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812A -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812A
KR20180079812A KR1020170000449A KR20170000449A KR20180079812A KR 20180079812 A KR20180079812 A KR 20180079812A KR 1020170000449 A KR1020170000449 A KR 1020170000449A KR 20170000449 A KR20170000449 A KR 20170000449A KR 20180079812 A KR20180079812 A KR 20180079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disposed
electronic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809B1 (ko
Inventor
김형인
정성호
고형준
신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09B1/ko
Priority to PCT/KR2018/000045 priority patent/WO2018124848A1/ko
Priority to US16/475,150 priority patent/US11217778B2/en
Publication of KR20180079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3Anti-reflection coatings using inorganic layer materials only
    • G02B1/115Multi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02B1/118Anti-reflection coatings having sub-optical wavelength surface structures designed to provide an enhanced transmittance, e.g. moth-ey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omprising photosensors that control lumin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H10K71/611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using printing deposition, e.g. ink jet prin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형성되는 광투과 필름에 있어서,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주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가 배치된 전자 장치 전면 영역에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에칭(eching)없이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 외부에서 센서홀 구조가 사용자의 시야에 인식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에서 요구하는 광학적 투과율을 보장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상기 센서들에 도달하는 광의 손실을 최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electronic device including light-transmissiv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센서 영역에 배치되는 광투과 적층 필름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문자,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는 화소 매트릭스가 배열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cover window)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LCD 패널이나 OLED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 윈도우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게 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는 표시 패널의 표시부에 대응되는 투명부와 표시패널의 비표시부에 대응되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윈도우의 투명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커버 윈도우의 불투명부는 표시 패널의 배선(메탈 전극)이나 부품 등이 외부에서 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불투명부를 베젤 영역이라 부르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버 윈도우의 베젤 영역에는 인쇄층이 배치되고, 그 내부로 카메라, LED 표시등 및/또는 센서 등의 부품이 배치된다. 상기 인쇄층은 센서와 같은 부품에 제공되는 광의 투과율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컬러가 나타나도록 구현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자 장치 내의 전면부에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센서들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hole)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디자인적 가치를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자의 시야에 시인되지 않도록(invisible) 색상 구현층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들이 동작하기 위한 광학적 투과율이 확보되지 않아, 센서들이 정확하게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가 배치된 영역에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 외부에서 센서홀 구조가 사용자의 시야에 인식되지 않아(invisible)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센서에서 요구하는 광학적 투과율을 보장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상기 센서들에 도달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보호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내구성 및 외부 표면의 변색이 발생하지 않는 전자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에 배치되는 광투과 필름은,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주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화면를 제공하는 가시 영역 및 상기 가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 곡면을 형성하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커버;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가시 영역 상에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필름은,
상기 베젤 영역의 일면에 대면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 필름층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일면에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멀티 코팅층의 상기 일부 이외의 영역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가 배치된 전자 장치 전면 영역에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에칭(eching)없이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 외부에서 센서홀 구조가 사용자의 시야에 인식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에서 요구하는 광학적 투과율을 보장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상기 센서들에 도달하는 광의 손실을 최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보호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내구성을 갖추고 외부 표면의 변색이 발생하지 않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마스킹 및 박리 공정이 불필요하여 비용 절감 및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커버(203) 및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투명 커버(203) 및 광투과 필름(30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광투과 필름(300)의 적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광투과 필름(300)의 적층 공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에서, 3축 직교좌표계의 'X'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폭 방향, 'Y'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길이 방향, 'Z'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기재된 "제 1 방향(+Z)"은 투명판(203)의 일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 2 방향(-Z)"은 상기 "제 1 방향(+Z)"의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200)는 하우징(210)과,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투명 커버(203)가 상기 하우징(210) 전면(20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전면(201)을 폐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명 커버(203)는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제 1 방향(+Z)을 향하도록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203)는 투명한 소재, 예를 들면, 유리나 수지(예: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도 1의 디스플레이(160))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는, 예컨대,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201)에서, 상기 투명 커버(203)의 일측 영역에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버튼이나 터치 키(11a, 11b, 11c)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키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패드는 기계적인 버튼들만으로, 또는, 상기 터치 키들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키패드는, 기계적 버튼 방식과 터치 방식의 혼합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은 버튼들은 길게 또는 짧게 누르거나 터치하는 시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현되는 화면을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패드에는 홈 버튼(1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홈 버튼(11a)은 사용자의 물리적 압력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기계적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터치와 같은 접촉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터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각종 회로 장치들, 예컨대, 도 1에 전술한 바 있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통신 인터페이스(170) 등이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내부로 배터리(270)를 수용함으로써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면 상단 영역(201a)에는 제 1 카메라(12a)와, 광원부(12b) 또는 홍채 카메라(12c)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2b)는 IR LED일 수 있으며, 상기 홍채 카메라(12c)는 상기 IR LED에서 나오는 적색 근적외선을 광원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의 눈을 촬영하여 홍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면 상단 영역(201a)에는, 광원부 표시등(12d) 및 조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12e)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후면(240)에는 제 2 카메라(13a), 심박수 센서(HRM, heart rate monitor)(13d) 또는 플래시(flash)(13b)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200) 상부에는 마이크(13c)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2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의 일부분(예: 테두리)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210)의 다른 부분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210)의 전면 영역(201)은 상기 투명 커버(203)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배치되는 가시 영역(view area)과 상기 가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광투과 필름층(도 5의 광투과 필름(300))이 배치된 베젤 영역(bezel area)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베젤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배치된 상단 영역(201a)과 -Y축 방향으로 배치된 하단 영역(201b) 및 X축 방향으로 배치된 측면 영역(201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영역(201) 하부에는 광투과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투과 필름은 상기 상단 영역(201a)과 상기 상단 영역 내측에 배치된 상기 센서(12e) 및 카메라(12a,12c) 등의 부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12e) 및 카메라(12a,12c) 등을 보호하는 동시에 소정의 영역대의 파장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필름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제 2 방향(-Z) 상으로 형성된 일면은 상기 하우징(210)의 후면 커버(24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240)는 유리 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투명 커버(203) 및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순차적으로 나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에 나타난 전자 장치의 투명 커버(203) 및 디스플레이 장치(220)의 구조는, 도 2에 나타난 상기 전자 장치(200)의 투명 커버(203) 및 디스플레이 장치(220)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외부면을 형성하는 투명 커버(203) 및 상기 투명 커버(203) 내측으로 적층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203)는 사용자에게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가시 영역(view area)(203a)과 상기 가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광투과 필름층(204)이 배치된 베젤 영역(bezel area)(20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시 영역(view area)(203a) 일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터치 스크린 패널이 일체로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내측 또는 외측면에는 안테나 방사체가 실장되어,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회로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회로 기판은 상기 하우징(도 1의 하우징(2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회로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4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플렉서블 기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 위에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는 플라스틱 소재의 기재층(224), 트랜지스터(TFT;thin film transistor)(223), 유기 발광층(222) 및 편광 필름(2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224)은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재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트랜지스터(223)가 상기 기재층(224)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223)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트랜지스터(223)의 일면에는 R, G, 또는 B 픽셀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유기 발광층(222)이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발광층(222) 일면으로 광학 부재층(221)이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학 부재층(221)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된 화면을 투과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에 적어도 하나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학 부재층(221)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에 직접 부착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400) 상에서 다른 광학 부재와 점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부재층(221)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20)로부터 출력되는 화면의 위상차 등을 보정하기 위한 광학 보상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보상 필름은, 예를 들면,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보상 필름은, 편광 기능을 제공하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의 양면에 각각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oulose; TAC) 필름이 부착되며, 아울러, 표면측 TAC 필름은 표면 코팅층에 의해 보호된 구성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 커버(203)의 상기 가시 영역(203a)의 가장자리에 광투과 필름(204)이 배치된 베젤 영역(bezel area)(20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필름(203b)은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 장치(200)의 상단 영역, 하단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상단 영역에 배치된 광투과 필름(204)의 제 1 방향(+Z)으로 상기 투명 커버(203)가 배치되며, 상기 제 1 방향(+Z)과 반대인 제 2 방향(-Z) 상에는 카메라 및 센서(도 2의 카메라(12a,12c) 및 근/조도 센서(12e))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베젤 상단 영역(203a)에 배치된 광투과 필름(204)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투명 커버(203) 및 광투과 필름(300)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에 나타난 전자 장치의 투명 커버(203) 및 광투과 필름(300)의 구조는, 도 3에 나타난 상기 전자 장치(200)의 투명 커버(203) 및 광투과 필름(204)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투명 커버(203)를 기준으로 제 2 방향(-Z)을 향하여 점착층(301), 광투과 필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203), 점착층(301), 광투과 필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가 배치된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가 배치된 제 1 영역(P1)과 상기 제 1 영역(P1)의 이외의 영역인 제 2 영역(P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영역(P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의 렌즈 형상과 대응되는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영역(P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400)에 도달하는 광의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명 커버(203)는 전자 장치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인 유리나 수지로 제작되어 플렉서블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투명 커버(203)는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되어 패널 중심에서 상, 하측 및 좌, 우측에 해당하는 바깥쪽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곡면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명 커버(203)의 두께는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부품 등을 보호할 수 있는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커버(203)의 두께는 400㎛ 내지 약 700㎛일 수 있고, 예를 들면, 50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투명 커버(203)와 상기 광투과 필름(300) 사이에는 점착층(301)이 도포되어 투명 커버(203)와 광투과 필름(300)을 점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1)은 베젤 영역(도 3의 베젤 영역(203a))의 전체적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투과 필름(300)이 형성된 투명 커버(203)는 별도의 전사용 기재 상에 잉크를 도포하여 형성된 상기 광투과 필름(300)을 상기 투명 커버(203)로 전사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투과 필름(300)을 투명 커버(203)로 전사시키기 위해, 상기 점착층(301)을 상기 광투과 필름(300) 상부에 형성하여 이를 매개로 투명 커버(203)로 부착 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착층(301)은 공지된 점착제 또는 점착 필름, 광학적으로 투명한 점착층(adhesive layer)으로 공지된 조성 등이 제한 없이 적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점착층(301)은 실리콘(silicon), 공기(Air), 폼(Foam), 멤브레인(Membrane), OCA(optically clear adhesive), 스폰지, 고무, 잉크, 폴리머(PC, PET)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점착층(301)의 두께는 상기 광투과 필름(300)을 지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점착층(301)의 두께는 15㎛ 내지 35㎛일 수 있고, 예를 들면, 2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점착층(301)을 사용하여 상기 광투과 필름의 전사 공정이 가능하면서 상기 광투과 필름이 형성된 패널용 투명 커버를 얇게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이 점착된 투명 커버(203)는, 상기 광투과 필름(300)을 전사 방법에 의한 필름 상의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컬러를 구현하는 등 다양한 공법에 의해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이렇게 미리 제조된 상기 광투과 필름(300)을 상기 투명 커버(203)에 전사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투명 커버(203)의 베젤 영역(도 2의 베젤 영역(203a))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투과 필름(300)은 상기 투명 커버(203)의 상단 베젤 영역(203a)에 배치되어 센서 등의 부품에 전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P1) 또는 제 2 영역(P2) 마다 서로 다른 층으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블랙 잉크, 화이트 잉크, 핑크 잉크 등 다양한 색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공지된 물질을 사용하여 공지된 방법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현된 색상의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으며, 내부에 배치된 센서 등과 부품이 전자 장치 외부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의 시야에 나타나지 않아 디자인적 미려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필름(300)의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400)는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영역(P2)에서 상기 제 1 방향(+Z)으로 렌즈가 배치될 수 있따.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400)는 가속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RGB 신서, 밝기 센서, 홀 센서, 모션 센서, 온도/습도 센서, 지자기 센서, 심장 박동 센서, 지문 인식 센서, 터치 인식 센서, 및/또는 압력 인식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400)는 근접 센서(410) 및 조도 센서(42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410)는 위치 센서 또는 변위 센서의 일종으로, 물체 또는 사용자의 접근에 따른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420)는 인간의 눈에 대응한 광감도에 따라 조도를 추정하여 광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도 센서(420)로 다양한 광전지 및 광전관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근접 센서(410) 및 상기 조도 센서(420)는 광의 대략 550nm 영역의 파장 또는 940nm 영역의 파장대에서 효과적인 투과율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근접 센서(410) 및 조도 센서(420) 상에 배치된 광투과 필름(300)에 상기 대략 550nm 또는 940nm 영역의 파장대에서 효과적인 투과율이 요구된 필름을 제조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광투과 필름(300)의 적층도이다. 도 5 에 나타난 상기 전자 장치의 광투과 필름(300)의 구조는, 도 4에 나타난 광투과 필름(300)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투명 커버(도 4의 투명 커버(203))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도 4의 센서(400)) 사이에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상기 제 2 방향(-Z)을 향으로 순차적으로 기재 필름층(310), 광경화성 수지층(320), 멀티 코팅층(330), 인쇄층(342) 및 잉크층(350)을 포함하여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재 필름층(310)은 상기 점착층(도 4의 점착층(30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커버(도 4의 투명 커버(203))와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높은 투과성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 필름층(310)은 PET 등의 폴리머 필름 또는 글래스 기판(glass substrate)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재 필름층(31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들이 배치된 제 1 영역(P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들이 배치되지 않은 제 2 영역(P2)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310)의 두께는 45㎛ 내지 55㎛ 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0㎛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상기 기재 필름층(310) 일면에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색상의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한 복수 개의 미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으로 제조하거나, 원하는 미세 패턴을 미리 형성시킨 무기물 또는 고분자 몰드(mold)를 사용하여 금속막 또는 유기막 위에 코팅된 경화성 조성물에 합착하고 열 또는 광경화시켜 패턴을 형성하는 임트린트 리소그래피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자외선(UV, ultraviolet rays) 등의 빛에너지를 받아 가교 및/또는 경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우수한 기판과의 접착력, 내열성, 내구성(고온, 고압, 고습) 및 하부막 보호 특성을 나타내고 고온 처리 후에도 높은 투과율 유지하므로, 미세 패턴 및 보호막 형성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상기 기재 필름층(3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커버(203)와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커버(203)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높은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투명 커버(203)의 플렉서블 구조에 대응하여 구조 변화가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베이스 수지, 반응성 희석제, 광중합 개시제 및 각종 첨가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에 사용되는 첨가제 중 베이스 수지(올리고머)는 수지 물성을 좌우하는 중요 성분으로 중합 반응에 의해 고분자 결합을 형성하여 경화 피막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는 골격 분자의 구조에 따라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아크릴계 등의 아크레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에 사용되는 첨가제 중 반응성 희석제(모노머)는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의 가교제, 희석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중합하여 경화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에 사용되는 첨가제 중 광중합 개시제는 UV 경화 수지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재료로써,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라디칼 혹은 양이온을 생성시켜 중합을 개시시키는 역할을 하며 단독 혹은 2~3 종류를 섞은 물질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에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 등으로 용도에 따라 광증감제, 착색제, 증점제, 중합 금지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 또는 산업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수지에 특별한 능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들이 배치된 제 1 영역(P1) 및 상기 센서 들이 배치되지 않은 제 2 영역(P2)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 일면에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200) 외면에 표현되는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5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SiO2, Nb2O5, Ta2O5, BST{(Ba,Sr)TiO3}, PZT{Pb(Zr,Ti)O3}, Al2O3, HfO2, ZrO2, La2O3, In, TiO2, Ti3O5 알루미네이트, 실리케이트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커버(203)와 대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커버(203)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투과할 수 있는 높은 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투명 커버(203)의 플렉서블 구조에 대응하여 구조 변화가 가능한 플렉서블(flexible)한 특징을 구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물질과 접촉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영역(P1)내에서, 상기 멀티 코팅층(330)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면은 상기 잉크층(350)과 접촉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P2) 내에서, 상기 멀티 코팅층(330)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면은 상기 인쇄층(340)과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이 코팅된 이후부터 잉크층(350)이 형성되기 전까지 에칭(eching) 공정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상기 제 1 영역(P1)에서 손상되지 않고 온전한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 코팅층(330)을 구성하는 금속 성분 중 인듐이 상기 잉크층에 의해 보호되어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변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색상 구현이 이루어진 멀티 코팅층(330)이 손상되지 않아,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가 시인되지 않아(invisible) 미려한 전자 장치의 외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칭(eching)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부수적인 마스킹 및 박리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층(340)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 일면에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층(34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340)은 제 1 인쇄층(341) 및 제 2 인쇄층(3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인쇄층(341) 및 제 2 인쇄층(342)은 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인쇄층(341)은 검은색 잉크를 이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탕 인쇄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층(342)은 검은색 잉크를 이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차광 인쇄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인쇄층(341)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 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인쇄층(342)은 상기 제 1 인쇄층(341) 일면에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40)는 상기 제 2 영역(P2)에만 배치되며, 상기 제 1 영역(P1)은 인쇄층(340)이 배치되지 않고, 개구되어 광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340)은 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영역(P1) 상에 배치된 센서로 통하는 광의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으며, 상기 인쇄층(340)은 상기 제 2 영역(P2)상에만 배치되어 상기 센서들의 외곽 및 후술할 잉크층(350)이 배치될 수 있는 광 경로 가이드 영역(S)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층(340)의 개구 내측면 및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잉크층(350)이 감싸듯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층(340)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제 1 영역(P1)으로는 상기 잉크층(350)이 차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층(340)의 개구는 광경로 가이드 영역(S)으로, 외부로부터 전달된 광이 상기 센서 내부로 수신되도록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P1)으로 제공된 광은 상기 인쇄층(340)에 의하여 차단되어 내부 빛샘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P2)으로 제공된 광만 내부 센서 영역으로 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 및/또는 인쇄층(342)의 일부면에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특정 파장대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적외선(Infra red) 건조 잉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으로 잉크층을 가열하여 필름에 침투를 촉진시키며, 인쇄 후 필름을 가열함에 따라 산화 중합을 촉진시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는 적외선 흡수가 큰 레진계 수지, 산화 중합이 빠른 이중 결합을 많이 가진 건성유와 끓는 점이 비교적 낮고 종이에 침투 속도가 빠른 낮은 분자(저분자) 용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Polyester) 물질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인쇄 및 건조 중에 도막에 기포나 핀홀이 남지 않도록 첨가하는 소포제, 및 안료를 수지 및 용제에 분산시 습윤성(wetting)을 좋게하고 분산된 안료의 재응집을 방지하는 분산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우수한 기판과의 접착력, 내열성, 내구성(고온, 고압, 고습) 및 하부막 보호 특성을 나타내고 고온 처리 후에도 높은 투과율 유지하므로, 본 발명의 센서부의 광투과성 형성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제 1 방향(+Z)을 향하는 제 1 면(350a) 및 상기 제 1 방향(+Z)의 반대인 제 2 방향(-Z)을 향하는 제 2 면(350b)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350a)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 및 상기 인쇄층(34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350b)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센서(400)와 인쇄층(340)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코팅층(330)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층(35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면 중 상기 제 1 영역(P1)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과 접촉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잉크층(350)의 제 1 방향(+Z)을 향하는 면 중 상기 제 2 영역(P2)은 상기 인쇄층(340)과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잉크층(350)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면 중 상기 제 1 영역(P1)은 센서들과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센서와 대면 영역에 광경로 가이드 영역(S)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로 가이드 영역(S)은, 상기 잉크층(35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층(340)이 형성하는 개구 내측으로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소정의 파장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켜 상기 센서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적외선 영역에서 투과율에 대한 손실률을 기존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760nm 이상 1000nm 이하의 파장대의 투과율에 대한 손실률에 있어서, 기존 잉크의 경우 약 18.0% ~ 20.0%의 손실률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상기 잉크층(350)은 약 2.0% ~ 3.0%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940nm 대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350)에 대한 투과율은 95%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에 대한 손실률을 기존과 동일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50nm 이상 650 nm 이하의 파장 영역대의 투과율에 대한 손실률에 있어서, 기존 잉크 이하의 손실률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략 550nm 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의 상기 잉크층(350)에 대한 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은 상기 센서(400)에서 요구하는 투과율을 만족하도록 구현되어, 상기 멀티 코팅층(330)을 투과한 광의 손실을 최소화될 수 있으며, 금속(metal) 성분이 포함된 상기 멀티 코팅층(330)을 보호하여 투과성 필름(300)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투과성 필름(300)의 제조 공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광투과 필름(300)의 적층 공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 에 나타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광투과 필름(300)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난 전자 장치(200)의 광투과 필름(204,30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투명 커버(203) 및 센서(400) 사이에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투과 필름(300)은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기재 필름층(310), 광경화성 수지 필름(320), 멀티 코팅층(330), 인쇄층(342) 및 잉크층(350)을 포함하여 적층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공정 10에 따라, 상기 기재 필름층(3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310)은 높은 투과성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 필름층(310)은 PET 등 폴리머 필름 또는 글래스 기판(glass substrate)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310)의 두께는 45um ~ 55um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공정 20에 따라, 상기 마련된 기재 필름층(310) 상에 광경화성 수지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상기 기재 필름층(310)의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포토 리소그래피 공법 또는 임트란트 리소그래피 공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법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공지된 광경화성 수지층 형성 공법에 따른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자외선(UV)를 이용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멀티 코팅층(330)에서 발현되는 색상의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한 소정의 미세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은 우수한 기판과의 접착력, 내열성, 내구성 및 하부막 보호 특성을 나타내고 고온 처리 후에도 높은 투과율 유지하므로, 미세 패턴 및 보호막 형성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이 형성된 이후에, 공정 30에 따라,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3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320)의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5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SiO2, Nb2O5, Ta2O5, BST{(Ba,Sr)TiO3}, PZT{Pb(Zr,Ti)O3}, Al2O3, HfO2, ZrO2, La2O3, In, TiO2, Ti3O5 알루미네이트, 실리케이트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전자 장치(200) 외면에 표현되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400)가 배치된 영역을 커버하여 외부에서 사용자에게 센서 영역이 시인되지 않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이 코팅된 이후부터 잉크층(350)이 형성되지 전까지 에칭(eching) 공정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멀티 코팅층(330)은 상기 제 1 영역(P1)에서 손상되지 않고 온전한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멀티 코팅층(330)을 구성하는 금속 성분 중 인듐이 상기 잉크층에 의해 보호되어 상기 전자 장치 외면의 변색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색상 구현이 이루어진 멀티 코팅층(330)이 손상되지 않아,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400)가 시인되지 않아(invisible) 미려한 전자 장치의 외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에칭(eching)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부수적인 마스킹 및 박리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멀티 코팅층(330)이 형성된 이후에, 공정 40에 따라, 상기 멀티 코팅층(330)의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342)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층(340)은 센서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제 2 영역(P2))에 배치되고, 센서가 위치하는 영역(제 1 영역(P1))에는 개구되어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쇄층(34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340)은 제 1 인쇄층(341) 및 제 2 인쇄층(3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인쇄층(341) 및 제 2 인쇄층(342)은 서로 적층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인쇄층(341)은 검은색 잉크를 이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바탕 인쇄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인쇄층(342)은 검은색 잉크를 이용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차광 인쇄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40)의 배치에 따라, 상기 멀티 코팅층(330)에서 표현된 색상에 반사된 광은 전자 장치(200) 내부로 진행하지 않고, 외부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한 예로, 상기 인쇄층(340)의 배치에 따라, 상시 센서에 도달하는 광이 센서 영역에만 제공되도록 가이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340)이 적층된 이후에, 공정 50에 따라, 상기 멀티 코팅층(330)의 제 1 영역(P1) 및 상기 인쇄층(340)의 제 2 영역(P2)의 일부면에 잉크층(3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은 상기 멀티 코팅층(330) 또는 인쇄층(342)의 상기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멀티 코팅층(330)과 상기 인쇄층(340)의 적층으로 인하여, 제 2 영역(P2)이 리세스(recess)되거나 단차 형상으로 개구된 구조 형상의 광경로 가이드 영역(S)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은 상기 광경로 가이드 영역(S)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P2) 상에 형성된 잉크층(350)으로 센서(400)로 향하는 소정의 영역의 파장대의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적외선(Infra red) 건조 잉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적외선으로 잉크층을 가열하여 필름에 침투를 촉진시키며, 인쇄 후 필름을 가열함에 따라 산화 중합을 촉진시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는 적외선 흡수가 큰 레진계 수지, 산화 중합이 빠른 이중 결합을 많이 가진 건성유와 끓는 점이 비교적 낮고 종이에 침투 속도가 빠른 낮은 분자(저분자) 용제를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계(Polyester) 물질 및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잉크층(350)은 소정의 영역의 파장대의 광을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략 940nm 대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350)에 대한 투과율은 95% 이상일 수 있으며, 대략 550nm 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의 상기 잉크층(350)에 대한 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잉크층(350)에 적층된 이후에, 공정 60에 따라, 상기 잉크층(350)의 일부 영역 및 상기 인쇄층(340)의 일부 영역의 일부면에 점착층(30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잉크층(350)이 적층되어, 광투과 필름(300)이 마련되면, 상기 광투과 필름(300)의 일면에 점착층(301)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1)은 투명 커버(203)와의 접착을 위한 것으로 투명 커버(203)의 베젤 영역(203a)에 전반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후 공정 70에 따라, 점착층(301)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투명 커버(203)가 점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순서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상기 투명 커버(203)의 제 2 방향(-Z)을 향하는 일면에 점착층(301)이 도포된 후, 상기 점착층(30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잉크층(350)을 포함한 광투과 필름(3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센서가 배치된 전자 장치 전면 영역에 색상을 구현하는 층을 에칭(eching)없이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전자 장치 외부에서 센서홀 구조가 사용자의 시야에 인식되지 않아 미려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에서 요구하는 광학적 투과율을 보장하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을 구현하여, 상기 센서들에 도달하는 광의 손실을 최소할 수 있다.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형성되는 광투과 필름에 있어서,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주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층은,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760nm 이상1000nm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은 95%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450nm 이상 650 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은 85%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위치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외곽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잉크층의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면의 일부와 접촉 배치되고, 상기 잉크층의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전달되는 광은, 상기 전자 장치의 투명 커버를 통해 상기 광투과 필름 내로 진입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상기 잉크층의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층은 센서와 대면하는 상기 제 1 영역에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로 가이드 영역은, 상기 잉크층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층이 형성하는 개구 내측으로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소정의 파장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켜 상기 센서로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코팅층은 상기 전자 장치 외면에 나타나는 색상을 구현하며, 상기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코팅층의 상기 각각의 복수 개의 층은, SiO2, Nb2O5, Ta2O5, BST{(Ba,Sr)TiO3}, PZT{Pb(Zr,Ti)O3}, Al2O3, HfO2, ZrO2, La2O3, In, TiO2, Ti3O5 알루미네이트, 실리케이트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층이 개구되어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인쇄층의 전체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 상에만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의 상기 개구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층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잉크층은, 상기 인쇄층과 접촉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면에 나노 미세패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을 반사시켜 상기 전자 장치의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450nm 내지 950nm 의 파장대의 광을 수신하고 물체의 거리 또는 광량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화면를 제공하는 가시 영역 및 상기 가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 곡면을 형성하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커버;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가시 영역 상에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필름은,
상기 베젤 영역의 일면에 대면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 영역 및 상기 기재 필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젤 영역 및 상기 기재 필름층을 서로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어 760nm 이상1000nm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이 9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기재 필름층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일면에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멀티 코팅층의 상기 일부 이외의 영역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잉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잉크층은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쇄층의 개구 영역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면과 접촉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어 760nm 이상1000nm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이 95% 이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코팅층은 상기 전자 장치 외면에 나타나는 색상을 구현하며, 상기 색상 구현을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시인되지 않을(invisible)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장치: 200
디스플레이 장치: 220
광투과 필름: 300
기재 필름층: 310
광경화성 수지층: 320
멀티 코팅층: 330
인쇄층: 340
잉크층: 350
제 1 영역: P1
제 2 영역: P2
광경로 가이드 영역: S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형성되는 광투과 필름에 있어서,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주변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제 1 방향을 향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는 제 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면은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배치되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광투과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760nm 이상 10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4. 제 2항에 있어서,
    450nm 이상 650 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은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이 위치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외곽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잉크층의 상기 제 1 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접촉 배치되고, 상기 잉크층의 상기 제 2 면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면의 일부와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전달되는 광은,
    상기 전자 장치의 투명 커버를 통해 상기 광투과 필름 내로 진입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된 상기 잉크층의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센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은 센서와 대면하는 상기 제 1 영역에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광경로 가이드 영역은, 상기 잉크층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인쇄층이 형성하는 개구 내측으로 상기 제 1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소정의 파장 영역대의 광을 투과시켜 상기 센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코팅층은 상기 전자 장치 외면에 나타나는 색상을 구현하며, 상기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층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코팅층의 상기 각각의 복수 개의 층은, SiO2, Nb2O5, Ta2O5, BST{(Ba,Sr)TiO3}, PZT{Pb(Zr,Ti)O3}, Al2O3, HfO2, ZrO2, La2O3, In, TiO2, Ti3O5 알루미네이트, 실리케이트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차광 물질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인쇄층이 개구되어 광이 진행하는 경로를 형성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인쇄층의 전체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 상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상기 개구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인쇄층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 잉크층은, 상기 인쇄층과 접촉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은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면에 나노 미세패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광을 반사시켜 상기 전자 장치의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450nm 내지 950nm 의 파장대의 광을 수신하고 물체의 거리 또는 광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16.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화면를 제공하는 가시 영역 및 상기 가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 곡면을 형성하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커버;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가시 영역 상에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투명 커버의 상기 베젤 영역 상에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 필름은,
    상기 베젤 영역의 일면에 대면 배치되는 플렉서블 기재 필름층;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
    상기 광경화성 수지 필름층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
    상기 멀티 코팅층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 및
    상기 멀티 코팅층 및 상기 인쇄층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배치되며, 광투과성을 가지는 잉크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영역 및 상기 기재 필름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젤 영역 및 상기 기재 필름층을 서로 점착시키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어 760nm 이상 1000nm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기재 필름층을 마련하는 공정;
    상기 기재 필름층 일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광경화성 수지층 일면에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대면하고 복수 개의 층으로 구성된 멀티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부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멀티 코팅층의 상기 일부 이외의 영역 및 상기 인쇄층의 일면에 잉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투과 필름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잉크층은 광경로 가이드 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인쇄층의 개구 영역 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멀티 코팅층의 일면과 접촉 형성되고,
    상기 형성된 잉크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계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여 제조되어 760nm 이상1000nm이하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의 상기 잉크층에 대한 투과율이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코팅층은 상기 전자 장치 외면에 나타나는 색상을 구현하며, 상기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 층으로 구성하여, 상기 전자 장치 외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시인되지 않는(invisib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KR1020170000449A 2017-01-02 2017-01-02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KR102567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49A KR102567809B1 (ko) 2017-01-02 2017-01-02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PCT/KR2018/000045 WO2018124848A1 (ko) 2017-01-02 2018-01-02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US16/475,150 US11217778B2 (en) 2017-01-02 2018-01-02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transmitt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49A KR102567809B1 (ko) 2017-01-02 2017-01-02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12A true KR20180079812A (ko) 2018-07-11
KR102567809B1 KR102567809B1 (ko) 2023-08-18

Family

ID=6271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49A KR102567809B1 (ko) 2017-01-02 2017-01-02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17778B2 (ko)
KR (1) KR102567809B1 (ko)
WO (1) WO20181248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33B1 (ko) * 2018-08-09 2020-02-14 강성국 Uv를 이용한 필름에 컬러 또는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성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4241B (zh) * 2018-10-08 2020-11-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555577B1 (ko) * 2019-01-28 202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786433B (zh) * 2019-03-25 2021-05-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检测基板、显示面板及亮度补偿方法和装置、显示装置
US20210071417A1 (en) * 2019-09-11 2021-03-11 Aluvision N.V. Curved LED Tile
KR20210054091A (ko) * 2019-11-04 2021-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3285041B (zh) * 2020-02-20 2023-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1553301B (zh) * 2020-05-08 2022-10-14 深圳天德钰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465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화면 보호용 윈도우
KR101200451B1 (ko) * 2012-01-31 2012-11-12 정흥순 모바일 단말 화면 보호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45211A (ko) * 2015-07-21 2015-12-29 (주) 태양기전 터치 패널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윈도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2702B2 (ja) 2000-10-05 2005-0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赤外線透過膜及びこれを用いた赤外線センサーカバー
US8324578B2 (en) 2008-09-30 2012-12-04 Apple Inc. Hidden sensors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423372B1 (ko) * 2012-04-17 2014-07-24 율촌화학 주식회사 Tsp용 양면 접착 인쇄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6994B1 (ko) 2013-06-13 2014-12-29 (주)신오전자 광학 근조도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72477B1 (ko) * 2012-11-21 2014-12-12 김영수 터치 스크린 패널 보호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4119547A (ja) * 2012-12-14 2014-06-30 Sanko Sangyo Co Ltd 画像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686443B2 (ja) * 2013-01-10 2015-03-1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接着層付きフィルム状感圧センサと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ッド、タッチ入力機能付き保護パネル及び電子機器
KR101726916B1 (ko) 2014-05-15 201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인쇄층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패널용 커버 윈도우 및 터치 스크린 패널용 커버 윈도우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
US9804441B2 (en) * 2015-12-22 2017-10-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optical sensing system with stray light suppression
US10418585B2 (en) * 2016-05-12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35434B1 (ko) * 2016-10-12 2019-01-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6930017B2 (ja) * 2020-01-14 2021-09-01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465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화면 보호용 윈도우
KR101200451B1 (ko) * 2012-01-31 2012-11-12 정흥순 모바일 단말 화면 보호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45211A (ko) * 2015-07-21 2015-12-29 (주) 태양기전 터치 패널용 윈도우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윈도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933B1 (ko) * 2018-08-09 2020-02-14 강성국 Uv를 이용한 필름에 컬러 또는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운용되는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34128A1 (en) 2019-10-31
KR102567809B1 (ko) 2023-08-18
US11217778B2 (en) 2022-01-04
WO2018124848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7809B1 (ko)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KR102446877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416560B (zh) 覆盖窗及包括该覆盖窗的电子设备
EP330643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metric sensor
US10241377B1 (en) Self-healing flexible electrophoretic displays
KR2022001625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180083700A (ko)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459664B (zh) 包括生物传感器的电子设备
KR2017008243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1630537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curved display surfaces
KR10251129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배치된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73236A (ko) 투명 커버의 제조방법 및 상기 투명 커버에 전사되는 열전사 필름
WO2019196120A1 (zh) 一种屏下指纹识别终端
US1081770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US20160041658A1 (en) Display device
US11453201B2 (en) Window glas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20162B1 (ko) 만곡 디스플레이 표면을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
KR20240041769A (ko) 디스플레이 보안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287674A (zh) 加密解密方法、电子设备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