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553A -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 Google Patents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553A
KR20180078553A KR1020160183412A KR20160183412A KR20180078553A KR 20180078553 A KR20180078553 A KR 20180078553A KR 1020160183412 A KR1020160183412 A KR 1020160183412A KR 20160183412 A KR20160183412 A KR 20160183412A KR 20180078553 A KR20180078553 A KR 20180078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rill
coupled
unit
dr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욱
박유연
문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울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울트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울트라
Priority to KR1020160183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553A/ko
Publication of KR20180078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16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 B23B39/168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spindles; Drilling automatons with the work spindles being oblique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70/00Details of turning, boring or drilling machines, processes or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2270/02Use of a particular power source
    • B23B2270/025Hydraul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밴딩 파이프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을 천공하는 드릴부 및 상기 드릴부에 결합되고, 유압을 통해 상기 드릴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Hole punching apparatus of multi-axis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밴딩 파이프에 대한 홀 천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과 같은 재료를 절삭 또는 연삭하여 필요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 기계를 공작기계라고 하고, 공작기계에 사용될 수 있는 드릴은 금속에 구멍을 뚫기 위한 공구를 말한다.
또한, 파이프의 홀 천공을 위한 드릴링 머신은 절삭공구가 장치된 스핀들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임의의 각도를 형성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드릴링 머신은 핸드 드릴링 머신, 직립 드릴링 머신, 레디얼 드릴링 머신, 평드릴 머신 또는 다축 드릴링 머신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고, 특히 다축 드릴링 머신은 하나의 기계에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여러 대의 드릴이 장착된 기계를 말한다.
여기서, 다양한 드릴이 드릴링 머신에 장착될 수 있지만 심가공을 위해서는 스페이드 드릴, 건드릴, 비티에이 드릴이 드릴링 머신에 장착될 수 있다.
하지만, 드릴링 머신을 이용하여 파이프에 홀을 가공하는 경우, 가공의 과정이 많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인력의 소모가 많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면서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1415호(2015.03.02.)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을 이용하여 밴딩 파이프에 대한 홀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홀 가공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는 작업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밴딩 파이프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을 천공하는 드릴부 및 상기 드릴부에 결합되고, 유압을 통해 상기 드릴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는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드릴부가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드릴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와 상기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레일 결합되고, 상기 드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의 구동 시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 경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L'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관통 홀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 홀 상에서 상기 드릴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릴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홀은 상기 드릴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 홀 상에서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을 이용하여 밴딩 파이프에 대한 홀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홀 가공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드릴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설정된 규격에 대응하며 홀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100)는 클램핑 유닛(20) 및 하부 홀 천공 유닛(30)과 함께 작업 플레이트(10) 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클램핑 유닛(20)은 작업 플레이트(10) 상에서 밴딩 파이프(1)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밴딩 파이프(1)의 상하부를 가압하여 홀 가공 위치를 고정시킨다.
즉, 클램핑 유닛(20)은 하부 홀 천공 유닛(30)과 홀 천공 장치(100)를 통한 홀 가공이 용이할 수 있도록 작업 플레이트(10) 상에서 밴딩 파이프(1)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밴딩 파이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복수개로 형성된다.
하부 홀 천공 유닛(30)은 밴딩 파이프(1)의 하부에 위치되고, 작업 플레이트(10) 상에서 승강하여 밴딩 파이프(1)의 하부에 홀을 천공한다.
홀 천공 장치(100)은 밴딩 파이프(1)의 일측에 위치되고, 밴딩 파이프(1)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밴딩 파이프(1)의 일측에 홀을 가공한다.
이러한 홀 천공 장치(100)는 양단부가 밴딩된 밴딩 파이프(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밴딩 파이프(1)의 일측에 홀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밴딩 파이프(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홀 천공 장치(100)는 하부 홀 천공 유닛(30)과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 플레이트(10) 상에 복수개로 설치되고, 하부 홀 천공 유닛(30)과 동시에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밴딩 파이프(1)의 하부 및 일측에 동시에 홀을 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홀 천공 장치(100)는 하부 홀 천공 유닛(30)과 동시에 동작됨을 통해 밴딩 파이프(1)에 대한 하부 및 일측에 대한 홀 천공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밴딩 파이프(1)에 대한 홀 가공 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의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100)는 밴딩 파이프(1)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작업 플레이트(10) 상에 고정된 밴딩 파이프(1)의 일측에 홀을 가공한다.
이를 위해, 홀 천공 장치는 드릴부(110) 및 모터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드릴부(110)는 밴딩 파이프(1)의 일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을 천공한다.
이러한 드릴부(110)는 일반적인 드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딩 파이프(1)의 일측을 향해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홀이 천공되도록 한다.
모터부(120)는 드릴부(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유압을 통해 드릴부(110)를 회전시켜 밴딩 파이프(1)에 대한 홀 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모터부(120)의 내부에는 별도의 쿨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드릴부(110)의 구동을 위하여 모터부(120)가 반복 작동되는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열에 의한 모터부(12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홀 천공 장치(100)는 밴딩 파이프(10)에 대한 정밀한 홀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 레일부(140) 및 이동 가이드부(150)를 더 구비한다.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는 작업 플레이트(10)에 직립되어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릴부(110)가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그에 따라 드릴부(110)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한다.
다시 말해,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는 드릴부(110)의 단부가 내부에 설치된 관통 홀(132a)을 통과하며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드릴부(110)의 수평 방향으로의 반복 이동 시 항상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밴딩 파이프(1)에 홀이 일정하게 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레일부(140)는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와 연결되어 작업 플레이트(10)에 마련되고, 드릴부(11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 가이드부(150)는 레일부(140)에 레일 결합되고, 드릴부(110)에 연결되며, 모터부(120)의 구동 시 실린더(160)에 의해 레일부(140) 상에서 이동하는 경우, 연결된 드릴부(110)가 함께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드릴부(110)의 이동 경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즉, 이동 가이드부(150)와 레일부(140)는 일반적인 LM 가이드(Linear Motion Guide) 형태로 결합되며, 그에 따라 모터부(120)의 구동 시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를 향하여 이동 가이드부(150)가 레일부(140)를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드릴부(110)의 이동경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재(132) 및 고정부재(134)를 구비한다.
몸체부재(132)는 작업 플레이트(10)에 'ㄴ'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고정부재(134)는 몸체부재(132)의 일단부에 마련된 관통 홀(132a)에 삽입되며, 관통 홀(132a) 상에서 드릴부(11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34)는 드릴부(110)의 외경에 따라 관통 홀(132a) 상에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고정부재(134)는 기설정된 규격에 따라 밴딩 파이프(1)에 더 크거나 더 작은 홀을 가공하기 위하여 다른 외경을 가지는 드릴부(110)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고정부재(134) 또한 드릴부(110)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다른 고정부재(134')로 교체됨으로써, 드릴부(110)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34)는 드릴부(110)가 삽입되는 삽입 홀(134a)의 직경이 다른 복수개의 고정부재(134)가 구비될 수 있으며, 드릴부(110)의 교체에 따라 관통 홀(132a) 상에서 함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설정된 가공 홀 규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을 이용하여 밴딩 파이프에 대한 홀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홀 가공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드릴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설정된 규격에 대응하며 홀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밴딩 파이프 10 : 작업 플레이트
20 : 클램핑 유닛 30 : 하부 홀 천공 유닛
100 : 홀 천공 장치 110 : 드릴부
120 : 모터부 130 :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
132 : 몸체부재 132a : 관통 홀
134 : 고정부재 134a : 삽입 홀
140 : 레일부 150 : 이동 가이드부
160 : 실린더

Claims (5)

  1. 작업 플레이트 상에 고정된 밴딩 파이프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을 천공하는 드릴부; 및
    상기 드릴부에 결합되고, 유압을 통해 상기 드릴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드릴부가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드릴부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 하는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
    상기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레일 결합되고, 상기 드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부의 구동 시 상기 레일부 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이동 경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이동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 가공 위치 결정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플레이트에 'L'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몸체부재; 및
    상기 몸체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관통 홀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 홀 상에서 상기 드릴부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드릴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 홀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홀은, 상기 드릴부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상기 관통 홀 상에서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KR1020160183412A 2016-12-30 2016-12-30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KR201800785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12A KR20180078553A (ko) 2016-12-30 2016-12-30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412A KR20180078553A (ko) 2016-12-30 2016-12-30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53A true KR20180078553A (ko) 2018-07-10

Family

ID=6291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412A KR20180078553A (ko) 2016-12-30 2016-12-30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5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59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철피 보호 냉각설비용 천공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159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 철피 보호 냉각설비용 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JP4977227B2 (ja) 深穴加工装置
KR100599527B1 (ko) 파이프의 분기공 천공기기
KR101969499B1 (ko) 딥홀 가공장치
KR20180078554A (ko) 다축 드릴링 머신의 클램핑 장치
KR101326249B1 (ko) 공작물의 홀 가공장치
KR101029878B1 (ko) 터렛형 건 드릴 장치
KR20170111016A (ko) 중실 장봉의 탭가공장치
KR101441794B1 (ko) 구멍 가공용 백챔퍼링 공구
KR100905967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슬리브 가공지그
KR20180078553A (ko) 다축 드릴링 머신의 홀 천공 장치
CN104308215A (zh) 一种弧形板打孔机
KR20160070961A (ko) 지그 장치 및 홀 가공방법
CN203556959U (zh) 一种异形孔倒角自动定位装置
CN103921319A (zh) 新型木工镂铣机
CN210548529U (zh) 孔倒角加工装置
JP4946967B2 (ja) 面取り工具
JP5375987B2 (ja) シート面加工方法
KR20130086716A (ko) 머시닝센터의 선삭공구용 클램핑 장치
KR102383705B1 (ko) 포터블 보링머신
KR101414024B1 (ko) 인덱싱 테이블 장치
CN203495552U (zh) 一种附有钻、铣机构的轿车扭力梁内高压件端头锯床
KR100466758B1 (ko) 작업궤도를 이용한 드레인홀 사상장치
KR101122550B1 (ko) 회전 절삭 공구
KR200374419Y1 (ko) 선박 엔진용 피스톤 핀 가공 지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