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947A -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947A
KR20180078947A KR1020160184231A KR20160184231A KR20180078947A KR 20180078947 A KR20180078947 A KR 20180078947A KR 1020160184231 A KR1020160184231 A KR 1020160184231A KR 20160184231 A KR20160184231 A KR 20160184231A KR 20180078947 A KR20180078947 A KR 20180078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optical sensor
inspection
product ce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김길호
진의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옵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16018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947A/ko
Publication of KR2018007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6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 필름의 제품 셀과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에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스크랩 제거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스크랩의 정상적인 제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스크랩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정 중단 및 경고 신호 등을 통해 후속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름의 절단 가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Apparatus for Sensing Removal of Scrap}
본 발명은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재 필름의 제품 셀과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에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스크랩 제거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스크랩의 정상적인 제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스크랩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정 중단 및 경고 신호 등을 통해 후속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름의 절단 가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에 따라 LCD,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기본적으로 유리 기판과 각종 기능성 필름들을 통해 기본 구조를 이루게 된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부착된 형태의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바, 터치 스크린 패널 또한 필름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비롯한 각종 IT 기기 들에는 다양한 필름들이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필름들은 제조 과정에서 해당 부품의 크기에 맞춰 절단 가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소재 필름은 일반적으로 넓은 직사각형 원판으로 제작되고, 이러한 소재 필름을 해당 부품의 크기에 맞춰 다수개의 제품 셀로 절단 가공하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인 스크랩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소재 필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품 셀과 그 나머지 부분인 스크랩 부분으로 절단 가공되며, 스크랩 부분은 절단 가공 이후 제품 셀로부터 분리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소재 필름의 절단 가공은 최근 레이저 빔을 이용한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소재 필름을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으로 절단 가공한 이후에는 스크랩 부분을 제품 셀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면, 소재 필름을 절단 스테이지 상에 올려 놓고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제품 셀의 형상에 맞춰 절단 가공을 하면, 이 상태에서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이 절단 과정에서 융착 등에 의해 미세한 결합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이 결합된 상태의 소재 필름을 별도의 진공 흡착 수단 등을 이용하여 절단 스테이지로부터 별도의 스크랩 적재부 상부로 이송하고, 이 위치에서 제품 셀이 진공 흡착 수단에 의해 흡착 지지된 상태로 스크랩 부분을 별도의 제거 장치를 통해 하향 가압하여 제품 셀로부터 스크랩 적재부로 분리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스크랩이 제거 공정 이후에는 제품 셀을 별도의 제품 셀 적재부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후처리 공정을 위해 별도의 작업 공간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품 셀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랩이 완전히 분리 제거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서 제품 셀과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랩은 제품 셀에 일부 영역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이 하부 측으로 늘어진 형태로 제품 셀과 함께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스크랩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제품 셀과 함께 이동하게 되면, 후속 공정 상에 문제가 발생하고, 제품 불량이 발생하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상당한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3604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필름의 제품 셀과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에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스크랩 제거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스크랩의 정상적인 제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스크랩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정 중단 및 경고 신호 등을 통해 후속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름의 절단 가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검사 공간에 대한 스크랩 감지를 위해 복수개의 광 센서를 2열로 배치함으로써, 광 센서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더라도 전체 검사 공간을 모두 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를 소형화 단순화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광 센서에 대향하여 복수개의 반사 필름을 2열로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광 센서에 대한 검사 영역에서 복수개 반사 필름에 의한 불연속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아 광 센서의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감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재 필름을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으로 레이저 절단 가공한 이후, 상기 제품 셀을 진공 흡착 수단을 통해 흡착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스크랩을 하부의 스크랩 적재부를 향해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랩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로서, 상기 진공 흡착 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제품 셀과 상기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품 셀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상기 검사 공간을 횡단하도록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 발생부와 상기 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검사광을 수광하는 광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를 통해 상기 검사 공간에 상기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광 센서 모듈; 및 상기 검사광이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품 셀과 평행한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 공간을 횡단하도록 상기 광 센서 모듈을 직선 이동시키는 센서 이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는 하나의 광 센서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 센서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검사광을 반사하도록 반사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광 센서를 상기 광 센서의 이격 간격과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제 2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는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 사이 간격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광 센서를 상기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 사이 간격의 1/2과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필름은 상기 광 센서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2열로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의 반사 필름의 길이는 상기 광 센서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 1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의 끝단과 제 2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의 끝단은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 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검사 공간의 외부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 필름의 제품 셀과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에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스크랩 제거 상태를 파악함으로써, 스크랩의 정상적인 제거 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스크랩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공정 중단 및 경고 신호 등을 통해 후속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름의 절단 가공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 공간에 대한 스크랩 감지를 위해 복수개의 광 센서를 2열로 배치함으로써, 광 센서의 이동 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더라도 전체 검사 공간을 모두 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를 소형화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광 센서에 대향하여 복수개의 반사 필름을 2열로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광 센서에 대한 검사 영역에서 복수개 반사 필름에 의한 불연속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아 광 센서의 인식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감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스크랩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센서 이송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스크랩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스크랩(12)을 분리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레이저 절단 장치를 이용하여 소재 필름(10)을 제품 셀(11)의 형상에 맞춰 절단 가공하면, 소재 필름(10)에는 제품 셀(11) 이외의 나머지 부분인 스크랩(12)이 발생된다. 이때, 제품 셀(11)과 스크랩(12) 부분은 레이저 절단 가공 상태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융착 등에 의해 미세한 결합력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별도의 스크랩 제거 장치(미도시)를 통해 스크랩(12)을 분리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셀(11)과 스크랩(12) 부분이 결합된 상태의 소재 필름(10)을 별도의 진공 흡착 수단(20) 등을 이용하여 레이저 절단 스테이지(미도시)로부터 이송 레일(30) 등을 통해 별도의 스크랩 적재부(40) 상부로 이송하고, 이 위치에서 제품 셀(11)이 진공 흡착 수단(20)에 의해 흡착 지지된 상태로 스크랩(12) 부분을 스크랩 제거 장치(미도시)를 통해 하향 가압하여 제품 셀(11)로부터 분리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제품 셀(11)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스크랩(12)은 하부에 위치한 스크랩 적재부(40)로 낙하하여 적재된다.
이때, 제품 셀(11)로부터 스크랩(12)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랩(12)이 완전히 분리 제거되지 않고, 일부 영역에서 제품 셀(11)과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랩(12)은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셀(11)에 일부 영역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부분이 하부 측으로 늘어진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랩(12)이 제품 셀(11)에 결합되어 제품 셀(11)과 함께 후속 공정으로 이동하게 되면, 후속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며 제품 불량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는 스크랩(12)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5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는 소재 필름(10)을 제품 셀(11)과 스크랩(12) 부분으로 레이저 절단 가공한 이후, 제품 셀(11)로부터 스크랩(12)을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스크랩(12)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광 센서 모듈(100)과, 센서 이송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센서 모듈(100)은 진공 흡착 수단(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제품 셀(11)과 스크랩 적재부(40) 사이에 형성된 검사 공간(C)의 외부에 배치되어 검사 공간(C)에 스크랩(1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광(L)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구성으로, 제품 셀(11)과 평행한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검사 공간(C)을 횡단하도록 검사광(L)을 조사하는 광 발생부(미도시)와, 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검사광(L)을 수광하는 광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는 투과형 광 센서 방식의 경우, 검사 공간(C)의 외부 양측편에 서로 대향되게 장착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형 광 센서 방식의 경우,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가 하나의 광 센서(110)에 일체로 장착될 수 있다. 반사형 광 센서 방식의 경우, 광 센서(110)와 대향되는 위치에 검사광(L)을 반사하는 반사 필름(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반사 필름(120)은 검사 공간(C)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를 포함한 광 센서(110)를 이용하여 검사 공간(C)에 스크랩(12)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랩(12)이 제품 셀(11)로부터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지 않는 경우, 스크랩(12)의 일부 영역이 제품 셀(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머지 영역이 하부 측으로 늘어진 형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광 센서(110)를 이용하여 검사 공간(C)에 스크랩(12)이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는 스크랩(12)이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분리 제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센서 이송 모듈(200)은 광 센서(110)에 의해 조사되는 검사광(L)이 제 1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제품 셀(11)과 평행한 제 2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검사 공간(C)을 횡단하도록 광 센서 모듈(10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검사 공간(C)은 제품 셀(11)과 스크랩 적재부(40) 사이의 공간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품 셀(11)과 스크랩(12)이 결합된 상태의 소재 필름(10)으로부터 연직 하방 공간으로 스크랩 적재부(40)의 상단면보다 높은 공간으로 한정될 수 있으며, 광 센서 모듈(100)에 의한 검사광(L)이 이러한 검사 공간(C)을 횡단하여 스크랩(12) 존재 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검사 공간(C)에 대한 전체 영역에서 스크랩(12)의 불완전한 분리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감지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스크랩(12)의 불완전한 분리 상태에서의 스크랩(12) 배치 상태를 고려하여 검사 공간(C)을 제품 셀(11)의 연직 하방 공간으로 한정함으로써, 검사 공간(C)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효율적으로 스크랩(12) 분리 제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센서(110)와 반사 필름(120)을 포함한 광 센서 모듈(100)과, 광 센서 모듈(100)을 이송시키는 센서 이송 모듈(200)을 통해 검사 공간(C)에서 스크랩(12)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스크랩(12)이 검사 공간(C)에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이는 스크랩(12)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된 것이 아님을 의미하므로, 별도의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공정 라인을 일시 정지하고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랩(12)을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한 이후, 다시 정상적인 공정 진행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후속 공정에 대한 문제 또는 제품 불량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스크랩(12)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스크랩 제거 장치를 통해 다시 한번 스크랩(12)을 자동으로 제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등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50)를 이용한 후속 조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광 센서(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센서 이송 모듈(200)은 복수개의 광 센서(110)를 이격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광 센서(110)가 하나 구비되고, 하나의 광 센서(110)로부터 조사된 검사광(L)이 검사 공간(C)의 전체 영역을 횡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광 센서(110)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센서 이송 모듈(200)의 구성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질 수 있고, 특히, 광 센서(11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반사 필름(120)의 길이가 일체형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반사 필름(120)은 규격화된 길이로 제작 유통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길이가 긴 반사 필름(120)은 실제 제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센서(110)를 제 2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하고, 광 센서(110)를 이격 간격과 동일한 거리 또는 이격 간격보다 일정 거리 더 큰 거리만을 이동시켜 전체 검사 공간(C)에 대해 전체 영역을 검사할 수 있어 더욱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광 센서(1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을 따라 제 1 열 및 제 2 열 2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2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는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 사이 간격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이송 모듈(200)은 복수개의 광 센서(110)를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 사이 간격의 1/2과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는 그 이격 간격이 2P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제 2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 또한 그 이격 간격이 2P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제 2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가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110) 사이 간격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따라서, 제 1 열에 배치된 광 센서(110)와 제 2 열에 배치된 광 센서(110)는 이격 간격 P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센서 이송 모듈(200)에 의해 복수개의 광 센서(1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하게 되면, 각각의 광 센서(110)에 의해 P 거리만큼씩 검사하게 되며, 이를 모두 합하면 전체 검사 공간(C)을 검사하는 것이 된다.
즉, 센서 이송 모듈(200)을 통해 복수개의 광 센서(110)를 인접한 광 센서(110) 사이의 이격 간격(P)만큼만 이동시킴으로써, 검사 공간(C)에 대한 전체 영역을 모두 검사할 수 있다.
이때, 반사 필름(120)은 광 센서(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120)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반사 필름(120)은 광 센서(110)와 대응되도록 제 2 방향을 따라 제 1 열 및 제 2 열 2열로 배치되고, 각각의 반사 필름(120)의 길이는 광 센서(110)의 이동 거리(P)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 1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120)의 끝단과 제 2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120)의 끝단은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된다.
즉, 일반적으로 반사 필름(120)은 규격화된 길이로 제작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반사 필름(120)을 전체 검사 공간(C)에 대해 일렬로 부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반사 필름(120)을 서로 접촉하게 연속 부착해야 한다. 이 경우, 복수개의 반사 필름(120)은 각각 인접한 반사 필름(120)과 접촉 경계면(불연속면)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접촉 경계면은 광 센서(110)의 감지 결과에 오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센서(110) 및 반사 필름(120)을 2열로 배치하고, 각각의 광 센서(110)의 이동 거리(P)는 반사 필름(12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광 센서(110)의 센싱 과정에서 불연속면에 의한 오류가 방지된다. 이때, 2열 배치된 광 센서(110)에 의한 센싱 과정에서, 광 센서(110)에 의해 스캔되지 않은 검사 영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광 센서(110)의 이동 거리는 광 센서(110) 사이 간격(P)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반사 필름(120)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불연속 경계면이 형성되지 않도록 제 1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120)과 제 2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120)은 그 끝단이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의 센서 이송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센서 이송 모듈(200)은 복수개의 광 센서(110)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방향에 직교하고 제 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검사 공간(C)의 외부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10)과, 가이드 레일(210)을 따라 제 2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220)과, 이동 프레임(220)을 제 2 방향으로 일정 구간, 예를 들면, 광 센서(110)의 이격 간격(P)만큼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광 센서(110)는 이동 프레임(220)에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220)과 함께 일체로 이동한다.
가이드 레일(210)은 별도의 지지 프레임(211)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22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 레일(210)에 가이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채널(22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220)의 상측에는 구동부(23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동부(230)와 결합되는 연결 브래킷(2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적용될 수 있으나, 대상 물체를 직선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계 요소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이송 모듈(200)은 이동 프레임(220)에 광 센서(110)가 2열로 등간격(P)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이동 프레임(220)의 이동 거리를 P 또는 적어도 이보다 더 큰 거리만큼만 이동시킴으로써, 전체 검사 공간(C)에 대한 검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 이송 모듈(200)의 구성을 단순화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소재 필름
11: 제품 셀 12: 스크랩
40: 스크랩 적재부
100: 광 센서 모듈
110: 광 센서 120: 반사 필름
200: 센서 이송 모듈
210: 가이드 레일 220: 이동 프레임
230: 구동부

Claims (6)

  1. 소재 필름을 제품 셀과 스크랩 부분으로 레이저 절단 가공한 이후, 상기 제품 셀을 진공 흡착 수단을 통해 흡착 지지한 상태로 상기 스크랩을 하부의 스크랩 적재부를 향해 분리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랩이 정상적으로 분리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로서,
    상기 진공 흡착 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제품 셀과 상기 스크랩 적재부 사이의 검사 공간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품 셀과 평행한 제 1 방향으로 상기 검사 공간을 횡단하도록 검사광을 조사하는 광 발생부와 상기 광 발생부로부터 조사된 검사광을 수광하는 광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를 통해 상기 검사 공간에 상기 스크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광 센서 모듈; 및
    상기 검사광이 상기 제 1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상기 제품 셀과 평행한 제 2 방향을 따라 상기 검사 공간을 횡단하도록 상기 광 센서 모듈을 직선 이동시키는 센서 이송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부와 광 수광부는 하나의 광 센서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 센서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상기 검사광을 반사하도록 반사 필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광 센서를 상기 광 센서의 이격 간격과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제 2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는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 사이 간격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광 센서를 상기 제 1 열에 배치되는 광 센서 사이 간격의 1/2과 같거나 더 큰 거리만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름은 상기 광 센서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2열로 복수개 배치되고, 각각의 반사 필름의 길이는 상기 광 센서의 이동 거리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 1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의 끝단과 제 2 열에 배치된 반사 필름의 끝단은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이송 모듈은
    상기 제 1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 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검사 공간의 외부에 길게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제 2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일정 구간 직선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함께 일체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KR1020160184231A 2016-12-30 2016-12-30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KR20180078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31A KR20180078947A (ko) 2016-12-30 2016-12-30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31A KR20180078947A (ko) 2016-12-30 2016-12-30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47A true KR20180078947A (ko) 2018-07-10

Family

ID=6291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231A KR20180078947A (ko) 2016-12-30 2016-12-30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14A (ko) * 2020-06-10 2021-12-17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셀 분할 기판용 더미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 분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237A (ja) * 1992-09-01 1994-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板状製品の反り計測方法
KR20120032976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KR20120067692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처짐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2237A (ja) * 1992-09-01 1994-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板状製品の反り計測方法
KR20120032976A (ko) * 2010-09-29 2012-04-06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KR20120067692A (ko) * 2010-12-16 2012-06-2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처짐 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14A (ko) * 2020-06-10 2021-12-17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셀 분할 기판용 더미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 분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22B1 (ko)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US2011013626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Film Solar Panel and Laser Scribing Apparatus
KR101697216B1 (ko) 판유리의 검사 유닛 및 제조 설비
US20140055603A1 (en) Automatic optical inspection device
KR20120122316A (ko) 모바일 카메라 렌즈 이물 검사시스템
JP2012094770A (ja) 検査装置および基板の位置決め方法
KR20120031872A (ko) 글래스 기판 결함 검사 장치 및 글래스 기판 결함 검사 방법
WO2019214287A1 (zh) 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检测设备
KR20180078947A (ko) 스크랩 제거 감지 장치
JP3859859B2 (ja) 透明板状体の欠陥検出方法および装置
US9436100B2 (en) Exposure machine
US9659830B2 (en) Dimension detection device and cassette
KR20160142222A (ko) 브레이크 시스템
KR20140081261A (ko) 패널 검사장치
KR20140094941A (ko) 불량 검사 시스템 및 방법
JP2005156200A (ja) 板ガラスの検査方法および板ガラスの検査装置
JP5418983B2 (ja) 矩形板状物の割れ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654828B1 (ko)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 동기화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210110712U (zh) 一种检测机构及检测装置
TW201111773A (en) Optical system correction method of an in-line substrate inspection device as well as in-line substrate inspection device
KR101046566B1 (ko) 기판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검사 방법
CN111630453A (zh) 防尘薄膜组件框架把持装置及防尘薄膜组件框架把持方法
JP4310622B2 (ja) 基板の表面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101583510B1 (ko)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KR20200062417A (ko) 기판 검사 장치 및 기판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