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850A -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850A
KR20180076850A KR1020160181456A KR20160181456A KR20180076850A KR 20180076850 A KR20180076850 A KR 20180076850A KR 1020160181456 A KR1020160181456 A KR 1020160181456A KR 20160181456 A KR20160181456 A KR 20160181456A KR 20180076850 A KR20180076850 A KR 20180076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ing unit
wardrobe
heat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987B1 (ko
Inventor
배인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9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4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living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B63B2709/00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분기된 보조 덕트; 상기 옷장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덕트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 흡입구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옷장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CABIN CLOTHES CLOSET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되며 선실로 공급되는 가공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에 관한 발명이다.
선박에 마련된 공조장치에서 가공된 공기가 선실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경우, 상시 공급시스템으로 인하여 선실 내부의 부하와 관련 없이 일정량의 가공된 공기가 항상 공급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 선실 내에 사람이 없는 때에도 가공된 공기는 계속하여 선실로 공급되며, 이러한 경우 공급된 공기는 활용되지 못하고 배기되게 된다. 또한, 간소화되어 있는 선박의 선실의 구조상 의류 건조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만약 젖은 의류를 건조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이를 건조할 수 있는 적절한 공간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유사 선행 문헌 없음)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의류 건조 장비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은 선박의 선실에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선박용 옷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한 건조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 선실 내부에 소모되지 않고 버려지는 시간의 가공된 공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통상적인 의류 건조 기구와 비교하여 보다 안전하고 낮은 에너지 소모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은,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분기된 보조 덕트; 상기 옷장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덕트와 연결된 공기 공급관; 흡입구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옷장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덕트에 마련되는 풍량조절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풍량조절댐퍼는 상기 송풍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되, 상기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전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리결정된(predetermined) 양보다 적을 경우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안전 장치는 상기 가열부의 온도가 미리결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옷장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에 의하면, 불필요하게 선실로 공급되는 가공된 공기를 가열하여 옷장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실로 공급되는 가공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에 의하면, 가공된 공기가 선실로 공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보조 덕트로 새어나가는 가공된 공기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에 의하면, 가열부의 작동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된 옷장에 의하면, 가열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실 및 옷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에서 조작부에 의해 송풍기가 정지한 상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에서 조작부에 의해 송풍기가 작동된 상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종래의 선실(5)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장치(1)로부터 가공된 공기가 메인 덕트(2)를 지나 송풍구(3)를 통해 선실(5)로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선실(5)에는 옷장(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공조장치(1)로부터 메인 덕트(2)를 통해 선실(4)로 공급되는 가공된 공기는 선실(4) 내에 사람이 있을 경우나 없을 경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양이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덕트(110)와 공기 공급관(121)과 송풍기(130)와 조작부(140)와 가열부(150) 및 가열공기 공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덕트(110)는 상기 메인 덕트(2)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관(121)은 상기 옷장(100)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덕트(11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130)는 흡입구가 상기 공기 공급관(121)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1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열부(150)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열선 등을 구비하여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송풍기(130)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150) 역시 상기 조작부(14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는 상기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옷장(1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그릴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에서 가공된 공기가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실(4) 내부에 사람이 존재하여 가공된 공기가 선실(4)로 공급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140)를 이용해 상기 송풍기(130) 및 상기 가열부(150)를 오프(off) 상태에 두게 된다.
상기 보조 덕트(110)에는 상기 송풍기(13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기(130)에는 상기 가열부(15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메인 덕트(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커지게 되므로 공조장치(1)로부터 가공된 공기는 대부분이 보조 덕트(110)로 이동하지 않고 메인 덕트(2)를 통해 선실(4)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보조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보다 확실하게 줄이기 위하여, 상기 보조 덕트(110)에는 풍량조절댐퍼(1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풍량조절댐퍼(111)는 상기 송풍기(13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2)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되, 상기 송풍기(130)가 작동하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2)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풍량조절댐퍼(111)는 상기 보조 덕트(110)의 유로를 막거나 개방함으로써 상기 보조 덕트(11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실(4) 내부에 사람이 없어 가공된 공기가 선실(4)로 공급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140)를 이용해 상기 송풍기(130) 및 상기 가열부(150)를 온(on) 상태에 두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부(140)의 조작은 상기 선실(4) 내부에 있던 사람이 선실(4) 외부로 나갈 때 또는 건조 기능이 동작하기를 원할 때 조작된다. 상기 조작부(140)를 이용해 송풍기(130)가 작동하게 되면, 보조 덕트 내부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어 상기 메인 덕트(2)를 통해 이동하는 가공된 공기가 상기 보조 덕트(110)로 일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덕트(110)로 이동하는 가공된 공기의 양은 상기 송풍기(130)의 성능에 의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보조 덕트(110)로 이동한 가공된 공기는 상기 공기 공급관(121)을 거쳐 상기 송풍기(130)의 토출구를 통해 상기 가열부(150)로 이동하게 된다.
공조장치(1)에 의해 가공된 공기는 일반적으로 상대습도 70% 이하, 건구 온도 20℃ 이하의 성질을 갖는데, 이와 같은 가공된 공기는 옷을 건조시키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150)는 상기 가공된 공기를 가열하여 옷을 건조시키기에 적합한 상대 습도와 건구 온도를 갖도록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열부(15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를 통해 상기 옷장(100) 내부로 공급되게 되어 옷장(100)에 비치된 옷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옷장(100) 내부에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옷장(100)에 비치된 옷을 건조시킨 후 습기를 포함한 사용된 공기는 다시 옷장(100)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은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로부터 상기 옷장(100)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배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공기 배출부(170)는 그릴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로부터 상기 옷장(100)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충분히 옷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공기 배출부(170)는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와 적절히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가 옷장(100) 내부에서 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열공기 배출부(170)는 옷장(100) 내부에서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160)가 옷장(100) 내부에서 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열공기 배출부(170)는 옷장(100) 내부에서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에 의하면, 공조장치(1)에 의해 가공된 공기가 불필요하게 선실(4)로 공급되는 경우 가공된 공기를 옷장(100) 내부의 옷을 건조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공된 공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150)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선 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은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안전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전 장치는 상기 송풍기(130)의 작동이 정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리결정된(predetermined) 양보다 적을 경우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가열부(150)로 유입되는 가공된 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습도 70% 이하, 건구 온도 20℃이하의 공기이기 때문에, 상기 가열부(150)에 가공된 공기가 유입될 경우에는 상기 가열부(150)의 열이 상기 가공된 공기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열부(150)가 과열될 위험이 낮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가열부(150)에 가공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가열부(150)가 계속 작동된다면 상기 가열부(150)가 과열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부(150)에 가공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안전 장치에 의해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제2 안전 장치는 열 감지센서의 형태로 설치되며, 설정된 온도 이상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정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안전 장치는 상기 가열부가 설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자동으로 다시 작동하는 메커니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3 안전 장치는 열 감지센서의 형태로 설치되며, 제2 안전 장치의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된다. 이는 제2 안전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계속적인 온도 상승을 최종적으로 방지해 주며,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완전히 정지하게 한다. 제3 안전 장치의 작동은 제2 안전 장치의 오작동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자동으로 다시 시작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확인 후 동작할 수 있도록 점검 스위치를 포함하며 제3 안전 장치가 동작하여 상기 가열부(150)이 완전히 멈췄음을 상기조작부(140)에 알릴 수 있는 지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은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가열부(150)의 온도가 미리결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가열부(150)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된 제2 안전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옷장(100)에 수납된 옷의 수량이 적거나 옷을 장시간 건조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100)은 상기 가열부(15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40)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부(150)가 적절한 시간동안 작동하도록 조작함으로써, 가열부(15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에 가열부(150)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옷장 110: 보조 덕트
111: 풍량조절댐퍼 121: 공기 공급관
130: 송풍기 140: 조작부
150: 가열부 160: 가열공기 공급부
170: 가열공기 배출부 1: 공조장치
2: 메인 덕트 3: 송풍구
5: 선실

Claims (6)

  1. 공조장치로부터 가공된 공기를 메인 덕트를 통해 공급받는 선실에 마련되는 옷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분기되는 보조 덕트;
    상기 옷장 내에 위치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덕트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관;
    흡입구가 상기 공기 공급관의 타단과 연결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의 토출구와 연결되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송풍기와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가열부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옷장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덕트에 마련되는 풍량조절댐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풍량조절댐퍼는 상기 송풍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되, 상기 송풍기가 작동하는 상태일 경우 상기 메인 덕트로부터 상기 보조 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마련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1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전 장치는,
    상기 송풍기의 작동이 정지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미리결정된(predetermined) 양보다 적을 경우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2 안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전 장치는
    상기 가열부의 온도가 미리결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마련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가열부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기 공급부로부터 상기 옷장 내부로 공급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 가열공기 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KR1020160181456A 2016-12-28 2016-12-28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KR10261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56A KR102614987B1 (ko) 2016-12-28 2016-12-28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456A KR102614987B1 (ko) 2016-12-28 2016-12-28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850A true KR20180076850A (ko) 2018-07-06
KR102614987B1 KR102614987B1 (ko) 2023-12-15

Family

ID=62921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456A KR102614987B1 (ko) 2016-12-28 2016-12-28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9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344A (ko) * 1991-12-31 1993-07-21
KR20120004239U (ko) 2010-12-06 2012-06-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덕트 기능을 구비한 선실용 옷장
KR20140119373A (ko) * 2013-03-29 2014-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조타실의 공조덕트장치
KR20160024115A (ko) * 2014-08-25 2016-03-04 김현옥 대차형 건조기
KR20160136110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3344A (ko) * 1991-12-31 1993-07-21
KR20120004239U (ko) 2010-12-06 2012-06-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덕트 기능을 구비한 선실용 옷장
KR20140119373A (ko) * 2013-03-29 2014-10-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조타실의 공조덕트장치
KR20160024115A (ko) * 2014-08-25 2016-03-04 김현옥 대차형 건조기
KR20160136110A (ko) * 2015-05-19 2016-11-29 주식회사 대화알로이테크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987B1 (ko) 2023-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334230A (ja) 浴用ミスト装置
JP2000237273A (ja) ミストサウナ装置及び浴室暖房装置
JP6847790B2 (ja) 加湿装置
KR20180076850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선박용 옷장
JP4568628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4602293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
JP5788687B2 (ja) 浴用ミスト噴出装置
JP2014025675A (ja) 乾燥器
JP2014079431A (ja) 布団乾燥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827677B2 (ja) 浴用ミスト装置
JP6776088B2 (ja) 浴用ミスト装置
JP6741551B2 (ja) 浴用ミスト装置
JP6621617B2 (ja) 浴室暖房装置
JP5092504B2 (ja) サウナ装置
JP5822494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2014176572A (ja) 乾燥装置
CN108378612A (zh) 用于按摩椅的自动加热系统
JP6748901B2 (ja) 暖房装置
JP6814934B2 (ja) 浴室空気調和機
JP6795957B2 (ja) 浴用ミスト装置
JP2018076972A (ja) 浴用ミスト装置
JP6748902B2 (ja) 暖房装置
JP2005279307A (ja) 手乾燥装置
JP2023163419A (ja) 浴室装置
KR20160049843A (ko) 헤어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