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867A - 가변형 후드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후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867A
KR20180079867A KR1020170000561A KR20170000561A KR20180079867A KR 20180079867 A KR20180079867 A KR 20180079867A KR 1020170000561 A KR1020170000561 A KR 1020170000561A KR 20170000561 A KR20170000561 A KR 20170000561A KR 20180079867 A KR20180079867 A KR 2018007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riving unit
unit
duc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082B1 (ko
Inventor
장진혁
안중근
한창희
홍광석
박춘호
정지혜
강민규
이찬용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0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1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fo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후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열 기구 상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배출 덕트를 구비하는 후드 커버; 상기 배출 덕트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한 연결 덕트; 상기 연결 덕트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연결 덕트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 일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부; 상기 유입구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하강 동작시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비산방지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후드장치{variable hood apparatus}
본 발명은 가변형 후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사용되는 가열 기구(레인지) 등의 상단부분에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배기하기 위한 후드가 구비된다.
조리대 상에 구비되는 가열 기구의 상부에 후드가 위치하여, 조리시 조리 기구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후드에 구비되는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하여 배기하게 된다.
그러나, 후드장치는 가열장치와 상당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되기에,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가 후드로 유입되어 완전히 배출되기가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사용자의 평균 신장의 상승, 주거 환경 개선에 따른 조리대의 대형화 등으로 인하여 레인지와 후드 사이의 간격은 점점 넓게 설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가 상승하며 확산되어, 후드에 의해 제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을 살피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레인지 후드 장치는 복수개의 유입구를 구비하며, 각각의 유입구를 별개로 승하강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다수의 가열부를 구비하는 가열 기구에서 조리되는 조리기구의 위치에 상응하는 유입구를 하강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집중적인 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레인지 후드장치는 조리물의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조리물의 비산 현상이나, 가스에 포함되는 냄새입자 또는 미세먼지를 완전히 배출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20-0447944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를 보다 근접하여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조리물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가변형 후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열 기구 상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배출 덕트를 구비하는 후드 커버; 상기 배출 덕트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한 연결 덕트; 상기 연결 덕트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연결 덕트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 일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부; 상기 유입구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하강 동작시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비산방지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한 상기 유입구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리고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추가로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비산방지부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의 가스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유입구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분이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면, 추가로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비산방지부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의 가스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분이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비산방지부를 하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의 집중적인 배출 및 필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비산을 방지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 및 필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투시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측면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가변형 후드장치의 동작을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는, 후드 커버(10), 연결 덕트(120), 유입구(110), 비산방지부(130), 제1구동부(121), 제2구동부(131)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후드 커버(10)는 조리기구 등을 가열하여 조리가 가능한 가열 기구(1) 상측에 위치한다.
후드 커버(10)는 가열 기구(1)의 상측에서 가열 기구(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그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측에 배출 덕트(20)가 연통되어 위치한다.
배출 덕트(20)의 내부에는 팬(21)이 구비될 수 있다.
연결 덕트(120)는 배출 덕트(20)와 연통되어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덕트(20)는 덕트 연결부(11)를 통하여 배출 덕트(20)와 연결될 수 있으나, 후드 커버(10) 및 배출 덕트(20)의 형태나 구조에 따라 연결 덕트(120)와 배출 덕트(20)가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덕트(120)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 형태로 구성되고, 그 외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 예를 들면 텔레스코픽 구조 등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 또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유입구(110)는 연결 덕트(120)의 일측 즉, 연결 덕트(120)의 가열 기구(1)를 행하는 측에 설치되며, 가열 기구(1)를 사용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된다.
유입구(110)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나, 발생하는 가스의 수집 및 유입이 용이하도록 연결 덕트(120)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반대측으로 점점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10)가 상기와 같이 연결 덕트(120)의 일측에 위치하므로, 상기한 연결 덕트(120)의 길이 조절에 따라 유입구(110)의 위치가 조절된다.
한편, 유입구(110)의 개구된 부분에는 필터(112)가 위치하여,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되는 가스를 필터링 하여 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 냄새입자 또는 유분을 제거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유입구(110)의 개구부 내주면에는 걸림홈(111)이 형성되어, 필터(112)부가 걸림홈(111)을 통하여 유입구(110)에 손쉽게 탈착이 가능하다.
제1구동부(121)는 연결 덕트(120) 일측에 위치하여, 연결 덕트(12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제1구동부(121)는 연결 덕트(1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덕트(120)의 내면에 설치되는 래크(123) 및 래크(123)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22)가 구비되어, 피니언 기어(122)와 연결된 모터(124)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피니언 기어(122)의 회전에 의한 래크(123)의 승하강동작에 따라 연결 덕트(120)의 길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은 연결 덕트(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에 따라, 연결 덕트(120) 일측에 위치한 유입구(110)의 승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비산방지부(130)는 유입구(110)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비산방지부(130)는 유입구(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유입구(110)의 외주연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비산방지부(130)가 하강동작하면, 비산방지부(130)는 유입구(110)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즉, 비산방지부(130)는 하강한 상태에서, 유입구(110)보다 가열 기구(1) 측에 근접하도록 위치한다.
제2구동부(131)는 유입구(110)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비산방지부(130)의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구동부(131)는 비산방지부(130)의 승하강 동작을 위한 여러 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일례로, 상기 제1구동부(121)와 같이, 제2구동부(131)는 비산방지부(130)의 내면에 위치하는 래크(133) 및 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32)가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132)와 연결된 모터(134)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는 피니언 기어(132)의 회전에 의한 래크(133)의 동작에 따라 비산방지부(130)가 승하강 동작한다.
센서부(13)는 후드 커버(10)의 일측에 위치하여, 가열 기구(1) 측, 즉 조리시에 가열 기구(1)에 놓여진 조리 기구(2)로 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한다.
센서부(13)의 위치는 상기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열 기구(1) 측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감지가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구동부(121) 및 제2구동부(131)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와 같은 제어는, 상기 센서부(13)에서 인가되는 가스의 감지여부 또는 감지되는 가스의 성분에 따라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3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조작부(12)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신호에 따라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31)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이하,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부(12)의 조작을 통한 가변형 후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2)를 통하여 기설정된 모드의 조작을 통하여 선택된 모드의 조작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된다.
상기 기설정된 모드는,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시 기름의 비산, 냄새 및 미세먼지의 발생이 많은 구이 또는 튀김류의 경우 구이/튀김 모드로, 그외 조리의 경우로서, 조리시 기름의 비산, 냄새 및 미세먼지의 발생이 비교적 적은 일반 모드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조리되는 음식에 따른 가스발생량이나, 조리되는 음식물의 특징에 따라 확장 또는 변경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작부(12)에 의한 가변형 후드장치의 동작을, 상기한 일반모드 구이/튀김 모드를 예시로 하여 설명한다.
제어부는 조작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31)를 제어한다.
조작부(12)에서 일반 모드로의 조작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되면, 제어부는 제1구동부(121)를 동작시킨다.
도 5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1구동부(121)의 동작에 따라 연결 덕트(120)의 길이가 연장되며 유입구(110)가 가열 기구(1) 측을 향하여 하강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110)가 조리기구(2)와 근접하도록 위치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구(110)를 통하여 보다 원활하게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일반 모드의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의 비산, 냄새 또는 미세먼지의 양이 비교적 적으므로, 유입구(110)만을 조리기구(2) 측으로 근접시켜, 발생하는 가스를 유입구(110)를 통하여 흡입하여 배출되도록 하여도 충분한 후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12)에서 구이/튀김 모드로의 조작신호가 제어부로 인가된 경우, 제어부는 제1구동부(121) 및 제2구동부(131)를 모두 동작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121) 및 제2구동부(131)의 동작에 따라 연결 덕트(120)의 길이가 연장되며 유입구(110)가 가열 기구(1) 측을 향하여 하강함으로써, 유입구(110)가 조리기구(2)와 근접하도록 위치하고, 추가적으로 비산방지부(130)가 유입구(110)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더욱 하강하여 조리기구(2) 상측을 덮게 된다.
구이/튀김모드의 경우에는 조리시 발생하는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의 비산, 냄새 또는 미세먼지의 양이 많으므로, 유입구(110)의 하강에 의한 조리기구와의 근접 뿐만 아니라, 비산방지부(130)를 하강시켜 조리기구(2)의 상부를 덮도록 하여 상기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고, 기름, 냄새 또는 미세먼지가 유입구(1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완전히 유입구(110)로 흡입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구이/튀김 모드시 제2구동부(131)의 동작은 제1구동부(121)와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구동부(121)가 이미 동작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반 모드로의 동작중에 구이/튀김 모드를 선택하여 제2구동부(131)의 동작을 추가로 행할 수도 있고, 구이/튀김 모드로의 동작 중에 일반모드를 선택하여 비산방지부(130)를 상승시키도록 제2구동부(131)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 센서부(13)의 감지를 통한 가변형 후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센서부(13)는 조리시 가열 기구(1) 측으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하여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31)가 동작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가스의 감지 여부 및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분(기름), 미세먼지, 또는 냄새입자의 농도에 따라 제1구동부(121)와 제2구동부(13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센서부(13)에서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분, 냄새입자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미만이면, 제1구동부(121)만을 동작시키고, 센서부(13)에서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유분, 냄새입자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면, 제2구동부(131)를 제1구동부(121)와 함께 동작시키거나, 추가로 동작시킨다.
이 경우, 상기한 조작부(12)에 의한 동작과 달리,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가스의 농도에 따라 제1구동부(121)의 승하강동작(도 6 참조) 및 제2구동부(131)의 추가적인 승하강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도 7 참조).
한편, 각 동작에 있어서, 팬(21)을 추가로 동작시켜 발생하는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0)의 개구부에 필터(112)가 설치되는 경우, 발생하는 가스를 단순히 흡입 배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가스에 포함된 유분, 냄새입자 또는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유입구(110), 연결 덕트(120), 각 구동부 및 이에 구비되는 구성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 커버(10) 내에 2개 이상의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각 구성을 상기와 같이 조작부(12) 또는 센서부(13)를 통하여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가열 기구(1)에서 조리시 사용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국부적인 배출 또는 필터링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후드장치에 의하면, 조리시 발생하는 가스의 집중적인 배출 및 필터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리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른 비산을 방지하여,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 및 필터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후드 커버
20: 배출 덕트
21: 팬
110: 유입구
120: 연결 덕트
121: 제1구동부
130: 비산방지부
131: 제2구동부
150: 제어부

Claims (7)

  1. 가열 기구 상측에 위치하며, 일측에 배출 덕트를 구비하는 후드 커버;
    상기 배출 덕트와 연결되며, 길이가 조절 가능한 연결 덕트;
    상기 연결 덕트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구동부;
    상기 연결 덕트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연결 덕트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한 유입구;
    상기 유입구 일측에 위치하는 제2구동부;
    상기 유입구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며, 하강 동작시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비산방지부; 및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구동부를 통한 상기 유입구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리고 기설정된 모드에 따라 추가로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비산방지부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의 가스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1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유입구를 하강시키는,
    가변형 후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냄새입자, 유분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면, 추가로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비산방지부를 하강시키는,
    가변형 후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열 기구 측에서의 가스 발생이 감지되고, 상기 감지되는 가스에 포함된 냄새입자, 유분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설정된 농도 이상이면,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2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비산방지부를 하강시키는,
    가변형 후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형 후드 장치.
KR1020170000561A 2017-01-03 2017-01-03 가변형 후드장치 KR102607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61A KR102607082B1 (ko) 2017-01-03 2017-01-03 가변형 후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561A KR102607082B1 (ko) 2017-01-03 2017-01-03 가변형 후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67A true KR20180079867A (ko) 2018-07-11
KR102607082B1 KR102607082B1 (ko) 2023-11-28

Family

ID=6291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561A KR102607082B1 (ko) 2017-01-03 2017-01-03 가변형 후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949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93Y1 (ko) * 2005-11-28 2006-02-08 (주)아르펠 인공지능을 갖는 후드장치
KR20070094209A (ko) * 2006-03-16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KR20090001879U (ko) * 2007-08-23 2009-02-26 황순옥 승강 후드 일체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090001828U (ko) * 2007-08-22 2009-02-26 이기원 지능형 렌지후드 제어장치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393Y1 (ko) * 2005-11-28 2006-02-08 (주)아르펠 인공지능을 갖는 후드장치
KR20070094209A (ko) * 2006-03-16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KR20090001828U (ko) * 2007-08-22 2009-02-26 이기원 지능형 렌지후드 제어장치
KR20090001879U (ko) * 2007-08-23 2009-02-26 황순옥 승강 후드 일체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0447944Y1 (ko) 2007-08-23 2010-03-05 황순옥 승강 후드 일체형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200472445Y1 (ko) * 2013-10-11 2014-05-07 진도현 주방용 렌지 후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949A1 (ko) * 2021-05-11 2022-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082B1 (ko)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1604B2 (ja) 調理蒸気を下方に排出するための排気ファン装置、及び調理のためのホブシステム
KR102350472B1 (ko) 조리장치
US6886554B2 (en) Fume exhaust apparatus for cooking stoves
DE10134006C2 (de) Multifunktionaler Deckel für ein Gargerät
EP3396256B1 (en) Downdraft air cleaning unit and cook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75439Y1 (ko) 자동 튀김기
WO2006123861A1 (en) Exhausting apparatus of range hood
JP2008082634A (ja) レンジフード
KR20180079867A (ko) 가변형 후드장치
EP2702911A1 (en) Funnel-shaped roasting pan
KR20140105973A (ko) 주방용 레인지 후드
KR101224681B1 (ko) 자동튀김기의 리프트장치
KR20070011772A (ko) 에어커튼형 가스레인지
CN113237107B (zh) 一种烹饪装置的控制方法
EP4056904B1 (en) Portable air-flow guid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16685808A (zh) 用于去除空气的抽取装置、组合器具、和抽吸臂
KR20170022606A (ko) 자동튀김기
US11835238B2 (en) Cooking appliance unit and cooking appliance base frame
KR20160072483A (ko) 조리기기
KR20230000551A (ko) 튀김장치
KR102169098B1 (ko) 가열수단 승강을 통한 가열 세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 테이블
CN205433423U (zh) 一种煎烤机
JP3100605U (ja) 油煙吸引除去器
KR101575588B1 (ko) 후드
JP4433872B2 (ja) 油飛散防止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