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517A -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517A
KR20180079517A KR1020160183451A KR20160183451A KR20180079517A KR 20180079517 A KR20180079517 A KR 20180079517A KR 1020160183451 A KR1020160183451 A KR 1020160183451A KR 20160183451 A KR20160183451 A KR 20160183451A KR 20180079517 A KR20180079517 A KR 20180079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teering knuckle
dust cover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322B1 (ko
Inventor
구영권
Original Assignee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3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5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hu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과 상기 스티어링 너클의 내측에 마련된 허브 베어링의 내륜에 압입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휠디스크 및 상기 허브 및 상기 휠디스크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도록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너클과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Axle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의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한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액슬 부품은 내측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외측에 구동 바퀴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함과 아울러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용 액슬 부품은 허브의 일측으로 액슬 샤프트가 스플라인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허브의 일측 둘레면에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스티어링 너클이 장착되며, 허브의 타측으로 구동바퀴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허브의 외주면과 스티어링 너클 사이에는 베어링이 개재되어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액슬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의 대량 유입을 1차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다.
이때, 더스트 커버는 차량 주행 중 외부 이물질이 스티어링 너클과 액슬 샤프트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어 베어링과 접촉하게 될 경우, 실링 구조를 가지고 있는 베어링이라 하더라도 내구 후 실링 성능이 저하되면 이물질이 베어링 내부로 유입되어 베어링 습동면을 손상시키고, 그에 따라 소음 및 파손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꼭 필요한 핵심 부품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스트 커버의 압입 조립 시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클을 지지하는 더스트 커버의 지지 영역에 별도의 마운팅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는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과 상기 스티어링 너클의 내측에 마련된 허브 베어링의 내륜에 압입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휠디스크 및 상기 허브 및 상기 휠디스크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도록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너클과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허브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휠디스크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2커버부재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부재에 마련된 지지영역에서 상기 체결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더스트 커버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의 압입 조립 시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클을 지지하는 더스트 커버의 지지 영역에 별도의 마운팅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종래의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의 지지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분리 상태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에 대한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며, 도 4 는 종래의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의 지지영역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너클(100), 허브(200), 휠디스크(300) 및 더스트 커버(4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는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100)과, 스티어링 너클(100)의 안쪽에 압입 조립되는 허브베어링(미도시)과, 스티어링 너클(100)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허브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미도시)과, 허브 베어링의 내륜에 압입 조립되는 허브(200)와, 허브(200)의 내경과 스플라인 결합되면서 관통 삽입되는 액슬 샤프트(미도시)와, 허브(200)의 외주면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휠디스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 시에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회전동력이 허브(200)의 중앙에 결합되어 있는 액슬 샤프트(미도시)를 통하여 허브(200)에 전달되면, 허브(200)에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되어 있는 휠디스크(300)와 함께 바퀴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차량이 앞으로 나가게 된다.
그리고, 조향장치로부터 스티어링 너클(100)로 전달되는 조향력은 스티어링 너클(100)과 허브(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허브 베어링(미도시)을 통하여 허브(200)에 고정 결합된 휠디스크(300)와 함께 바퀴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더스트 커버(400)는 허브(200) 및 휠디스크(300)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도록 압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400)는 주행 중 외부 이물질이 스티어링 너클(100)과 액슬 샤프트(미도시)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공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더스트 커버(400)는 스티어링 너클(100)에 압입되어 결합됨에 있어서, 스티어링 너클(100)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1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때 더스트 커버(40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너클(100)과의 압입 결합 시 소재 상의 특성으로 인해 스프링 백(spring back)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커버(400)는 본체부(410) 및 지지부(420)를 구비한다.
먼저, 본체부(410)는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허브(200)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1커버부재(410a) 및 제1커버부재(41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커버부재(410a) 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휠디스크(300)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2커버부재(410b)로 형성된다.
지지부(420)는 제2커버부재(410b)에 마련된 지지영역(A)에서 체결부(110)를 향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되며, 절곡 형성된 내측이 체결부(11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즉, 본체부(410)는 제2커버부재(410b)에 형성되고, 체결부(110)와의 체결을 위하여 형성되는 체결 홀(H)을 구비하며, 또한 체결부(110)를 가지는 스티어링 너클(100)의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지지영역(A)이 제2커버부재(410b)에서 절곡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스티어링 너클(100)에 더스트 커버(400)를 압입함에 있어서는 지지영역(A)에서 스프링 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영역(A)을 포함하는 본체부(41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너클(100)에 압입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된 형상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지지영역(A)에 스프링 백이 발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영역(A)의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영역(A)의 단부에서 체결부(110)를 향해 'ㄱ'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지지부(42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지지영역(A)의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더스트 커버(400)는 스티어링 너클(100)에 압입 결합됨에 있어서, 지지부(420)를 통해 체결부(110)의 일면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420)의 구조를 통해 체결부(110)의 외주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탄성에 의한 지지영역(A)의 스프링 백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더스트 커버(400)의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의 압입 조립 시 발생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클을 지지하는 더스트 커버의 지지 영역에 별도의 마운팅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들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스티어링 너클 110 : 체결부
200 : 허브 300 : 휠디스크
400 : 더스트 커버 410 : 본체부
410a : 제1커버부재 410b : 제2커버부재
420 : 지지부 A : 지지영역
H : 체결 홀

Claims (3)

  1. 조향장치와 연결되는 스티어링 너클;
    상기 스티어링 너클의 내측에 마련된 허브 베어링의 내륜에 압입되는 허브;
    상기 허브의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는 휠디스크; 및
    상기 허브 및 상기 휠디스크의 외주면을 함께 감싸도록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너클과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 너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허브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1커버부재 및 상기 휠디스크를 커버하도록 하는 제2커버부재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2커버부재에 마련된 지지영역에서 상기 체결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을 가압 및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1020160183451A 2016-12-30 2016-12-30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10191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51A KR10191932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51A KR10191932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517A true KR20180079517A (ko) 2018-07-11
KR101919322B1 KR101919322B1 (ko) 2018-11-19

Family

ID=6291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51A KR101919322B1 (ko) 2016-12-30 2016-12-30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00B1 (ko) * 2020-03-02 2021-03-03 서한산업(주) 더스트 커버와 휠 지지체의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18A (ko) *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액슬 어셈블리 및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20120061287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18A (ko) * 2006-09-21 2008-03-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리어 액슬 어셈블리 및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20120061287A (ko) * 2010-12-03 2012-06-13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00B1 (ko) * 2020-03-02 2021-03-03 서한산업(주) 더스트 커버와 휠 지지체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322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67910A1 (ja) 遮音シール付き密封装置
KR20160073183A (ko) 다이나믹 댐퍼
KR101591099B1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의 댐퍼
JP5140494B2 (ja) 操舵補助装置のウォーム支持構造
KR101919322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20080037290A (ko) 프로펠라 샤프트 센터 베어링 서포트 조립체
JP2009008237A (ja) エンジン騒音低減装置
KR100642549B1 (ko) 차량용 액슬 어셈블리
KR101637258B1 (ko) 차량의 드라이브 샤프트용 체결유닛
KR102199528B1 (ko) 변형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드라이브 액슬
JP2009180309A (ja) クラッチレリーズ軸受
KR20080026818A (ko) 리어 액슬 어셈블리 및 리어 액슬 어셈블리의 조립방법
KR101899652B1 (ko) 트라이포드 타입 등속조인트를 구비하는 허브 일체형 등속 조인트 모듈
JP2011185411A (ja) ドライブシャフトのダイナミックダンパ取付構造
KR101366143B1 (ko) 휠 베어링의 씰링 장치
KR101366142B1 (ko)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KR20110064018A (ko)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장치
WO2018192454A1 (zh) 一种汽车助力转向传感器
JP2563147Y2 (ja) カップリング
KR100846049B1 (ko) 차량용 허브 베어링 고정 장치
JP4758121B2 (ja) ラックピニオン式舵取装置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829239B2 (ja) 防振装置
JP2594796Y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343049Y1 (ko) 차량의 주행장치
JPH11241746A (ja) 車両用コイルスプリ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