538471B1 (ko) * 2015-03-24 2015-07-22 (주)위비즈 드라이아이스 분사식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3575A (ko) * 2006-05-25 2007-11-29 (주)빅텍스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20130044128A (ko) * 2011-10-21 2013-05-02 쇼와덴코가쓰푸로다쿠쓰 가부시키가이샤 숏블라스트 장치
JP2013224852A (ja) * 2012-04-20 2013-10-31 Toyo Union:Kk 汚染物質除去装置
CN102841182A (zh) * 2012-09-24 2012-12-26 重庆大学 干冰清洗试验机
KR101538471B1 (ko) * 2015-03-24 2015-07-22 (주)위비즈 드라이아이스 분사식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3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 ice blasting
JP6091057B2 (ja) 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JP6253249B2 (ja) 空気式固形材移送ポンプ
US6536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sure-driven ice blasting
JP4313174B2 (ja) ワイヤソー
KR20180081348A (ko)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CN210647553U (zh) 干冰清洗喷嘴及干冰清洗机
KR100781588B1 (ko) 드라이아이스 세척장치
KR101464068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에어컨세척기
CN108838901A (zh) 去除喷涂挂具表面涂层的装置及方法
WO2022181666A1 (ja) エアノズル
KR20060101108A (ko) 여과집진기의 탈진장치
TWM498632U (zh) 乾冰清洗設備
JPH11347946A (ja) 直圧式連続研磨材供給・噴射方法及び装置
JP2000052251A (ja) ブラスト装置
JP3547522B2 (ja) 排気タービン過給機の洗浄装置
JP2020146656A (ja) ドライアイス洗浄機のノズル
JPH0120037B2 (ko)
US6966819B2 (en) Injecting an air stream with sublimable particles
TWM525433U (zh) 乾冰清洗設備
KR102371491B1 (ko) 세정 또는 제염효율이 향상된 드라이아이스 세정장치
JP2004154901A (ja) 連続研磨材供給・噴射方法及び装置
KR20070063707A (ko) 드라이아이스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식세정장치
KR200355153Y1 (ko) 드라이 아이스 세정기의 드라이 아이스 공급장치
KR20190134716A (ko) 물-연마제 현탁액 절단 시스템 및 물-연마제 현탁액 절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